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3

        30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 조형예술은 시간이 갈수록 점차 속도와 범위가 확장되고,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생활문화에 조형미를 접목하는 흐름으로 이어져 여러 나라에서 자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의복은 세계 어느 나라이든 그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문화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의복에 적용된 우리의 전통문양에는 민족의 혼이 담긴 연원이 깃들어 있고 자연에 순응하며 섬세하고 고상하게 우리 전통의 아름다움을 내포하고 있다. 문화상품이 상업화되면서 의복의 상품화와 그 가치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문헌들을 참고하여 의복에 적용한 대표적인 전통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사례를 통해 검증하며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한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의복과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이 결합됐을 때 그 시너지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의복이란 상품을 통해 정체성을 바로 찾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 나라의 위상을 전 세계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충분한 매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의 고유문화나 전통성이 소멸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 심미성만을 목적에 두고 의복이라는 상품을 생산하는 것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신이 점차 소멸되어 가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현대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개성있고 창의적이며 누구든 공감할 수 있는 특별한 전통의복을 개발하여 그 뿌리를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 고유의 전통문양에 뚜렷한 상징과 정체성, 가치를 담아 재탄생된 의복은 한국 고유의 전통성을 잃지 않고 상품의 가치를 높에 만들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점점 장인이라는 전통 계승자들의 부재는 우리 민족의 혼을 사라지게 하는 하나의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산·학간의 협력을 통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우리의 전통을 이어갈 수 있는 젊은 인재의 양성에도 소홀하여서는 안된다. 이러한 젊은 인재들은 전통의상디자이너들과의 교류를 통해 우리 전통문양이라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창조하고 기능적인 형태와 색체, 그리고 전통문양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한국의 전통의복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302.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생력재배로 일시수확 및 관행재배로 생산한 녹두의 품질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력재배는 7월 23일에 파종하여 10월 28일 일시에 수확하였고, 관행재배는 6월 13일에 파종하여 8월 중순부터 3차례 손으로 수확하였다. 1. 종실의 전분, 조단백질, vitexin 및 isovitexin 함량은 재배방식과 수확기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종실의 조지방 함량은 생력재배, 관행재배 3차, 2차, 1차 수확한 종실 순으로 많았다. 2. 종실의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재배방식 및 수확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종류는 관행재배로 2차 수확한 종실에서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관행재배 3차나 생력재배로 일시에 수확한 종실은 12종으로 가장 적었다. 주요 포화지방산 중에서 palmitic acid와 arachidic acid는 관행재배 1차, 2차, 3차 및 생력재배 수확 순으로 높은 비율인 반면 stearic acid는 반대의 경향이었다. 주요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linoleic acid는 관행재배 1차, 2차, 3차 수확 및 생력재배 순으로 조성 비율이 높았다. 3. 종실의 아밀로그램 특성은 재배방식 및 수확기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관행재배로 1차에 수확한 종실은 호화개시온도, 최고점도, 최종점도, 최저점도 및 강하점도가, 관행재배 3차에 수확한 종실은 치반점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생력재배로 수확된 종실은 모든 아밀로그램 측정값이 현저하게 낮았다. 4. 녹두나물을 생산하고 나물의 수율과 색도 및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력재배로 생산한 녹두는 나물의 생산수율이 낮으나 색도와 아미노산 함량은 관행재배로 수확한 종실을 이용하여 생산한 나물과 비슷하였다.
        30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andidate materials as anti-inflammation agent from plant resources. Activities of 33 plant parts extracts with the final concentration of 5μg/ml were evaluated on the several inflammation-related markers such as the release of proinflammatoty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 interleukin-6 (IL-6)], nitric oxide (NO),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inhibitor of nuclear factor kappa-B alpha (Ik-Bα)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 264.7 cells. The extracts in the final concentration of 10 μg/ml were also screened on peroxynitrite (ONOO-) scavenging activity. Eleven extracts selected from the screening assay were verified on the inhibition activity on peroxynitrite and total reactive species oxygen (ROS) in the several concentrations. As results, Alpinia officinarum Hance (rhizome),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Regel (flower), Ulmus arvifolia Jacq (trunk peel) and Aster scaber Thunb. (aerial part) showed comparatively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vitro cells or chemical level systems, and then these four plant parts should be studied on the antiinflammatory mechanism by further studies.
        30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물용 녹두 신품종 '주현'은 금성녹두와 VC1834-4-B-2-B-3B-B를 인공교배하여 2009년에 육성되었다. '주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 협수는 26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8개 많고, 녹두나물 수율은 표준품종보다 18% 많다. '주현'은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수량은 1.84 MT/h
        305.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역에서 녹두 생력재배(whole crop feeding combine 수확)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종실품질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현녹두는 도복과 병해에 강하고 개체당 협수가 많아 수량성이 우수하여 생력재배에 적합하였다. 국내에 많이 보급된 어울녹두와 금성녹두는 병해에 약하거나 개체 당 협수가 적어 수량이 낮았다. 종실의 전분 함량은 삼강녹두, 조단백질 함량은 장안녹두와 남평녹두 및 금성녹두,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은 소현녹두에서 많았다. 그러나 조지방 함량은 품종 간 차이가 없었고, 불포화지방산이 51.8~57.2%, 포화지방산이 36.2~40.3% 차지하였다. 불포화지방산은 5종이 확인되었고 linoleic acid (36.1~38.6%), linolenic acid (10.3~14.7%), oleic acid (2.7~4.6%) 순으로 함량비가 높았다. 포화지방산은 7종이 확인되었고 palmitic acid (28.7~30.9%), stearic acid (2.9~4.1%), arachidic acid (1.5~3.7%) 순으로 함량비가 높았다. 종실의 amylogram 특성은 시험품종 간 큰 차이를 나타냈다. 호화개시온도는 남평 녹두에서 낮았고, 최고점도와 강화점도는 다현녹두에서 높았으며, 치반점도는 소현녹두, 남평녹두, 다현녹두에서 낮았다.
        30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멜론과 참외의 국내 소비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F1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멜론과 참외의 F1 품종의 순도를 검정하기 위해 포장재배 등의 순도검정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시간과 노력이 매우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분자마커를 이용한 순도검정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멜론의 EST 염기정보로부터 30개의 SNP 프라이머 조합을 고안하여 멜론과 참외의 순도 검정을 위한 HRM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멜론 두 품종과 참외 한 품종의 양친 사이에 HR
        30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diction of discharge is very important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plan.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discharge data of site at up and down stream in watershed. In order to forecast discharge the regression equations were developed by measuring flow data. Also, to forecast the change of water quality followed by change of inflow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inflow of the Youngchun site and the Chunhju dam was shown as very high. The forecast of inflow at the Chungju dam would be possible through flow analysis of the Youngchun site. And, it is possible to forecast water quality by flow analysis because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of SS and turbidity followed by change of flow for each station of investigation was very high.
        30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할미꽃 신품종 ‘겨비’는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2001년에 자생 할미꽃(Pulsatilla koreana) 종자를 화학적 돌연변이를 유발(sodium azide 3 mM/16 hr)하고, 2004년과 2005년에 특성검정을 통해 2005년에 육성되었다. ‘겨비’의 꽃은 적자색이고 약은 진노랑, 주두는 적자색이며 화형은 겹꽃으로 꽃잎이 12매이다. 주당 화경은 6.3개, 화경장과 엽장은 각각 26.4, 14.2 cm이고, 화폭과 포폭은 각각 7.5, 11
        309.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할미꽃 신품종 ‘연홍’은 P. davurica와 P. koreana를 종간교잡하여 2003년에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육성되었고 유전적으로 자가불화합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연홍’의 화색은 진분홍이고 약은 진노랑, 주두는 진분홍, 꽃잎은 6매이며 엽은 녹색이다. 한편 개화특성은 년 2회 개화성이다. 주당 화경은 26.5개, 화경장과 절화장은 각각 58.6 cm와 46.8 cm, 포의 폭은 11.5 cm, 엽장은 34.4 cm이다. 꽃과 포의 절화수명은
        310.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organic compost on the growth and root yield of Scutellaria baicalensis G. with organic cultivation from 2008 to 2009. Four organic compost were used ; Rice bran compost (RC : 1.1-3.6-1.4), Wheat bran compost (WC: 1.1-3.4-1.4), Hangawi compost (HC : 3.7-4.0-1.0), Cheonnyeonjigi compost (CC : 12.4-3.4-5.4) and Fermented chicken droppings compost (FC : 2.9-6.1-3.2).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and K2O of soil increased in all plots with the addition of organic compost, specifically in HC, CC and FC application. Treatment of HC, CC and FC application increased emergence rate and improved the growth characters of shoot, root parts of plants compared to those of RC application. Subterranean part yields by different organic compost was high 149~156 kg per 10a as by growth increment of dried root yield. length of main root and diameter of main root. respectively, 17.4~18.4 cm, 12.65~12.94 mm from HC, CC and FC applica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characters of shoot, root parts of plants, dry root yield in Scutellaria baicalensis G. grown under organic compost application.
        31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두는 여러 차례 개화와 성숙을 하기 때문에 100% 손 수확하고 저가의 수입산 및 소 면적 재배 등으로 인해 경쟁력이 매우 낮은 작물이다. 국내산 녹두의 경쟁력 확보 선결과제는 대 면적 생력재배로 판단되어 생력재배기술을 개발하였다. 남부지역에서 기계(범용콤바인) 일시수확을 위한 최적 파종기는 7월 20일로 수 량이 많고 기계수확이 가능하였다. 7월 15일 파종은 2회 수확해야 하므로 기계수확이 불가능하였고, 7월 25일 이후 파종은 수량이 급격이 떨어졌다. 생력재배(범용콤바인 수확)에 적합한 품종은 다현으로 수량(1.66톤/ha) 이 가장 많고 도복 및 병해에 강했다. 개발한 생력재배기술을 2007년과 2008년에 자체 실증한 결과, ha당 수량은 1.5톤 있었다. 2009년에 친환경(무농약 인증)재배기술과 패키지화하여 영농현장에 실증한 결과, 노동 력 74%와 생산비 47%가 절감되었고 ha 당 수확 및 탈곡시간은 2.5시간으로 관행(640시간)에 비해 99% 생력화 가 가능하였다.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17,893원으로 3.3배 높았고, 순수익은 10배 많았다. 생력재배한 9품종의 종실성분은 관행재배에 비해 전분과 조지방 함량이 많고, 조단백과 vitexin 및 isovitexin 함량은 비슷하였으며, 지방산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의 조성비는 높았고 linolenic acid와 stearic acid의 조성비는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여름 밭작물 중 가장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녹두가 생력재배에 가장 적합한 작물로 전환이 가능하고 호당 5ha 이상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보아졌다.
        312.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산물 저온저장고 내부의 온도분포 균일화를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3차원 CFD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CFD 시뮬레이션 모델은 속도벡터 및 온도분포 측정치와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온도분포 균일화 향상을 위한 적정 팬용량 및 적재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몇 가지 팬풍속 및 저장물과 벽체간의 거리 등에 대해 기류패턴과 온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CFD 시뮬레이션의 검증에서 속도벡터 분포는 PIV시스템에 의한 측정치와 비교했을 때 표준 k-모
        314.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rganic control of powdery mildews of cucumber by using mayonnaise in green house. The treatment of 0.1~2% mayonnaise resulted in 8.3%~99.2% control efficiencies against powdery mildew of cucumber. 0.5% mayonnaise treatment resulted control values over 97% in disease. It did not adversely affected the photosynthesis of foliages. Although one application of mayonnaise to the foliage was not practically effective enough, two or three application of mayonnaise to the foliage at the 0.5% concentration resulted in excellent control against powdery mildews. This treatment could provide protection for 10~14 days after application. Among the type of mayonnaise, general mayonnaise revealed 97.5% control value, but mayonnaise containing low oil content revealed 39.3%~97.5% control values on powdery mildews at the 0.5% concentration. Therefore, oil content in mayonnaise played a essential material to control powdery mildew. Results indicated that mayonnaise could be used as organic control of powdery mildews of cucumber. This control might be environmentfriendly as well as cost-effective.
        316.
        200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ydrochloric acid salt of a new N2O3 pentadentate ligand, N,N'-Bis(2-Hydroxybenzyl)-1,3-diamino-2-propanol(H-BHDP․2HCl) was synthesized. Br-BHDP․2HCl, Cl-BHDP․2HCl, CH3-BHDP․2HCl and CH3O- BHDP․2HCl having Br, Cl, CH3 and CH3O substituents at 5-position of the phenol group of H-BHDP․2HCl were also synthesized. The potentiometry study in aqueous solution revealed that the proton dissociations of the synthesized ligands occurred in four steps and their order of the calculated overall proton dissociation constants(logβp) was Br-BHDP〈 Cl-BHDP〈 H-BHDP〈 CH3O-BHDP〈 CH3-BHDP. The order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of Hammett substituent constants(δp). The order of the stability constants(logKML) was Co(Ⅱ)〈 Ni(Ⅱ)〈 Cu(Ⅱ)〈 Zn(Ⅱ)〈 Cd(Ⅱ)〈 Pb(Ⅱ). The order in their stability constants (logKML) of each transition metal complex agreed with that of the overall proton dissociation constants (logβp).
        317.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두는 생리적 특성과 재배지역의 기상조건 등에 따라 여러 번 수확해야한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6월에 파종하여 3~4 회 가량 수확하므로 녹두 재배면적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남부지역의 기상조건에 맞는 기계수확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남부지역에서 기계수확을 위한 최적 파종기는 7월 20일 경 이었다. 7월 15일 경에 파종하였을 때는 2회 수확해야 하므로 기계수확이 불가능하였다. 7월 25일 이후 파종하였을 때는 기계수확이 가능하였으나 성숙기간이 길어지고 수량이 적었다. 그러므로 한국에서는 남부지역 7월 20일 기준으로 중부지역은 이전에 남부해안지역은 이후에 파종하면 녹두 기계수확이 가능할 것으로 보아진다. 한국에 가장 많이 보급된 금성녹두와 어울녹두 중에 어울녹두가 기계수확 재배에 적합한 품종이었다. 즉 어울녹두는 금성녹두에 비해 경장이 길고 착협고가 높아 기계수확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수량이 많았다.
        318.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두 신품종 "다현"은 전남11호와 AV-1-3-34-2를 작물과 학원에서 인공교배하고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2006년에 육성되었다. "다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협수는 21.0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4.0개 많고, 경장은 57 cm, 천립중은 48 g, 나물수율은 표준품종보다 5% 많다. "다현"의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