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22

        64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레몬그라스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레몬그라스 분말 0%, 1%, 3%, 6%, 9%를 첨 가하여 머핀을 제조하였다. 머핀의 높이, 부피 및 비체적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레몬그라스 분말 첨가군의 수분 함량과 점도는 대조군과의 유의적 차이가 나 타내지 않았으며, 색도 측정 결과, 명도와 황색도는 레몬그라 스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Texture를 측정한 결과, 레몬그라스 분말의 씹힘 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관능검사는 색, 향, 맛, 조직감, 기호도를 측정했으며, 그 결과 3% 첨가군에서 가 장 높은 관능검사 결과를 보여주었다. 레몬그라스 머핀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레몬그라스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므로, 레몬그라스의 첨 가가 머핀의 기능성에 좋은 영향을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4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숙성 온도와 기간에 따른 마늘의 품질특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통마늘을 60℃에서 60일간, 70℃에 서 40일간 숙성 처리하여 pH, 총산도, 갈변도, 5-HMF 함량, fructose 함량, SAC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및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하였다. 숙성 온도가 높고 숙성 기간이 길어질 수록 마늘의 pH는 감소하고, 총 산도, 갈변도 및 5-HMF 함량 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5-HMF 함량은 60℃ 숙성 처리 시 0.08~3.30 mg/100 g으로 증가량이 적은 반면, 70℃ 숙 성 처리 시 0.05~106.07 mg/100 g으로 숙성 25일차부터 급격 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uctose 함량은 60℃의 숙성 온도에서는 0.77~14.57%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70℃ 숙성 온도에서는 30일차까지 1.07~19.75%까지 증가 후 15.11% 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AC 함량은 생마늘의 경우 48.11 mg/100 g이었으며, 60℃에서 20일 숙성 시 100.50 mg/ 100 g으로, 70℃에서 5일 숙성 시 85.55 mg/100 g까지 증가한 후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SAC 함량은 감소하였다. 생마늘 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8.38 mg/100 g이었고, 60℃ 숙성 처 리 시 591.82 mg/100 g까지, 70℃ 숙성 처리 시에는 665.22 mg/100 g까지 생마늘에 비해 각각 6.01배 및 6.67배 증가하였 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의 경우, 숙성 온도가 높고 숙성 기 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마늘 섭취 가 용이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숙성 마늘 제조를 위해서 는 70℃에서 30일, 숙성 마늘의 유효성분인 SAC의 다량 생산 을 위해서는 60℃에서 15일간 숙성 처리하는 하는 것이 적합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상의 결과는 항산화 효과가 강화 및 SAC 함량 증진 등 선택적인 숙성 마늘의 제조에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4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lorella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a Korean traditional cookies). Maejakgwa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chlorella powder (in ratios 0, 1, 2, 3, and 4% of flour quantity). The moisture, crud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f used chlorella powder were 2.38, 7.25, 65.95, and 0.95% respectively. The pH of maejakgwa dough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 of chlorella powder increased; however, density of the batter, spread factor values, and moisture contents of the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higher level of the chlorella powder. In addition,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chlorella powder. In the texture meter test, hardnes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hlorella powder. Finally, maejakgwas containing 1~2% chlorella powder had the highest sensory evaluat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chlorella powder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s well as functionality of maejakgwas.
        4,000원
        644.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strodia elata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with barley malt. Grain syrups with 0, 2.5, 5, 7.5, and 10% Gastrodia elata powder were produced. The pH value decreased with higher volume of Gastrodia elata powder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p<0.05).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77.45~129.25 mg/100 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36.70~57.09 μmol. Sensory score of Jochung containing 2.5% Gastrodia elata powder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Jochung containing less than 7.5% Gastrodia elata powder gave the highest scores in term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The data from different procedur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multivariate techniques (correlation matrix,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nalyzed paramete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4,200원
        645.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버섯가루(Lentinus edodes powder, LE)첨가량 (0~1%)과 지방대체재를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의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인 성상과 관능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기존의 유화형 소시지와 유사한 성상을 갖는 저지방 처리구를 선별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LE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낮아졌으 나,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유리수분양이 많아졌으며, 특히 LE를 0.5% 이상 첨가할 때, 지방대체 재가 함유된 저지방 소시지 LE 무첨가 조건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LE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 적으로 조직감이 낮아졌으며, 특히 0.5% 이상 첨가할 때, 유화형 및 저지방 소시지 대조구와 지방대체 재를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 LE 무첨가 조건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이러한 보수성과 조 직감의 감소는 관능성상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제품의 결함이 없는 기능성 저지방 소시 지를 제조하기 위한 LE 첨가량은 0.25%이하로 제안하였다.
        4,000원
        64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돈피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돈피를 4% 첨가한 처리구 1, 8% 첨가한 처리구 2, 12% 첨가한 처리구 3으로 돈피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제조된 유화소시지를 4±1℃의 냉장온도에 저장하면서 15일간 5일 간격으로 이화학적 성질, 저장성 실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제품 제조시 돈피를 지방 대체제로 사용하여 돈피의 첨가 비율만큼의 지방은 제외하였다. 지방의 비율이 낮아지고 돈피 첨가수준 이 높아짐에 따라 pH, 전단가, 경도, 검성와 씹힘성은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했고, 지방산패도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와 휘발성 염기태질소(VBN: volatile basic nitrogen)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전 저장기간 동안 가식권에 있 었다. 관능평가에 있어서는 돈피를 8%를 첨가한 처리구 2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저장기간이 경 과함에 따라 포장 감량(purge loss), 연도, 경도, 검성, 씹힘성은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 나(p<0.05), TBARS와 VBN은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H는 대조구에서는 증가했으나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조구와 전 처리구에서 이화학적 성질 이 가식권 내 값을 유지하므로 관능평가에서 잠재적인 소비자들에게 우수한 기호성을 획득한 돈피 함량 이 8%가 최적의 첨가량임을 알 수 있다.
        5,500원
        64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 의무화 제도(RFS)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제도 (RPS)를 적극 추진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연료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부각되고 있으며 적극적 인 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이의 일환으로 발전용 바이오중유 시범보급사업과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중유의 성능평가기준(안) 마련을 위해 중유와 바이오중유의 연료품질 특성 및 산업용 보일러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먼지, 배출가스의 양을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바이오 중유를 사용할 경우 먼지와 황산화물 등 유해배출가스가 현저히 저감 되는 것이 밝혀졌다.
        4,200원
        64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4년 서울시에서 유통 되고 있는 볶은 원두커피 50건에 대하여 pH, 총산도, 납,카드뮴, 카페인,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였다. pH는 4.72~5.25의 범위에서 평균 4.99를 나타내었고, 배전정도에 따른 pH는 약배전 4.85, 중배전 4.98, 강배전 5.07로 나타났다. 총산도는 평균 1.59%였으며 최소 0.72%에서 최대 2.25%였다. 배전정도에 따른 총산도는 약배전 1.75%, 중배전 1.56%, 강배전 1.39%로 나타났다. 납, 카드뮴 평균 함량은 각각 0.0112 mg/Kg, 0.0011 mg/Kg 이었으며 납 함량은 최소 불검출에서 최대 0.0535 mg/Kg 이었고. 카드뮴 함량은 최소 0.0010 mg/Kg 에서 최대 0.0069 mg/Kg 이었다. 배전정도에 따른 납 함량은 약배전에서 0.0690 mg/Kg, 중배전에서 0.0195 mg/Kg, 강배전에서 0.0129 mg/Kg로 나타났다. 카드뮴의 함량은 약배전에서 0.0005 mg/kg, 중배전에서 0.0017 mg/kg, 강배전에서 0.0032 mg/kg로 나타났다. 시료의 평균 카페인 함량은 12.29 mg/mL이었으며, 최소 0.51 mg/mL 최대 20.28 mg/m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배전 정도에 따른 평균 카페인 함량은 약배전일 때 12.00 mg/mL, 중배전일 때 12.39 mg/mL, 강배전일 때 12.48 mg/mL을 나타내었다. 생산 국가별로 카페인 함량은 이탈리아 커피의 카페인 함량 평균이 15.58 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국산 커피의 카페인 함량 평균이 11.02 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시료의 평균 총 폴리페놀 함량은 31.94 mg/mL이었으며, 최소 18.88 mg/mL 최대 43.90 mg/m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배전 정도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약배전 일 때 평균 함량이 34.60 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강배전일 때 평균 함량이 29.72 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산 국가별 총폴리페놀 함량 평균이 37.75 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브라질 커피의 총 폴리페놀 함량 평균이 27.84 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000원
        649.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처리 온도와 압력 조건에 따라 초임계 이산화탄소(SC-CO2) 처리한 동결 건조 소간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무기성분은 SC-CO2 처리에 의해 다소 감소한 Cu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Vit A는 SC-CO2처리에 의해 다소 감소하였지만, vit B3는 처리에 의해 모든 조건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45℃, 450bar에서는 13.20mg/10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 전 7.16mg/100g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소간 내 지방의 추출 수율은 SC-CO2 처리 시 온도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SC-CO2 처리에 의해 취득한 소간유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43.20~55.82%), Linoleic acid(9.25~16.80%) 그리고 Myristic acid(5.16~10.54%)로 나타났다. 또한, 17종의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45℃에서 SC-CO2를 처리하였을 때 아미노산의 손실이 적게 일어났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SC-CO2는 낮은 수분함량에서도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최소화 하였다. 이에 따라 SC-CO2 처리는 식품산업에서 부산물인 소간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고부가가치 식품으로써 다양한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50.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antioxidant rich collagen powder in the color, sugar contents, textur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electronic nose detected flavor. L value and a value kept decreased as the more collagen powder was added in the yanggaeng while b valu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same time. Sugar conten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3 °Brix in the control to 48% in the 10% treatment (p<0.05). Hardness in the 10% treatment of collagen powder increased biggest among the treatments but springiness decreased when hardness increased. And adhesive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also increased with more the collagen powder in the treatments, therefore 10% treatment showed biggest result significantl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kept increased with higher addition of collagen powder and it resulted 60%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10% treatment. In the flavor test under electronic nose experiment, 10% of collagen powder treatment was believed it flavored most for it was found in the furthest from the AIR location. Control was found also in the nearest from the AIR, which meant it has least flavor than any other treatment. Also 2.5% and 5% of collagen powder added treatments showed little differences of flavor from control, which meant 5% of treatment was believed idea condition in the treatments. With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5% of collagen powder treatment in the yanggaeng manufacturing was chosed as the best mixture ratio in the test.
        4,000원
        651.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확과정에서 버려지고 있는 고구마 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밀가루 중량 대비 고구마 잎 분말을 2, 3, 5, 7%의 비율로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 하고, 반죽 및 제빵 특성, 생리활성 및 기능성분 등을 조사하 였다. 반죽의 수분흡수량은 7% 첨가 시 가장 높았고, 반죽시 간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반죽의 저항도는 2~3% 첨가할 때가 가장 안정적이었다. 식빵의 수분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하여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식빵의 내부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나, b값은 증가하였다.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 및 굽기 손실률은 첨가량 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항산화 활성과 총 폴리페놀, 루 테인 및 베타카로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 고 구마 잎 분말의 2~3% 첨가 시 맛과 색깔, 조직감, 입안에서의 씹힘성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값을 얻었다. 이 상의 결과에서 고구마 잎 분말의 2~3% 첨가 시, 제빵 적성과 기능성, 상품성이 우수한 식빵을 제조할 수 있었다.
        4,000원
        652.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and industrialize functional foods containing peanut sprout extract (PSE) and powder (PSP),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breads prepared with 0, 0.5, 1, 2, 2.5, 5, 7.5, and 10% PSE and PSP. The expansion ratio of the dough, the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volume, weight, specific volume, baking loss, color, texture, and sensory preference were evalua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read volume and specific volume among the control, PSE and PSP groups (p<0.001). Additionally, the weight and baking loss were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PSP (p<0.001). As the amount of PSE and PSP were increased, the L value of the crumb decreased, whereas the a and b values of the crumb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suggesting that the crumb color of the bread may be significancy (p<0.001). As the amount of PSE and PSP increased, the hardness of bread significantly and rapidly increased from 5%.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springiness among the control, PSE and PSP groups. The total resveratrol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the bread significantly increased depending on the amounts of PSE and PSP (p<0.001). In the overall acceptance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lor, flavour, or texture, however, the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PSE group. All the sensory characteristics in the PSP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trol.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uitable amount of PSE and PSP substituted for wheat flour will be from 1.0 to 2.5%. Furthermore, follow-up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continuously.
        4,500원
        65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termine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ork rinds according to the breeds, the chemical composition, color, pH, collagen contents, shear force, fatty acid and amino acid contents of pork rinds were investigated. White pork rinds (WPR) and black pork rinds (BPR)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heating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breeds and the effects of heating treatment. In the chemical composition test, the respective moisture contents for WPR and BPR before heating were 49.90% and 53.75% but increased to 60.75% and 61.09% after heating. The test for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showed lower values after heating but WPR was higher than BPR. In the color test, the L value decreased rapidly with heating, dropping from 68.75 to 45.11 in WPR and from 67.22 to 49.64 in BPR. WPR had a higher L value and a lower a value than BPR before heating but had a higher L value and a lower a value than WPR after heating. p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PR than BPR regardless of heating (p<0.05). The collagen content for WPR and BPR was 10.38 g/100 g and 11.54 g/100 g but increased to 12.00 g/100 g in WPR and decreased to 11.40 g/100 g in BPR after heating. The shear force of 26.14 kgf in WP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12.89 kgf in BPR before heating (p<0.05), but the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heating in both WPR and BPR. Linoleic acid in WPR was 17.29%, which was higher than 15.13% in BPR. The USFA for BPR was also higher than WPR. In amino acid composition, the EAA contents in WPR was 7,190 mg%, which was higher than 5,520 mg% in BPR.
        4,000원
        654.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east meat from spent hens (SP) in comparison with the same part from the broilers (BR). The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for SP were 72.56% and 24.26%, which were lower than 75.87% and 24.64% for BR. Crude fat and crude ash contents in SP were 0.45% and 1.00%, which were higher than the BR contents of 0.41% and 0.51%. The respective L, a and b value for SP were 48.61, 2.40 and 2.42, which were lower than the BR values of 49.41, 1.45 and 3.06 respectively. The pH for SP was 5.89, which was higher than pH 5.79 for BR. The WHC for SP was 50.29%,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BR at 62.31%. SP scored 28.04% in the heating loss test,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19.09% for BR. The shear forces for SP and BR were 4.86 kg and 1.36 kg respectively, which meant that the texture of SP was much tougher than that of BR. Hardness for SP was 8.89 kg while that of BR was 3.92 kg indicating that the SP texture is firmer than that of BR. Oleic acid was most abundant fatty acid in both samples and was at 44.15% in SP and 27.68% in BR.
        4,000원
        655.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consumers are aware of their health and are more consciou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gri-foods obtained from organic agricultural practic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ueberries. The weight, length, moisture contents, color (Hunter L, a, b), soluble solids contents, pH, and acidity were measured for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nalyz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of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grown blueberries. Organically grown blueberries showed a greater weight, soluble solid contents, and pH than conventionally grown ones. Especially, organically grown blueberries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weight and pH. Moisture contents of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grown blueberries were similar. L and b values of organically grown blueberr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ventionally grown blueberrie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rganically grown blueberries (36.4%)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ventionally grown ones (36.4%),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evaluate other differences between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grown blueberries.
        4,000원
        656.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investigate is preference of beetroot cookie is preferred by consumers and can help to replace calcium, which is depleted because of the stress. As the amount of beetroot powder is increased, pH value, spread factors, loss and leaving rates, and texture properties of cookies were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measuring of colorimetric characteristics, the values of “L”, “a”, “b” were all decreased as the amount of beetroot powder was increased. The cookies containing 30% of beetroot powder was estimated as the most suitable to eat because of the flavor, color, and taste of the beetroot. But cookies having 20% of beetroot powder were estimated as the best to eat because of the texture, sticking power, hardness, and genera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okies containing 20% of beetroot powder were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cookies to eat.
        4,000원
        657.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treatment conditions of butterbur stem such as blanching, freezing, and thawing were studied to optimize it for producing frozen butterbur stem to improve its storage ability. Butterbur stems were hot water blanched at 100oC for 3, 5, or 7 min respectively and then soaked in cold water. After peeling out and cutting into blocks (4.5×1.0×0.5 cm), butterbur stems were air-dried for 5, 10, or 15 min respectively. Dried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With blanching, the hardness value increased from 2.91 kg to 3.64 kg (p>0.05); however, adhesiveness decreased drastically after 5 min of blanching (p<0.05), which changed to a crisp texture. In addition, considering oth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it was assumed that 5-min blanching was optimal pre-treatment to maintain the original quality of butterbur stem for freezing. Five-minute blanched butterbur stems were airdried 5 min, frozen and thawed with several methods, and analyzed for their properties. Considering the thawing loss, hardness, and color change, the fastest freezing and thawing method had the lowest changes on the quality of frozen butterbur stem. Therefore, to produce frozen butterbur stem, it was assumed that immersion freezing and running water or room temperature thawing (25oC) were the best process.
        4,000원
        658.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표는 유자박 올레오레진, 비타민, 미네랄이 첨가된 유자 젤리 제조 시 설탕 및 자일리톨의 함량 차이가 유자 젤리의 외관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유자 젤리는 유자 착즙액에 젤라틴, 유자박 올레오레진, 비타민, 미네랄을 첨가하고 이때 설탕 및 자일리톨의 조성을 각각 0, 25, 50%의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자 젤리의 특성분석을 위하여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측정하였고, 저장 기간에 따른 유자 젤리의 견고성, 점성, 탄성, 점착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유자 젤리는 설탕의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명도가 낮고 견고한 젤리가 제조되었고, 유자박 올레오레진을 첨가하였을 때 명도가 낮고 부드러운 젤리가 제조되었다. 유자 젤리는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설탕보다 자일리톨의 첨가 비율이 높은 시료에서 당 석출 정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설탕과 자일리톨의 비율이 각 25%일 때 유자 젤리의 외관 및 물성 변화가 최소화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유자 젤리 제조 방법은 유자박의 활용성 제고 및 고부가가치 유자 가공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