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마지에서 마유 추출시 천연 항산화제인 건조 녹차잎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여 추출공정 및 저장기간동안 지방산패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마유의 품질특성을 식품공전에 고시되어 있지 않지만 산가, 과산화물과, TBA가, 요오드화가 등의 품질특성관찰을 통해 다른 종류의 식용유지의 규격과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천연 항산화 제인 녹차잎 첨가로 인해 추출 및 저장시 지방산패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는지 확인 가능하였다. 지방산조성 분석 을 통해 마유의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 조성 변화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이용도가 높아 지는 마유의 기준 규격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분자, 갈근 및 녹차 추출분말이 각각 1%(w/w)로 첨가된 조미액으로 제조된 한우 육포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복분자, 갈근 및 녹차 추출분말이 첨가된 조미액의 항산화 활성은 무첨 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물류 추출분말이 첨가된 육포의 전단가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색차(ΔE)는 시료 간에 미미하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녹차 추출분말이 첨가된 육포 (G-BJ)에서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육포의 저장과정 중 수분활성도는 저장 2주째에 대조구에서 유의적 으로 증가되었으나, 식물 추출분말이 첨가된 육포는 저장 1주에 비해 유의적인 증감을 보이지 않았다. 저장 4주 경과 후에는 모든 시료에서 수분활성도가 다소간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식물 추출분말이 첨가 된 육포를 4주간 실온에 저장하는 동안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G-BJ는 4주간 저장되었을 때 2주간 저장된 시료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식물 추출분말이 첨가 된 육포의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G-BJ에서 가장 높았다. 한우 육포 의 제조 시 식물 추출분말의 첨가는 육포의 전단가 감소와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육포의 품질 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4,600원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spraying ethanol extracts (green tea and wormwood) on pH, TBARS, VBN, and total microbes of chicken meat during storage. The ethanol extracts of green tea and wormwood were sprayed on the chicken carcasses (0.2 and 0.2 g extract/㎏meat, respectively). Treated sample showed higher lightness (L* values) and yellowness (b* values) and lower redness (a* values) than those of control. The TBARS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treatments than the control on storage day 4, especially, the treatment of the wormwood extracts had lowest TBARS value. The VBN values were relatively lower values for the treatments than the control on storage day 4, especially, the treatment of the wormwood extracts had lowest VBN value on storage day 6. Wormwood samples showed lower total aerobic and E. coli counts than the others on day 6. Therefore, the spray with natural wormwood extracts could be useful to extend the shelf-life by preventing lipid oxidation and reducing the microbial growth during storage of chicken meat.
        4,000원
        4.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인 자몽종자추출물, 코치닐색소, 녹차추출물의 흥미첨가농도범위를 각각 0.02-0.08, 0.05-0.117 및 0.05-0.117%(w/w)로 놓았으며 혼합비율로서 혼합물 구조모형으로 설계하여 돈육포의 품질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색상 면에서 a값에서는 자몽종자추출물, 코치닐색소, 녹차추출물을 각각 0.02, 0.15 및 0.05%의 농도로 첨가 시 가장 높은 값인 14.5를 나타내었으며 천연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는 7.9이었다. 60oC의 가속저장에서 대조구의 경우 저장 7일 후 TBA값의 증가정도는 80.20%이었으며 처리구 중 가장 작은 값을 보인 것은 자몽종자추출물, 코치닐색소, 녹차추출물의 농도가 각각 0.05, 0.05 및 0.10%에서 나타났으며 그때의 증가율은 16.44%이었다. 저장초기 천연첨가물질 혼합비율에 따라서 총 균수는 3.39-3.69 log CFU/g로 큰 차이는 없었으며 대조구의 3.41 log CFU/g과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5oC의 저장에서 대조구의 경우는 7일 후 약간 증가하였으나 천연물질을 첨가한 경우에는 대부분 감소하였다.
        4,000원
        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차 잎 1.5 g에 증류수 100 mL을 가하여 75℃에서 5분 동안 추출하여 녹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저장 조건을 달리하여 A 녹차 음료 (빛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지 않음, 자연 상태의 대기 조건, 비타민 C 무첨가), B 녹차 음료 (빛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차단함, 질소를 불어넣어 자연 대기를 질소로 치환하였음, 비타민 C 30 mg/100 mL 첨가), C 녹차 음료 (빛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차단함, 질소를 불어넣어 자연 대기를 질소로 치환하였음, 비타민 C 무첨가)로 구분하여 4℃에서 28일간 저장한 후, 유용 성분을 분석하였다. 총페놀함량의 경우 저장 초기에 비하여 저장 28일 후 A 녹차 음료는 71.50%, B 녹차 음료는 73.88%, C 녹차 음료는 75.07%로 감소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저장 초기에 비하여 A 녹차 음료는 87.87%, B 녹차 음료는 92.93%, C 녹차 음료는 88.39%이었다. 녹차의 유용 카테킨인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는 28일간 저장 후에 A 녹차 음료는 130.61%, B 녹차 음료는 136.47%, C 녹차 음료는 4.34%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녹차의 저장 조건이 녹차 음료의 성분에 영향을 미치며, 빛, 질소 치환, 비타민 C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4,000원
        9.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were studied with varied the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and compared them with commercially sold dasik. Among the samples with the same number of grinding times, the sample groups with the higher amount of green tea showed significantly the less mosture content(p<0.05). Hardness was higher in the samples containing higher amount of green tea among the ones with the same grain size (p<0.05). The M13G0.5 was evaluated to have the highest savory aroma with significance (p<0.05), and C1 to have the highest sweetness by sensory analysis. The developed dasik samples with lower rice grain particle size had significantly lower adhesive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 sample groups. In sensory tests, the compar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r savory aroma and flavor and very lower hardness when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 sample groups. With the results above, dasik with with varied the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were developed with improved qualities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ly sold dasik.
        4,000원
        10.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green tea processed by different pan-firing hand rolling and to select the best conditions during the procedure of green tea process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t harvestion tea plant leaf, tea plants had 4 leaves. each leaf size was 7.5 cm'§quare2.6 cm, and weight of 100 buds 46.6 g. The increase of pan-fired time decreased in the moisture content and yield of green tea. After processing green tea, 5 times pan-fired one had much more contents of total nitrogen (T-N:5.31%), caffeine (2.00%) and total amino acid (T.A.A. : 3,046 mg%) and less content of tannin (13.41%) than the other treatments. but 3 times pan-fired one had the highest contents of vitamin C (204.3 mg%) and chlorophyll (365.0 mg%) among three kinds pan-firing method. Sixteen kinds of free amino acid including theanine as a good taste component of pan-fired green tea were isolated and measured by HPLC. Free amino acid (FAA) contents were in the range of 2,683~2,925 mg% and among various pan-firing methods, 5 tims pan-fired one had the highest content of F.A.A. Among these free amino acids, theanine occupied as much as 56.4~61.3% of F.A.A. Lightness, yellowness and redness of 5 times pan-fired green tea were middle value among three different treatments. Besides, it gained the highest score of sensory evaluation among them. Thes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5 times pan-fired green tea was considered to be the best level as pan-firing times of green tea processing.
        4,000원
        1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microbiological quality by adding green tea extracts to chicken meat salad. For this study, Chicken meat salad were prepared with two production method. (method 1: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s to boiling phase, method 2: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s to salad dressing) Microbiological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were assessed during production process by measuring process time, temperature, pH and Aw and determining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s.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on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s were observed during holding at 3, 10, 25±1℃ for 12 hours. Green tea extracts improved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howed antibacterial properties when they are added to chicken meat salad.
        4,000원
        12.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on Dasik quality. The green tea powder was added as the ratio of 0%, 2%, 4%, 6% and 8%, respectively. The physi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test on the Dasik were performed. The flour and starch Dasik added to green tea powder showed lower moisture content compared to the non-added treatment, but the ash content was higher in the added Dasik. At the color test, Dasik of green tea powder showed lower L, a, and b value than the non-added treatment,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grea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green tea powder was increased.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had a tendency to show high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gumminess but brittleness was low in the non-added treatment. Therefore,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made Dasik texture more dense, and this tendency of texture was distinct at the flour Dasik compared to the starch Dasik. At the sensory test, surface color and green tea flavor were strong as the adding amount of green tea was increased, but sweetness was weak.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preference among 0%, 2% and 4% treatments, but the preference was greatly decreased from the above 6%. In conclusion, 4%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would be the useful method to enhance quality of Dasik, and the flour Dasik showed better result than the starch Dasik.
        4,000원
        13.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 of addition of green tea powder(0%, 2%, 4%, 6%, 8%) to Yackwa on quality and preservation. Addition of 4% green tea powder turned out to give positive effect on expansion. In test of physical characters,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had a tendency to lower hardness, cohesiveness, springness and gumminess but to enhance brittleness. Considering the rancidity of oil within Yackwa,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tended to show lower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than non-added treatment but its difference was slight. At the sensory test, surface color, bitterness and green tea flavor were strong but sweet and savory taste weak when green team powder was added(p<0.05). Overall quality appeared to have improved to 5.55 points which is compared to non-addition when the powder was added 4%(p<0.05). In conclusion, 4%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would be the usefull method to enhance preference and quality of Yackwa.
        4,000원
        14.
        2017.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new functional fermentation milk using green tea powder (GP), milk was fermented with direct vat set (DVS) starter culture containing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We investigate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ermented milk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5, 1, 2, 3%) of GP. All samples were evaluated for pH, total acidity, viable cell count, and sugar contents. The pH of all samples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the final pH ranged from 4.35 to 4.51. The acidit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fter the fermentation was completed, the titratable acidity was 0.8 to 1.1%. And viable cell count of all sample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the final viable cell count was 8.57 to 8.89 log CFU/mL. The sugar content de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and finally reached 12 to 13 ˚Brix. And increasing GP, decreased brightness and increased yellowness. Increasing GP concentration added to milk, improv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ion reducing activity of fermentation milk. The fermentation milk kept their pH, total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standard of fermentation milk during the storage period at 4℃.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the novel functional fermentation milk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milk added with GP.
        15.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등어의 지질산패에 미치는 녹차 및 연잎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와 2%의 농도의 녹차 및 연잎 열수추출물에 처리하여 28일간 냉장보관하면서 염장고등어의 품질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수분은 대조구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점점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처리구에서는 14일까지 감소하였으며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저장기간 동안 큰 변화는 없었다. 조지방의 경우 대조구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점차 증가하였으나 처리구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
        16.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과의 저장안전성 및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가루녹차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가루녹차 첨가 유과의 품질 및 저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루녹차 1, 2, 3% 첨가량에 따른 수분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조지방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루녹차 첨가 유과의 기공크기와 팽화율은 가루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
        17.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체 제조한 초고추장에 무첨가, 주정 3% 첨가, 녹차추출물 1, 3, 5% 첨가, 주정 1%와 녹차추출물 1% 그리고 주정 1%와 녹차추출물 2% 첨가한 시료를 각각 준비한 후 3주 동안 25, 에 저장하면서 총균수, pH, 산도, 당도, 관능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초고추장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먼저 초고추장의 우점균주를 동점하기 위하여 분리된 균주를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분리균주는 Bacillus amyloliquefa
        18.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개지역 4곳의 농가에서 재배한 재래종 녹차를 제다회사에서 녹차분말로 제다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C함량, 무기질 성분을 분석하였다. 녹차의 품질은 색차계로 녹차의 색도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녹차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은 , 조회분은 , 조지방 함량은 , 단백질 함량은 , 탄수화물은 를 차지하였다. 녹차분말의 총 비타민 C함량은 이었으며 산화형이 로서 비타민 C함량의 를 차지하였다. 녹차의 무기질 함량은 나트륨, 마그네슘, 칼
        19.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온에서 가루차를 일반포장, 일반포장+항산화제, 일반포장+방습제처리시 4개월 이후 품질관련 성분인 총질소, 총아미노산, 탄닌, 카페인, 엽록소, 지방산 함량이 상당히 저하되었으며, 일반포장 + 진공처리는 일반포장 저장에 비해 1개월 정도 저장기간의 연장이 가능하였다. 제품의 표면색상은 저온보관시 일반포장에서는 저장 1개월에 a값(녹색)이 -16.43에서 저장 5개월에는 정도 감소된 -10.11로 크게 감소되었다. 외관과 내질에 따른 관능평가시 저
        20.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0℃ N2 gas 3시간 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총질소, 총아미노산, 비타민 C 함량이 약간 높았고, 탄닌과 엽록소 함량은 낮은 경향이었다. 기능성 성분인 GABA 함량은 무처리 (35mg/100g)에 비해 51~205mg/100g으로 1.5~6배 높았다. 제다 품질은 무처리에 비해 3시간 gas 처리시 차이가 없었다. 20℃ N2 gas 3시간 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품질관련 성분 중 총질소, 총아미노산(데아닌), 카페인 함량은 많았고, 탄닌과 비타민 C 함량은 약간 낮았다. GABA함량은 무처리 (35mg/100g)에 비해 gas처리가 85~225mg/100g으로 2.5~7배 높았다. 제다 품질은 무처리 80.4점에 비해 gas 처리 76.3~78.1점으로 약간 저하되었다. 30℃ N2 3시간 처리시 무처리와 기호성 관련성분이 거의 차이가 없었고 1, 5시간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품질이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GABA 함량은 무처리 (30mg/100g)에 비해 gas처리가 115~217mg/100g으로 3~7배 증가하였다 제다품질도 무처리 80.4점에 비해 gas 처리가 74.3~77.2점으로 열악하였다. 따라서, 10℃에서는 5시간 gas처리, 20, 30℃에서는 3시간 gas 처리 후 제다를 하는 것이 기호성 및 기능성이 우수한 녹차(GABA차)를 제조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