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

        21.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orcine circovirus type 2)은 단일가닥 원형DNA바이러 스이며 돼지에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돼지이유자돈전신성소모성 증후군의 주요 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은 2개의 주요한 ORF를 가지고 있 으며 ORF1은 바이러스의 복제, ORF2는 캡시드단백질의 형성에 관여한다. 이 중, ORF2의 해독에 의해 생성된 캡시드단백질은 바이러스의 구조형성 뿐만 아니라 항 원단백질로써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베큘러바이러스 다각체 단 백질과 부분 융합에 의한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 구조단백질의 재조합 발현을 확 인하였다. 발현된 단백질은 SDS-PAGE 상에서 분석하였고, 항-돼지 혈청, 항 -PCV2 ORF2 단일항체 그리고 히스텍 항체를 사용하여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 인하였다. 그 결과 재조합 단백질은 재조합 바이러스 접종 후 2일째부터 발현이 나 타나며 4일째 최대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각체 단백질과 부분 융합한 바이러스는 비융합 바이러스보다 재조합 단백질 생산이 증대 되었으며, 이는 다각 체 단백질과 부분 융합을 이용한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 구조단백질 ORF2의 발현 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22.
        2011.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리그닌은 페닐프로판을 기본단위로 하여 구성된 방향족 거대분자로서 탄소-탄소 그리고 에테르 결합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분자 화합물이며 3차원적인 그물모양의 구조로 일정한 규칙성이 없고 난분해성이다. 리그닌 분해대사에 관여하는 미생물 중 특히 담자균류 중 백색부후균이 리그닌 분해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색부후균은 리그닌은 잘 분해하지만 그 분해정도는 공기 중의 산소와 질소 농도, 보조기질의 첨가 그리고 배지조성의 성분 및 pH 등이 리그닌 분해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Laccase는 리그닌 분해효소 중 하나로서 대부분 균류와 고등식물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페놀 화합물에 대해 반응을 하기 때문에 laccase mediator system의 잠재력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사과박에는 이러한 페놀 화합물이 다량으로 함유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박 추출물 처리에 의한 버섯 균사체의 laccase 유전자 발현변화와 단백질 성분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RT-PCR을 통해 유전자 발현의 분석 결과 일반배지에 비해 2배 정도 높았다. 또한 1DE와 2DE로 분비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사과박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단백질의 양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DE를 통하여 사과박 첨가 유무에 따라 분비단백질의 발현 양상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 사과박 추출물은 버섯 균사체의 laccase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며 분비단백질의 발현 양상에 큰 변화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벼 고온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에서 고온처리한 벼의 줄기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백질로부터 Rubisco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15% PEG fractionation을 실시한 후 상등액 분획의 단백질을 이차원전기 영동한 후, CBB 염색을 통해 차별적 발현을 보이는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총 46개의 단백질 spot이 발현양에 변화를 보였으며, 그 중 24개의 단백질이 고온 스트레스에 의해
        4,000원
        2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normal prions are infectious agents involved in a neuro-degenerative disease, which occurs naturally such as Chronic Wasting Disease (CWD) in deer and elk,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in cattle, Scrapie in sheep and goats and Creutzfeldt-Jakob Disease (CJD) in humans. The cellular prion protein of the elk consists of 233 amino acids (residues 25-257), which represents an autonomous folding unit with three α-helices and two-stranded anti-parallel β-sheets. Here, we demonstrated elk-recPrP (Elk recombinant prion protein) which can be obtained as follows; (1) Cloning of elk PrP gene, (2) Expression of a histidine-tagged full-length elk PrP by induction with IPTG in E. coli and (3) Purification by affinity chromatography using Ni-NTA agarose resin. In Western blot and ELISA analysis, elk-recPrP showed specific activity against anti-PrP monoclonal antibody. Thus, our elk-recPrP would be a useful tool for the understanding of basic structure and mechanism studies of PrPSC formation.
        4,000원
        26.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more efficient gene delivery and expression in human cells.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erformed in achieving successful gene delivery and expression conditions. We investigated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atterns after delivery adenoviral vector containing green fluorescent protein(GFP) gene into human cancer cell lines. We constructed recombinant adenoviral Ad-CMV-GFP containing CMV promoter and GFP gene. The efficiency of gene expression was assessed by observation GFP expressing cells using fluorescent microscopy after transfer of Ad-CMV-GFP in concentrations of 0.1μl. 1μl. 10μl. At first, we evaluated expression patterns of gene i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gastric adenocarcinoma cell line AGS was showed high level of GFP expression compared with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 line HT-29. After transfer 0.1μl of Ad-CMV-GFP in AGS, we could found that GFP expression cells were observed in next day and highly increased 2 days. While, small number of GFP expressing cells were examined in HT-29 and SNU-C4. Therefore, these data showed that AGS was expressed the highest level of GFP and almost AGS cells seems to express GFP in concentration of 1μl of Ad-CMV-GFP. GFP expression pattern in HT-29 reveal that expression was low in next day after gene transfer but significantly increase expression level in 2 days. In case of SNU-C4, GFP express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d-CMV-GFP and t ransfer times. For examine effects of transfer times in small amount gene, we transfer in concentration of 0.1μl Ad-CMV-GFP and detected GFP expression patterns after 2 days or 4 days. As a result, expression level of GFP in AGS was increase about 2 fold after 4 days compared with 2 days, but any difference of GFP expression levels were not showed in HT-29 and SNU-C4. Our study suggested that adenovirus was very efficient gene transfer vector for gene expression in human cancer cell lines. In addition to, we also demonstrated that gene expression patterns was dependent on each human cell lines. Therefore,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confirm the optimum conditions for efficient gene delivery and expression in each target cell lines with consideration to cellular properties.
        4,000원
        27.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rehend the plasma proteins expressed specifically during early pregnancy in pregnant or non-pregnant Hanwoo using proteomic analysis technique. Plasma samples (0, 2, 3, 4, 7, and 11 weeks after AI) were obtained from pregnant (P, n=3) or non-pregnant (NP, n=4) Hanwoo, respectively. To evaluate proteins differentially expressed,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2DE) was conducted. Normalized protein spots were selected for the significant expression variation deviated over two fold in its expression level between two groups. Molecular functions of the proteins were DNA binding, protein binding, hemoglobin binding, ferrochelatase and transporter activity and arylestera, respectively. According to western blotting, haptoglobin was specifically expressed only in NP group during early pregnancy; however, paraoxonase 1 was highly expressed in pregna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pregnancy was maintained successfully by the activation of specific plasma proteins associated with immune system and antioxidant regulation during early pregnancy in Hanwoo
        4,000원
        31.
        2009.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ing Proteins in Granulosa Cells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in Pig In-Soon Chae1, Dong-Min Jang3, Hee-Tae Cheong2, Boo-Keun Yang1 and Choon-Keun Park1,† 1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2School of Veterinary Medicin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701, Korea 3CHA Stem Cell Institute, CHA Hospital, Seoul 463-712, Korea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change of proteins in granulosa cells during the porcine follicuar development by proteomics techniques. Granulosa cells of the follicles, of which the diameter is 2~4 mm and 6~10 mm, were collected from ovary of slaughtered pig that each follicle of diameter 1~4 mm and 6~10 mm. We extracted glanulosa cell proteins by M-PER Mammalian Protein Extraction Reagent. Proteins were refined by clean-up kit and quantified by Bradford method until total protein was 200 μl. Immobilized pH gradient(IPG) strip used 18 cm, 3~10 NL. SDS-PAGE used 10% acrylamide gel. After silver staining, Melanie 7 and naked eye test were used for spot analyzation. Increasing proteins in glanulosa cell of 6~10 mm follicle were 7 spots. This spots were analyzed by MALDI-TOF MS and searched on NCBInr. In results, 7 spots were similar to zinc/ling finger protein 3 precursor (RING finger protein 203), angiomotin, heat shock 60 kDa protein 1 (chaperonin) isoform 1 (HSP60), similar to transducin-like enhancer protein 1 (TLE 1), SH3 and PX domains 2A (SH3PXD2A). Those proteins were related with transfer between cells. Increase of proteins has an effect on follicular development.
        4,000원
        3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온과 고습 조건 하에서 양파 화구의 총 단백질 발현과 원형질막 H+ATPase 영향을 조사하고자 조생종 '신선황'과 중생종 '맵시황'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신선황'과 '맵시황' 품종의 양파 회구 개화전, 반개화, 그리고 만개 단계에서 단백질의 양생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결실 단계에서는 유도 및 비유도되는 단백질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양파 화구 개화 후 실시한 고온과 고습처리 18일째의 양파두 품종의 단벡질도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고온처리구에서 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원형절막 H+ATPase 발현을 western-blot으로 살펴본 결과, '신선황' 과 '맵시황'의 경우 대조구에서 원형질막 H+ATPase 단백질 발현이 유지 되는 반면에, 고온처리구에서는 두품종 모두 원형질막 H+ATPase가 발현 되지 않았다. 고습처리구에서 중생종 '맵시황'약 원형질막 H+ATPase는 발현 되었는데 조생종 '신선황'에서 발현되지 않았다. 이는 양파 종자 성숙단계에서 고온 조건을 조우하면 고습처리 보다는 단백질 및 원형질막의 H+ATPase피해가 더 심각함을 보여 주는 결과이다.
        4,000원
        35.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PRRSV)는 당단백질(GP)2, 3, 4, 5, 및 막단백질(M), 그리고 뉴클레오캡시드(N) 등 6개의 구조단백질을 내포하고 있 으며 이들은 각각 ORF2-7 으로부터 암호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누에 핵다각 체병 바이러스(BmNPV)의 다각체 단백질 프로모터와 6개의 히스티딘 단편이 부착된 새로운 전이벡터인 pBmKSK4를 제작하여 각각의 구조단백질을 발현 시켰다. 목적유전자와 재조합된 전이벡터는 Bm5 세포에 bBpGOZA와 cotransfection 시킨 후, 순수 재조합 바이러스를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발현된 각각의 단백 질은 SDS-PAGE 분석 및 항-히스티딘 항체와 PRRSV 항체를 사용한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N 단백질만이 SDS-PAGE 상에서 발현이 가능하였고 나머지 구조 단백질은 항체수준에서만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GP5는 다른 단백질에 비해 발현이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는데, 그 이 유는 GP5 단백질의 Bm5 세포에 대한 독성으로 추정되었다. 각 단백질 발현 율의 향상을 위해 SUMO 유전자를 도입한 결과, 항원단백질의 발현율이 기존 보다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베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한 각 구조단 백질의 높은 발현은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효과적인 백신 개발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38.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재배 작물의 주요 화분매개곤충인 땅뒤영벌의 난황단백질(Vitellogenin; Vg)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휴면 및 사회성에 따른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클로닝한 Vg 유전자의 일부분은 꿀벌 및 기생벌의 Vg와 높은 유사성을 나타냈다. Northern blot을 통해서 Vg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조사해 본 결과 우화한 여왕벌은 교미를 했으나 휴면 전 단계에는 난소가 발달하지 않았고 Vg 발현이 아주 저조했다. 그러나 3개월 동안 저온에서 휴면기간을 지내고 난 뒤에 상온에서 산란유도를 했을 시에는 Vg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여왕벌의 휴면 전 단계(우화후 6일간)와 여왕벌의 지배를 받지 않은 같은 나이의 일벌을 대상으로 Vg 유전자의 발현패턴을 비교한 결과, 우화한 이 후 여왕벌은 Vg 발현이 저조한 반면 일벌은 증가하였다. 또한 여왕벌의 몸무게에 따라서 Vg의 발현이 차이가 있었다. 즉, the heavy group(>0.9g)은 Vg 발현이 저조한 반면 휴면에 들어가지 않는 the light group(<0.7g)은 증가하였다. 땅뒤영벌의 유약호르몬인 JH-III를 먹이에 혼합하여 휴면 전 단계인 여왕벌을 습식시킨 결과 0.1μM 농도에서 Vg 유전자의 발현이 촉진되었다. 하지만 다른 농도에서는 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Vg 유전자의 발현패턴은 여왕벌의 휴면생리와 관련하여 차이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성에 의한 영향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유약호르몬의 습식에 의한 Vg의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보아 호르몬처리에 의한 여왕벌의 휴면타파를 예상할 수 있으며 휴면기작 연구를 위한 분자 마커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9.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pattern of inhibitor of DNA binding proteins (Id)1 and Id2 mRNA on folliculogenesis in rat ovary. The ovaries were obtained from 27 days old Sprague-Dawley rat, fixed, dehydrated, and paraffin embedded. For in situ hybridization, anti-sense and sense Idl and Id2 cRNA probes were prepared and applied to the ovarian section. The ovarian sections were coated with NTB-2 emulsion. After that, the slides were developed and counter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In oocytes, the hybridizational signals of Id1 mRNA were strong in primordial and primary follicles, however, there were no signals in that of atretic or preovulatory follicles. The Id2 mRNA signals were also strong in the oocytes of primordial, primary and secondary follicles. Interestingly, the Id2 mRNA was expressed specifically granulosa cells, but nor in oocyte or theca cells in dominant and preovulatory follicles. Based on these results, Id1 and Id2 mRNA was expressed specifically at follicle stages and follicular tissue and might be closely related with follicle development.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