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5

        101.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채종재배(採種載培)에 적합(適合)한 파종시기(播種時期)와 피복(被覆)을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生育), 추태율(抽苔率), 개화율(開花率), 화경당(花莖當) 소화수(小花數) 및 임실율(稔實率)은 9월(月)10일(日)~ 25일(日) 파종(播種), 투명(透明) 비닐피복(被覆) 하(下)에서 가장 양호(良好) 하였다. 2. 주당(株當) 채종량(採種量) 및 10a당(當) 채종량(採種量) 역시(亦是)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증수(增收)여서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는 양파모구(母球)를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파종(播種) 하는 것이 적합(適合)한 것으로 나타났다.
        102.
        199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황금재배시(黃琴栽培時) 적정(適正) 파종기(播種期)와 재식밀도(栽植密度)를 구명(究明)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을 개선(改善), 보완(補完)하고 수양(收量)을 증대(增大)시켜 안정생산(安定生産)에 기여(寄與)하고자 여천종(麗川種)을 공시(供試)하여 책시(責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률(出芽率)은 비닐피복(被覆) 재배(栽培)가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에 비하여 48% 높았고 비닐피폭(覆栽) 재배시(栽培時) 파종기(播種期) 및 피복(被覆) 재료(材料) 간(間)에는 5월(月) 10일(日일) 파종(播種)이 93%, 투명(透明)P.E피복재배(被覆栽培)가 90%로서 가장 높았으며 무피복(無被覆) 재배(栽培)에서는 4월(月) 1일(日) 조기파종(早期播種)에서 양호(良好)하였다. 2. 개화기(開花期)는 4(월)月 1일(日) 조기파종(早期播種)과 투명(透明)P.E피복재배(被覆栽培)가 빠른 경향(傾向)이었고 개화(開花) 소요(所要) 일수(日數)는 5월(月) 10 일(日) 파종(播種)에서 74~80일(日) 로 가장 짧았다. 3. 동엽중(童葉重)등 지상부(地上部) 생육양(生育量)과 주근장(主根長), 근경(根徑), 상근수(上根數)등 지하부(地下部) 생육양(生育量)은 파종기(播種期) 간(間)에는 4월(月) 20일(日,) 피복(被覆)비닐 종류간(種類間)에는 흑색(黑色)P. E 피복재배(被覆栽培)가 증가(增加)되었다. 4, 건근수양(乾根收量)은 파종기(播種期) 간(間)에는 4월(月)20일(日) 파종(播種)이 4월(月) 1일(日) 파종(播種)(109.Sfg/10a)에 비해 5% 증수(增收) 가져 왔으며 피복재료(被覆材料) 간(間)에는 흑색(黑色)P.E피복재배(被覆栽培)가 투명(透明)P.E 피복재배(被覆栽培) (99.4kg/10a) 대비(對比) 13% 증수(增收)를 보였고 무피복(無被覆) 재배(栽培)에서는 4월(月) 1일(日) 조기파종(早期播種)에서 가장 증수(增收)를 나타냈다.
        103.
        199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울릉도(鬱陵島)에서 생산(生産)된 일천궁(日川芎)과 봉화지방(奉化地方)에서 재배(栽培)된 토천궁(土川芎)을 공시(供試)하여 차광(遮光)과 비닐피복(被覆)이 생육(生育)과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한 시험(試驗)을 2개년간(個年間)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차광효과(遮光效果)에 대한 시험(試驗) 가. 주당분핵수(株當分核數)는 무차광(無遮光)에 비해 차광구(遮光區)가 많았으며 지상부(地上部)의 생체동엽중(生體童葉重)은 일천고(日川考)은 무차광(無遮光)에 비해 35%, 55%차광(遮光)에서 증가(增加)되었고, 토천궁(土川芎)은 차광(遮光)으로 인해 오히려 감수(減收)되는 경향(傾向)이었다. 나. 하고현상(夏枯現象)은 일천궁(日川芎)의 경우 무차광(無遮光)에 비해 55%, 75%차광(遮光)에서 경감(輕減)되었으며 토천궁(土川芎)에서는 무차광(無遮光)과 차광처리(遮光處理)간에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다. 10a당(當) 건근수양(乾根收量)은 토천궁(土川芎)은 처리간(處理間)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일천궁(日川芎)에서는 무차광(無遮光) 254kg에 비해 35% 차광(遮光)이 17%, 55%차광(遮光)이 19%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어 천궁(川芎) 차광재배시(遮光栽培時)의 적정차광비률(適正遮光比率)은 35~55%였다. 2. 비닐피복효과(被覆效果)에 대한 시험(試驗) 가. 출현률(出現率)은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이 무피복(無被覆)에 비해 일천궁(日川芎)은 98%, 토천궁(土川芎)은 94%로 가장 높았으며 투명(透明)비닐은 출현기(出現期)의 고온(高溫)으로 인해 오히려 낮아졌다. 나. 지상부(地上部)의 생체경엽중(生體莖葉重)은 일천궁(日川芎)이 무피복(無被覆) 177kg/10a에 비해 피복구(被覆區)가 194~241kg으로 증가(增加)하였고, 토천궁(土川芎)도 무피복(無被覆) 310kg에 피복구(被覆區)가 456~574kg으로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하였다. 다. 10a당(當) 건근수양(乾根收量)은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이 무피복(無被覆)에 비해 일천궁(日川芎)은 32%, 토천궁(土川芎)은 30% 증수(增收)되어 가장 높은 피복(被覆)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104.
        199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패모(貝母)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피복재료(被覆材料)를 구명(究明)하고자 지방(地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92~'93년(年)에 휴폭(畦幅) 200cm(4열(列)), 주간(株間) 9cm(m2 22구(球))로, 시비양(施肥量)은 마늘 전용(專用) 복합비료(複合肥料)(N-P-K=9-14-10)를 10a당(當) 80kg을 전량(全量) 기비(基肥)로 하였고, 피복(被覆) 재료(材料)는 퇴비(堆肥) 3,000kg, 볏짚 300kg, 30% 차광강(遮光綱), 흑백(黑白) P.E, 흑색(黑色) P.E 녹색(綠色) P.E 피복(被覆), 무피복(無被覆) 등(等) 7처리(處理)로 실시(實施)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지온(地溫)은 무피복(無被覆)보다 모든 피복처리(被覆處理)에서 낮았으며, 토양수분(土壤水分)은 무피복(無被覆)보다는 퇴비(堆肥), 볏짚 피복(被覆), 흑색(黑色) P.E 피복(被覆)에서 많았으나. 흑백(黑白) P.E 피복(被覆)은 적었다. 2. 출현기(出現期)는 처리간(處理間)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草長(초장)은 무피복(無被覆)에 비(比)하여, 퇴비(堆肥) 3 000kg/10a 30% 차광강(遮光綱) 피복(被覆)에서 4~7cm 길었으나, 특(特)히 흑백(黑白) P.E 피복(被覆)에서는 41cm로 가장 짧았다. 3. 경수(莖數)는 무피복(無被覆)보다 30% 차광강(遮光綱) 피복시(被覆時) 적었으나, 흑백(黑白) P.E, 흑색(黑色) P.E, 녹색(綠色) P.E 피복(被覆) 등(等)은 많았으며, 엽수(葉數)는 무피복(無被覆)보다 30% 차광강(遮光綱)에서 적었고, 흑백(黑白), 흑색(黑色), 녹색(綠色) P.E 피복(被覆)에서 많았다. 4. 구고(球高), 구폭(球幅)은 무피복(無被覆)에 비(比)하여 30% 차광강(遮光綱) 피복(被覆)이 가장 적었고, 퇴비(堆肥) 3,000kg, 볏짚 300kg, 흑백(黑白) P.E 피복(被覆)에서 컸으므로, 총수량(總收量)은 무피복(無被覆) 585kg/10a에 비(比)하여 퇴비(堆肥), 흑색(黑色) P.E, 녹색(綠色) P.E 피복(被覆)은 8~11% 증수(增收)되었고, 상품수량(上品收量)은 무피복(無被覆) 228kg/10a 보다 51~64% 증수(增收)되었으므로, 중북부(中北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패모(貝母) 재배(栽培)는 녹색(綠色) P.E, 흑색(黑色) P.E, 퇴비(堆肥) 3,000kg 피복(被覆) 재배(栽培)가 유리(有利)한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105.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0~92년간 남부지방 식방풍 재배시 3요소 시용랑및 피복처리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1. 3요소 시용량 시험 가. 3요소 각각 결제에 의한 수량 감수율은 질소〉인산〉칼리순으로 적었다. 나. 식방풍뿌리중 회분 함량과 질소 시비랑과는 부의 유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칼리 시용량과는 정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 남부지방에서 식방풍 일년생 수확시 시비적량은 N-P2O5-K2O=21-13-10kg/10a이었다. 2. 피복효과시험 가. 흑색비닐피복에서 출현율이 무피복 80%보다 6% 낮으나 수량이 7%정도 증수하므로 남부 지역에서는 흑색비닐피복재배가 좋을것으로 생각하며 투명비닐피복재배는 출현율이 낮아 수량이 25% 감수하였다. 나. 피복재료에 따른 식방풍의 품질조사결과 회분, 산불용성회분 및 엑기스 함량은 피복재료간 차이가 없었다.
        106.
        199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의 목화 재배체계 및 안전다수확을 위한 지초자과를 얻고자 Vinyl 피복과 무피복 재배아래서 재식밀도 차이에 따른 생육, 수량 및 면모의 발생등을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경장, 결과피수, 삭수m2 당 삭수 등의 모든 형질이 Vinyl피복구에서 우수하였으며m2 당 삭수는 Vinyl피복구에서나 무피복구에서나 70×10cm재식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2. 실면수량과 1삭실면중 역시 Vinyl피복구에서 높았으며 실면수량은 Vinyl피복구와 무피복구 모두 70×10cm재식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3. 섬유장, 섬유비율 모두 Vinyl피복의 결과가 인정되었으며 섬유장은 주문거리가 넓을수록 길었다.
        107.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地黃) 재배시(栽培時) 파종기(播種期)와 피복재료(被覆材料)가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지방종(地方種)을 공시(供試) 하여 파종기(播種期)를 4월(月) 10일(日), 4월(月) 25일(日), 5월(月) 10일(日), 피복재료(被覆材料)는 백색투명(白色透明) P. E.피복(被覆), 볏짚 피복(被覆) 재배(栽培)로 시험(試驗)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온(地溫)은 4월(月)부터 9월(月)까지는 백색투명(白色透明) P. E. 피복(被覆)> 노지(露地)> 볏짚피복(被覆)의 순(順)으로 높았다. 2. 출현(出現) 소요일수(所要日數)는 파종기간(播種期間)에는 대차(大差) 없었으나, 볏짚피복(被覆)은 노지(露地), 백색(白色) P. E. 피복(被覆)보다 10일(日) 정도(程度) 늦어졌다. 3. 엽장(葉長), 엽폭(葉幅)은 파종기(播種期), 피복재료간(被覆材料間)에 큰 차(差)는 볼 수 없었으며, 생존업수(生存業數)는 파종기(播種期)에서는 4월(月) 25일(日)>5월(月) 10일(日)> 4월(月) 10(일)日의 순(順)으로 감소(減少)되었다. 4. 뿌리 부위별(部位別) 당함양(糖含量)은 파종기간(播種期間)에는 5月(월) 10(일)日> 4月(월) 25일(日)> 4월(月) 10일(日) 순(順)이었고, 피복재료간(被覆材料間)에는 노지(露地)> 백색투명(白色透明) P. E. 피복(被覆)> 볏짚피복(被覆)의 순(順)이었다. 5. 10a당(當) 수양(收量)은 파종기간(播種期間)에는 4월(月) 10일(日) 파종(播種) 1, 150kg /10a에 비(比)하여 4월(月) 25일(日) 파종(播種)은 8% 증수(增收)되었지만 5월(月) 10일(日) 파종(播種)에서는 2% 감수(減收)되었으며 피복재료간(被覆材料間)에는 노지재배(露地栽培) 1,041kg에 비(比)하여 백색투명(白色透明) P. E. 피복(被覆) 재배(栽培)는 22%, 볏짚피복재배(被覆栽培)는 17%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다.
        108.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991년부터 1992년까지 2년간 경상북도 농촌진흥원 특용작물 시험포장에서 봉화 지방종의 식방풍을 공시하여 무피복 파종시기 및 피복 재료와 흑색비닐피복 파종기, 재식밀도를 구명키 위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피복 파종기는 관행 3월 30일 파종보다 3월 20일 파종이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건근수량이 8%나 증수되었다. 2. 흑색비닐피복이 무피복에 비해 출현기간이 단축되고 주근장, 근직경, 건근비율이 높아 건근 수량이 10%나 증수되었다. 3. 흑색비닐 파종적기는 관행 3월 30일의 10a당 건근수량이 548kg인데 비해 3월 20일 파종에서 6% 증수되었다. 4. 식방풍의 재식밀도는 관행 30×20cm의 10a당 건근수량이 388kg인데 비해 20×15cm가 50% 증수되었으며 10a당 재식주수는 3.333주이었다.
        109.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本) 시험(試驗)은 1992년 충남(忠南) 농촌진흥원(農村振興院) 특작(特作)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수행된 결명(決明) 적기파종(適基播種) 구명(究明)과 피복재료(被覆材料) 선발(選拔)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대전 중부지역 결명 파종적기는 5윌 18일 파종이 가장 수량이 많았고, 6윌 하순도 10a당 273kg까지 생산이 가능하여 맥후작으로 이용할시 유리한 작물로 사료되었다. 2. 피복 재료 선발은 무피복대비 전구에서 수량성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관행(무피복)보다 수량이 20~53% 증수되었고 흑색 PE는 잡초제거 노력을 경감하여 생력화 할 수 있었다. 3. 결명은 조기파종시 결명 입고병이 조금 발생할뿐 파종기, 피복재료에 관계없이 농약사용없이 무공해 농산물이 생산 가능하였다.
        110.
        199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야콘의 재배기술의 확립을 위하여 멀칭효과 및 재식밀도 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생육은 7월 중순부터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밀칭구나 비멀칭구에서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초장의 생육이 양호하였고, 특히 70 × 55cm에서 가장 좋았다. 2. 측지수는 정식 후 3개월부터 발생하였으며, 멀칭 및 재식밀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야콘괴경의 생체수량은 멀칭구가 비멀칭구 보다 높았으며, 멀칭구에서는 70×40cm구가 3561.7kg으로 가장 높았다. 4. 괴근수는 멀칭구에서 밀식할수록 많았으며, 근경과 근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111.
        199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표에서 l0cm 내외의 토층에 분포되어 있는 모시풀 지하동(흡지)의 안전 월동을 위한 도장 피복의 좋은 방법을 알고자 재식3년~4년째의 백피종의 성국에서 실험한 피복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행인 볏짚 1,000kg/10a 피복구의 맹아기 4월 15일에 비하여 투명비닐 피복구는 18일 이나 빠른 3월 28일이었고 볏짚, 구비 또는 왕겨 반양 (500kg/10a)에 투명비닐을 복합 피복한 경우에도 약 2주일이 발랐으며 흑색비밀 피복구도 9일정도 빨랐다. 2. 투명비닐 단용피복은 맹아기는 가장 빨랐으나, 맹아세가 균정하지 못하였고 벗짚, 구비 및 왕겨 반양 + 투명비닐 복합피복구는 맹아도 균일하였다. 3. 투명비닐 피복구는 관행 피복구에 비하여 경수가 50% 증가하였고 볏짚, 구비 또는 왕겨 반양 + 투명 비닐 복합피복구의 경수도 35~39% 증가 발생하였다. 4. 섬유수량에 있어서는 관행 피복구의 137.9kg/10a에 비하여 벗짚 또는 왕겨 반양 + 투명 비닐 복합피복의 경우 36~37% 증수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5. 무피복구는 맹아기도 24일이 지연된 5월 9일 이었으며 생육도 극히 불진하고 섬유수량도 관행 피복구의 54%에 불과하였다. 6. 모시풀의 주요 작물학적 형질간에는 고도의 정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맹아기의 조만으로 그해의 생육 및 수양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112.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양하의 인공재배시 지하경의 키기와 피복재료가 주요생육 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하경이 클수록 출현이 빠르고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9월 하순경 개화되었다. 2. 지하경 크기는 12~15cm에서 초장이 크고, 화뢰엽수가 많아 대량번식시킬 때 가장 알맞은 키기로 사료된다. 3. 멀칭은 짚피복이 초장이 크고 엽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고 화뢰수와 화뢰중이 무거워 수량이 증수되었다.
        113.
        199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의 결명자 재배 체계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비닐 피복과 무피복재배 상태에서 시비량 차이에 따른 생육과 수량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장, 경직경, 분지수, 1주협수, 협장, 1협립수 등의 모든 형질이 비닐 피복구에서 우수하였으며 이들 생육특성 중에서 경직경, 1주협수, 1협립수 등의 형질은 N-P2 O5-K2 O=8-6-6Kg /10a 구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경장, 분권수, 협장은 N-P2 O5-K2 O=8-6-6Kg /10a와 N-P2 O5-K2 O=16-12-12Kg /10a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2. 천립중과 종실수량 역시 비닐 피복구에서 높았으며 시비량 N-P2 O5-K2 O=8-6-6Kg / 10a구를 기점으로 이보다 감비하거나 증비한 구는 감수하는 경향이었다. 3. 비닐 피복과 무피복 아래에서 시비량 차이에 따른 유용 형질들의 분산분석에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114.
        199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의 재배 체계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vinyl 피복과 무피복재배하에서 재식밀도 차이에 따른 생육과 수량을 조사했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경장, 경직경, 분지수, m2 당 내수, 내당립수 등의 모든 형질이 vinyl 피복구에서 우수하였으며 m2 당 내수는 vinyl 피복구에서나 무피복구에서나 60 15cm 재식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2. 천립중과 종실수량 역시 vinyl 피복구에서 높았으며 종실수량은 vinyl 피복과 무피복 모두 60 15cm 재식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3. vinyl 피복과 무피복 상태에서 재식밀도 차이에 따른 농업형질들의 분산분석에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115.
        199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결명을 비닐피복과 무피복 재배하에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의 특성을 검토하여 남부지방의 결명재배 체계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시험했던 바 그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출현일수와 성숙기는 무피복구보다 비닐피복구에서 빨랐고 특히 성숙기는 비닐피복구가 무피복구에 비해 약 30일 정도 빨랐으며 특히 4월 10일 파종기에서 가장 빨랐다. 2. 경장, 경직경, 분지수, 1주협수, 협장, 1협립수 등의 모든 형질이 비닐피복구에서 우수하였으며 이들 생육특성 중에서 경직경과 분지수는 파종기가 늦으면 작거나 적어지는 경향이었으나 경장, 1주협수, 협장, 1협립수 등의 형질은 4월 10일을 기점으로 이보다 빠르거나 늦으면 작거나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3. 천립중과 종실수량 역시 비닐피복구에서 높았으며 4월 10일 파종구를 기점으로 이보다 파종기가 빠르거나 늦으면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4. 비닐피복과 무피복 재배하에서 파종기에 따른 유용형질들의 분산분석에서 높은 유의성의 변이를 보였고 이들의 상호작용에서도 모든 형질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116.
        198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의 목화재배는 방적원료생산이 아닌 혼수용을 위한 제면원료 생산이란 의미에서만이 재배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제면원료 수요양시과 양질솜 다수확재배를 위해 비닐멀칭재배를 도입, 목화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했던 바 관행무피복재배보다 배 이상의 증수효과를 얻게 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1. 출현기와 개화소요일수에서 비닐피복은 관행무피복보다 모든 파종기에서 빠르고, 짧았으며 비닐피복파종에서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었다. 2. 개노소요일수에서도 비닐피복파종기가 빠를수록 2∼7일 단축되었고 무피복재배에 비해서는 무려 8∼15 일이나 비닐피복재배가 단축되었다. 3. 초장, 결과지수, 주당삭수에서는 비닐피복은 무피복보다 초장에서 2∼29cm 더 길어서 생육이 장대하였고 결과지수는 4월 10일 조파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거의 2배나 많았으며 주당삭수에서도 4월10일 조파 비닐피복이 관행무피복보다 주당 15∼24개가 더 달려 2배가되었다. 4. 적심면수량은 무피복보다 비닐피복이 큰 차이로 많았으며 파종기별 비닐피복에서는 빠를수록 많아서 조파 4월 10일 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128%나 더 많았는데 적심면비율은 무피복 79% 4월 10일 비닐피복이 99%였다. 5. 소면수량과 소면비율에서는 무피복보다는 비닐피복이, 파종기는 빠를수록 소면비율이 높았으며 따라서 소면수량도 4월 10일 조파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수원 001에서 76%(104kg/ 10a) 목포 7호에서 90%(93kg/10a) 증수되었다. 6. 수원과 무안 2개 지역에서의 비닐피복 효과는 무피복보다 비닐피복이 수원에서 최고 90% 소면수량이 증수되었고 무안에서는 최고 168% 증수되어 비닐피복 증수효과가 남부인 무안에서 더 컸다. 7. 목화섬유장과 면실유 지방산조성에서는 비닐피복이 무피복보다 섬유장에서 약간 더 길었으며 면실유의 주지방산인 리놀산은 4월 10일 조기비닐피복 파종이 무피복보다 높아 양질지방산조성이었다.
        117.
        198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우리나라 참깨의 단작, 맥후작별 vinyl mulching 재배하에서의 도복방지효과를 보고자 장려품종인 안산깨. 단백깨, 광산깨를 공시하여 개화초기에 75˚ 45˚ 의 인위도복 처리와 도복방지 처리로서 개화시에 지주를 세워 처리간의 효과를 조사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초기에 75˚ 도복은 도복되지 않은 것에 비해 가장 감수정도가 커서 단작에서 75%, 맥후작에서 81% 감수되었다. 2. 개화초기의 무처리한 구에서는 단작직파에서 약간의 자연도복이 되어 18% 감수되었고 맥후작직파에서는 태풍피해로 75%의 큰 감수를 보였다. 3. 단작, 맥후작별 vinyl mulching 재배에서 개화초기에 지주를 세워 재배한 처리는 완전다수였다.
        118.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의 초형, 재배양식에 따른 생육특성을 구명하고저 Virginia 소립, Virginia 대립, Spailish, Valencia, Shinpung type의 5초형에 속하는 10품종을 공시, 재배양식 2수준(피복, 무피복)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든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경장은 피복, 무피복 모두 Valencia, Spanish, Virginia 소립, Shinpung. Virginia대립 순이었으며 피복재배를 함으로써 무피복재배보다 주경의 최고신장기를 20일 단축시켰다. 2. 분지수는 피복재배에서 Virginia소입 28개, Virginia 대립 27개. Shinpung 15개, Spanish 13개, Valencia 7개이었으며, 무피복재배의 경우 Virginia소립 22개, Virginia 대립 21개, Spanish, Shinpung 12개, Valencia 5개로 재배양식은 물론 초형간의 차이를 보였다. 3. 최장분지장은 피복, 무피복재배에서 Valencia, Spanish, Shinpung, Virginia대립, Virgnia소립 순으로 Valencia type 이 가장 길었다. 4. 주경절수는 초형이나 재배양식을 막론하고 대개 20∼30절로 비교적 안정된 생육특성이었다.
        119.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멀칭방법이 토양물리성 개선 및 참깨의 수량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풍년깨 품종을 공시하고, 투명비닐, 흑색비닐, 짚을 멀칭 재료로 하여 시험하였으며, 출아율, 토양물리성, 근량, 잡초량, 증발산량 및 수양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생육기간중 토양수분포텐셜의 변화양상은 처리간에 큰 차리가 없었으며, 무멀칭표준구에 비해 비닐멀칭구는 약 5.4%, 짚멀칭구는 약 2.8%의 수분보지효과가 있었다. 2. 최고지온은 표준구에 비해 투명비닐멀칭구에서 약 4℃ 높았으며, 짚멀칭구에서는 약 7 ℃ 낮았다. 최저지온은 표준구에 비하여 투명비닐멀칭구에서 약 2 ℃ 높았고, 짚멀칭구에서 약 3℃ 낮았다. 3. 생육초기에 투명비닐멀칭구의 토양수분포텐셜, 토양온도, 잡초율, 토양경도 및 토분통기능은 무멀칭표준구보다 양호했으며, 따라서 출아율도 높았다. 4. 생육후기에 토양경도는 무멀칭표준구에서 높았으며 짚멀칭구, 흑색비닐멀칭구, 투명비닐멀칭구의 순으로 낮았다. 공극률, 토양통기능 및 유수속도는 투명비닐멀칭구와 짚멀칭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5. 총근양은 투명비닐멀칭구에서 많았으며, 흑색비닐멀칭구, 짚멀칭구, 무멀칭표준구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근양은 토심 10cm 이내에 높은 밀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토심이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다. 6. 잡초양은 흑색비닐멀칭구에서 가장 적었으며 무멀칭표준구에서 가장 많았다. 7. 토양경도는 토양통기능( r=-.9439**), 투수속도( λ =-.8229*)와 부의 유의상관을 보이며, 토양통기능과 투수속도는 근양과 유의정상관을 보였고, 근량은 수량( r=-.7378*)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8. 처리별 증발산양간에는 유의적인 차리가 없었으나, 투명비닐멀칭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120.
        198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83년부터 1984년까지 2년간에 걸쳐 통일형품종인 남풍벼와 태백벼, Japonica 품종인 서남벼와 당진벼를 공시하여 파종시기를 1모작 적파에 해당하는 4월 15∼20일, 2모작 만파에 해당하는 5월 10일의 두 시기로 각피부자재를 이용한 간양육묘방법 시험을 작물시험장 답작포장에서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북부 1모작 지대에서 한파 및 적파 상자육묘시에는 비닐터널+silverpoly멀칭 또는 비닐터널+부직포멀칭구가 야간온도가 높고 주야간의 온도교차가 적어 발아율이 높았으며 뜸묘발생이 적었을 뿐 아니라 차광에 의한 백화묘발생이 적었다. 2. 남부 2모작 기계이앙용 만파육묘시에는 관행 비닐터널구 보다 silverpoly 또는 부직포터널구가 차광으로 인한 주간 온도의 저하로 고온장해의 위험성이 적고 출아록화기의 광조절이 가능하여 출아율이 높고 묘생육이 양호하였다. 3. 중북부지망 기계이앙 적파육묘는 간양출아후 보온밭못자리 및 보온절애못자리에 치상하고 록화기에 비닐터널 위에 silverpoly 또는 부직포를 멀칭하는 것이 록화관리가 양호한 편이다. 4. 남부 2모작지대 기계이앙재배를 위한 만파육묘에서는 보존 비닐터널 대신 silverpoly 또는 부직포터널로 못자리출아육묘를 하더라도 건묘육성의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