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8

        16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health concern, eating habits, dietary behavior, and psychological stress among middleaged adults in Chungnam according to their exercise status. A total of 437 adults with a mean age of 42.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xercise status: never doing exercise (NDE; n=144), doing exercise once a week (DEO; n=186), and doing exercise twice a week or more (DET; n=107). Res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rn about health, subjective health status, meal regularity, dietary problems, and stress score among the three groups. The DET and DEO groups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health (p<0.001), and had a perception that their health statu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NDE group (p<0.01). A larger percentage of the DET group had breakfast everyday (p<0.05) and a smaller percentage of the DET group had dietary problems such as irregular mealtime and skipping meals (p<0.01),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average stress score of the DE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DEO and NDE groups (p<0.05). The results reveal that doing regular exercising at least twice a week is associated with higher health concern, more desirable dietary habits, and lower psychological stress in middle-aged adults. These findings support the beneficial effects of regular exercise for health, dietary habits, and stress control.
        4,000원
        162.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아스파라기나제는 급성 림프모구백혈병 환자에서 사 용이 증가하는 약물로, 췌장염은 이 약제의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이며, 항암화학치료 중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급성 췌장염은 드물지만 치명적 합병증인 괴사성 췌장염 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빠른 진단과 적절한 처치가 중요하다. 본 증례는 괴사성 췌장염에 동반된 췌관 누출 그리고 췌장가성낭이 경유듀적 췌관 스텐트 삽입으로 호전되었던 증례이다. 향후 이러한 L-아스파라기나제 유발 췌장염 및 췌관 누출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및 안전성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4,000원
        16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nutrition and exercise education program on weight control and nutrition knowledge. The nutrition-exercise educational period was 12 weeks. The subjects were 160 adult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48.1 years. We investigated general characteristics, diet history, eating habits, and intake frequencies of six food groups by survey. A total of 94 women among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 nutrition knowledge evaluations and anthropometric data assessment. After the program,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significantly decreased. Further, % of body fat de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BMI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from 25.14 to 24.80 kg/m2, and waist circumference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from 79.72 to 77.63 cm.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subjects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from 8.01 to 9.03. However, there was little change in employ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utrition-exercise education program may improve obesity index and nutrition knowledge.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alized weight control program for workers.
        4,000원
        16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고등학교 출신 유형을 조사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였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문계 고등학교의 문과 출신 학생과 이과 출신 학생으로 구분하여 대학생활 적응 및 학과적응과 학업성취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Ver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과: 출신 고교에 따른 인지적 차원의 학과적응은 이과 출신 학생들이 3.82로 문과 출신 학 생보다 다소 높았으나 그 외의 학과적응과 대학생활 적응도는 문과 출신 학생과 이과출신 학 생들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은 학과적응 중 정서적차원의 적응도가 다른 항목의 적응도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출신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으며(p=0.00), 이는 이과의 교육과정과 안경광학과에서 배우는 학문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이과출신의 학생들이 다소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고등학교 출신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해 안경광학과 전공 학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의 생활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되리라 사료된다.
        16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여성은 연령과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건강문제에 상당 한 차이가 있어 여성건강증진을 위해 지속적 노력을 기울여 야 한다. 숲은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면역력을 높 여주는 더할 나위 없는 자연환경이다. 숲 체험 경험이 있는 경우와 경험횟수가 많은 경우에 중년여성이 지각하는 삶의 만족도, 행복감, 희망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숲을 자주 이용할 수 있는 직장인들은 그렇지 못한 직장 인들에 비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평소 숲 방문 빈도가 성인 여성의 스트레스 수준에 있어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20대 이상의 성인 여성 40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숲 방문 빈도(숲 방문 빈도가 월 1회 이상인 144명은 “높음” 으로, 분기별 1회 이하인 263명은 “낮음”으로 분류)에 따라 구분한 두 집단 사이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SF-PWI)와 스 트레스 반응(SRI)을 독립 t검증으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숲 방문 빈도에 따라 구분한 두 집단 사이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SF-PWI)와 스트레스 반응(SRI)을 비교한 결과, 연령, 교육수준, 결혼 상태, 직업 등의 인구학 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특히 50대 이상, 고학력의 전문․연구직, 교직, 400만원 이상이 각 각 숲 방문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인구의 고학력 화와 고학력에 따른 경제활동 우위, 그로부터 얻어지는 경 제적 안정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고학력 전문직 에 종사하는 여성은 건강과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숲을 자 주 방문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고졸, 100만원 미만의 저학력, 저소득의 무직·기타의 여성도 숲을 자주 방 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이 적을수록 비용이 상 대적으로 적게 드는 산책과 같은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두 집단의 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숲 방문을 통한 산림환경이용 빈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 심리적 척도(SF-PWI), 스트레스 반응척도(SRI)에서 숲 방 문을 통해 산림환경 이용 빈도가 높은 집단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 피로 등의 스트레스 반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숲 방문 빈도’만으로 숲 방문을 통한 효과를 측정했기 때문에 대상자들이 숲을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완 화에 더 효과적인 숲 이용방식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숲을 평소에 적극적으로 방문하는 것이 성인 여성들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좀 더 적게 받게 하고, 피로도와 우울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본 연 구를 계기로 차후 성인 여성의 산림환경 이용방식에 대한 다각화된 조사와 함께 숲 방문 빈도가 비교적 활발한 직업 의 교사, 주부, 회사원 등의 직업에 대한 검증, 숲 방문 빈도 를 통한 산림환경이 일반 성인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 한다.
        16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examination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 risk factors between pediatric and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as a wa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Methods : This study surveyed 101 occupational therapists who are employed at ten general hospitals and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South Korea. A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for determining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workload, task frequency, an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17.0.Results : The waist and back are the areas that pediatric and adult therapists complain about being the most painful. The next problem areas are the shoulders followed by the neck. When reviewing the occurrence of factors that influence musculoskeletal disorders according to the body area, the results show that these factors increased 4 to 15 times depending on the therapist's posture while treating patients, conducting their workload, and frequently doing tasks.Conclusion :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valence rat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s significantly higher. To enhance the posture and physical task environment for therapists working in a diverse range of departm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4,800원
        16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성장발달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성인, 특히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관찰을 통한 상호작용코칭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척도는 이소희(2015)가 개발한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 기반하여 2차에 걸친 문항개발과 2차에 걸친 타당성 검증을 통하여 개발하였다. 차 문항선정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300문항을 먼저 선정한 다음, 아동 전문가 10명에게 중복문항, 이중질문문항, 유사문항, 적합정도에 대한 리커트 5점척도를 활용하여 내용타당도를 실시하였으며 적합정도가 3.5미만인 208문항을 제외한 92문항이 선별되었다. 2차 문항 선정은 본 척도를 사용하게 될 대상자인 부모와 교사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아동에게 의미 있는 성인 279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실시하였으며, 적합도가 3.5미만인 48문항을 제외한 44문항이 선별되었다. 선별된 44문항의 타당성 검증은 SPSS Statistics 21을 사용하였다. 1차 타당화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22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2차 타당화는 대도시권에 거주하는 성인 461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 계수(Cronbach α) .948로 각각 17문항의 TRE모듈과 URE모듈 2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34문항의 관찰을 통한 아동-성인 상호작용코칭 척도(CICAIO: Coaching Inventory of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가 개발되었다. TRE 모듈은 ‘질문 전 상호작용’, URE 모듈은 ‘질문 후 상호작용’으로 명명하였다.
        5,400원
        169.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verage kimchi intake, general characteristics, frequency of daily meal intake, intakes of vegetables and fruits, and nutrient intakes in four serving size group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The results showed an average amount of kimchi intake in subjects of 115.6 g, ranging from 0 g to 605.94 g. For daily meal intake except snacking according to kimchi serving size, all daily meal intak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kimchi serving size (p<0.0001), and tendency of kimchi intake increased with more eating-out. As kimchi serving size increased, total intakes of vegetables and salted vegetables increased significantly (p<0.0001). However, unsalted vegetables intak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take of fruit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kimchi serving size. As the serving size of kimchi increased, intakes of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fat, sodium, and potassium increased significantly (p<0.0001). For intake of sodium, intakes of all groups exceeded 2,000 mg, which is the recommended level for Koreans. Moreover, the fourth serving size group consumed three times (6,546.35 mg) more sodium than the recommended level.
        4,000원
        17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t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ic diseases and periodontal diseases. The data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SPSS 18.0 for Windows was appli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the difference between Body Mass Index and clinical test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eriodontal disease, and X2tes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systemic disea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 upon the existence of periodontal disease prevalenc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elevant factors to systemic disease. As results, the value of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and HBA1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periodontal disease.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systemic disease, hypertension (odds ratio 1.362, p<.05), cardiovascular disease (odds ratio 2.118, p<.05), arthritis (odds ratio 1.289, p<.05) and cirrhosis (odds ratio 6.124, p<.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majority of the systemic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system, diabetes, and liver diseases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relationship with periodontal disease. To strengthen oral health education is needed to enhance systemic health as well as oral health. Moreover, basic biological research should be followed to support this surveyed study.
        4,000원
        17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expansion of the mulnaengmyeon market,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s mulnaengmy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mulnaengmyeon among adul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f Korea. A survey including demo- and socio-graphics, general mulnaengmyeon usage, and consumption questions was tested on 210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majority of consumers consumed mulnaengmyeon more frequently during summer. Although the instant mulnaengmyeon market has rapidly increased, it was found that mulnaengmyeon is a food that is generally consumed in restaurants. In addition, mulnaengmyeon usage and consumption pattern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consumer age,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observed according to parent’s or grandparent’s hometown of origin. Older consumers were observed to consume and purchase mulnaengmyeon as well as instant mulnaengmyeon more often than young consumers. Also, older consumers were shown to consider “health” related factors as more important when selecting mulnaengmyeon, whereas young consumers considered “price” related factors to be more important.
        4,000원
        17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환경 강화를 다룬 성인 쥐 모델에서의 증거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다른 동물 과 인간에게 적용 가능한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방 법: 연구진은 환경 강화와 관련된 성인 쥐 연구들을 2014년 7월까지 서지 데이터베이스(PubMed, Medline, EMBASE, Web of Science and CINAHL)에서 검색하였고, 포함된 연구들의 참고 문헌에서 본 연 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또한 포함시켰다. 방법론적 평가는 본 연구의 세 명의 저자가 독립적으로 구체화 된 요소들을 가지고 시행하였다. 결 과: 포함 및 불포함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15개의 연구가 채택되었다. 모든 포함된 연구들은 일관적으로 시각겉질의 가소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성인 쥐에서의 시각 향상의 증거를 보여주었고, 이러한 가 소성을 증진시키는 요소들로는 해부학적 변화에 의한 가소성 재개, 시력 향상, 눈 우세성(ocular dominance)의 변화, 행동적 시력 향상들이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에도 불구하고, 포함된 연구들에서 방법론적 약점들이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 론: 본 체계적 문헌 고찰의 결과들을 통해 약시를 가진 성인 쥐의 시각겉질이 결정적 시기가 지났음 에도 불구하고 환경 강화에 대응하여 반응하는 가소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약시를 가진 성인 시각겉질에 환경 강화를 적용하여 시각계의 재활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간주되지만, 이를 위해서는 인간을 포함한 다른 동물들 간의 해부학적 및 생활방식의 차이들을 극복해야만 가능하다고 본다.
        4,600원
        174.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load of 15% body weight on trunk, pelvis and hip joint coordination and angle variability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chronic low back pain (CLBP) during an anterior load carriage task. Thirty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15 without CLBP, 15 with CLBP).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an anterior carriage task with a load of 15% body weight. The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measurements of three-dimensional coordination and angle variability of the trunk, pelvis and hip joint. As CLBP patient group .06, control group .7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runk-pelvic in the sagittal plane (p<.05). Angle variability of CLBP patient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unk in frontal plane, the pelvis in all sagittal plane, frontal plane, transverse plane, and the hip in sagittal plane, the hip in frontal plane than angle variability of control group (p<.05). This results mean that the CLBP patient group showed a disconnected coordination pattern in the trunk-pelvis in the sagittal plane, an increased pelvic angle variability in all three planes, and hip angle variability in the sagittal, and frontal planes. The CLBP patient group may have developed a compensatory movement of the pelvis and hip joint arising from the changed stability due to the abnormal coordination patterns of the trunk-pelvic in the sagittal plane. Therefore, CLBP symptoms can potentially worsen in the pelvis and adjacent hip joint in CLBP patients who perform weight-related behaviors in their daily liv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myography and neuromuscular aspects of subjects with CLBP.
        4,000원
        17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t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ic diseases and periodontal diseases. The data obtained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SPSS 18.0 for Windows was appli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the difference between Body Mass Index and clinical test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eriodontal disease, and X2 tes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systemic disea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 upon the periodontal disease prevalenc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ystemic diseases. As results, the values of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and HBA1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periodontal disease.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systemic disease, hypertension (odds ratio 1.362, p<.05), cardiovascular disease (odds ratio 2.118, p<.05), arthritis (odds ratio 1.289, p<.05) and cirrhosis (odds ratio 6.124, p<.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ender (odds ratio 1.24, p<.05), alcohol intake (odds ratio 1.25, p<.05), cardiovascular diseases (odds ratio 1.56, p<.05), and liver cirrhosis (odds ratio 1.17, p<.05) were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In conclusion, the systemic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system, diabetes, and liver diseases revealed to have relationship with periodontal disease. To strengthen oral health education is needed to enhance systemic health as well as oral health. Moreover, basic biological research should be followed to support this surveyed study.
        4,000원
        176.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preference for desired onion peel produc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82 adults (34.2% male, 65.8% female) living in Gyeongnam province. The major information sources on biological effects of onions cited by respondents were TV/radio (37.1%), followed by nearby people (32.8%) and Internet (11.0%), in that order. Reducing cholesterol effec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perception and concerns relating to biological function of onions. Over 73% of subjects had experience of eating processed onion products, and among all types of onion products, onion juice (53.5%) was the most frequently eaten. The most considered factors for processing onion peel-derived functional foods were taste & odor (29.6%), convenience of eating (28.9%), and nutrition value (27.1%), in that order.
        4,000원
        17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nutrient intakes, simple food intake frequencies, and rates of obesity in Cambodian women. A total 186 women, aged 20-69 years, living in Kampong Spue province of Cambodia and having the responsibility to prepare family me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body mass index (BMI) was calculated, and one-day 24-hour recall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In total, 18.8% were underweight, 49.5% were normal weight, 13.4% were overweight, and 18.3% were obese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BMI standard for Asian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by obesity level was determined (p≥0.05). The mean energy intake was 1571.2 kcal/day and protein intake was 43.6 g/da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in, niacin, and vitamin C intakes by obesity level (p<0.05). The prevalence of subjects consuming vitamins and minerals less than 75% of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was 73-99%. All Cambodian women consumed rice ≥1 time/day. Approximately 50% of subjects reported ≥1 time/day intake frequency of bread, cookies, and chips. In total, 35% indicated no intake of beans or bean products. For intake frequencies of carbonated beverages and sports drin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obesity level (p<0.05). These results may be very helpful to prepar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Cambodian women
        4,000원
        179.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le adul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The subjects were 648 male adults aged from 20 to 59 and measuring instruments consisted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ubjects' demographics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cross tabs analysis, χ2 test,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3 dimensions (body shame, body surveillance, and control belief) were emerged o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bjectified group, and non-objectified group) by this variable. Second, male adults were deeply aware of the need of appearance management, and showed the high level of intention to perform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ird, objectified group showed much more act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an non-objectified group. This results concluded that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s a very useful variable to understand male adul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4,600원
        180.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 성인의 숲과 숲길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이다. 숲과 숲길의 선호도에 대한 수요자 선호를 파악하여 보다 표적화되고 차별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 수요자인 일반 성인 남 여를 대상으로 2014년 4월 19일부터 6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숲과 숲길의 선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613부의 유효표본이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른 숲과 숲길의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선호하는 계절의 숲은 봄, 가을, 계절 상관없음, 여름, 겨울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 연령,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상태의 숲은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장소로서 선호하는 숲은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도시숲, 공원, 학교숲 순으로 응답하였다. 거주지로부터 프로그램 장소까지의 거리에 따른 선호하는 숲을 조사한 결과 모든 경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숲길의 형태에 관해서는 약간의 경사가 있는 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목적으로 1회 걸을 때 선호하는 숲길의 길이는 1.5~3km, 1.5km이하, 3km 이상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연령, 교육, 월평균 가계 소득, 교육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성인의 숲과 숲길조사를 통하여,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숲과 숲길에서의 프로그램에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