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food waste generation and reduction efforts at hom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reduce food waste. A total of 3,321 food buyer responses were used from the 2022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of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tatistical methods for a complex sample were applied by using a SPSS program (ver. 26.0). The average daily food waste generation per household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 main food purchaser’s age and household size. Plate waste and food waste from preparation were the main types of food wast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tention to reduce food waste was influenced by the main types of food waste, the average daily amount of food waste, the perceived amount of food waste,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food waste reduction after adjusting for the age of the main food purchaser and household size. Since the amount of food waste was affected by a series of food behaviors as well as consumer’s intention to reduce waste, empirical research on the types and amounts of food waste generated in Korean households and qualitative research on behaviors and attitude affecting food waste are needed.
        4,300원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influence education experience (home, school, and mass media) on reducing practice behavior(purchasing, using, disposing and leading) of food-related wastes. The study also sought to promote strategy and suggest effective activation plans for the vitalization of behavior of reducing food-related wastes. The study subjects were 412 adult consumers who answer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home education experience were 3.61±0.71, which was the highest, and 3.45±0.74 for school education experience, which was the lowest. Secon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the reducing practice behavior of food-related wastes was converged purchasing, using, disposing and leading behavior. The scores of disposing behavior were 3.79±0.67, which was the highest, and 2.87±0.82 for leading behavior, which was the lowest. Third, the common variables influencing the reducing practice behavior(purchasing, using, disposing and leading) of food-related wastes were home education and mass media and the powerful variable influencing was hom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effective food-related waste reduction.
        4,000원
        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lastic waste problem is deepening all over the world. Plastic wastes have serious impacts on our lives as well as environmental pollution. The production and use of plastics increases every year, but once they are produced, they usually roam the earth for hundreds or thousands of years to pollute the environment. Although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plastic issues around the world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being tightened, but no clear solution has yet been found. This study suggests Environmental degradation index (EDI). EDI can help raise consumers’ attention to plastic wastes. In addition, EDI will contribute to reduce them in the future. As far as we know, this is the first study. We developed EDI for the confectionery packaging. This study defines four factors that may affect the environment of confectionery packaging: greenhouse gas emissions, energy consumption, methane emissions, and packaging space ratio. Then we quantify the value of each element and compute EDI as the sum of the four component values. In order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EDI proposed in this study, confectionery-packaging materials distributed in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rst, the types of confectionery are classified into pies, biscuits, and snacks and basic data was collected. Then the values of the four components were calculated using existing research data on the environment. We can use the proposed EDI to determine how much a product packing affects the environment.
        4,000원
        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d dieting status and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on healthy dieting in male and female collegians according to the desired loss weight. The subjects were 611 students (287 males, 324 females) from universitie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in Kore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group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current body weight and their desired body weight: no desired weight loss (WL0), desired weight loss less than 5 kg (WL5), desired weight loss 6 to 10 kg (WL10), and desired weight loss more than 11 kg (WL11). The fad dieting status was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about 11 selected trendy dieting methods. The higher desired weight loss group showed higher current weight and BMI in both males and females. Self weight overestimation was higher in the females than in the males, and in the WL10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of males. As desired loss weight increased, weight loss trials and experienced trendy dieting types increased in both males and females. In the male subjects, the experience of the half meal diet and the chicken breast die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sired loss weight. In females, trials of more trendy diet types including the half meal diet, cereal diet, fasting, and Atkins die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desired loss weight.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on healthy dieting was high among all the different desired weight loss groups, showing that a minimum of 60% of subjects in each group answered ‘necessary and strongly necessary’, with the highest in the WL11 group in both males and females. From these results, desired loss weight is associated with higher current weight status, unhealthy weight control practice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Therefore, in the futur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should give greater attention to providing healthy dieting methods for young collegians who desire more weight loss.
        4,000원
        7.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하수처리분야에서 MBR 공정은 대부분 침지식 분리막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적용현장에서는 유지관리 및 막오염 제어의 어려움 그리고 낮은 처리 flux로 인해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침지식 MBR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가압식 분리막을 이용한 85m3/일 규모의 MBR 공정을 구성하여 운전 특성을 고찰하였다. 슬러지 원천감량 기술을 결합한 가압식 MBR공정은 분리막 내부로 MLSS와 공기를 동시에 주입함으로써 40~50 LMH의 높은 여과 성능을 나타냈을 뿐 아니라 약 60%의 잉여슬러지 감량효과도 보여 주었다.
        8.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1일 300~400 kcal의 섭취 열량을 제한하는 프로그램(대조군)과, 열량의 제한은 없이 음 양 체질에 따라 식품의 종류를 선택하는 프로그램(실험군)을 8주간 실시하여 체중 감량 효과를 비교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체중감량 프로그램 참여 후 유의 적인 체중 변화가 있었으며, 대조군은 평균 1.1 kg, 실험군은 2.8 kg의 체중이 감량되었고, 실험군 내에서는 음체질이 3.3 kg, 양체질이 2.3 kg 감량을 보였다. 프로그램 참여 후 대조군 과 실험군 모두 체지방,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실험군은 체지방, 체질량지수,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 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감 소폭이 더 큰 경향을 보였다. 2. 대조군의 경우, 1일 섭취 열량이 프로그램 실시 전 2,061.0 kcal에서 실시 후 1,588.4 kcal로 약 17%가 감소하였다. 반면, 실험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1,679.6 kcal 에서 체중감량 프로 그램 실시 후 1,810.6 kcal로 약 7% 증가하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를 살펴보면 대조군은 체중 감량 프로그램 실시 후 지방과 단백질, 당질, 나트륨, 콜레스테롤, 나이아신, 비타민 B1, 아연, 인, 칼슘의 섭취가 각각 유의적으 로 감소하였다. 실험군은 탄수화물과 식이섬유, 칼슘, 인, 철 분, 비타민 A, 비타민 B2, 비타민 C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증 가하였다. 3.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프로그램 실시 전 음양 식품의 섭 취빈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에서 양 체질인은 음성식품을, 음체질인은 양성식품을 섭취하는 빈도 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프로그램 실시 후 대조군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유의적 으로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유의적 으로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본 연구에서는 체질식이를 섭취한 경우, 체중 감소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고, 영양소 섭취상태도 개선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으로 식습관과 질병의 연관성 및 질병에 따른 체질식품의 효과 유무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200원
        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erformance of the new aerobic digestion system combined with inorganic sludge separation unit and sludge solubilization unit, CaviTec II, is evaluated. Anaerobic digester effluent sludge is used for feed sludge of CaviTec II system. By addition of CaviTec II, the amount of cake generated is reduced by 27%, and the soluble nitrogen is reduced by 92%.
        4,000원
        10.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apid weight reduction for short duration on serum enzyme and stress hormone in high school wrestlers. Subjects were composed of 7 student wrestlers whose wrestling careers were 3years over. Subjects were reduced 5% of their body weight by exercise, reducing food and sauna method for three day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and consideration of many pre studies related it, the result could be drawn as follows. First,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CPK,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pre level(p<.05). Second,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LDH,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pre level(p<.05).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Epinephrine,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decrease than pre level(p<.05). Data analysis of 5% weight reduction on Norepinephrine,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pre level(p<.05). In conclusion, rapid weight reduction gives an effects on decreasing wrestlers' physical fitness suddenly during the match because of changing rapidly of serum enzyme and stress hormone in the body. I hope that more studies will be followed on serum enzyme and stress hormone in rapid weight reduction of weight class competition players in the future.
        4,300원
        15.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recognition of food waste, school lunch leftovers and satisfaction toward school lunch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Four hundred students were surveyed beginning April, 2007.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imary means in which students learned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were 'video media' (54.7% males, 39.2% females) and 'by teachers' (23.2% males, 33.0% females). The primary effects on food habits after participating in the school lunch program were 'having a balanced diet' (23.3%) in the females, and 'decreased intake of junk food' (24.9%) in the males. The serving sizes for cooked rice, soup, and meat were higher in the females (3.46, 3.46, and 2,91, respectively) than the males (3.18, 3.29, and 2.73, respectively). The primary school lunch leftovers for one week were cooked rice (4.55), meat (4.35), kimchi (3.84), fish (3.60), vegetables (3.38), and soup (3.08).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school lunch meal indicated that good taste had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Nutritional balance, food safety, cleanliness of tableware and supplies, clean uniforms of employees, and cleanliness of the dining area had both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4,000원
        17.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심해성 붉은 대게(Chinoecetes japonicus)의 증자 가열에 의한 감량, 수율, 품질조사와 건조처리에 따른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고찰하였다. 증자처리에 따른 감량 변화는 20.48~26.72% 범위로 통게 중량이 클수록 감소율이 적었으며 수작업에 의한 선육 수율은증자처리구가 생시료 선육 수율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증자, 건조처리에 따라 pH 는 약간 상승하였으며 몸통육이 다리육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VBN치는 감압건조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며 다른 처리구에서는 l0mg% 내외의 수준이었다. TMAO 성분은 생다리육 및 몸통육에서 각각 98.13mg% 와 101.13mg% 였고, TMA 함량을 감압건조시료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물질이 30여종 분석되었으며 다리육의 함량 변화는 감압건조처리구가 높은 감소를 보이고 동결건조처리구에서 적은 감소를 보였다.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외 5종으로 총 유리아미노산의 39.94%를 차지하였다. 몸통육 중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다리육보다 함량이 낮았으며 주요 아미노산 함량비는 46.78% 정도이고 정미성 아미노산은 동결처리구가 높고 열풍건조처리구가 낮게 나타내었다.
        4,000원
        18.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조사대상자들의 평균 키와 체중은 각각 161.00±4.15㎝, 50.45±8.15㎏이었으며 BMI는 19.18±3.98, 체지방율은 26.12±4.13, skinfold thicknes는 40.40±12.56mm로 나타났다. 2. 조사대상자들의 혈액성상은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치, albumin, globulin,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총중성지방을 측정하였으며 헤마토크리트치를 제외한 나머지 성상들은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헤마토크리트치는 정상범주에 미달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로 말미암아 철분 결핍성 빈혈에 노출된 확률이 아주 많음을 보였다. 3. 용돈별로 체지방율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한달 용돈이 평균 20∼30만원을 쓰는 group의 체지방율이 22.00%로서 정상 수준이었으며, 30만원 이상 사용하는 group은 비만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그 외의 group들의 체내 체지방율수준도 정상 수준인 20∼25%를 넘어 과체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30만원 이상 사용하는 group은 다른 group보다 RBC(million/㎣), Hb(g/dl), Hct(%) 모두가 낮게 나타났으며, 빈혈로 판정될 수 있는 수준이었다. 4. 다이어트 빈도별 각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이어트 시도를 자주 한다고 답변한 group이 거의 실시하지 않는다. 실시해 본 적이 없다라고 대답한 group보다 체중과 BMI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그러나 skinfold thickness(㎜)와 체지방율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비록 다이어트 실시를 자주 할 경우 절대적인 체중중량은 감소되지만 체내지방량이 감소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5. 다이어트 실시기간에 따라 혈액 성상을 분석한 결과, 4개월 미만 다이어트를 실시하였으나, 1개월 전부터 현재(설문지에 응답한 시점)까지 기간 중에는 다이어트를 실시한 적이 없다고 대답한 group의 Alb(g/dl)과 Glo(g/dl)의 수치가 다이어트를 실시한 적이 없다고 대답한 group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6. 체중은 BMI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BMI는 견갑골과도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상완부는 견갑골, skinfold thickness(㎜), 체지방율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Hb(g/dl), Hct(%)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견갑골은 BMI 뿐 아니라 skinfold thickness(㎜), 체지방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skinfold thickness(㎜)는 체지방율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7. RBC(million/㎣)는 Hb(g/dl) 및 Hct(%)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Hb(g/dl)도 Hct(%)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Alb(g/dl)은 Glo(g/dl) 및 TCH(㎎/dl), HDL(㎎/dl)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Glo(g/dl)은 TCH(㎎/dl)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TCH(㎎/dl)은 Alb(g/dl), Glo(g/dl)외에도 TTG(㎎/dl), LDL-cho(㎎/dl), HDL-cho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TC(㎎/dl)은 LDL-cho(㎎/dl)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HDL-cho(㎎/dl)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000원
        19.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기술의 발달과 경제수준 향상 및 운동량의 부족으로 인한 비만증의 발생율이 높아지는 반면 체중 감량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런 관심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나친 체중감량은 건강에도 해를 미치지만 체중감량에 대한 자료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다이어트가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여 제1보고로써 다이어트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1. 조사 대상자들은 19세(27%), 20세(25.3%)의 연령층이 가장 두터웠으며, 체중은 50.32±0.91kg, 신장은 160.90±0.47cm이었고, BMI는 18.73±4.89로 나타나 평균적으로 여윈 상태임을 보였다. 2. 조사 대상자들의 한달 용돈은 10∼15만원이 가장 많았으며, 부모님의 체형은 정상이거나 마른 분이 절반을 넘었다. 한편 아버지만 뚱뚱하신 경우보다는 어머니만 뚱뚱하신 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사 대상자들의 식태도는 하루 한, 두끼만 섭취하며, 불규칙적으로 섭취하는 사람이 많았고, 과반수가 자신의 체형을 과대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형의 기준을 바르게 선정할 수 있는 영양교육이 필요함을 보였다. 4. 조사 대상자들의 실제 체중은 50.32±0.91kg이었으나 이상체중은 46.94±0.39kg으로써 이상체중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114). 5. 조사 대상자의 37.54%가 1997년 한 해 중 다이어트를 실시한 경험이 있었으며, 처음 다이어트를 실시한 시기는 고등학교, 대학생 때, 고등학교와 대학 사이의 순으로 나타나 주로 고등학교 이후에 다이어트를 하려는 이유로는 자기 신체에 대한 기대 및 느낌 등의 주관적인 이유가 주된 원인이었으며, 과반수 이상의 여대생이 다이어트를 실시해 본 경험(79.3%)을 가지고 있었고, 다이어트 실시 빈도는 가끔 실시하는 경우(38.25%)가 가장 많았다. 또한 다이어트의 실시기간은 일주일 미만인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체중감소량은 1∼2kg(37.69%), 2∼4kg(29.44%)이었으며, 과반수 이상이(76.65%)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가장 선호하는 다이어트 방법은 하루 한끼 혹은 그 이상을 굶는 방법, 운동, 하루 3끼를 모두 섭취하되 열량을 줄이는 방법 등의 순으로 나타나 결국 섭취열량을 제한하거나 소비열량을 늘이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다이어트에 대한 정보는 주로 신문, 잡지(30.86%), 가족, 친구, 친척(28.86%) 등의 대중매체나 주위의 사람들로부터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영양상태 지각도가 보통 이상인 경우는 아버지, 어머니 두 분 다 뚱뚱하지 않은 경우일 때는 116명(42.65%)이며, 두 분 다 뚱뚱한 경우는 8명(2.95%)로 나타나 부모가 정상체중이거나 마른 경우 그 자녀의 영양자각도가 그렇지 않은 부모의 자녀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04). 9. 영양상태 자각도는 자신의 체형을 적당하다, 약간 뚱뚱하다고 대답한 group이 다른 group에 비해 높았다(p=0.001).
        4,000원
        20.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me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do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DTAC), 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DTAB), do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DDBAC), polyoxyethylene(2) dodecylbenzylammonium chloride(PDBAC), and 1-(2-hydroxyethyl)-1-benzyl-2-undecylimidazolinium chloride(AEUIC), were synthesized. As a result of weight loss treatment of the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with NaOH to PET fiber, the increase of weight loss was the order of PDBAC > DDBAC > DTAC > DTAB > AEUIC. Among the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AEUIC hardly showed weight loss effect, and it was separated into two layer in the NaOH solution at the treatment concentration above 6g/L, but POBAC showed good weight loss effect of 21% that approach almost to a theoretical weight loss, 21.6%, at the concentration above 8g/L.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