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9

        181.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리활성물질 처리가 priming 고추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ASM 0.1 mM 처리에서는 치상후 7일째 98%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T50은 0.96일이였다. 그러나 ASM 0.5 mM 처리에서는 17%의 낮은 발아율을 보여 발아가 억제되었다. INA 0.01 mM 처리에서는 치상 후 2일째에 90%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지만, 0.1 mM 처리에서는 치상 후 5일째에 90%의 발아율을 보였다. T50은 INA 0.01과 0.1 mM 처리에서 각각 0.65와 6.03일로 나타났다. BABA와 JA 처리는 priming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000원
        18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otal polyphenol content(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TFC) of extracts from Korean cabbage and cabbage using a spectrophotometric method as well as glucosinolates concentration by HPLC. TPCs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extracts were 308.48 ㎍ GAE/g dry weight and 344.75 ㎍ GAE/g dry weight, respectively. TFCs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extracts were 5.33 ㎍ QE/g dry weight and 5.95 ㎍ QE/g dry weight, respectively. We found six different glucosinolates, namely progoitrin, glucoalyssin,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glucobrassicin and 4- methoxyglucobrassicin in the Korean cabbage extract. In the cabbage extract, there was four glucosinolates, namely glucoraphanin, sinigrin, glucobrassicin and 4-methoxyglucobrassicin. We determined the cytotoxic effect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extracts in AGS human stomach cancer cells, HepG2 human hepatic cancer cells and LNCaP human prostate cancer cells by MTT assay. Dose-depende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extract concentrations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The overall results support that both Korean cabbage and cabbage, the major vegetables in Korea, contain bioactive compounds such as polypheol, flavonoids as well as glucosinolates and they may play a positive role in cancer prevention.
        4,000원
        183.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공재배 복령의 미백 및 피부노화 개선관련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in vitro test 결과를 각각의 효능과 관련된 표준물질과 비교하여 총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SOD 유사활성,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복령추출물의 농도별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인 BHAC와 비교하여 복령 추출물의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작으나 백복령 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BHAC를 대조군으로하여 복령 추출물에 대하여 농도별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복령 추출물이 대조군 보다 높고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인 BHAC와 복령 추출물에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보다 0.6~1.8% 이상의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령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D 유사활성은 대조군인 BHAC에서의 활성에 비하여 복령 추출물이 18~11 %가량 감소하는 활성도가 나타났다. 복령 추출물 자체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BHAC와 거의 유사한 수준의 SOD유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활성산소를 저해하여 노화방지에 탁월한 소재라고 판단된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복령 추출물에서 1, 3 및 5 %의 농도에서 tyrosinase 저해활성은 57.33, 65.95 및 66.81%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지만, 그 효능이 BHAC에 미치지 못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는 1, 3, 5% 에서 대조군으로 사용된 BHAC에서 75.53, 78.72, 88.30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하여 활성이 낮지만 복령 추출물의 경우에는 63.83, 67.02, 70.21로 나타났다. 그러나 합성 항산화제인 BHAC에 비교하여 활성이 비슷한 수준으로 천연물로서는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피부탄력성 유지를 위한 우수한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84.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cai berry (Euterpe oleracea Mart.) extracts from three different solvents (water, methanol, and ethanol). We measured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metal chelating effect, and reducing power. The extraction yield from water, methanol, and ethanol was 17.10, 9.50, and 37.51%,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10.54 mg/100 g)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1.88 mg/100 g) was observed in water extrac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both water extract (72.03%) and methanol extract (74.79%) at levels of 5 mg/mL,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BHT (78.90%). Water extract yielded the highest metal chelating effect (92.54%) and reducing power (1.09) at levels of 5 mg/mL.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tracts of acai berry can be used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with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4,000원
        18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ioactive compounds of soybean snacks and to carry out a sensory evaluation of those variations which had various seasoning mixing ratio. Five soybean snacks were developed for these experiments. Proximate composition, the contents of total phenol compounds and isoflavon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oybean snacks were measur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ounts of isoflavones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soybean snacks(p<0.05). The seasoned soybean snacks had a higher level of daidzein and genistein contents than did control group. The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s of the control group was 210.3 ㎎ gallic acid equivalents/100 g, whereas those for individual soybean snacks(A~E) were 152.3, 160.2, 162.4, 158.4 and 164.6 ㎎ gallic acid equivalents/100 g, respectively. In sensory evalu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oybean snacks.
        4,000원
        186.
        2011.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능성 제품 개발 잠재력이 큰 상황균사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배양체 소재별 상황버섯 균사체의 배양 최적조건 확보, 식품 제형개발, 안정적 생산기반 구축을 위한 배양 생산기술 매뉴얼 개발, 생리활성 평가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생리활성 평가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한 배양미는 적미, 흑미, 백미를 수세한 후 4시간 동안 수침 하고 30분간 물을 뺀 각 곡물을 배양 봉지에 600 g 씩 넣은 후, 121℃에서 15분간 멸균 하였다. 멸균된 곡물을 방냉한 후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에서 보존중인 상황(Phellinus baumii) 균사체를 곡물의 표면에 접종하여 배양기의 온도를 24℃, 26℃, 28℃, 30℃, 32℃, 34℃, 36℃ 및 38℃로 달리 조절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상황 균사체 배양미를 동결건조 시킨 후 분쇄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항산화 실험결과 폴리페놀 함량은 적토미가 가장 높았으며, 배양미 별로는 적토미, 흑미, 백 미 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원료로 사용한 쌀품종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DPPH 소거능 측정결과 상황백미의 경우 물추출물에서는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에탄올추출물에서는 양성 대조물질들과 같은 수준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상황적토미 물추출물에서는 28℃, 30℃에서 배양한 시료에서 각각73.48%, 75.48%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에탄올추출물의 결과에서는 배양 온도와 상관없이 모든 시료에서 양성 대조물질과 비슷한 수준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상황흑미의 결과를 보면 물추출물에서는 28℃, 32℃, 36℃에서 각각 76.14%, 73.73%, 79.09%로 양성대조물질의 결과와 비슷한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24∼36℃에 걸쳐 모든 배양 온도에 관계없이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나타냈다. 추출물의 경우 물 추출물 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양 온도 조건별로 확인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28∼ 32℃에서 배양하였을 때,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 소거능 측정결과 양성 대조물질인 BHT와 Vit. C는 0.1㎎/㎖에서 각각 67.26%, 91.50%의 소거율을 나타냈고, 상황백미 시료구 에서는 30℃에서 배양한 시료의 에탄올추출물이 51.31%로 가장 높은 SO 소거능을 나타냈다. 상황적토미 시료구에서는 배양온도 26℃에서 68.30%, 상황흑미 시료구에서는 배양온도 36℃에서 94.771%로 가장 우수한 SO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제품화를 위한 상황균사체 배양미 배양순서는 쌀을 수세, 침지 후 물 빼기를 실시하고, 입봉후 멸균하여 냉각시킨 다음 상황균사체를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제품은 냉동 보관하며 사용하였다. 과립형태의 제품화를 위해 상황버섯균사체 배양미를 동결건조 후 분말로 만들고 조청 등 부재료와 혼합, 반죽하여 과립성형기를 통해 성형 후 동결건조하여 과립형 제재를 만들었다.
        18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evaluation of cloned mini-pigs in a transportable isolator. Transportable isolato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our research team for transporting gnotobiotic pig. Until now, no previous reports are available regarding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harmful effects when pigs were transported in this isolator. Five cloned mini-pigs of 1~2 year (s) old female with a body weight between 80~90 kg were used. The effects of transportable isolator on stress-related hormone,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 and cortisol levels, and heart rate were evaluated. In addition, it was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transportable isolator on blood chemistry factors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blood urea nitrogen: BUN, glucose, and creatinine). Blood was sampled just before the beginning of transport (T0), at the end of transport (30min after the transport; T1), and 30 min after the end of transport (T2). At the same time, heart rate was also evaluated. As a result, heart rate had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at the various-time points of study (T0, T1, T2). However, heart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range in T1 and T2. The ACTH level was higher than normal range. Whereas, the cortisol level was lower than normal range.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ACTH and cortisol level between different time group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chemistry factors. Therefore, our present study shows that transportable isolator has no harmful effect on stress and physiological condition in cloned mini-pigs.
        4,000원
        188.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용버섯으로서 버들송이버섯의 우수성을 검증하고 재배면적과 소비의 확대보급을 위하여 일반성분, 무기성분, 총 폴리페놀 함량 그리고 전자공여능 등 몇가지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은 조단백질이 38.3%로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은 K, P, Mg, Mn 및 Na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추출물은 65.2㎍/㎖, 에탄올 추출물은 46.0㎍/㎖ 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12.5㎍/㎖, 에탄올 추출물에서 7.1㎍/㎖ 이었다. DPPH radical 제거 활성은 열수추출물에서 58.2%, 에탄올 추출물에서 79.2%의 free radical 제거활성을 보여 열수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버들송이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DPPH radical 제거 활성은 큰느타리버섯 또는 느타리버섯보다 함량이 많고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물은 63.2%,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6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추출용매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AC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물은 78.7%, 에탄올 추출물은 7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열수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버들송이 버섯은 큰느타리버섯이나 느타리버섯 보다 폴리페놀 물질과 같은 항산화성분이 많고, 생리활성이 우수하여 식용버섯으로의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8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nzylideneacetone (BZA) is a compound derived from culture broth of an entomo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nematophila (Xn). Its immunosuppressive activity is caused by its inhibitory activity against eicosanoid biosynthesis. This BZA is being developed as an additive to enhancc control efficacy of other commercial microbial insecticides.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enhancement of the immunosuppressive activity of BZA by generating its chemical derivatives toward decrease of its hydrophobicity. Two hydroxylated BZA and one sugar-conjugated BZA were chemically synthesized. All derivatives ha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BZA against phospholipase A<SUB>2</SUB> (PLA<SUB>2</SUB>) and phenoloxidase (PO)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but BZA was the most potent. Mixtures of any BZA derivative with Bacillus thuringiensis (Bt) significantly increased pathogenicity of Bt. BZA also inhibited colony growth of four plant pathogenic fungi. However, BZA derivatives (especially the sugar-conjugated BZA) lost the antifungal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ZA and its derivatives inhibited catalytic activities of two immune-associated enzymes (PLA2 and PO) of P. xylostella and enhanced Bt pathogenicity. We suggest its use to control plant pathogenic fungi.
        4,000원
        19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이버섯 11계통을 사용하여 polyphenol 및 β-glucan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 및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항염활성을 측정하였다. Polyphenol 함량에서는 CBMFV-65가 244.74 mg%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전 품종에서 전반적으로 100 mg% 이상의 함량을 나타냈다. β-glucan 함량에서는 CBMFV-41에서 27.37%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CBMFV-30 27.21%, CBMFV-65 27.11%의 순서로 높은 β-glucan 함량을 나타냈다. 전자공여능에서는 CBMFV-66이 91.74%로 가장 높은 DPPH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며 전체적으로 70%의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폐암세포에 대한 세포 저해활성이 가장 컸으며, 폐암세포와 대장암세포 모두 CBMFV-30에서 각각 76.07%, 67.05%로 가장 높은 세포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ACE 저해활성에서는 CBMFV-65에서 10.96%를 나타냈고 나머지 품종은 10%미만의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항당뇨 활성에서는 CBMFV-41에서 63.57%의 효소 저해율이 측정되었고, CBMFV-63은 10.98%로 가장 낮은 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항염활성에서는 CBMFV-41에서 61.44%의 nitric oxide 억제율이 측정되었다.
        4,000원
        19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맛버섯 10계통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polyphenol 및 β-glucan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 및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항염활성을 측정하였다. Polyphenol 함량에서는 전 계통에서 전반적으로 40 mg% 함량 이상이였고, 맛버섯 M-1548이 61.50±0.59 mg%로 가장 높았다. β-glucan 함량에서도 맛버섯 M-1548에서 37.2±1.12%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맛버섯 M-900에서 36.35±1.11%, M-1630에서 36.24±1.27%의 순서로 높은 β-glucan 함량을 나타냈다. 항당뇨 활성에서도 역시 맛버섯 M-1548이 13.78±0.56%로 가장 높은 효소 저해율을 보였으나 항염 활성에서는 맛버섯 M-1630이 56.59±7.11%로 가장 높은 nitric oxide 저해율을 보였으며 맛버섯 M-1548은 26.21±0.5%로 미미한 저해율을 보였다. 전자공여능 및 ACE 저해활성, nitrite 저해활성은 효과가 없거나 미미한 활성만을 나타냈다.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1 mg/mL로 처리시 폐암세포에 대해 전반적으로 30%이상의 세포 사멸율을 보였으며, 자궁경부암세포에서도 맛버섯 M-1548에서 10.05±0.44%의 세포 사멸율을 보였다. 그러나 대장암세포와 정상세포인 섬유아세포에서는 세포 사멸율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맛버섯 10계통은 폐암세포와 자궁경부암세포에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정상세포에 대해선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걸 확인하였다.
        4,000원
        19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뱀딸기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항암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뱀딸기(D. chrysantha) 부위별 항산화활성을 비교해본 결과 전초 > 지상부 > 열매의 순으로 전초가 Ascorbic acid(34.72μg/m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열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항염활성은 전초 > 지상부 > 열매의 순으로 항산화활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항암활성은 인체 자궁경부암세포 HeLa에 대해서 열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초는 낮게 나타났다. 간암세포 SKHep1에 대해서 지상부와 전초가 비슷한 활성으로 열매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3,000원
        19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발효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장뇌삼엽차의 추출물보다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이 장뇌삼엽차와 발효장 뇌삼엽차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결과를 얻었다.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의 항산화 활성은 비슷하였다. SOD 유사활성도 측정에서는 대조군인 vitamin C와 비교할 때 모든 군이 SOD 유사활성도가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의 조건에서 1 mg/mL의 농도로 처리 하였을 때 아질산염 소거능이 장뇌삼엽차, 발효장뇌삼, 장뇌삼, 발효장뇌삼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H 6.0의 조건에서는 모든 군이 아질산염 소거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HeLa cell에서 시료 중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30%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발효장뇌삼과 장뇌삼엽차는 각각 약 24%, 22%로 분석되었다. MCF-7 cell 발효장뇌삼과 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27%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어 비슷하였고, 장뇌삼 추출액이 21%로 가장 낮았으며, 발효장뇌삼엽차 추출액이 70% 이상으로 나타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각 시료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19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북지역에서 수집한 야생 팽나무버섯의 식품소재로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동결 건조한 후 일반성분 및 전자공여능, 총폴리페놀 함량, ACE 저해도와 α-glucosidase 저해도등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대조군으로 갈뫼팽이버섯과 4종의 수집 야생 팽나무버섯의 일반성분은 건물중으로 분석하였으며, 조단백질은 17.1~21.3 g/100g, 조지방은 4.1~4.9 g/100g, 탄수화물은 65.9~70.5 g/100g, 조섬유는 7.9~18.1 g/100g, 조회분은 5.7~8.4g/100g 범위를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63.35~69.31%로 시료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폴리페놀 함량은 9.83에서 11.14 mg/g로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ACE 저해도는 대조구인 갈뫼 팽이버섯과 수집종인 CBMFV-02가 각각72.91%, 71.44%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α-glucosidase 저해도는 CBMFV-01이 46.5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19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onion powder dried using the low temperature vacuum method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the dried red onion powder on the growth of HT-1080 human fibrosarcoma and HT- 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red onion powder was 17.95%, while the vitamin C content was 96 mg/100 g and the total phenols content was 39.1 mg/mL. The inhibitory effects of acetone with 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of the red onion powder on the growth of HT- 1080 and HT-29 cancer cell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The inhibitory effect was greater on the growth of HT-29 cells, while the A+M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than the MeOH extracts. Treatment with the hexane, 85% aq. m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s of the extract led to significant inhibition of the growth of both cancer cell lines (p<0.05). Among the fractions, the hexane and 85% aq. methanol fractions showed a greater inhibitory effect.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n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a DCFH-DA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assay was conducted. All fractions, including the crude extracts of dried red onion, appeared to lea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these reductions occurred in a dose dependent fashion (p<0.05). Among the fractions, the 85% methanol fraction showed the greatest protec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4,000원
        19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은 자연 상태의 산과 들에서도 흔히 볼 수 있고, 맛 과 향기가 독특하여 신라시대부터 이용한 기록이 있을 정도 로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버섯은 세계적으로 15,0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500여 종 이 보고되고 이중 식용버섯은 400여 종, 약용버섯 50종, 독 버섯은 약 70종이다. 버섯(Mushroom)은 분류학상으로 고 등균류 중 진균류(Eumycetes )에 속하며, 대부분 담자균류 (Basiodiomycetes )에 속한다. 이들 버섯은 대사산물이 축적 된 자실체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버섯은 독특한 맛 과 향이 뛰어나 기호성이 높은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고, 당 질, 단백질,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질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 한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약리 작용도 나타내므로 예로부터 전통식품 및 민간약의 제제로 서 널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항암활성, 면역증강 등 의 효능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 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팽이버섯의 생물학적 위치는 주름버 섯목(Agaricales ), 송이과(Tricholomataceae ), 팽나무버섯 속(Flammulina )에 속하며 늦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감나 무, 뽕나무, 아카시아, 포플러 등 각종 활엽수의 고목이나 그 루터기에 속생하며 눈이 쌓이는 겨울에도 발생하는 내한성 균으로 일명 겨울버섯(Winter mushroom )으로 불리며, 일 본에서는 에노끼다께 라고도 한다. 야생 팽이버섯은 갓이 황갈색이며 지름2∼3cm의 평반구형에서 편평형이며, 인공재 배된 버섯은 갓이 작고 대가 긴 흰콩나물형으로 맛과 빛깔이 좋아 일본·미국 등지에서 인기가 있다. 표면은 점성이 강하 고, 황갈색 또는 노란색을 띠며 주변은 엷은색이다. 살은 흰 색이나 노란색이며, 주름살은 조금 성기고 흰색이나 엷은 크 림색으로 올린주름살이다. 자루는 높이 2-9cm, 나비 2-8 ㎜로 연골질이며 밑부분에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난다. 포자 는 타원형이나 원기둥모양이며 흰색을 띤다. 감나무·뽕나 무·포플러 등 주로 활엽수의 썩은 고목이나 그루터기에 다 발로 생성된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팽이버섯은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고단백, 저칼로리에 천연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한 독특한 식품으로 꼽힌다. 또한 세 계가 공인하는 친환경식품, 완전식품, 장수식품이자 건강식 품으로 영양이 풍부할 뿐 아니라 치료 효능도 갖고 있다. 이 에 팽이버섯11품종 자실체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생리활성 분석을 하였다. DPPH 소거능 실험을 통한 항산화활성 확인 에서는 ‘팽이9’ 품종이 91.74%의 항산화 저해능을 나타내었 다. 또한 Folin-ciocalteu assay 통한 Polyphenol 함량분석 에서는 ‘팽이10’ 품종이 244.74 mg%(gallic acid mg%/100ul of sample) 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β-glucan 분석을 통한 면역 및 항암물질 확인에서는 ‘팽이6’ 품종이 27.37%로 면역 및 항암활성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고혈 압은 ACE inhibition activity 실험으로 진행하였고, ‘팽이10’ 품종이 10.96%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항당뇨 실험에서는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팽이1’ 품종이 69.84%로 나타났다. 항혈전 실험에서는 Astrup 과 Mullertz 의 Fibrin plate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나, 효과 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팽이버섯은 비교적 다양 하고, 여러 가지의 생리활성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9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은 분류학상 담자균아강(Basidiomycotina)과 자낭균 아강(Ascomycotina) 및 불완전균류(Imperfect fungi)에 속 하며 대사산물이 축적된 자실체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자실 체에는 양질의 단백질 이외에 지방, 철분, 섬유소, 비타민, 미 네랄, 효소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성분을 함유하 고 있으며 특유의 향과 맛 때문에 예로부터 사람들이 즐겨 섭 취하였으며 지방질이 적고 식이섬유와 단백질이풍부한 저 칼로리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영지버섯은 민주름 버섯목 불 로초과 불로초속에 속하는 균으로서 학명은 [Ganoderma lucidum (FR.) Karst] 이다. 영지버섯은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에 널리 분포하고있으며 활엽수 고사목에 발생하는 백 색 목재 부후균이며, 30℃이상의 고온기에다습 조건에서 잘 생육한다. 각지의 떡갈나무, 썩은 소나무, 매화나무, 앵두나 무, 복숭아나무 등의 줄기와 밑동에 자란다. 버섯갓은직경 약 10cm의 콩팥 모양이며 노란밤색, 붉은밤색이고 옻칠한 것처 럼 윤기가 있다. 버섯갓은 6-9월에 돋는데 돋는 시기와 기주 식물의 종류에 따라 모양과 색이 다르다. 버섯갓은 자루의 한 쪽 모서리에 붙어 있다. 그 종류는 갓과 대표면의 색택에 따 라 적지(붉은색), 흑지(검은색), 황지(황색), 자지(보라색), 청지(푸른색), 백지(흰색), 녹각영지(사슴뿔), 편목영지(자 루없이 평평함), 쓰가영지 등으로 나누는데 흔히 영지라고하 면 적색을 띤 자루가 달린 적지를 말한다. 적지는 영지버섯 종류 가운데 외모가 가장 아름답고 효과도 높다. 모양은 나무 그루터기에 버섯이 붙어서 있는게 아니라, 필히 갓 밑에 대 가 있어서 우산처럼대가 있고 그위에 갓이 있어야 영지이다. 영지에 대한 약물적 가치와 효능에 대해서는 중국 고대의 동 양식효서(東洋 食效書) 와 1592년 명나라 이시진이 지은 본 초강목(本草綱目), 신농본초경 (新農本草經)등에 잘기록되 어 있다. 본초강목에는 영지를 산삼과 더불어 상약중의 상약 으로 취급하여 "영지를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불로 장생하여 마침내 신선이 된다" 고 했을 정도이며, 이 약의 효 험을 "눈이 맑아지고 장을 보호하며 정혼약량, 기혜의 역량 을 높여 기억력 증진, 심기보강, 비장보호, 의지력을 강하게 하며 콩팥을 돕고, 혹과 악성종양을 치료, 통증해소, 풍을 다 스리며 자궁암, 장암 등에서 오는 출혈을 방지하고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으며 신선이 된다" 라고 기록 되어 있다. 이에 영지버섯12품종 자실체의 추출물을 사용하 여 생리활성 분석을 하였다. DPPH 소거능 실험을 통한 항산 화활성 확인에서는 ‘잔창’ 품종이 93.07%의 항산화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Folin-ciocalteu assay 통한 Polyphenol 함량분석에서는 ‘영지5’ 품종이 85.88 mg%(gallic acid mg%/100ul of sample) 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β-glucan 분석을 통한 면역 및 항암물질 확인에서는 ‘영지 B’ 품종이 23.0%로 면역 및 항암활성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고혈압은 ACE inhibition activity 실험으로 진행하였고, ‘영지1’ 품종이 14.79%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항당뇨 실 험에서는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 고, ‘영지A’ 품종이 63.57%로 나타났다. 항혈전 실험에서는 Astrup 과 Mullertz 의 Fibrin plate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 고, ‘영지3’ 품종이 0.27 U/20ul(Plasmin U/20ul of sample) 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영지버섯은 비교적 다양하고, 높은 생리활성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9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들송이버섯(Agrocybe aegerita )을 이용한 가공식품을 개발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버섯 재배농 가의 소득증대를 목적으로 버들송이버섯의 일반성분, 무기 성분을 분석하고,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페놀 화합물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Tyrosinase 저해율, ACE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으로 수분은 90.6%, 조단백 38.3%, 조지방 3.0%, 조회분 8.2%, 식이섬 유는 갓부분이 28.1%, 대 부분이 34.4% 이었다. 무기성분 K 는 34,786mg/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P(8,705mg/kg), Mg(1,762mg/kg) 순이었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추출에 서 65.2ug/ml, 에탄올추출에서 46.0ug/ml이었으며 대조군으 로 분석한 큰느타리버섯과 느타리버섯보다 약 2배 정도 많 았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추출에서 12.5ug/ml, 에 탄올추출에서 7.1ug/ml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열수 추출에서 58.2%, 에탄올추출에서 79.2%로 더 높았으며 이 또한 큰느타리와 느타리버섯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율은 열수와 에탄올추출에서 각각 63.2%, 65.0% 이었고, ACE 저해율은 각각 78.7%, 75.0% 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버들송이버섯은 대표적인 식용버섯으 로 알려진 큰느타리와 느타리버섯보다 생리활성이 높아 생 버섯 또는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소 비자의 마음을 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99.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인들에 있어 건강과 장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식품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발굴과 이용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식품산업에서 상업적 가치를 갖 는 생리활성 물질은 주로 천연 식물체에서 유래되는 친유 성 화합물(lipophilic components)로서 생리활성 지질, 비 타민, 항균제, 항산화제 및 향미물질 등이 있다. 이들 친유 성 생리활성 물질들 중 기능성 식품시장에서 신상품 개발 의 대상이 되는 것들은 오메가-3 지방산, phytosterol, lycopene, lutein, β-carotene, coenzyme Q10, resveratrol, astaxanthin, quercetin 등이 있다. 이러한 친유성 생리활성 물질은 거의 물에 용해되지 않아 산업적 이용에 한계가 있 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천연상태의 친유성 생리활성 물질을 추출 및 분리할 경우 빛, 온도 및 산소 등과 같은 외부 인자에 의하여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며, 동시에 체내 이용성과 흡수성이 낮아 활용 이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식품전달시스 템 개발에 있어 나노구조체 제조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생리활성 성분과 관계하는 특정 분자, 이화학적 및 생리학 적 특징 등이 중요한 인자로 고려되고 있다. 식품에 있어 상향식(bottom-up) 나노구조체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생 리활성 물질의 품질, 안정성 및 이용성을 증진시킨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로서 효율성, 경 제성 및 용이성 등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표 에서는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나노구조체 제조방법 및 응용분야에 대하여 논하기로 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