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how the public perceives gendered language through conversations among women in their 20s in TV entertainment programs. Specifically, it challenged the notion that there is no distinct gendered language difference in conversations among women in their 20s as observed in the reality variety shows Bbyongbbyong Planet Arcade Season 2 on tvN and HyeMiri YECHEPA on ENA. Through a perception survey targeting 35 individuals aged 20 to 40 years, consisting of two discourse scenarios labeled Survey 1 and Survey 2, this study investigated public perceptions of conversational styles. Survey 1 presents conversations between women and men, while Survey 2 transcribes conversations between women. Consequently, while the language usage and conversational styles of women in their 20s are evolving, it is evident that the public still perceives gendered language differences as typical of male and female speech patterns.
        6,300원
        2.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ontline employees (hereinafter FLEs) act as boundary spanners, primary representatives, and intermediaries between consumers and service organizations. They are often directly responsible for service delivery and are the customers’ first impression of service organizations. Therefore, maximizing FLE performance is vital for service organizations. Leaders have been argued to play a critical role in fostering FLE performance for a variety of reasons, one of which is to achieve goal-related results. To achieve those results, they often feel a pressing need to discipline their subordinates’ actions. Consequently, leaders may take corrective measures that display controlling behaviors to press subordinates’ best performance. This type of leadership style is known as Authoritarian Leadership (hereinafter AL), which refers to leaders with paternal attributes who utilize absolute authority and control over their subordinates with the expectation of unquestionable obedience. The literature, however, has reported mixed findings of the performance benefits of AL.
        3.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비자가 경험재인 웹소설을 선택하는 상황에서 사실적 메시지와 평가적 메시지를 담은 온라인 리뷰를 보았을 때 더 유용하다고 판단하는 리뷰가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러한 유용성 평가의 차이에 대한 개인의 분석적 의사결정 성향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험재를 구매하기 전 객관적 정보를 수집하는 소비 자의 성향에 근거하여 웹소설의 소비자는 사실적인 온라인 리뷰의 유용성을 더 높이 평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 한 인지적 성향에 따라 구분되는 의사결정 유형 중 분석적 의사결정자는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논리적인 판단을 내린다. 따라서 분석적 의사결정 성향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사실적인 온라인 리뷰의 유용성 평가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사실적인 리뷰를 제시받은 집단이 평가적인 리뷰를 제시받은 집단보다 리뷰의 유용성을 높이 평가하였으며, 실제 웹소설 선택 상황과 유사하게 두 유형의 리뷰를 동시에 제시한 실험 2에서도 리뷰의 유용 성 평가에 대한 리뷰 메시지 유형의 주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 2에서는 분석적 의사결정 성향 수준이 높아짐 에 따라 사실적인 리뷰의 유용성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드러나 분석적 의사결정 성향 수준의 조절적 역할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경험재인 웹소설을 선택하는 상황에서 리뷰 메시지 유형 및 소비자의 분석적 의사결정 성향 수준 이 소비자의 리뷰 유용성 평가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웹소설 소비자의 행동 양식을 밝혔다는 이론 적,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4,600원
        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문인화는 조선시대 성리학의 영향으로 고고한 선비 의 남성적 문화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성리 학의 영향이 약화되고 문인에 대한 해석이 달라짐으로써 문인 화는 새롭게 정의되어야 하고 또한 여성적 성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적 관점에서 먼저 현대 한국문인화를 정의하고, 다음으로 동양의 전통적인 미학텍스트라 할 수 있는 사공도의 『이십사시품』의 ‘섬농’과 ‘기려’의 풍격을 기준으로 현대 한국 문인화의 여성적 풍격을 진단하였다. ‘섬농’의 풍격으로 문봉선의 <유수>와 홍석창의 <별꽃>을 분석하였고, ‘기려’의 풍격으로 이철규의 <상생>과 김순철의 <About wish>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원화되고 기호화된 현대사회에서 한국 문인화의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하나의 실마리 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동양에서 성행하였던 문인화는 문인의 정신을 일획성의 수묵 기법으로 표현하여 지금까지 우리의 미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철학과 예술이 결합된 문인화는 한국의 중요한 문화적 도구로 앞으로 한국미술을 대표할 수 있는 한 축을 담당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6,000원
        5.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도메니코 갈로(Domenico Gallo, 18세기 중엽 활동)의 트리오 소나타에 나오는 다양 한 양식을 연구한 글이다. 18세기는 음악이 빠르게 변하였던 시기였기 때문에 옛 양식과 새로운 양식을 구분하는 경향이 있었고, 일반적으로 이것을 학자 양식과 갈랑 양식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필자는 갈로의 곡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성 체계 역시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위해 레너드 라트너(Leonard Ratner)가 언급한 솔라 시스템과 폴라 시스템이 라는 관점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갈로의 트리오 소나타를 형식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하였 으며, 이들 중 순환 2부 형식, 단조로 된 2부 형식, 푸가 형식에 속하는 다섯 곡을 골라 개별 곡에 나타난 음악 양식의 특징들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로버트 여딩엔(Robert Gjerdingen)의 스키마 이론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갈로가 이 곡들에서 네 가지 양식들을 여러 방식으로 조합하고 있 음을 확인하였다.
        6,600원
        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ood literacy (FL) of children and mothers, and the maternal feeding style. Study subjects were mothers (n=400) with children in the 4th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who were the primary caregivers for their children (n=400). The responses to the Caregiver’s Feeding Styles Questionnaire (CFSQ) were obtained from mothers. Both mothers and children completed the questionnaire for socio-demographics, dietary habits, health status, and food literacy. The high demanding/high responsive feeding styl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meal frequency for both mothers and children. The low demanding/low responsive feeding styl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er mother’s FL after accounting for confounding factors. The low demanding feeding styles were associated with the child’s lower FL after adjustments for the age, sex, weight status of the child and the age,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of the mother. However, this association was not seen after making an additional adjustment for the mother’s F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regiver’s feeding style may affect the dietary habits and FL of both mother and child.
        4,000원
        9.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세기 전반 동안 일본의 우키요에에 독립된 풍경이란 주제가 등장하여 대표적 유형으로 정착하는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우키요에의 본격적 출발은 가쓰시카 호쿠사이(1760-1849)의 《후지산 36경》(1830-1832)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호쿠 사이가 고안한 우키요에의 특징들은 안도 히로시게로 계승되어 풍경을 서정적으로 묘사한 우키요에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호쿠사이의 《후지산 36경》에서 나타나는 서양화의 기법들은 물론, 일본화 특유의 특징들과 서양화 기법들을 조화시키는 특유의 수법들이 18세기 말부터 어떤 방식과 과정으로 발전해 왔는지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로써 네덜란드 상인과 가톨릭 예수회 선교사들과 나가사키 데지마의 상관을 통해 일본에 소개된 서적 속의 삽화들과 동판화를 통해 알게 된 서양화의 기법들을 모사하는 수준을 뛰어넘어서, 일본의 회화적 전통과 어우러지게 혼합시켜가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풍경 우키요에의 차이와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합적인 시점과 독특한 구도, 평면적이고 장식적인 자연 묘사로 19세기 후반 서구 미술가들에게 광범한 영향을 미쳤던 풍경 우키요에 양식이 일본화에 서양화 기법을 도입하고 조화시키는 과정에서 비롯된 토착화의 결과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6,000원
        10.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강의 동영상 학습에서 동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분량이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 형태대학교 교육학 전공 1학년 167명으로 이들에게 이미지 분량이 많은 동영상과 적은 동영상을 학습하게 한 후,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을 정보인지 유형과 정보입력 유형으로 구분하여 집단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미지 분량이 많은 동영상을 학습한 집단이 학습만 족도와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 분량과 정보인지 스타일 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이미지 분량이 많은 강의 동영상은 직관형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를 높였다. 셋째, 이미지 분량과 정보입력 스타일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800원
        1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람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사람의 뇌이다. 사람의 뇌가 어떻게 진화하고, 작동되는지를 알면 사람의 마음과 행동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의 뇌에서 생각하는 인지사고특성이 학습양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코칭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중학교 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AMOS 22.0을 이용하여 MSEM(다중집단 비교분석)등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인지사고 특성에 따라 학습양식과 코칭 리더십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코칭 리더십 유형에 따라 학습양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인지사고특성 중 추상적사고와 학습양식과의 관계에서 코칭 리더십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뇌과학이 강조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신경심리 기반 개인의 인지사고특성을 고려한 학습양식과 코칭 리더십의 연구는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개인의 인지사고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학습양식이 다르고, 코칭 리더십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고 있으므로 개인 인지사고특성을 고려한 학습방식과 코칭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5,500원
        1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 There is lack of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bag-carrying style on the shoulder muscles and body alignment in adults with rounded shoulder posture (RSP).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bag-carrying styles on muscle tone, muscle stiffness and spinal alignment in 20 adults with RSP as they were walking on a treadmill. Design : Crossover Study Design. Methods: A subject performed treadmill walking for 15 minutes at a speed of 4 ㎞/h while carrying three different types of bags: a backpack, a cross bag, and a shoulder bag.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timing was observed in the muscle tone for all the variables and in muscle stiffness only for the upper and lower trapezius muscles. As for the main effect of timing, the muscle tone of the upper trapezius and the pectoralis major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conditions, while the muscle tone of the lower trapeziu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conditions. The muscle stiffness of the upper trapeziu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conditions, while the muscle stiffness of the lower trapeziu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conditions. As for the spinal alignment, the dimple distance data values significantly decreased for the cross-bag style.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walking with a heavy bag, regardless of the bag-carrying style, increased muscle stiffness around the shoulders in adults with rounded shoulder posture, and walking with a crossbag also induced changes in spinal alignment.
        4,000원
        1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factors on the use of honorific language by discourse completion test. Participants complete a short discourse by filling in their responses in conversations that may occur in families, schools, and workplaces where the social status and solidarity of the listener is predetermined. Honorific styles of sentence endings of their responses are analyzed by the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tatus and solidarit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the use of honorific styles, but their effects are dependent on the discourse situation. The ratio of using honorific styles gradually increases as the formality of situation increases (i.e., family < school < workplace). Interestingly, when the solidarity is low at the workplace, the ratio of using honorific styles is consistently high regardless of the social status of the listen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Korean honorific styles is pragmatically changing according to the discourse situation.
        6,600원
        15.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ngthy surveys take more time and induce the use of undesired response styles. Response styles generate biases in responses, particularly in lengthy surveys (Baumgartner & Steenkamp, 2001). Response style is defined as tendency to systematically respond to questionnaire items regardless of item content (Baumgartner & Steenkamp, 2001). In practice, market research agencies prefer to use split questionnaires where questionnaires split into parts and each subset is administered to a randomly selected group of respondents (Raghunathan & Grizzle 1995). So far, split questionnaire design literature has been mainly investigated estimation and inference (Lord, 1962; Shoemaker, 1973; Merkouris, 2014; Chipperfield, Barr, & Steel, 2017), data imputation (Raghunathan & Grizzle, 1995; Rässler et al. 2002), and optimal designs (Thomas et al. 2006; Adıgüzel & Wedel 2008; Gonzalez & Eltinge, 2008; Chipperfield & Steel, 2009; Chipperfield & Steel, 2011). Despite split questionnaire is recommended to reduce undesired response styles, its relationship with response styles remains unclear. Two methods of optimal split questionnaire designs were proposed (Adıgüzel & Wedel, 2008): 1) Between-block design: To select entire blocks of questions, 2) Within-block design: To select sets of questions in each block. In this paper, we examine empirically how split designs lessen different type of response styles. Our findings indicate that split questionnaires reduce acquiescence balance, and disacquiescence relative to full questionnaires. The within-block split surveys reduce disacquiescence, acquiescence and balance, whereas the between-block ones did not. Stylistic responding is also influenced by questionnaire satisfaction, attitude, length and mood. Disacquiescence is negatively correlated to mood, questionnaire length and attitude. Midpoint is positively correlated to length, but negatively to questionnaire satisfaction, while acquiescence is opposite for both.
        16.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s propose that consumers’ shopping styles influence online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in online shopping. An empirical test of the models provide support for the majority of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consumers’ shopping on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in online shopping.
        4,600원
        17.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an irreplaceable important issue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development of the 21st century to establish a database, to recover the related memory, and even to extract big data from written texts in the Chinese characters cultural circle. Theories about the “transitional forms” and “intermediary graphs” of Chinese characters provide theoretical basis for the big data excavation of the written texts in Chinese characters cultural circle.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deconstructed twice during its long-time development history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Six Dynasties period. Experts tend to focus on the first time which is known as “libian” (transformation of the graphic shapes of the zhuanshu into clerical script forms) so there are lots of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it. Regard to the second time, as the cursive scripts prevailed, the components of a graph can be reorganized or distorted and some strokes’ order can change the direction in hand-writing process, making a new distinguishing mechanism to produce batches of “transitional forms”. A very few of the “transitional forms” were evolved into “fixed standard scripts”, and a bulk of them were conversely developed as “intermediary graphs” gradually. The first priority for establishing a database for the written texts in the Chinese characters cultural circle is to exclave massive amounts of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construction. It is imperative to collect and sort the ancient written letters which are of great value in Japan, Korea and China. This database acts as not only the foundation of the research on history of Chinese writing systems and new historical data, but also the “firsthand data” for revealing the rules of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behavior and intellectual inheritance of human being.
        10,100원
        18.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쳇 베이커의 시대별 보컬 스타일 변화에 관한 연구는 대중음악 논문 분야에서 잘 다뤄지지 않 은 관점이다. 이 연구에는 베이커가 활동했던 시기에 따른 보컬 스타일 변화를 도출하며 분석된 보컬 스타일을 통해 시대가 지남에 따라 드러나는 그의 보컬 스타일 특징을 선율 변주 기법으로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해 쳇 베이커의 생애 주기를 전기 후기로 나누고 한 곡이 전기 후기에 각각 다른 버전으로 녹음 되었던 두 곡을 선정한다. 선정된 곡은 리얼북을 원곡으로 선정하고 비교 분석하여 시대별로 비교 분석한다. 선정된 2곡에 나타난 시대별 특징을 서로 비교 하여 도출해낸 공통된 변화를 통해 시대에 따른 쳇 베이커의 변화된 보컬 스타일을 제시한다. 쳇 베이커의 시대별 스타일 변화 연구를 통해 후기로 가면서 음과 리듬의 변화가 더욱 확대된 것을 볼 수 있고 노래를 재해석하여 자신만의 가사를 추가해 개성을 더하였으며 그의 노래는 시 대가 지나면서 규칙성 있는 선율 변주로 발전되었음을 확인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4,000원
        1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Suyeon. 2017. “L2 Learners' Perception of STAD and its Relationship with Learning Styl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2), 73~10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operative learning, L2 learning, and learning styles. To that end, I utilized Slavin's 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s (STAD) and investigated how learners perceive the effect of STAD on second language (L2) learning and how the effect of STAD is associated with their learning styles. I implemented STAD in two college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during a semester, with 44 learners completing two questionnaires and six participating in interviews. Three key findings emerged: 1) L2 learners perceived STAD as being more useful than lecture-centered classes in improving their conversational skills, promoting more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and developing higher self-confidence and lower anxiety, 2) while avoidant learning styl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tudents' perceptio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sulted with the majority of learning styles, and 3) collaborative and independent learning styles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L2 students' perception of STAD than other learning styles. The results show that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L2 learners are scaffolded to improve conversational skills, and STAD accommodates diverse learning styles by giving learners equal opportunities for success. This study implies that L2 learning can be maximized when teachers employ a strategy that allows learners with different learning styles to participate.
        7,000원
        2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대가 급속히 변화함에 따라 남성의 라이프 스타일, 개성, 가치관 등이 다양하며 과거에 비해 남성복에 대한 기호도 변하였을 뿐만 아니라 또 남성복 시장이 증대되었고 전에 없던 새로운 스타일이 많이 등장하였으나 활발한 여성복 감성 연구와 달리 남성복의 스타일에 따른 감성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20대 남성들이 주로 착용하는 스타일을 7가지 대표 자극물로 선정하고 자극물로 제시하여 각 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조사하였다. 스타일 1 (정장), 스타일 2 (라이더재킷+스키니 팬츠), 스타일 3 (블루종+스트레이트 팬츠), 스타일 4 (박시한 가디건+하프 팬츠), 스타일 5 (야전상의+스트레이트 팬츠), 스타일 6 (루즈핏 재킷+스키니 팬츠), 스타일 7 (야구점퍼+스트레이트 팬츠) 등 남성복 스타일에 따른 감성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남성복에 대한 관심과 지식정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남성복의 선호와 실제착용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고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른 선호하는 스타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복은 다양하고 세분화되었고 남성복에 대한 관심과 지식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성복에 대한 감성은 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이는 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셋째, 20대가 가장 선호하는 선호스타일과 실제로 즐겨 입는 착장스타일 간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일치하는 비율은 66.1% 이었고, 불일치하는 경우는 33.9% 이였다. 선호도와 실제 착용도가 가장 높은 것은 스타일 3 이었으며, 가장 선호되지 않고 착용되지 않는 것은 스타일 5 이었다. 넷째, 내향적보다 외향적 라이프 스타일을 지닐수록 더 다양한 스타일에 대하여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