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95

        8666.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670.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흰목이버섯은 white jelly fungus 혹은 silver-ear로 불려지며, 세계적으로 40여종이 분포하고 있는 주요 식용버섯 중의 하나이다. 흰목이버섯은 비타민, 단백질, 광물질의 함량이 높은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며, 시장가격이 높고 식용가치 가 우수하여 중국에서는 극상품으로 취급되고 있다. 그리고 폐질환, 고혈압, 감기, 미용등에 효과가 좋으며 고대중국사람들 에게는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목이버섯 자실체의 식품학적 일반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효과 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흰목이버섯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흰목이버섯 자실체는 수분을 약 85.87% 함유 하고 있으며, 조회분 1.1%, 조지방 0.25%, 조섬유 0.19%, 조단백 1.29%, 탄수화물 1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흰목이버 섯 자실체에는Glu, Asp, Tyr, Lys, Ser 등의 11종의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Glu가 15.68%로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으로 나타났다. 흰목이버섯자실체 주요 성분의 항산화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ether, ethyl acetate, chloroform, 80% ethanol, water의 순으로 흰목이버섯 주요 성분을 추출하였다. 이때 추출의 수율(w/w)은 용매별로 각각 0.34%, 0.9%. 0.96%, 4.73%, 4.74%로 나타났다. 이 용매들로 추출된 성분의 항산화력을 DPPH 라디칼소거능 시험으로 조사시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용매로 추출한 성분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지 않았다.한편,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대장암세포인 DLD-1 세포주와 몇몇 함세포주에 대하여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lymphocyte mytogenic activity측정법을 통하여 면역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8672.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ar against Japanese(1592-1599) and war against Manchurian(1636-1637), which had been occurred in Korean Peninsula throughout the history, and frequent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since 18th century have led to a distribution of foreign food into Korea. Several examples for this include tomato, apple, watermelon, maize, pea, cowpea, peanut, potato from China and red pepper, pumpkin, and sweet potato from Japan. Since these foods had been brought into Korea, they have been cultivated suitable for Korea's climate and land. Foreign foods with a few exceptions tend to have high calories. For instance, along with potato and sweet potato, pumpkin is considered a high-calorie food containing lots of starches as it becomes ripening. This helped a wide spread of the foreign foods across the nation where intake of high-calorie foods was critical for Korean people's nutrition at that time. Among those foods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red pepper had a greatest impact on the dietary life-style of Chosun Dynasty. The use of red pepper has been greatly expanded from main ingredient to seasoning and garnishing in various forms of red pepper such as red pepper paste, red pepper powder, and thick soy paste mixed with red pepper. Red pepper was made eating habits is hot besides dye red colored to traditional food, because steaming and boiling is frequently cook method, fermentation food also food color is achromatic therefore food color is and mixture with red pepper, picked fish and chinese cabbage new kimchi culture came into being.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