This study researched changes over time regard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 construction us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Meteorological Station. First,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located in port areas, and then moved to high altitude areas for stable meteorological observation beginning in the transition phase. Here, office buildings and residences were joined, but were separated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from the stabilization phase. Second, as for spatial composition, in the establishment phase, existing buildings were used, and the scale of newly constructed buildings differed according to time and area. However, after the Japan-Korea Annexation, with increased funds and increased observation equipment, floor plans subdivided by function started to appear. In the stabilization phase, space was subdivided with redundancy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In the wartime transition phase, ‘ㅡ’ shaped floor plans with redundancy became the norm. Meanwhile, the location of the maritime customs where the first meteorological observations took plac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and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Busan Temporary Observatory built i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transition phase (1905) were investigated. Also,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Busan Meteorological Observatory, newly constructed before 1934,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era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were studi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nd changes in hemp textile production practices at Gurye in Jeollanam-do in modern times. To do this, in this study, both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work research were utilized as research methods.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Gurye's hemp data, and the fieldwork research involved two separate trials. Male and Female residents of Gurye who had experience in the area of hemp production from the 1920s to the 1980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hemp fiber cultivation in Gurye, hemp cultivation continued to the 1970s and there were no changes in hemp cultivation practi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era. Second, there have been very important changes in hemp kilns over time. In the 1950s, there were both single-body kilns and separate-body kilns in Gurye. Later, specifically in the 1950s, a new type of kiln using an iron pot appeared, and the most modern kilns were concrete structures. Third, in Gurye, women cooperatively removed hemp husks immediately after stemming, subsequently bleaching the hemp by soaking it in lye or caustic soda. Over time, there have been changes in ash types and in soaking periods. Fourth, loom type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Korean back-strap loom to the treadle loom in the 1930s- to 1940s. Fifth, since the 1970s, the hemp textile output levels of Gurye have been reduced due to the westernization of clothing styles, the inflow of Chinese hemp fiber and government regulations pertaining to hemp cultivation.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on berries and their cooking methods that appear in ancient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Due to recent reports on berries’ excellent functionality and the public’s growing interest in healthy living, berries have been attracted attention as promising forms of sustenance. By structuring and classifying the types of berries and their popularity as well as recipes using berries found in ancient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this review hopes to serve as an important source that reflects both the food culture and social aspects associated with the value of berries in the lives of Korean people as well as foster understanding of the superiority of Korean food culture. This study will also have implications 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antioxidant-rich berries into the modern food landscap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ypes of berri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Korean cherry, Omija, Gugija, Bokbunja, Black cherry, Mulberry) while cooking method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Korean traditional snack, Korean traditional beverage, Liquors, Porridge, Pilule) in the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 of Korea. The aim of this literature review is to highlight the valuecreating aspect of berries as food materials that can yield high added-value products. Beyond their value as healthy fruits, this study will explore the features of berries that enhance their added value and brand marketing as well as their aspect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modern industry of berry product development.
이 글의 목적은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유교 담론을 연구하는 것이다. 작품에 나타난 유학자들의 담론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유학 담론은 외세의 부당한 개입에 맞서 물리적 대결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작품에 나타난 가장 대표적 인물은 김 훈장이다. 『토지』는 김 훈장을 통해 일제에 대해 물리적 대결을 하려는 당대 유학자들의 진정성을 인정하면서도, 그 한계를 비판하고 있다. 두 번째 유학 담론은 현실의 부정성을 비판하면서 맞서 싸우지 않고 도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유학의 도(道)를 미래에까지 계승하기 위해서는 의미없는 죽음보다는 비겁하지만 목숨을 부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유학 담론은 시류에 편승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바탕으로 시류에 편승하여 엘리트로서의 역사적 과제를 무시하고 사적 이익을 취하였다. 조준구로 대표되는 이 유형의 인물들은 『토지』에서 가장 크게 비판을 받는다.
염(NaCl) 스트레스 하에서 근대의 이온축적 및 삼투조 절물질로 알려진 Glycine betaine (GB) 함량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0, 100, 200, 300 및 400mM의 염(NaCl)을 처리하여 생장, 이온양상 및 GB 함량을 조사하였다. 염(NaCl) 농도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근대 잎의 건중량은 염(NaCl) 0, 100 그리고 200 mM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300 mM 이상의 염(NaCl)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내었다. 양이온 함량은 염(NaCl) 농도 및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주로 Na+ 이온을 축적하며 K+, Mg2+, Na+, Ca2+ 그리고 Fe2+ 순으로 식물체 내에 함유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총 이온함량과 삼투몰 농도는 염(NaCl) 농도가 증가함 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Na+와 같은 무기이온 을 직접적인 삼투 조절자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ycine betaine은 10일째까지는 함량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염 처리 후 20일째 200 mM 염(NaCl) 농도까지 현저하게 Glycine betaine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300mM 염(NaCl) 농도에서는 다소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근대 는 염(NaCl)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질성 삼투 조절물질로 Glycine betaine을 축적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근대는 식물체 내로의 염(NaCl)의 유입을 배제하는 기작보다는 효율적인 염(NaCl)의 재분배 및 구 획화와 무기이온을 삼투조절에 이용하며, Glycine betaine 과 같은 세포질성 삼투조절물질을 축적하는 생리적 특성 으로 염(NaCl) 환경을 극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estern perspective on the food and food culture of Modern Times in Korea (from the late of Joseon Dynasty until Japanese colonial era). Literature and written records were analyzed.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heart of the mill in this period involved rice, and that a common beverage was sungnyung made from boiled scorched rice (in contrast to tea as the common beverage in Japan or China). The most important subsidiary food in Joseon was vegetables, especially Kimchi. Westerners viewed Kimchi as a smell symbolizing Joseon and their meal times. Even though both Kimchi and cheese are fermented food, just like Westerners could not stand the smell of Kimchi, Koreans viewed the smell of cheese unpleasant. Westerners viewed German sauerkraut as Western food counterpart to Kimchi, as sauerkraut is also fermented food made of cabbage. Regarding the eating of dog meat in Joseon, most Westerners viewed it as brutal; however some interpreted it as a difference in food culture. In addition, the eating of raw fish and its intestines felt crude to Westerner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Joseon's food and Western food was that Joseon had no dairy products and no sugar. The most highly preferred fruit for Westerners was the persimmon, and ginseng was already widely recognized and recorded as a medicinal plant. Joseon's desserts were also favorably evaluated. In contrast, the excessive gluttony, heavy drinking, and unsanitary conditions in Joseon were problems pointed out in many records.
문화는 그 민족 고유의 정체성과 외래문화의 융․복합과정에서 새 로운 형태를 창출할 수 있다고 본다. 서예문화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로 삼국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여러 서체와 서풍 을 받아들이며, 변화 발전하여 시대적으로 유행서풍이 각각 달랐다. 특히 근대라고 부를 수 있는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는 격변하는 시기 로, 정치․사상․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외부 세력의 강력한 개방 압력과 더불어 청(淸)․일(日)에 대한 감정이 대치 되는 상황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기반의 위축을 초래하는 상황에서도 외래문화의 흡수와 수용은 또 다른 패러다임의 문화를 창출함과 동시 에 그 영역을 확장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를 주도했던 사람들은 당시 시대적 상황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던 개화파들과 사신․역관․상인들이였으나 더 직접적인 통로 는 선진문화의 학습을 위해 유학을 떠났던 일부 의식 있는 서화가들 이였다. 이들은 중국과 일본으로 미술계의 견학 및 시찰, 그리고 전 문적인 서화교육을 위한 유학의 형태로 선진문화를 받아 들였으며, 그들이 체득한 서화계의 현장은 이들의 예술세계를 바꾸어 놓았을 뿐 아니라 귀국 후의 활동으로 인하여 국내의 서화 계에도 큰 영향을 미 쳤다. 따라서 본고는 이 시기의 해외유학서파의 현황과 현대서단에 미친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국에서의 유학 기간이 짧게는 3년, 길게는 18년을 보낸 유학서파 들은 청대의 고증학과 금석학, 그리고 전각의 인풍을 학습하여 귀국 한 후 이를 기반으로 작품 활동을 함과 동시에 체계적인 연구를 하며 현대서단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서예 학의 기초체계를 세우기도 하였다. 또한 일본으로의 망명과 유학을 통해서는 활발한 일본서단에 서 직접 익힌 서화 풍과 더불어 전각 풍을 수용하였고, 이를 통해 국내 서단의 기틀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외유학서파들에 의해 형성된 근대의 서풍(書風)과 화풍(畫風), 인풍(印風)은 현대 한국서단에서도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글씨에서는 민영익․김규진․유희강․현중화 등 에 의해 유입된 북위서와 오창석(吳昌碩) 전서, 하소기(何紹基)․유용 (劉墉) 등의 행서가 현대까지 유행하였으며, 그림에서는 김규진과 서 병오 등에 의해 오창석의 화풍, 중국 난초 그림의 유행이 있었고, 전 각에 있어서는 오세창․김태석․고봉주 등에 의해 청대 전각가인 오창 석․제백석(齊白石)․등석여(鄧石如)․오양지(吳讓之)․서삼경(徐三庚) 등의 인풍과 일본인풍이 주류를 이루며 한국전각계의 틀을 이루는 원 동력이 되었다.
19세기 러시아는 한국의 해양탐사를 실시했다. 그 과정에서 러시아는 서구 열강 중 독도의 '서도(Оливуца)와 동도(Менелай)'를 최초로 구별했다. 또한 '동해 (Восточное море) 및 동해안(Восточная берега)'이라는 명칭도 사용했다. 그만큼 러시아는 한국의 해양 명칭 명명에 깊숙이 개입했다. 러시아 해양탐사는 해양항로를 위한 탐사, 정보에 따른 지역의 중요성 분석, 선택 지역에 대한 해군력 강화로 연결되었다. 19세기 후반까지 러시아는 기본적으로 한국의 현상유지정책을 지지했다. 청일 전쟁 직후 1894년 8월 21일 러시아정부는 황제 알렉산더 3세의 지시로 특별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결과를 살펴보면 러시아는 열강과의 외교적 협조를 통해서 "조선의 현상유지"를 위해서 노력하고, 전쟁을 대비한 러시아군대의 강화를 결정했다. 이러한 사실은 러시아가 최대한 외교적인 노력으로 사태를 해결하지만 유사시 전쟁도 대비한다는 러시아정부의 이중적인 대응방식을 보여준다. 특히 러시아정부는 청일전쟁 이후 대한해협의 전략적인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응책 마련에 고심했다. 결국 러시아는 한국의 동해와 대한해협을 연결하는 해양전략적 가치를 중시했다. 랴오둥반도를 할양하려는 일본의 의도를 파악한 러시아정부는 1895년 4월 11일 황제 니꼴라이 2세의 지시로 특별회의를 개최하였다. 특별회의에서는 만주문제를 둘러싸고 일본과 타협하는가, 아니면 일본과 대립해야하는가 라는 문제가 핵심이었다. 회의 결과를 살펴보면 러시아정부는 일본의 만주점령을 부정하고 군사적 행동을 개시할 수 있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러시아정부는 단기적으로 만주지 역에 대한 방어를 계획하였고, 장기적으로 조선에 대한 현상유지정책을 유지하는 것이다. 회의 결과 극동지역의 러시아해군력 증강이 시작되었다. 결국 19세기 러 시아의 해양탐사를 바탕으로, 러시아는 청일전쟁 이후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인정했고, 극동지역에 대한 러시아 해군력 증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본고는 20세기초 한국전통음악의 공연장별 수용방식과 활동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종합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한 논문이다. 먼저 2장에서는 협률사(원각사)나 광무대, 단성사 등 극장별로 전통음악이 수용되는 과정과 레파토리, 이왕직아악부의 활동내용과 레파토리 특히 아악의 전승에 대해 당시 신문기사, 사료를 비롯한 관련 자료집에 실려 있는 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전통음악이 어떻게 대중화되었으며, 이왕직아악부의 활동이 어떠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근대극장이 음악인들의 다양한 레파토리를 대거 한 공간에 수용함으로써 본격적인 대중화로의 물꼬를 트게 된다. 근대극장들이 수용한 전통음악의 공연내용을 극장별로 구분하자면 협률사(원각사)는 유명한 창우들을 대폭 채용한 관계로 주로 판소리뿐만 아니라 관객들의 새로운 레파토리 요구에 부흥에 창극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내기에 이른다. 광무대는 궁중의식음악을 제외한 전 장르의 음악을 대폭 수용하고 있다. 단성사는 사대부와 중인층들의 애호 받았던 풍류음악인 영산회상과 가곡 등을 비롯한 궁중정재를 주요 레파토리로 삼아 상류층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한편 이왕직아악부는 “아악(雅樂)”을 공연 레파토리로 삼고 있었고, 근대극장에 합류하지 않고 독자적인 노선을 걸으며 음악활동을 펼쳤다. 또한 아악생을 모집하여 교육하거나 전통음악의 오선보화 작업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전승하여 조선아악의 전통을 이어나갔다. 게다가 나중에는 사대부의 풍류음악까지 흡수함으로써 오늘날의 정악이라는 장르로 통합되었고, 근대극장에서 수용했던 대부분의 레파토리는 민속악이라는 장르로 통합됨으로써, 오늘날 전통음악이 정악과 민속악이라는 이분구도로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대 서구 화학자들의 저서가 한역(漢譯)되면서 다량의 새로운 화학원소를 표 기하는 단어(한자)들이 생겨났다. 그들은 중국어의 어휘를 더욱 풍부하게 하는 동 시에 중국어 어휘에서 없어서는 안될 주요성분으로 자리 잡았다. 초창기 화학원소 를 표기하는 어휘(한자)는 한자와 어휘를 동시에 생산하는 매우 독특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본문은 당시 화학원소를 명명했던 근거와 그 어휘들에게 나타난 독특한 한자와 어휘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The formation of modern architecture during the Weimar Republic in Germany is seen through the works by Bruno Taut, one of the leading architects during that period.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adings on Bruno Taut and critical analysis of Bruno Taut’s ideologies, his works and the circumstances that he was in, the content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root of modern architecture has less to do with functionalism and new technologies, but more to do with need to express new ideologies and expressions of their view of a new society. Although the socialistic idea did not account for sole reason for influencing their architecture, it did play a considerable part in deciding what architectural expressions are preferred. For this discourse this paper limits Bruno Taut's years from 1913 to 1932 prior to his exile from Germany; 1913 to 1923 being the years that constitute theoretical activities and 1923 to 1932 being the golden years for social housing when he participated on many public housing projects.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his architecture put importance of practicality, and utilitarian; however the transition was not an abrupt departure from his expressionistic architecture but an inclusive act on his part.
이하윤(1906~1974)은 1926년 시 <일허진 무덤>을 발표한 이후 한국적인 운율과 서정성을 담은 시편(詩篇), 서구지향적인 시편, 그리고 유행가 가사로 사용된 가요시(歌謠詩) 등 다양하고도 이색적인 시편들을 모아 한 권의 시집으로 묶어 간행하는 등, 1930년대로서는 매우 독특한 활동 영역을 보여준 시인이다. 바로, 1939년에 간행된『물네방아』는 이와 같은 이하윤 시의 특성이 고스란히 담긴 중요한 시집이다. 이 논문은 이하윤 시집『물네방아』를 대상으로 하여 1930년대의 한 시인이 지향하고자 한, 시의 전통성과 근대성의 표출 방식을 살펴보고, 서로 상반된 두 성향이 어떻게 한 시인의 시집 안에서 반영되고 드러나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1930년대에 새로운 시 장르로 편입된 ‘가요시’의 형성을 이하윤의 시세계를 통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주지하면, 시집『물네방아』에는 총 109편의 많은 시가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물네방아’란 소제목으로 묶인 67편의 서정시와 ‘가요시초(歌謠詩抄)’란 소제목으로 묶인 42편의 가요시가 그것이다. 그러나 물리적인 형식이 아닌 내용상 특징으로 재분류하면, 시집『물네방아』는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시세계를 엿볼 수 있다. 즉, 시집 전반부에 수록된 67편의 서정시는 ‘물네방아’로 대변되는 토속적인 제재와 고향, 자연 등 전통세계로의 회귀를 보여주는 전통지향적인 시와, 도시적 감성과 외래적 시어 등을 근간으로 하여 창작된 근대지향적 시로 다시 나뉜다. 시집 후반부는 1930년대에 유성기음반에 취입된 노랫말(가요시)을 시집 안에 포함시킨 것들이다.이 논문은 이러한 서로 다른 세 가지 방식의 시적 특징이 어떻게 한 권의 시집『물네방아』에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1930년대’의 시대상에서 되짚어 보고자 한다.
Modern railway construction by Japanes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urbanization, transformation of urban structure and landscape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compressive increasing period in Iri(Iksan).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railway on the modern urban structure and urban landscape in Iri(Iksan). Railways in Iri, Honam railway, Kunsan railway, Jeonla railway have been constructed progressively during 1911 and 1915 with Iri and old Iri(east-Iri) station. From the analysis of land registration maps and street plans, old photographies and historical records, some significant features underling railway construction can be followed in view of modern urbanization process in Iri. Firstly railways cut off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urban structure based on traditional spatial structure of Iksan. Secondly railways made dual spatial structure in Iri. Japanese and Korean life zone were divided into separate district around urbanization area and market place. Thirdly traditional space cognition system based on four cardinal directions were changed to front and rear space of railway station. Fourthly railways and stations caused neo-baroque spatial order and imperialistic urban landscape of Iri with axis, vista and gridiron plan. Fifthly break points and fringe belts garbling modern urbanization process are created. Sixthly modern cultural and consumptive urban spaces were taken their seats in relation with daily urban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in Jeon. The Korean dictionary was analyzed to analyze the modern definition of Jeon.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of Jeon, 36 cookbooks from the late 1800s to 1999 were analyzed. The cooking method for Jeon, such as the ingredient, quantity and how to cooking were presented systematically since 1935. The main ingredients of jeon in modern cookbooks are seafood 36.0%, vegetables 30.2% and meat 20.3%. Jeon made with seafood or vegetables, chopped meat put in each main ingredient or meatballs with minced meat, etc. meat was used to make Jeon in a variety of ways. The cooking method for Jeon in a frying pan is the most basic method. After trimmed materials, adding flour, eggs and oil are the most common way. Making dough with grain flour or ground potatoes, green beans, legumes, etc., and mixing the ingredients in a pan-frying methods appeared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other countries recipes. Modern food culture, introducing new ingredients and cookware, has changed. As a result, jeon cooking methods and the application of the material have varied. The type of jeon and cooking methods are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and become more dive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Korean meat consumption as well as meat consumption trend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supply of meat was considerably insufficient. However, meat consumption mainly in large cities has gradually increased. Especially, 'Pyeongyang cow', a specialty of Pyeongyang, started being raised as edible beef cattle in 1933. During the chaotic period following liberation from Japan, the price of meat sharply increased. However, as the meat supply stabilized, the 'beef grade system' was introduced in 1967. Since then, beef has sold according to region. During the early economic growth period of the mid-1970s, meat consumption rapidly increased, and foreign beef was first imported in 1976. The preference for beef was somewhat attenuated due to the outbreak of mad cow disease and economic slowdown of the 1990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pork, a replacement meat. During the recent period of economic development, meat consumption has somewhat fallen and remained low. In late 2003, with the occurrence of mad cow disease in the US, the demand for pork, and especially pork fatback, has sharply increased.
인간들은 대체적으로 어떤 사상이 그의 의식영역에 주입되었느냐에 따라서 그 사상에 의해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간들의 의식영역에 어떤 사상이 선점해 있음으로 해서 그것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에는 기독교가 들어온 지 약 200년쯤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유일신 사상으로 인해 타 종교와의 많은 종교적 갈등을 가져왔다. 적은 범위로는 각 가정에서 제사나 장례절차 등에 있어서 가족 간 종교차이로 많은 문제점이 노정되고 있으며 아울러 사회적으로는 타 종교를 음해하는 사건들이 비일 비재하다.
본인은 지금까지 본인 스스로 관심을 가져온 인간들의 의식영역의 관념적 선점권과 진실·진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독교가 중세 유럽의 중심사상이 된 역사적 과정, 기독교가 내세 중심사상으로 흐르면서 유럽 문화에 끼친 영향, 중세 기독교사상의 분열과정과 근대사회의 출현문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중세 기독교 교리 타파 과정이 바로 근대화로 가는 지름길이었음을 음미함으로서 인간들에게 지배하는 진리관은 단지 그것이 절대적 진리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 스스로 진리라고 믿는 착시현상에서 오는 것임을 밝히고, 아울러 본인이 믿는 종교를 강조하다보니 타 종교와의 갈등관계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함으로서, 나아가 집안에서나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종교적 갈등관계를 줄여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을 쓰는 주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문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서양에서 기독교가 절대적인 지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AD 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공인과 AD392년 데우도시우스 왕의 기독교를 국교화했기 때문이었다. 기독교는 중세에 이르러서는 내세중심사상으로 흘렀으며 그러다 보니 아이러니 하게도 중세는 암흑세계가 되었던 것이다. 암흑세계에서 탈출하여 근대 민주주의나 자본주의로 흐를 수 있었던 것은 단지 기독교 교리 타파에 의해서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재음미해 볼 때 인간들은 어떤 종교나 사상이 절대적인 것이라고 믿는 것은 그 종교나 진리가 옳아서 라기 보다는 단지 그것이 도그마화 하여 자신의 의식 영역을 선점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다시 한 번 숙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랬을 때 타인의 종교를 인정하게 되고 그럴 때 이 사회는 종교 분쟁과 같은 사회적 갈등을 가져오지 않고 더 밝은 사회가 되리라고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