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seiulus californicus (McGregor), which is 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 of spider mites, has been produced by some Korean natural enemy companies. Now, our project related to the biological control of spider mites by releasing N. californicus in apple orchards is going on. The field occurrence of this species in Korea was first reported in Jeju citrus orchards (Jung et al. 2006). However, the natural occurrence of the mite has not been recorded in Korean mainland so far. Therefore, it is questioned whether the released N. californicus population originated in Jeju can successfully overwinter in Korean mainland. First, to clarify the natural overwintering sites in field, we conducted field samplings in Jeju citrus orchards in Feb. 2008.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various possible overwintering habitats, such as citrus leaves and twigs, ground covers and windbreaks. Most of the mites were collected from ground cover samples. Next, to estimate of the winter mortality, the mite was individually put in small tubes which have some different food conditions, and the tubes were kept under the different ground surface conditions in the university experimental orchard in Dec. 2007. Most of the mites had died by late Jan. and all by early Mar. 2008. And also, to evaluate the field survival of the mite, in the spring 2008, sampling would be conducted in apple orchards in Cheongsong where we released the mites in 2007. From these data, we would discuss possible overwintering of N. californicus in Korea.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는 담배가루이와 총채벌레의 밀도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생물적 방제원으로서, 그 활용가치가 증가하고 있는 천적이다. 2007년 국내 도입된 후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생물적 특성은 명확히 구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온도별 발육 특성 연구를 통하여 대량생산 및 생물적 방제의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는 (주)나비스에서 분양받아, 설탕응애를 먹이로 하여 실내 사육 후 항온조건(15, 20, 25, 30, 35℃)에서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성비, 성충의 일평균산란수를 조사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를 추정하였다. 상대습도는 75% 내외, 광주기는 16L:8D로 고정하고, 조사는 12시간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육기간이 짧아지다가 35℃에서는 다시 증가하는 비선형 패턴을 보였다. 15℃에서 15.9±1.01일로 가장 길었고, 30℃에서 4.7±0.25일로 가장 짧았다. 15℃에서 30℃ 사이의 발육속도는 선형모델에 적합하였고(각각 r2>0.95), 발육영점온도는 유충이 8.6℃로 가장 낮고, 알이 12.8℃로 가장 높게 추정되었다. 성충까지의 유효적산온도는 7.7℃를 기준으로 123.9DD로 추정되었다. 성충의 성비는 암컷 비율이 0.65 (n=66)으로 나타나, 통상적인 포식성이리응애류의 암컷 비율과 비슷하였다. 조사한 일일 평균 산란수는 20℃에서 1.35±0.18, 25℃에서 1.64±0.99, 그리고 30℃에서 4.08±1.75, 35℃에서 0.70±0.47로 30℃에서 일일 산란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spersal of T.urticae and its predatory mite on connected strawberry leaves. The experiments were run on laboratory conditions, 24±1℃, 50-65% RH, and a photoperiod of 16:8 (L:D). The excised leaf disk (diameter 3cm) of two strawberry varieties- Maehyang, Seolhyang- were placed upside down on a water-saturated cotton pad in an aluminum pan (width x length 17.4 x 21.5cm). Twenty leaf disks were placed on each experimental set and the disks (width x length 4 x 5 ca) were 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dispersing of T. urticae and its predatory mite. There were six different experiment sets - two strawberry varieties and three treatments (no predatory mite, releasing Neoseiulus californicus, and releasing Phytoseiulus persimilis). The experiment sets were covered with plastic cage to protect from invading other insects and mite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examining two or three times per week and all life stages of T. urticae and predatory mite were reported until all leaves were occupied by mites. Repeated-measures data were analyzed by MANOVA. The average number of T.urticae per cm2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trawberry varieties in no predatory mite system (F=0.65, p>0.4195). Although the external structure of two strawberry varieties is very similar the dispersal rate of T. urticae was different between two strawberry varieties in all experiment sets. However, the number of T. urticae per cm2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df=1, F=1.28, p>0.2628). Within the same strawberry variety T.urticae populations among experiment sets were significant different (df=2, F=14.95, p<0.0001 Seolhyang, df=2, F=15.03, p<0.0001 Maehyang).
별늑대거미 암컷 체내 카드뮴양이 알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2007년 9월 도심지, 농경지, 폐광, 제련소지역의 7개 지역에서 알집을 달고 있는 별늑대거미 암컷성체를 채집하여, 알집내 알 크기와 암성체내 카드뮴 양을 측정하였다. 2007년 11월 별늑대거미 아성체 및 성체 암수 각각 50마리씩을 동일 장소에서 채집하여 1달간 개체사육을 한 후 교미시켰다. 카드뮴 처리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와 무처리 노랑초파리의 공급 비율을 달리하여 3일 간격으로 4마리씩 먹이로 제공하였다. 교미 후 생성된 알집 내 알 크기와 암성체내 카드뮴 양을 측정하였다. 체내 카드뮴 양과 알 크기 관계는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야외 개체의 별늑대거미 알 크기는 0.14-0.21mm3를 보였고, 체내 카드뮴양은 4-26mg/k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체내 카드뮴양이 많을수록 알 크기가 증가하였다 (r2=0.87). 실내실험에서는 실험조건별로 알 크기 및 체내 카드뮴 양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카드뮴 무처리 초파리를 먹인 별늑대거미 암컷의 체내 카드뮴 양은 4.72-19.52mg/kg 이었으며, 알 크기는 0.38-0.41mm3이었다. 카드뮴 무처리 초파리와 처리 초파리를 1:1의 비율로 먹인 별늑대거미 암컷 체내 카드뮴 양은 104.82-167.41mg/kg이었으며, 알의 크기는 0.46-0.48mm3를 보였다. 카드뮴 처리된 초파리만 먹인 별늑대거미 암컷 체내 카드뮴 양은 165.63-204.57mg/kg이었으며, 알 크기는 0.47-0.50mm3를 보였다. 체내 카드뮴 양이 많을수록 알 크기가 증가하였다 (r2=0.83).
The paternal sex ratio (PSR) chromosome is considered as an extremely selfish genetic element. It has only been found in the two hymenopteran insects- Nasonia and Trichogramma- with haplodiploid sex determination. When an egg is fertilized by sperm bearing PSR, the paternal genome is destroyed by PSR soon after fertilization resulting in haploid restoration and the egg develops into a male with only the maternal genome and PSR itself. Recently PSR is paid much attention, since it may be used for controlling haplodiploid pests.
PSR can be successfully transferred from its natural host, T. kaykai to the novel host, T. deion. In the two hosts another sex ratio distorter, Wolbachia, is found. Wolbachia is a cytoplasmically inherited bacterium that induces parthenogenesis in this genus resulting in female offspring production without fertilization.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PSR in T. deion is lower than that in T. kaykai and i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Wolbachia infection. The results show that 1) there is a negative host genetic background effect on the transmission of PSR in the novel host, 2) the transmission efficiency becomes even lower, when PSR males are infected with Wolbachia. The results imply that complex interactions among the bacterium, PSR and the species specific genetic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behavior of Bemisia tabaci B- and Q-biotypes using EPG technique against seven tomato and eight red pepper commercial varieties. EPG waveforms was recorded during three hours compare with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feeding behaviors between two biotypes such as total duration of non-probing times, the time taken until stylet activities changed after reaction, number of probes, and total duration of phloem phase. In comparing the effect of the varieties between the two biotypes, biotype Q showed the feeding behavior against all pepper varieties in the total duration of phloem feeding. Daeshin variety has the longest feeding time. However in total duration of phloem feeding, biotype B was observed in hanyeoreumbigarim and Daeshin varieties, but feeding time was very short. Biotype B was longer in total duration of non-probing, and showed lower number of probes, and total duration of probing phase. However, biotype Q was shorter time in total duration of non-probing phase than biotype B, but showed more aggressive probing and stylet pathway patter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type Q are more preferred the pepper host than biotype B. However, tomato varieties between the two biotypes did not show the difference.
Tsutsugamushi disease, caused by a rickettsial bacteria known as Oriental tsutsugamushi, is one of the most febrile illnesses occurring throughout Korea during fall. O.tsutsugamushi is transmitted by the bite of infected, immature mites of the genus Leptotrombidium. The mites have four-stage life cycles : egg, larva, nymph, and adult. The larva is the only stage that can transmit the disease to humans and other vertebrates, since the other life stages do not feed on the host. During the process of obtaining a blood meal, they may either acquire the infection from the host or transmit the rickettiae to the other rodents or humans. The model can be divided the life cycle of mite into 2 stages : Larva and Adult. And the larva stage can b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phase of activity : questing and feeding. Mites enter either the susceptible questing larvae or infectious questing larvae through birth. When the larva bites an infectious hosts, then the larva moves from the susceptible questing to the infectious feeding class with some probability. On the other hand, hosts also enter the susceptible class through birth. And when an infectious larva bites a susceptible host, then the host enters the infectious class with some probability. In this talk, we introduce our mathematical model for the tsutsugamushi disease, and show the existence and stability condition of the disease-free equilibrium, which is a kind of threshold for the tsutsugamushi disease transmission, and also define the basic reproduction ratio R0. And we discuss about R0 related to all parameters.
본 연구에서는 벼를 흡즙하는 벼멸구 (Nilaparvata lugens, 매미목)의 섭식행동을 EPG (Electrical Penetration Graph) 기법과 감로분비 여부, 식물조직 절편 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EPG 파형은 모양과 주파수에 따라 np, P, path, X, S, sPh, Ph 파형으로 구분하였는데, Ph파형에서 감로가 주기적으로 분비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여과지에 받은 감로는 닌히드린 시약에 발색반응을 보여 Ph파형이 벼멸구가 벼 체관부를 흡즙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추정되었다. 벼 조직 내 벼멸구 구침의 도달경로를 알기 위하여, EPG 파형을 보면서 상기 파형들이 나타날 때 벼멸구 구침을 레이저빔으로 절단하였다. 벼멸구 구침을 포함하고 있는 벼 조직을 TEM 시료로 제작한 후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X파형에서는 구침이 물관부 근처에, S와 sPh 파형에서는 체관부 근처에, Ph파형에서는 체관부에 도달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X파형은 벼 물관부 및 그 근처에 벼멸구가 구침을 찔러넣었을 때, Ph파형은 체관부를 흡즙할 때 나타나는 파형으로 분류되었다. 한편, S와 sPh파형은 항상 Ph파형 앞에 나타나는 파형으로 벼멸구가 체관부를 섭식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이며 세포벽 파괴 및 침 분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mong the cultured products of Beauveria bassiana SFB-205 (KCCM 10892P), the supernatant showed the highest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2nd instars of Aphis gossypii (Aphididae) nymphs under glasshouse condition. The enzymes in the supernatant were confirmed as active materials, and the chitinase was finally selected as a QC factor for commercial production. However, the chitinase activity in the supernatant decreased by 11-folds due to the thermal stress at 50℃ for 2 h. To obtain thermal stability, the chitinase in the supernatant was adsorbed to a precipitable material and the pellet was freeze-dried (PCT/KR2007/005886). The adsorbent-A showed about 92.7% of harvesting efficiency which was higher than the other candidates. The chitinase activity of the freeze-dried powder was kept up about 82.0% of initial activity for the same thermal stress. Subsequently, an optimal formulation recipe was established to maximize long-term storage stability and efficacy. SFB-205 oil-based formulation was stable up to 18 months at room temperature. It showed 96.1% efficacy against 2nd instars of A. gossypii nymphs at 1 day after the treatment in the glasshouse. This novel approach can be a promising method to develop competitive biopesticies in the entomopathogenic fungi, even though it needs to be intensively studied.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은 배추, 무, 양배추 등 45종 107과의 식물을 가해하는 광식성 해충이며 연 2회 발생하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등록된 적절한 약제나 천적이 없는 난방제해충이다. 이러한 도둑나방의 방제법을 개발하고자 도둑나방에 대하여 높은 병원성을 보이는 도둑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M. brassicae nucleopolyhedrovirus: MbNPV)를 국내에서 분리하고 바이러스 살충제의 개발을 위한 생물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기초 특성을 조사하였다. MbNPV-K1의 다각체는 직경 약 1.8㎛의 부정형이고, 하나의 envelope에 다수의 nucleocapsid가 존재하는 MNPV(Multiple nucleocapsid nucleopolyhedrovirus)형태였다. 다각체 단백질은 Autographa californica 다각체 단백질의 분자량과 동일한 약 31 kDa의 단일 단백질로 나타났으며, 그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확인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MbNPV와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였다. 살충력을 조사하기 위한 생물검정은 외국에서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는 MbNPV 살충제인 Mamestrin을 대조구로 하여 도둑나방 3령충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MbNPV-K1의 반수치사농도(LC50)는 3.9 X 103 PIBs/larva로, 6.0 X 104 PIBs/larva 인 Mamestrin 보다 15배 높은 병원성을 나타냈다. 또한 반수치사일수(LT50)도 MbNPV-K1은 4.4~6.1일, Mamestrin 은 4.1~8.6일로 나타났다.
침투성 살충제로 벼멸구 방제에 탁월한 방제 효과를 보이고 있는 Imidacloprid의 처리 약량에 따른 살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농과원 농업해충과에서 누대사육 중인 감수성 계통(약 30년 이상 누대사육)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Imidacloprid를 각각의 농도로 아세톤에 녹여 우화 후 3-5일 성충에 마리 당 0.2㎕를 처리하여 3일 후 사충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0.12ppm처리에서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100%까지 살충율을 보였다. 이는 처음 농도가 낮더라도 약제가 신경 전달을 억제하여 섭식을 저해함으로써 굶겨 죽이는 특성을 갖고 있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여겨진다. 이에 대한 분석을 약제의 특성인 침투 효과에서도 같은 결과가 예측되어 흡즙량, 농도, 사충율을 조사하여 방제 시 필요한 Imidacloprid 양을 조사한 결과 실제 방제에 필요량으로 추천된 약량보다 적은 양으로도 충분한 살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벼멸구의 Imidacloprid에 대한 저항성 발달은 약제 방제 시 약제의 필요량을 증가시키므로 저항성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저항성 기작이 함께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국 3개도 10개 지역 (제주도;성산,안덕, 강원도;횡성, 임계, 둔내, , 홍천, 횡계, 태백, 평창, 전북;무주)에서 배추좀나방 성충, 번데기, 유충 등을 채집, 실내 사육하여 증식한 후 8가지 살충제(추천농도, ppm) Bt(200), Spinosad(50), Emamectinbenzoate(160), Prothiofos (500), Chlorfenapyr(50), Thiodicarb(400), Pyridaryl(5), Indoxacarb(50)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지역 계통 간, 약제 간 매우 다른 감수성 저하 현상을 보였다. Prothiofos와 Thiodicarb는 많은 지역에서 감수성의 저하를 보이고 있으나, 그 외의 약제는 감수성 저하가 약효를 무력화하는 수준으로 일어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지역 계통의 배추좀나방이 약제에 대해 Bt의 경우 약 20배, Spinosad의 경우 200배까지의 감수성 저하를 보이고 있어 지역에 따라서 약제의 선호도와 사용량에 따라 감수성의 저하가 다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배추좀나방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인자가 선발, 축적되는 과정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살충제의 사용량이 증가하면 언제든지 살충제에 대한 배추좀나방의 감수성 저하가 일어나 약제에 의한 해충의 밀도 관리가 어렵게 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지역 계통 간 약제 반응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서에서 동으로 진행함에 따라 군집 형성이 분화되는 것으로 추측되나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약제 관리를 위한 약제 반응 유형 분석은 약제를 크게 3그룹(1;Chlorfenapyr, Pyridaryl, 2;Spinosad, Indoxacarb, 3;Emamectinbenzoate)으로 나누어 관리함이 저항성 관리에 효율적임을 나타낸다. 또한 살충제의 추천농도와 반수치사농도를 비교, 계수화(ln 추천농도/LC50)하여 그 값이 1미만; No effective, 1이상-2미만; a little effective(Use not recommended), 2이상-3미만; Effective(Carefully usable), 3이상; Very Effective(Use recommended)으로 분류, 이용을 제안하는 바이다.
김제시 만경읍에 위치한 5,000㎡ 규모의 토마토 유리 온실에서 담배가루이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리온실을 66개(11×6)의 구획으로 나누고 구획 별로 토마토 한 주를 임의로 선택한 다음, 각 결과소지 바로 위에 있는 우상복엽에서 한 잎을 절취하여 현미경을 이용하여 검경하였다. 선택된 잎은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번호를 부여하였다. 대체로 1번 잎은 신초 부위, 2번 잎은 한 개 이상의 꽃이 핀 결과소지의 바로 위쪽, 3번 잎은 꽃이 모두 만개하였거나 한 개 이상의 과실이 형성되기 시작한 결과소지 바로 위쪽에서 선택되었으며, 주당 평균 7개의 잎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8년 1월 초부터 4월 초까지이며, 1~2주 간격으로 총 10회에 걸친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기간 동안 담배가루이의 밀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기 때문에, 6회 조사 직후인 3월초에 스피로메시펜을 처리하여 방제하였다. 약제처리 직후 담배가루이 알의 밀도는 급격하게 감소하였지만, 약충의 밀도는 일시적인 증가추세를 유지하였다. 담배가루이의 토마토 주내 분포는 잘 분화된 층위구조를 보였는데, 알은 3번 잎에서 가장 많았고, 1령 약충은 4~5번 잎에서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 약충과 번데기ㆍ탈피각은 6~7번 잎에서 가장 많았다. 온실 전체의 담배가루이 밀도 분포 또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였는데, 조사를 시작할 때 담배가루이 밀도가 높았던 곳이 조사 종료시점까지도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한편 담배가루이는 이웃한 열로 확산되어 옮겨가기 보다는 같은 열의 작업경로를 따라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초피 수피의 모기 유충에 대한 살충활성을 3종의 모기 유충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 추출물은 토고숲모기(Ochlerotatus togoi), 에집트숲모기(Aedes aegypti) 그리고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3-4령 유충들에 대해 10 ppm 농도에서 100% 활성을 보였고, 5 ppm에서는 87%, 63% 그리고 21%의 활성을 나타냈다. 메탄올 추출물을 더욱 분획하여 얻은 헥산층과 클로로포름층이 이들 유충들에 대해 강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들 각 분획층들은 토고숲모기 유충들에 대해 2.5 ppm에서 95%와 47%의 살충력을 보였고, 5 ppm에서 에집트숲모기 유충들에 대해 87%와 63%의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빨간집모기 유충들에 대해서는 65%와 43%의 활성을 보였다. 생물검정에 근간한 활성물질 분리 방법에 따라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헥산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크로마토그라피법을 이용하여 초피 수피에 함유된 살충활성물질들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초피 수피에 함유된 모기 유충에 대한 살충물질은 리그난류들로 아사리닌(asarinin)과 세사민(sesamin)이었다. 아사리닌의 반수치사량(LC50)은 에집트숲모기 및 빨간집모기 유충들에 대해 8.5와 8.6 ppm이었고, 세사민 12.0과 7.1 ppm이었다. 현재 초피 수피에 함유된 이들 보다 활성이 우수한 또 다른 리그난류로 추정되는 활성물질들을 정제 중에 있다.
As suggested by Kawashima (2006), the most abundant Tetranychidae was Tetranychus sp. as a pest in persimmon orchards. The observatory orchards were selected 16 in total, 2 from Gurye, 2 from Gwangyang, and 2 from Suncheon in Jeonnam Province and 3 from Jinju, 4 from Sacheon, and 3 from Sancheong in Gyeongnam Province. Number of mites in 100 persimmon leaves were observed from each orchards nearly every ten days. Careful rearing of the mites sample collected from the four observaory persimmon fields at which the mite had occurred the most seriously among 16 fields and results from taxanomical identification process indicated that the species was identified Tetranychus urticae. Maximum number of T. urticae reached to 436 on 27 June at Jeongdong, Sacheon, 108 on 1 August at Sinann, Sancheong, 406 on 26 June Okgok, Gwangyang, and 509 on 15 June Muncheok, Gurye. When the number reached to more than 400 mites, the persimmon leaves changed from clear yellow dots, to pale yellow, and to grey in the backsid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trol T. urticae and to select highly active miticide in persimmon orchards in Jinju and Sacheon. Spiromesifen 20SC and acequinosyl 15 SC were effective.
Plant essential oils from twenty plant species were tested for their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larvae of Lycoriella ingenua using a fumigation bioassay. Good insecticidal activity (>90%) against larvae of L. ingenua was achieved with essential oils of caraway seed (Carum carvi), lemongrass (Cymbopogon citratus), mandarine (Citrus reticulate), nutmeg (Myristica fragrans), cade (Juniperus oxycedrus), spearmint (Mentha spicata), cumin (Cuminum cyminum) and thyme red (Thymus vulgaris) oils at 30×10-3 mg/㎖ air. Among them, caraway seed, spearmint, cumin and thyme red essential oils were highly effective against L. ingenua at 20×10-3 mg/㎖ air.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ed to identification of 4, 9, 8 and 17 compounds from caraway seed, spearmint, cumin and thyme red oils,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were tested individually for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larvae of L. ingenua, and compared to the toxicity of dichlorvos. Carvacrol, thymol, linalool, cuminaldehyde, p-cymen, terpinen-4-ol and carvone was effective at 10×10-3 mg/㎖.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dichlorvos was 60% at 10×10-3 mg/㎖. Effects of four selected plant essential oils on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were also investigated.
신나몬 속에서 추출한 식물체 정유 6종의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유충(J2)에 대한 살선충력을 9개 농도(ppm) 수준에서 24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실내검정 하였다. 그 결과 카시아오일류(cassia oils)에서 높은 살선충력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 가장 강한 활성을 보인 cassia oil의 구성 성분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이 오일에 함유된 주요 성분들은 (E)-cinnamaldehyde, benzaldehyde, α-terpenen, ρ-cymene, limonene, linalool, α-terpineol, cinnamyl alcohol, eugenol, salicylaldehyde, α-copaene, (E)-cinnamic acid, cinnamyl acetate, β-caryophyllene 등이었다. 각 성분들의 살선충력을 조사하였는데, (E)-cinnamaldehyde가 15 ppm과 10 ppm 농도에서도 99%와 57%의 살선충력을 보였다. 그래서 이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는 화합물들 42종을 대상으로 200, 100, 50, 25, 10 ppm 농도에서 구조에 따른 살선충력을 비교 검정하였는데, vinyl cinnamate와 (E)-methoxcycinnamaldehyde가 10 ppm에서 각각 83%와 44%의 살선충력을 나타냈다. 이는 살선충력을 갖는 화합물들이 기본 골격으로서 C6-C3를 필요로 하고 더불어 방향성을 갖는 알킨(alkene) 또는 알데하이드 그룹을 갖고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내실험을 통해 신나몬 속 식물체 정유들 또는 함유 화합물들이 토양 내 뿌리혹선충을 방제할 수 있는 잠재성이 매우 높은 식물군임을 확인하였다.
Commercial plant essential oils from 27 plant species were tested for their nematicidal activities against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Good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B. xylophilus was achieved with essential oils of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styrax (Liquidamber orientalis) and valerina (Valeriana wallichi).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ed to identification of 26, 10 and 4 major compounds from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styrax (Liquidamber orientalis) and valerina (Valeriana wallichi) oils,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from three plant essential oils were tested individually for their nematicidal activities against the pine wood nematode. Among compounds, benzaldehyde, trans-cinnamyl alcohol, cis-asarone, octanal, nonanal, decanal, trans-2-decenal, undecanal, dodecanal, decanol, and trans-2-decen-1-ol showed strong nematicidal activity. The essential oils and their described herein merit further study as potential nematicides against the pine wood nemat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