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1

        281.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과학캠프 참가 만족도 및 효과의 학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생명환경과학캠프’에 참가한 초·중등생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20일부터 8월 11일의 기간 동안 총 385부의설문을 실시, 분석하였다. 캠프참가 이전 과학 흥미도는 초등학교 4~6학년(50.7%), 중학교 1학년(44.3%), 중학교 2학년(39.5%)순이었으며 캠프 이 후 과학에 대한 흥미도가 증가한 학년별 차이는 초등학교 4~6학년(68%), 중학교 1학년(63.3%), 중학교 2학년(54.4%)순으로 연구되었다. 캠프의 수업이 학교 과학 수업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관한 긍정적인 응답은 초등학교 4~6학년(71.7%), 중학교 2학년(60.5%), 중학교 1학년(53.2%)순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캠프 재참여 의사는 초등학교4~6학년(56.4%), 중학교1학년(50.6%), 중학교2학년(35.8%)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캠프 참가로 장래희망에 영향을 받은 정도는 중학교1학년(43.1%), 초등학교4~6학년(40%), 중학교2학년(29.6%)순으로 나타났다.
        28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울에 위치한 S 초등학교 180명, D 중학교 250명, S e-비지니스고등학교 250명, 총 68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3주간 대조군(무처리), 오리엔탈 백합 중 향기가 있는 식물군(시베리아), 향기가 없는 식물군(옐로윈)으로 나누에 교실에 장식하여 교실 장식에 따른 연령별 학습집중력 변화와 정서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집중력은 연령별로 향기가 있는 화훼식물을 3주간 장식한 교실의 학생들에게서 초등학생은 평균4.27점, 중학생은 2.9점, 고등학생은 2.94점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초등학생들에게 가장 큰 효과를 가져왔다. 정서반응은 교실에 향기가 있는 꽃을 장식함으로서 학교생활이 즐겁다, 기분이 좋아진다, 꽃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등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연령별 반응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8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oem “Marina” of T. S. Eliot technically takes the play Pericles of Shakespeare in terms of two voices: the surface pattern based on a dramatic story of Pericles, prince of Tyre, and the deep pattern based on a ultra-dramatic feature of solemn music. Shakespeare is regarded as a dramatist and poet in his later works, such as Pericles, in which he uses a system of related allusions in dramatic situations to reflect implicitly on drama and its program in a unity of poetry and music. Eliot technically steals it in a different way, called his own program, where he secures a solemnity by virtue of a gaiety of content, and a gaiety by virtue of a solemnity of content. His poem thus is poetry which uses the order in which Pericles is written and his technical relations to the play in conversational language and dramatic situations on the surface and in ultra-dramatic aspects in depth. In the ultra-dramatic presentation, musical pattern, and liturgical treatment of characters’ emotions proceed to comment on the recognition scene (V, i) of the play. In the poem, the ultra-dramatic aspects refer to “Eliot’s perspective on life that is as if from beyond life.” The hidden music from the recognition scene (V, i) of the play seems supernatural, as if we are taking part in a ritual. Finally in terms of synchronicity, Hercules, a stoical character in Seneca, is taken for Pericles in Shakespeare; and Senecan Shakespeare is almost certain to be produced in Eliot’s poem “Marina.” We can see this synchronicities value in Eliot’s view of stoical life, taken from Seneca and Shakespeare as well.
        284.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재배되는 시금치인 신안 섬초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안 섬초(조생종 5건, 만생종 5건), 포항초(조생종 2건, 만생종 2건), 남해초(조생종 2건, 만생종 2건) 및 비닐하우스 시금치(조생종 2건) 등 20건을 대상으로 형태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시금치 잎의 두께는 신안 섬초 > 포항초 > 남해초 > 비닐하우스 시금치 순이었으며, 경도의 경우 포항초 > 남해초 > 신안 섬초 > 비닐하우스 시금치 순으로
        285.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학에서 실시하는 생명과학캠프가 참가학생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고려대학교의 생명환경과학캠프에 참여한 초·중생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20일부터 8월 11일의 기간 동안 총 385부의 설문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평소 과학을 좋아하는 정도 및 캠프를 통해 과학이 좋아진 학생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캠프 참가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나 캠프 수업의 흥미정도나 만족도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캠프의 수업이 학교 과학수업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캠프 재참여, 추천여부에 대한 의사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다. 학교수업 외에 과학공부를 더 해야한다는 과학교육의 필요성 인식 정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과학캠프를 통하여 장래희망에 영향을 받은 정도와 과학관련 직업선택에 영향을 받은 정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8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중국의 17세기 말엽의 혁신적 사상가였던 顔元의 개혁사상을 학문 론과 교육론을 위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안원의 사상에 대한 그 러한 논의는 이후에 전개할 남명 사상과의 본격적인 비교 논의를 위한 예비적 작업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고 하겠다. 안원은 초기에 朱子學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이윽고 생명을 잃을 뻔한 실존 적 체험을 겪고 난 뒤에 품은 의문을 계기로 사상적 전환을 행하게 된다. 이후 그는 주자학 체계에 대한 철저한 비판을 행하면서 당대의 지식인들이 현실의 위기에 직면하여 실제적인 공헌을 하지 못하는 원인이 그들의 사유가 주자학적 인성론에 얽매여 있음을 깨닫고서 이를 비판하여 새로운 인간 개념을 공식화하 기에 노력하였다. 그러한 그의 인성론에 대한 논의가 지니는 실천 지향적 특성 은 이후 그의 사상이 후대에 나타나는 實學 사상의 한 선구적 존재가 되게끔 하 였다. 안원은 우주를 생명력이 가득한 공간으로 보고 인간도 본질적으로 선악을 벗 어난 주체적 존재로 보고 있다. 이렇듯 인간성을 자아실현의 진정한 도구로서 낙관적이면서 구체적으로 보았던 그의 관점은 이윽고 학문과 수양의 과정에서 실천적 주체로서의 자아의 존재를 강조한다. 그러한 실천적 주체로서의 자아는 학문과 수양의 과정을 통해서 구체화되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그가 발견한 길 은 공자의 원시유학에서 제시하는 三事와 三物, 특히 六藝의 학문을 習行하는 방법이었다. 그가 강조하는 習行의 방법론은 끊임없이 현실적 과제나 구체적 사물과 관련을 맺으면서 이루어지는 학습과 실행을 강조함으로써 주자학 체계 가 지니는 개념적이고 초월적인 성격과 뚜렷하게 대립하였다. 이렇듯 현실의 구체적인 경험세계를 중시하는 안원 사상의 특징은 格物致知 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곧 그는 이 말이 지니는 의미를 ' 실제로 그 일을 한다'라는 뜻으로 해석하고서 그 행위의 대상이 곧 六藝라고 해 석한다. 이러한 해석의 전환을 행함으로써 그는 학문과 수양의 주체를 수동적 이고 관찰자적인 입장에서 해방시켜 현실의 경험 세계 속에서 대상 사물과의 동적인 관계를 맺는 주체적 자아로 바꾸어 놓았다. 이상과 같은 맥락에서 안원이 학문과 수양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는 진정한 목 적을 轉世之人, 곧 '세상을 변화시키는 사람'이 되는 데 두고 있는 것은 그의 이 론의 당연한 결론이라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해 안원의 사상적 탐구는 자아 수 양의 정신적 역량을 어떻게 하면 유교적 이상에 부합하는 세계 형성을 위한 사 회정치적 힘으로 변화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에 시종일관 향해 있었던 것이다. 아울러 현실 세계를 변혁하는 주체적 자아를 강조하는 안원의 사상을 그보다 앞선 16세기 조선의 대표적인 실천 사상이었던 남명 조식의 사상과 비교의 관 점에서 논의해 보는 것은 남명사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동아시 아 유학사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도 하나의 중요한 기초적 작업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287.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rned, which is made in the early spring every year at Saebyeol-Oreum from 2003 to 2009, on changes in vegetation on the grassl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y of the land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surface land that had the angle of azimuth and the angle of slope in the range of southeast 135°~180° accounting for 73.89% and 21°~30° accounting 58.33% of the entire surface land, respectively, was found to be high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was found to be lowered from 27.07 in 2003 to 19.47 in 2009, and this can be attributable to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of Artemisia japonica having been heightened from 7.07 in 2003 to 16.23 in 2009. The reason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of Artemisia japonica was found to be high is thought to be that vegetation on the surface land was removed by burned in the early spring and, due to this, the dry surface of soil and the high slope accelerated the soil erosion and could not provide proper environment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for Imperata cylindrical and Miscanthus sinensis, so Imperata cylindrical and Miscanthus sinensis were excluded and Artemisia japonica whose importance value had been highest have flourished. Researches to maintain the current vegetation on the burned location of Saebyeol-Oreum and to adjust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il to restore vegetation and the proper time and cycle of burned should be conducted.
        28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거 국내 통일형 품종들은 일반계인 밥쌀용 품종들보다 수량은 높았지만 밥맛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호에 맞지 않았던 단점을 갖고 있었다. 세계진미는 취반시 경도가 높지 않고 아밀로그램에서 최고점도가 높고 취반점도가 낮은 일반계 양질품종과 비슷한 패턴을 보였으며, 밥맛 관능검정결과에서도 추청벼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은밥 관능검정결과 다산벼 등 통일계 품종과 비교하였을 때 월등한 밥맛을 보였다. 세계진미는 간장이 82cm로 다산벼 보다 큰 편이며, 출수기는 남부 평야지에서 8월 17일로 다산벼보다 1주일 정도 늦은 중만생종이다. 애멸구,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복합내병충성 품종으로서 내냉성이 약하며 벼멸구에는 저항성이 없다. 3개년간 11개 지역의 평균 쌀수량은 701kg/10a로 다산벼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며 적응지역은 남부평야지 1모작지이다.
        29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 차나무 자생지에서 차나무를 수집하여 조성된 클론보존원의 630클론 중 생육이 왕성하고 내한성이 높은 차나무 31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31계통 중 최종적으로 3계통을 선발하여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전국 6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성 및 영양계 비교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내한성이면서 다수성을 가진 영양계 차나무 "한광"을 최종 선발하였다. "한광"은 생육이 왕성하여 새싹수는 대비품종인 야부기다에 비하여 27.6% 많았고 백아중은 47.9
        292.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려시대에 발행된 직지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이다. 인쇄기술은 기술학에서 통신기술 영역에 해당한다. 현행의 초중등 교과서 7권에 직지의 내용이 소개되어 있으므로,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한 이 프로그램으로 2009년부터 교사를 대상으로 직지연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직지 관련 선행 연수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고, 둘째, 국가교육과정과 초․중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직지연수의 요구도를 분석하였으며, 넷째, 전국의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다섯째, 개발한 직지 연수프로그램을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예비연수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직지연수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랐다.
        293.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서 집필된 4학년에서 7학년까지 초·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광물과 암석 단원의 본문 진술을 분석하여 과학교육에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광물 영역에서는 원소의 도입 과정이 교육과정 계열성이 맞지 않게 제시되어있고, 광물의 색과 모스 굳기계는 단순 암기형식으로 제시되어있었으며, 불순물이 포함된 광물색이 제시되어 있었다. 암석 영역에서는 화성암의 구분 기준이 조립질과 세립질에 대한 설명이 크기의 정량적 개념 대신에 정성적으로 단순하게 기재되어 있고, 동일한 마그마에서 화강암과 현무암이 생성되는 그림이 제시되어 오개념을 유발할 수 있게 보였다. 변성암에서는 편리와 엽리가 구분되지 않고 제시되어있고, 응회암이 화성기원과 퇴적기원의 논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퇴적암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변성암은 모암과 변성암의 관계가 계열성 없이 제시되어있고 용어가 통일되어있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새로운 교과서를 집필 시 체계적인 분류기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294.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심이나 흥미도에 있어서는 긍정적이었고 대부분이 캠프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한 학생의 반 이상이 대학에서 진행되는 수업에 기대가 높았고 캠프의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 또한 전반적으로 높았다. 과학캠프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며 캠프에 참가하지 않은 친구들에게 추천 할 의사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과학 캠프의 모든 프로그램을 마친 후 과학에 대한 흥미도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캠프에서의 학습 내용 또한 학교에서 과학 수업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캠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과학실험을 접하게 함으로써 과학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95.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 5차, 제 6차 및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11종류의 초,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용된 식물은 129과 332속 383종 2아종, 47변종 6품종, 3잡종으로 총 44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본은 280종류(63.5%), 목본은 161종류(36.5%)였으며, 자생종과 외래종은 각각 241종류(54.6%)와 200종류(45.4%)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5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벼과가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441분류군에는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 25분류군, 멸종위기식물 1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83종류와 16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85종류(41.9%)로 가장 많았으며, 약용 148종류(33.5%), 관상용 139종류(31.5%), 목초용 87종류(19.7%), 목재용 34분류군(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96.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Kyoto Protocol, that had been in force from February 16, 2005, requires significant reduction in CO₂emissions for all anthropogenic sources containing transportation, industrial, commercial, and residential fields, etc, and automotive emission standards for air pollutants such as particulate matter (PM) and nitrogen oxides (NOx) become more and more tight for improving ambient air quality. This paper has briefly reviewed 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 (HCCI) combustion technology offering dramatic reduction in CO₂, NOx and PM emiss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gasoline and diesel engine vehicles, in an effort of automotive industries and their related academic activities to comply with future fuel economy legislation, e.g., CO₂emission standards and corporate average fuel economy (CAFE) in the respective European Union (EU)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and to meet very stringent future automotive emission standards, e.g., Tier 2 program in USA and EURO V in EU. In addition, major challenges to the widespread use of HCCI engines in road applications are discussed in aspects of new catalytic emissions controls to remove high CO and unburned hydrocarbons from such engine-equipped vehicles.
        29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지리산의 역사적 성격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名山文化로서 智異山의 正體性을 조선 초・중기의 문헌사료를 통해서 구명한 것이다. 먼저 명산은 인간 이 인위적으로 창출하고 결정한 의미에 의해서 규정・이해되는 것이다. 그러므 로 명산은 고정되는 경우보다 변화를 겪는 존재로서 사회적 생산물의 성격을 갖고 있어 문화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명산문화는 명산이 의미하는 바의 정체성까지 수렴하는 보다 광의의 의미를 갖고 있다. 조선 초기 지리산은 太祖 李成桂에게 조선 건국과 관련해서 중요한 신성의 장 소이자 그들의 정치적 목적의 정당화를 위한 含意를 지닌 곳이었다. 한편 지리 산의 神聖은 卿·大夫·士・庶人이 숭배 대상으로 하였던 山神으로서 信仰性을 갖 고 있었다. 반면에 왕을 비롯한 위정자에게 지리산의 신성은 명산대천으로서 신성에 정치적 성격을 포함한 이중적 함의를 지녔다. 세종 같은 경우 전통문화 로서 명산대천의 신성을 인정하면서도 惑信하는 신성에 대해서 철저하게 조사 하여 금지하였다. 이처럼 鮮初 지리산의 정체성은 신성에서 신앙성・정치성 등 다양한 함의를 지녔다. 조선 중기 지리산은 지리산권역의 사림들과 수령들에게 仙遊・修養의 공간, 그리고 勳戚政治 개혁을 위한 모색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럴 때 馬 崇祖가 지리산 天皇을 숭배하다가 죽임을 당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은 지리산이 신앙으로서 神聖性을 크게 잃어갔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지리산의 정 체성은 조선 중기에 이르러 정치・사회적 함의가 커져갔다. 한편 賊徒 張永己 사 건에서 지리산이 인간의 삶 속으로 급속히 편입되는 사회성을 읽을 수 있다. 이 보다 더 사회성과 정치성을 보여주는 사건이 자칭 의병대장 宋儒眞 사건이다. 16세기 말 지리산은 王朝를 부정하였던 송유진을 따르는 한 무리의 활동 공간 이었다. 이는 그만큼 지리산의 정체성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29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삼국유사󰡕 ‘신라시조 혁거세왕’에 나오는 弗矩內의 의미와 상징을 밝혀 신라인의 내세관과 우주관을 해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신라 천하관의 밑바디인 弗矩內는 출생과 죽음 그리고 재생·부활이라는 우주 관인 ‘뉘’에도 그대로 투영된다. 여기서 弗矩內 뉘란 혁거세와 김알지가 자주빛 알이나 자주빛 구름에 싸인 황금 궤에서 출생하여 대릉원의 주인공들처럼 금관 을 쓰고 죽음여행을 하며 다시 우주새가 되어 천상으로 갔다가 난생으로 재생· 부활하는 순환 고리를 말한다.
        299.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초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elastase와 tyrosinase 저해효과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50 % 에탄올 추출물(15.0 µg/mL) < ethylacetate 분획(4.5 µg/mL)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0.9 µg/mL)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Fe³+-EDTA/H₂O₂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현초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 에탄올 추출물(OSC50, 0.23 µg/mL) < ethylacetate 분획(0.16 µg/mL) < aglycone 분획(0.04 µg/mL)순으로, aglycone 추출물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초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현초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 ∼ 50 µ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에서 50 µg/mL 농도에서 τ50이 676.7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Aglycone 분획은 tyrosinase와 elastase 저해활성(IC50)이 각각 70.0, 19.9 μ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초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2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실험(370 nm)에서도 2개의 피이크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2가지 성분은 quercetin, kaempferol이었으며,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15.3 %, 82.8 %로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현초 추출물이 ¹O₂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현초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actate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큰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도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30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적으로 1980년대 이후, 통합교육과정(integrated curriculum)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모색하려는 노력은 교육의 질적 향상을 수반하였다.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노력은 유치원, 초등학교는 물론 중․고등학교에서도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통합교육과정이 21세기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기도 하다(노영희, 2006).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은 전통적으로 통합적 교육과정을 지향해왔다. 그리고 특히 제5차,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통합적 교육과정 계획과 운영을 강조하게된 것은 이러한 세계적인 변화의 맥락과 함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1, 2학년의 통합교과가 제4차 교육과정부터 개발․적용된 이후, 최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통합의 개념 문제와 유치원 교육과의 연계 문제가 주요 논쟁점으로 부각된 것은 이와 같은 세계적인 통합교육에의 관심과도 무관하지 않다. 21세기에 나아가야 할 교육의 방향은 결코 전통적인 주입교육이 아닌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에 기초한 통합적 접근이어야 한다. 교육현장은 이론이 그대로 적용되는 수동적인 장소가 아니라, 수많은 문제들이 발생하며 교사에게 바람직한 해결책을 요구하는 매우 역동적인 장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 현장의 교수실천은 특정 이론의 답습과 실험이 아니라 교육자들 스스로의 비판적 지성에 의해 반성적으로 실천되어야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이 올바른 자리매김을 할 수 있다. 통합교육과정의 역사적 흐름은 Rousseau, Pestalozzi, Freobel 등의 자연주의에 기초한 교육 사상가들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주요 아이디어는 Dewey의 아동중심 교육이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통합교육과정은 Dewey의 아동중심철학이 기본 이데올로기가 되었으며, Kilpatrick을 통하여 통합교육과정 접근법으로 구체화되었고, 최근에는 통합적 접근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조화 운동에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이 큰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Charbonneau & Reider, 1995). 그러나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노력은 20세기 후반을 지나오면서 교육현장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비판도 거셌다. 통합교육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일부의 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이 실패하는 이유를 첫째, 아동 중심 철학에 대한 오해, 둘째, 부적절한 교사 교육, 셋째, 부모와 교사 간의 협력 부재로 들었다. 특히 교사는 학급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일과 효율적인 계획을 해야 하고, 통합된 일과 진행을 위해 현명하게 학급을 운영해야 하는데, 이러한 통합교육의 기본 조건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교육을 피상적인 방법론으로만 다루려는 사람들에 의해 그 결과가 실패로 이끌어지게 된 데에 그 원인이 있었다고 분석하였다. 김재복(2007)은 우리나라의 각급 학교 교육에서 통합교육 또는 통합교육과정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적용될 때는 여러 측면에서 저항이 나타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지식의 구조 또는 지식의 형식, 교사 전문가 집단의 교과 지향적인 의식구조,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방법상의 전통적인 인습, 분과별로 출제되는 시험문제 등으로부터 파생된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이거나 간에 통합교육과정 적용의 실패는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인습적인 교과교육에의 안주 또는 구조적 정체에 기인하므로, 통합교육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실패의 원인들로 지적된 문제점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해야한다는 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은 물론 그 이상의 타급학교 교육에 이르기 까지 통합적 교육과정은 21세기의 교육이 지향하는 모형임이 분명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20세기 교육과정의 흐름을 정리해보고, 앞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과정을 바람직하게 실천하기 위한 조건과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