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

        41.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als with architectural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society in Jichang district in North East China, focused on the articles of Manseon-ilbo published the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struction-related contents in the area closely connected with topical interest, publicity, and enlightenment as a local media source provide positive grounds about pending issues in colonial situations. This paper handles with articles issued in the 1940's newspapers just before the Pacific War. At that time Japanese enter in the Chinese continent, and construct a stable basis in the intimate association with Germany and Italy, countering against the United State. Among articles regarding architecture, most of contents are based on healthcare and public facilities, and urban planning. Overwhelmingly the most popular articles are about new constructio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residential matters. The shortage of goods and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resulted in urban and house problems, which were particularly much more serious in Korea society. Such social atmosphere made all activities regarding building constructions, in particular educational facilities, in civil level rather than the helps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us, through education and house matters we can read a slice of Korean society to survive in the colonial environment of Jichang district.
        4,200원
        43.
        2015.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사료의 重層性을 전제로 실직국의 복속 과정과 이에 대한 신라의 지배 형태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실직국의 복속을 전하는 󰡔삼국사기󰡕 신라본기 파사이사금 23년조는 󰡔삼국유사󰡕 왕력 지마이질금조와 저본을 달리해 작성되었다. 그 저본의 찬자는 실직국과 음즙 벌국 사이의 분쟁, 그리고 사로국의 중재에 대한 자료를 소재로 실직국의 항복 과정까지 하나의 사건으로 합쳐 정리했다. 파사대의 정복기사는 탈해대·지마대의 대외확장을 강조한 기사와 저본을 달리해 重層的으로 봉합되었다. 파사 23년조는 대외확장에서 파사이사금의 업적을 중시한 저본에 토대를 두었다. 왕력 지마이질금조는 신라본기 파사23년조보다 상대적 신뢰도가 높지만, 절대적 신뢰도를 담보하지 않는다. 실직국은 옥계, 하장, 원덕 일대를 지배했다고 전하는데, 실제 지배 범위는 변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동해시 송정동 일대에도 大邑落이 존재했을 것이다. 실직국은 동해안 교통로와 영서 방향 교통로의 결절지라는 입지조건, 동예와 진한의 중간적 위치 등을 기반으로 주변 邑落을 통제했고, 음즙벌국과 동해안의 교역로를 두고서 경쟁했다. 3세기 후반∼말경 동해안의 교역 에서 사로국이 금관국에 대해 우위를 보이면서 실직국은 사로국이 주도하는 교역에 협조하기 시작했다. 4세기 초중엽부터 사로국과 고구려의 교섭이 본격화하면서 실직국은 사로국에 복속했다. 실직국 干層은 공납을 바치고 기항지 이용권을 제공하는 대신, 읍락 간층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 실직국의 반란이 진압된 뒤에도 일부 간층은 자치권의 일부를 유지했다. 실직 지역은 何瑟羅城에 비해 방어기능이 약한 편이었다. 그런데 5세기 중엽부터 고구려가 남한강 상류 방면으로부터 압박해 오면서 悉直城의 據點城 기능은 강화되었고, 간층의 자치권은 약화되었다. 실직성 주변의 읍락들은 5 세기 후반경 村으로 편성되었다. 5세기 말 이후 신라는 거점성별로 전략적 기능과 옛 소국에 대한 지배기능을 조정했다. 이 과정에서 실직성이 다수 거점성에 대한 관리 기능을 부여받아 505년에 悉直州가 설치되었다. 6세기 초까지 유력 간층을 대상으로 복수의 干群 外位와 非干 외위가 편성되었다. 간군 외위자는 비간 외위 자의 보위와 非외위자의 협조로 道使의 통치에 협조했다. 그런데 512년 何瑟羅州 설치, 524년 이전 실직주 재설치 등에 따라 외위의 운영은 변화했을 것이다.
        10,700원
        44.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obal luxury jewelry brands had begun to launch their direct businesses in Korea since the 1990s, and have attained fast growth by holding events reflecting their philosoph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ir growth by examining the types and roles of events in Korea held by luxury jewelry brand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performed about domestic events of Tiffany & Co., Cartier, Bvlgari, Chaumet, and Van Cleef & Arples during the period from 1990 to 2013. Also, theoretical study was re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vent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jewelry exhibitions, jewelry shows, wedding fairs, and hybrids. The roles of such events were, first, the artification of products and, second, the contemporization of tradit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luxury jewelry brands transmitted new emotions and values to their customers through their events in Korea, and extended their influence continuously over the Korean high-end jewelry market.
        4,200원
        4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1894년 갑오농민혁명 이후 무금(巫禁) 정책의 시행을 주목하고, 당시 신문에서 지적한 무속의 폐 단 사유를 밝히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이글에서 밝힌 바는 다음과 같다. 무금의 시행은 1895년 3월 10일 시작되었다는 점, 금지내용은 내무아문의 제반규례에 포함되어있다는 점 등이다. 언론에서 제기한 무속의 폐단 사유는 네 가지 주제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는 무사(巫事)가 ‘불법’이라는 점, 둘째는 ‘치료’와 연관된 모든 무사 행위가 의료적 폐단이라는 점, 셋 째는 무사에 드는 ‘비용’이 경제적인 폐단이라는 점, 넷째는 무사행위가 종교적 폐단을 낳는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이글은 그 당시 신문을 통해 무금의 과정을 파악했고, 언론이 무속에 대한 국민적 비판여론을 형성시켰음을 밝혔다.
        5,700원
        46.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ages and functions of quotation sentences and quotation verbs in newspaper texts. The newspaper quotes have the functions of factuality, neutrality, expressiveness, expert contribution, and personal involvement. If we analyze usages of quotation verbs, we can explain the functions of quotation sentences in newspaper texts. The corpus for the study consisted of newspaper texts from '21st Century Sejong Project' corpus. It comprises around 250,000 words in newspaper reports and around 250,000 words in newspaper editorial articles. I analyzed the quotation sentences and measured the ratio of frequency of quotation verbs. The results show that the citations of statement are more than the citations of thought in newspaper reports. But the citations of thought are comparatively frequent in newspaper editorial articles. From this we may know that journalists cite other's statements mostly in newspaper reports. But editors cite their thoughts and assertions in newspaper articles more than in newspaper reports. Using the quotation sentences in reports, the journalists express that cited statements are objective and authentic. And using the quotation sentences in editorial articles, the editors show foundation for their assertion. And '-다고 하-' in articles has function of periphrasis for declining to assert.
        6,400원
        4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oldest board games in the world is the game of Go which is originated at least more than 2,500 years ago. In spite of its long history, the theoretical studies concerning to Go openings are still insufficient. We firstly used related-samples t-test using SPSS to the three countries' Go mean openings t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959) between Korean and Chinese mean openings, but meanwhile, there are just some slight similarities (p=.061)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ean openings. We secondly applied PCA and LDA classifiers with Euclidean distance to correctly classify a pro player's opening into his/her class obtained from the training openings. Result shows that the recognition rate (42.1%) of dependent LDA classifier is much better than that (27.9%) of PCA classifier; and also that dependent LDA classifier outperforms independent LDA classifier with the recognition rate of 35.0% .
        4,000원
        48.
        201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도 독도는 6세기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 시기부터 고려, 조선을 거쳐 대한 제국기인 1905년까지 강원도 관할 하에 있었다. 강원도 지역민들은 고대 때부터 육안으로 '울릉도 독도'를 바라보며 '우산국' '무릉도 우산도'라 불러온 같은 생활 권역에 있다. 일제 침략과정에서 울릉도 독도와 지리적, 역사적, 생활문화적으로 연속선상에 있던 강원도를 배제하고 부산, 포항으로 해상교통 거점을 의도적으로 바꾸면서 행정의 연속성을 흔들어놓았다. 1906년 행정구역 편제로 강원도 관할에서 경상남도로 이관되었으며, 1914년엔 경상북도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울릉도 독도가 타 시도로 이관된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교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고 인식되었는지 1920~30년대 신문 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1920~30년대 󰡔동아일보󰡕에 실린 울릉도 관련 기사 164건을 대상으로 강원도 부분이 어떻게 서술되어 있는지 분석한 결과 행정 및 민원 관련 기사는 강원도와 무관하였으나 실생활과 역사성을 다룬 기사에서 서술되고 있었다. 첫 번째는 울릉도 입도 과정, 해상 조난 등 사건 사고, 태풍과 같은 기상, 경제 활동 등 실생활과 밀접한 뉴스에 나타나고 있다. 1920~30년대 경상도 부산항이나 포항항, 함경도 원산항에서 울릉도를 입출항할 때 강원도 울진 앞 바다까지 북상 내지 남하하여 동쪽으로 선회하고 있어 최단거리 항구인 울진 죽변항이나 삼척 임원항은 여전히 중요 항구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는 역사, 전설을 다룬 기사에서 강원도 관련 내용이 풍부하게 서술되고 있다. 울릉도 역사 서술의 첫머리에 하슬라군주 이사부 활약 및 고려 때 강원인의 이주 시도, 삼척영장과 월송만호 수토, 개척령 시기 강원인 이주 등 강원도 역사와 중첩돼 환기되고 있다. 울릉도 태하리 성하신당 전설은 강원도 수토사를 수행 해왔다가 풍랑으로 익사한 강원도 하급관리의 희생을 기리는 공간이었으나 이후 울릉도사람들의 무사안전을 기원하는 신앙처로 윤색되어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릉도가 강원도 행정관할에서 타도로 이관되면서 각종교류도 위축되었으나 1920~30년대 울릉도 관련 신문기사를 통해 실생활 차원의 교류는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역사성도 언론을 통해 수시로 환기되고 기억되고 있다. 현재 강원도는 울릉도 독도와 행정구역을 달리하고 있지만 최근 인적교류가 가장 활발한 곳으로 위치를 다시 점하며 교류거점으로 재부상되는 역사성이 발휘되고 있다.
        7,000원
        4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 history of the game of Go is more than 2,500 years, the theoretical studies of Go are still insufficient. In recent years a lot of stud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t (AI) have been conducted, but they do not provide the prominent theoretical reality. We applied tradition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lgorithm to the Go openings, which are the early stage in Go, to analyze them especially focused on the Go game records of the Korean top 10 professional Go players. We firstly analyzed the number of most significant eigenvectors capturing most of varianc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among the 361 eigenvectors the eight most significant eigenvectors capture most of the variance (96.2%). We secondly used PCA classifier with Euclidean distance to recognize a pro player's opening to a class obtained from the training openings. Result shows that the best average recognition rate of 22% is so much lower than the recognition rates reported in face recognition research.
        4,000원
        5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대적인 흐름에 따른 경관인식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과거 신문에 나타난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1920년대부터 1999년까지의 동아일보,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겨레신문 등의 기사를 연구 대상으로 경관관련 기사를 검색하였으며 이를 시대별로 흐름을 살펴보는 방식을 취하였다.1920년부터 1945년까지 경관이라는 용어는 주로 아름다운 자연경치라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당시 동경의대상이었던 외국의 근대적인 도시 모습을 지칭하는 개념으로도 사용되었다. 1946년부터 1960년까지는 독립과 한국전쟁을경험한 시기로 국가재건과 같은 이슈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떨어졌던 시기였다. 1960년대에는새로운 국토건설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성장하는 도시, 국토의 발전 등의 의미로 경관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었으며 동시에 개발에 따른 자연 훼손을 우려하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1970년대에는 고속도로건설과 새마을운동이라는 개발위주의 정책과 함께 다양한 대상에 대한 경관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80년대에는 아시안게임과 서울올림픽준비로 대대적인 경관정비가 진행되어 이를 계기로 경관관련 계획과 제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1990년대에는 경제수준향상으로 각종 경관관련 제도가 본격적인 틀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경관심의가 강화되고 각종 경관계획이 수립되었다.
        4,200원
        51.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미디어와 정보 수용자는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되었고, 휴대용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정보의 특성이나 정보가 전달되는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정보 수용자가 정보에 대해 가지는 신뢰도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이유로 미디어와 정보의 신뢰도와의 관계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신문, 방송, 온라인 뉴스 매체의 신뢰도를 비교하는데 그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쌍방향성의 특징이 있는 미디어 기기간의 신뢰도 비교연구는 드문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화면 크기의 차이에 따른 미디어 기기별 사용성의 차이를 가정하여,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세 가지 기기(PC, 태블릿 PC, 스마트폰)가 기사정보 내용을 전달할 때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디어 기기의 화면 크기에 따른 기사정보 내용의 신뢰도가 보도기사, 의견기사, 피처기사 등 기사의 종류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즉 미디어 기기의 특성에 대한 정보 수용자의 감정이나 이미지, 신뢰도 등이 그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에도 투영되어 상호작용하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미디어 기기의 화면 크기와 같은 사용성 차이 발생 요소들이 미디어 콘텐츠 개발에 중요한 요소로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5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gistics company strives for satisfaction of customer service. the internal clients of corporation, the engineers of driver enhance their thinking about customer orientation by education of important about customer services. the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result which analyzed the important fact of enhancing customer orientation strategy by AHP show an ability of dealing with customer improves customer orientation strategy. because the desire of customer is various, it is difficult to have standard of dealing thought, the program of improvement of dealing ability should be developed and trained to improve customer orientation.
        4,000원
        54.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에서는 최신뉴스 부당이용 법리를 채택하여 뉴스기사를 재산권에 준하여 보호하는 판례가 나온바 있고, 이러한 판례법리가 사회적 관행으로 정착되어 이에 따라 뉴스기사의 활용과 관련한 분쟁을 해결하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뉴스를 제공하는 검색엔진 사이트는 실제 뉴스기사를 작성하는 주체와는 구별되어 있으므로 추후에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은 상당히 높은데, 체계적인 법리는 마련되어 있지 않아 문제된다. 먼저 우리 저작권법 적용 여부를 살펴보면 현재 일반적인 뉴스기사 활용방식인 링크나 프레이밍은 열거된 저작권 침해 태양에 해당하지 않아 적용이 어렵다. 다만 링크와 달리 프레이밍은 부정경쟁행위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상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여 이에 기하여 손해배상청구권이 성립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무단 링크 행위 역시 프레이밍에 비하여 가능성이 낮기는 하지만 민법상 불법행위 법리 등에 의하여 뉴스제공 업체가 구제 받을 여지를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법률조항이나 판례에서 명시적으로 정하고 있는 것은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은 해석 또한 주관적인 견해에 불과하다. 위와 같이 확립된 법리 없이 예측만 가능한 상황에서 분쟁이 발생하여 그 때 그 때 개별적인 해결기준을 도출해 내야 한다는 점은 사회 전체적으로 보아서는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 부분에 관하여는 입법이나 판례를 통하여 속히 해결기준이 어느 정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55.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 잡지가 과학자와 일반인 사이의 접점 역할을 수행하며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제를 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에서 찾기 위하여 과학 동아에 수록된 지구과학 관련 기사 12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레지스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기자가 쓴 글은 과학자의 사유와 대화를 표현하는 인식적 술어와 발화적 술어의 비율이 높았다. 2) 기자의 글에는 문장의 주체가 사람으로 드러나는 비율이 높지만 과학자의 글에는 사람은 거의 드러나지 않으며 주체가 생략된 경우도 많았다. 3) 과학자의 글은 대부분 평서형 서법을 사용하지만, 기자가 쓴 글에서는 의문형과 청유형 서법, 생략 등의 비평서형 문장이 많았다. 4) 문장 속에 포함된 절의 밀도는 기자의 글이나 과학자의 글 모두 비슷하였다. 5) 정보의 구조 또한, 기자의 글은 단순한 정보의 발전 형태를 띠었고, 과학자의 글은 그에 비해 다소 복잡한 정보 구조를 나타내었다. 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징을 통해 과학 잡지는 기자의 글을 통해 어려운 과학 내용을 쉽고 친숙한 텍스트로 제시함으로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과학자가 쓴 순화된 과학 텍스트를 통해 일반인들을 과학의 언어라는 과학의 문화에 친숙하게 함으로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하게 됨을 밝혀 내었다.
        4,300원
        56.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hanges in food consumption during the 1950's on the basis of articles that reflected national policy and changes in society during that time period. Many factors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changes in food consumption culture, and these factors can affect each other. As a result, the proces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food consumption culture acts as a living system. This study evaluated the food consumption culture during the 1950's because this period was subjected to obvious influences that may explain the modern food consumption market logic and commercialism. Changes in the national food consumption are dependent on natural changes such as income enlargement or cultural exchange with a foreign country. Accordingly, food consumption during the 1950's was influenced by changes in economical, social, and political needs. In addition, the influx of surplus agricultural products from the United States had an adverse effect on local agriculture and resulted in an increased external dependence on food during the 1950s. Moreover, the import of raw materials and simple manufacturing techniques led to the development of an industrial food processing industry that enabled accelerated mass production of food at a low-price. Furthermore, the importation of surplus agricultural products from the United States that were used as the raw materials for foods that had traditionally been produced domestically led to an increased burden and qualitative decline in the local food-service industry.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uring the 1950's fresh food began to be replaced with processed foods in Korea.
        4,500원
        5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ticles of food and nutrition published in the Yeo-Sung magazines from 1936 to 1940 in Korea. Out of the 67 articles about the food and the nutrition from the Yeo-Sung magazines, 28 (41.8%) of them were about the brief information of food and nutrition news, 16 (23.8%) of them were about the recipes, 6 (9.0%) were about the nutrition information, and 17 (25.4%) of them were about others. As the number of recipes mentioned from the Yeo-Sung magazine was 103, 77 items, the majority, were about the Korean foods, 18 of the Western foods, 6 of Chinese foods, and only 2 of Japanese foods. This result showed that the Japanese colonization didn't seem to influence on Korean tastes and gastronomy. During this period, the modernization caused the numerous changes to our traditional cuisine with introduction of new western menu items and concept of nutrition. The nutrition articles highly recommended eating brown rice, vegetables, tofu, and the white meat. Shin-Young Bang, one of the main authors, insisted that "Cookery is not only the skill, but also the one of the very important academic sciences." showed budding modern cookery sciences in Korea.
        4,300원
        59.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mericans' perception on Korean food by analyzing the articles of the New York Times which is the best quality newspaper in America. The number of article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food were 111 from 1980 to 2005. The average yearly articles was 1.3 form 1980 to 1989, 4.1 from 1990 to 1999, and 9.5 from 2000 to 2005. A large number of articles(54.1%) concerning Korean foods were restaurant reviews based on the experiences in dining at Korean restaurant in America. Main authors of restaurant reviews were Eric Asimo(14), Florence Fabricant(11), and Mark Bittman(8). The kinds of Korean foods reported in the New York Times were 111 which included staple food(21), subsidiary food(82) dessert(4) and Japanese Food(4). There were 15 recipes on Korean food reported in the New York Times including 3 items on Kimchi and 3 items on Bulgogi. The New York Times said Kimchi, Buigogi, Galbi, Pajeon, and Bibimbop were popular among Americans. The New York Times described Korean foods as exhilarating, robust, bold, rustic, healthful, incendiary, assertive, lusty, and exuberant. There were many favorable comments on Korean foods in the New York Times.
        4,000원
        60.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ntended to help children to cultivate and develop a sound attitude toward food consumption and eating habits through the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al information in news articles and advertisements in three major daily children's newspapers in Korea: The Chosen Children's Daily Newspaper, The Hankook Children's Daily Newspaper, and The Donga Children's Daily Newspaper. The monitoring period was for twelve months, January to December 2003. Two hundred seventy-nine articles and three hundred thirty-five advertisem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oking and health' were the most frequent subject in food and nutrition articles. The articles' contents are evaluated positively in morality and explanation; but negatively in fairness, specialization, and objectiveness. The articles were insufficient in the explanation of professional terms, scientific bases, and practical measures for real life. It therefore seems that they were difficult for children to understand well. The most frequent themes in the advertisements were 'processed fats and sugars' such as chocolate, candies, and cookies. Frequently, they were exaggerated and accompanied by phrases promoting consumption. They did not provide sufficient well-grounded information, and focused too much on events or gifts to instigate consumer sentiment. In conclusion,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at most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in these children's newspapers was lacking in specialization. More specialized and objective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enhance the educational value of children's newspapers and their utilization in school education programs. Continuous monitoring should be carried out to discover those news articles and advertisements that contain correct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