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4

        14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ith long carbon chains such as eicosapentaenoic acid(EPA) and docosahexaenoic acid(DHA) have several health benefits. However metabolic consequences of these fatty acids themselves and their regulation of transcriptional activity involving glucose utilization are not well establish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PA influx affects cellular lipid accumulation and gene expressions involving de novo lipogenesis in hepatocyte cultures. Compared to oleic acid treatment, EPA treatment showed remarkably decreased cellular TG conversion and accumulation, along with phospholipids at a lower extent. As expected, EPA increased mRNA expression involving fatty acid influx and lipid droplet formation, but did not affect mRNA expression involving glucose utilization. EPA increased transcriptional activity of PPAR-α and glucose 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 when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protein was activated.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EPA decreases lipid accumulation through increases of the β-oxidation pathway without interruption of glucose utilization.
        4,000원
        14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alic acid는 9탄당의 단당류로 당단백질이나 당지질의 당사슬 말단에 존재한다. Sialyltransferase의 활성에 따른 sialic acid의 함량의 변화는 세포의 생존, 분화, 증식등 다양한 방면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표적인 당단백질 의약품인 EPO의 경우 말단 sialic acid의 함량은 체내활성이나 반감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sialytransferase는 다 양한 방면의 연구에서 중요한 효소 중 하나이다. 하지만 돼지에서는 당사슬 관련 연구가 미흡하며 관련 효소들도 아직까지 그 염기서열이나 세포내 기능이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 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에 클로닝 된 ST6Gal1을 돼지유래 세포주 PK-15세포 를 이용하여 세포내 기능을 분석하였고, ST6Gal1 단백질의 발현량을 각 조직별로 비교분 석하였다. N-terminal 구역에 Flag-tagging된 pig ST6Gal1을 pcDNA3.1(+) vector에 cloning하여 PK-15 cell에 trasfection하였다. Rea-time PCR과 Western blot을 이용해 효소의 발현을 확인한 후, α2-6 sialic acid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Sambucus nigra agglutinin (SNA)을 사용하여 immunofluoresescence microscopy analysis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ST6Gal1-transfected cell에서 α2-6 sialic acid의 증가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 adhesion assay를 통해 ECM 기질의 일종인 fibronectin에 대한 부착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PK-15 cell의 β-integrin에 존재하는 당사슬의 α2-6 sialic acid 함량의 증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조직별 발현량 분석을 통해서는 간에서 특이 적으로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이는 human, mouse 등의 다른 종들에서의 결과와도 일치 한다. 또한, 자돈(5일)보다는 성돈(24개월령)에서 ST6Gal1의 발현량이 전체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14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내 한우의 사육은 전업화 및 대규모화에 따른 전반적인 우군 번식관리의 부실 에 기인한 수정회수의 증가로 번식률 저하가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한우 암소의 산차가 수정회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저, 충남 아산시 소재 대규모 한우 농장에서 사육되고 있는 연 2,193두를 대상으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 년간의 번식기록을 분석하였다. 연 2,193두에서 모든 산차(0 9산)에서 1회 수정두수가 1,525두, 2회 505두 순으로 나 타났으며, 3회 이상 수정한 저수태우는 163두로 7.4%를 차지하였다. 1회수정은 미경산우가 304두로 가장 높았으며 4산차 248두, 3산차가 228두 순으로 나 타났으며, 2회 수정은 미경산우가 107두로 가장 높았으며, 4산차 83두, 3산차가 79두순 으로 나타났다. 3회 수정은 미경산우가 44두로 가장 높았으며, 3산차가 21두, 2산차가 18두 순으로 나 타났고, 4회 수정은 미경산우가 13두로 가장 높았으며 3산차가 2두였고, 5회 수정은 미 경산우가 2두로 각각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미루어 모든 산차에서 1회 수정이 1,525두로 69.5%였으며, 산차가 높을수록 수정회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3산차부터 5산차까지 2회 이상 수정 두수가 229두로 45.3%로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암소 번식우에 대한 철저한 발정관찰 과 번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4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품질증진제 처리가 산취(Chamaecereus silvestrii) '희망'의 모구품질과 표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생체중은 D-sorbitol 처리구보다 D-mannitol 처리구에서 감소율이 낮아 효과적이었다. Diniconazole 200ppm처리는 산취의 자구생육을 어느 정도(수치화) 억제하여 장기수송(50일)에 더 적합하였으며 자구색의 발현 어느 정도(수치화)에도 효과적이었다. 산취 모구의 표피구조는 비모란에 비해 하피 발달이 저조하고 어느 정도(수치화) 단층이며 세포벽도 얇아 어느 정도(수치화) 수송조건에 불리하였는데 생육의 억제효과가 높은 diniconazole 200ppm + D-mannitol 10,000ppm과 발색효과가 좋은 diniconazole 200ppm + wax 살포가 저장 중의 품질 유지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14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태풍이나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산지 도로의 산사태, 토석류, 상향침투수압 등에 의한 인명, 시설물 피해도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산지 도로의 상향침투수압은 심각한 포장 파손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산지 측의 높은 지하수위로 인한 상향침투수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하배수공법이 매우 효과적 이라고 판단된다. 지하배수 공법을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배수기층이 적합한 투수계수와 지지력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투수성과 지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배수기층 입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4,000원
        150.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화방지제인 아스코르빈산(AA), 에리쏘르빈산(isoAA),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AP),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AS)에 대한 ‘식품 중 식품첨가물 분석법’을 검증하고 미비점을 개선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자외선검출기법을 이용하여 검출한계(LOD), 정량한계(LOQ), 상관계수(R2) 등을 측정하였고 돼지기름(lard), 사이다를 이용한 모델식품에서의 회수율과 재현성을 측정하였다. AA와 isoAA의 검출한계는 각각 0.46, 0.48 μg/mL이었으며, 회수율은 각각 86.35-94.78, 84.76-95.02%를 나타내었고 상관계수는 모두 0.999이상을 보였다. AP와 AS의 현 분석법은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지만 메탄올 용매에서 AP와 AS는 불안정하였다. 냉장온도에서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 시 다른 용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어 기존 용매의 불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4,000원
        15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changes in milk production, milk components and milk product properties as influenced by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system. Milk production in transient organic feeding was lower by 7.6% than that in conventional feeding and also milk fat, milk protein content, solids not fat and somatic cell count were lower than conventional farming system. But, milk lactose content in transient organic feeding was higher than that in conventional feeding. Ca and Fe content in milk in organic feeding tended to be higher compared to conventional feeding. Linoleic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in milk in organic feeding was higher than those in conventional feeding and properties of milk products were improved in organic milk compared to conventional milk.
        4,000원
        152.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뽕잎, 은행잎 및 혼합차의 침출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Folin-Ciocalteu법,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PLC로 분석하였다. 침출시간에 따라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FRAP 활성은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성분 함량은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높았으며 산뽕잎에 은행잎을 2:1로 혼합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침출시간 3분 정도에서 산뽕잎차 및 혼합차는 비교적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은행잎차는 6분 까지 활성이 증가하였다. HPLC로 분석한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은 quercetin이 모든 차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플라보노이드의 총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제조한 침출차 들의 항산화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계수는 0.87 이상으로 상관성이 상당히 높았다.
        4,000원
        155.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9세기라는 역사적 격변기에 활동했던 문인인 橘山李裕元(1814~ 1888)의 『사찬』과『사영』에 관해 살펴보았다. 기존 이유원에 대한 논의는 『林下筆記』 소재 樂府와 같은 것들에만 집중되어, 그의 역사적 인식에 관해서는 거의 논의가 없었다. 그렇기에 아직까지도 이유원의 다른 저작인『嘉梧藁略』이나 『橘山文稿』와 같은 다른 작품에 관한 연구는 미진 한 실정이다. 본고에서 언급한 『사찬』과『사영』은 귤산의 저작인 『가오고략』에 들어 있는 작품이다. 이는 귤산의 문집에서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의 역사관 을 연구하는 데에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귤산은 『사찬』에서 15개국에 대해서 시를 쓰고 있고, 『사영』에서는 자신이 다 쓰지 못했던 『사찬』의 餘史를 42명의 인물들을 통해서 보완하여 더욱 자세히 기록 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역사적 작품들을 통해 그가 부국강병을 위해 조선의 현실 을 사실적으로 인식하고 쓴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당대의 다른 문인들과 비교를 해보거나, 전후 시기 문인들과 비교해 볼 때 독특한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비록 이 『사찬』과『사영』만을 가지고 귤산의 역사관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겠지만, 본고를 통해 그가 지니고 있던 역사관의 일부나마 살펴 볼 수 있고, 이것이 곧 귤산 뿐 아니라 당대 문인들의 역사관을 이해하고 파악하 는 중요한 단초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6,000원
        157.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색나비(Apatura ilia)와 황오색나비(Apatura metis)는 과거로부터 동일종, 또는 동일종의 아종관계, 별종 등으로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이 두 종은 주로 날개 무늬로 구분되는데, 오색나비와 황오색나비의 중간적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빈번하여 생물학적 종을 식별하는데 혼란이 있어왔다. 이에 따라서 일부 전문가는 두 종의 공유 분포 지역에서는 잡종이 형성될 수 있다는 주장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 아마추어 나비전문가에 의하여 사육된 황오색나비는 2세대에서 2가지 형이 모두 나타났다는 보고도 있었다. 따라서 형태형질을 바탕으로 동정된 표본을 근거로 DNA barcoding을 이용하여 오색나비와 황오색나비의 생물학적 실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오색나비류의 전세계 분포지 중, 우선 중국, 극동러시아, 한국, 일본에서 확보된 극동아시아산 오색나비류 총 60 개체들을 대상으로 시도하였다. 그 결과, 오색나비 집단과 황오색나비 집단의 유전적 차이는 개체에 따라 0.0%에서 1.0%까지 밖에는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NJ tree에서도 두 집단이 각각 별도의 묶음으로 구분되지 않았다. 특히, 형태적으로 오색나비로 동정된 북방계 개체들의 일부가 단계통 묶음을 형성하는 듯한 양상을 보이나, 그의 나머지 개체들과 남부집단 그리고 황오색나비의 전 개체들은 모두 하나의 섞긴 묶음을 형성하였다. 또한 두 묶음과는 0.5% 정도의 극히 미미한 서열 차이만 보였고, 특정 지역 집단으로 구성된 무리도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의 오색나비와 황오색나비의 극동아시아산 개체들은 오색나비 한 종이며, 황오색나비로 알려진 개체들은 오색나비의 변이체로 진단하는 것이 분류학적 당위성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159.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reat classic Chinese ancient novel, The Heroes Of The Marshes(The Water Margin), was constructed to be a man’s world (of “one hundred and eight” there would be only three females). These rough and rugged but bold men had composed a sharp song of soul-stirring history of movement, through which the “bloody” and “virtue” of man being sounded, expressed the essence of life force. They were like mountains side by side seated that did not bend down but shaped the meandering picture by composed the magnificence of mountains, showing the existence of the earth world. Their literary characteristics should testify and refresh the classical literature meanings of the aesthetic imago of mountain.
        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