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2.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quid-state fermentation (LSF) and solid-state fermentation (SSF) were carried out to produce enzymes and β-glucan. The modified synthetic medium composition in liquid-state fermentation (LSF) was determined to be 5% (w/v) whole oat flour, 2% (w/v) tryptone, and 2% (w/v) rice bran. The different humidity conditions of oat by solid-state fermentation were evaluated in terms of maximum production of fungal biomass, amylase, protease, and β-glucan, which were 0.23 mg/g, 7,157.38 U/g, 413.67 U/g, and 8.26% (w/w), respectively, at 60% of humidity condition. Moreover,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fermented oat with 60% humidity at 48 h were shown to be high 49.08% (w/w). Therefore, liquid- and solid-state fermentation processes were found to enhance the overall fermentation yields of oat to produce enzymes and β-glucan.
        4,000원
        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solvent fraction fraction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yields of m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s, the extraction yield of fraction was 18.60, 3.38, 24.03, 7.75, 8.11 and 62.57%,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methanol extrac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was 13.40, 4.62, 7.39, 31.24, 25.76 and 5.64 mg GAE/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results were 20.81, 5.47, 10.15, 22.63, 19.68 and 21.06 ug/mL, respectively,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results were 15.81, 2.69, 8.84, 12.80, 3.70 and 3.39 ug/mL.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scavenging activity measurement (IC50%) showed 33.63, 8.88, 16.93, 32.84, 33.79, and 33.71 ug/mL in m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s, respectively.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solvent fraction fractionated with the methanol extract of 300 sec was measured for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m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 respectively, 15.85, 10.84, 15.74, 24.90, 2.58 and 35.70%.
        4,000원
        4.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우수한 천연 자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똥쑥으로부터 천연 물질을 분리·동정하고 분리된 물질에 대하여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개똥쑥 잎과 줄 기의 chloroform층과 ethyl acetate층으로부터 각각 6개와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화합물 중 chloroform층으로부터 분리된 ArteCA(M.W. 316g/mol, C16H12O7)는 isorhamnetin, ArteCB(M.W. 360g/mol, C18H16O8)는 chrysosplenol D, ArteCC(M.W. 316 g/mol, C16H12O7)는 rhamnetin, ArteCD (M.W. 374g/mol, C18H16O8)는 chrysosplenetin, ArteCE(M.W. 284g/mol, C21H20O12)는 acacetin 그리 고 ArteCF(M.W. 270g/mol, C16H14O4)는 imperatorin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EtOAc층으로부터 분리된 ArteEAA(M.W. 178g/mol, C9H6O4)는 6,7-dihydroxy coumarin, ArteEAB (M.W. 192g/mol, C10H8O4) 는 scopoletin, ArteEAC (M.W. 448g/mol, C21H20O11)는 kaempferol-3-O-b-D-glucoside, ArteEAD (M.W. 464 g/mol, C21H20O12)는 quercetin-3-O-b-D-glucoside 및 ArteEAE(M.W. 318g/mol, C15H10O8)는 myricetin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ArteEAE(myricetin)는 α-glucosidase에 대하여 97.3%의 높은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혈당조절용 건강식품 또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500원
        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r3+ 및 Se을 첨가하여 수경 재배한 치커리 3종의 에탄 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양액만으로 재배한 치커리보다 양액에 Se이나 Cr3+을 첨가한 치커리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FRAP 환원능이 증가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도 증가하였다. 특히 Se을 첨가한 치커리보다 Cr3+을 첨가한 치커리에서 더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r3+ 을 첨가한 CLER 및 CLE의 경우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커리 추출물의 수경재배 과정에서 양액에 Cr3+, Se의 첨가는 치커리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증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ichorium intybus L.(CLE), Cichorium intybus L. var. folisum ‘treviso’ (CLET), Cichorium intybus L. var. folisum ‘rosaitaliana’ (CLER) in hydroponics added with Cr3+ or Selenium (Se) for 4 weeks.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s contents and FRAP values of three species of chicory were grown hydroponically with Cr3+ or Se were increased. These extracts were also showed stronger DPPH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than chicory extracts. In particular, chicories added with Cr3+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chicories added with Se. CLER and CLE extracts added with Cr3+ were also showe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cories were cultivated in culture fluid added with Cr3+ or Se could be used as high functional vegetables.
        4,000원
        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혈당강하 기능성을 갖는 고추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수집 보존중인 고추 유전자원과 시판 품종들의 α-glucosidase 저해 활성(AGI)을 조사하고 원예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AGI 활성 저해율은 열매에서 최대 20.8배, 잎에서 최대 5.9배 차이가 있었다. AGI활성이 높은 계통을 선발하고자 평가된 유전자원 848점의 원예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과중은 0.5~56.0g, 과장은 0.8~15.4cm, 과경은 0.5~6.3cm로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하배축 색은 녹색, 1/4 정도 보라색을 띠는 것, 1/2 정도의 보라색을 띠는 것, 전체가 보라색인 계통 및 기타 혼합된 것이 분포하였다. 엽장은 3.1~5.0cm, 엽폭은 2.1~3.0cm이었다. 청과색은 대부분 녹색이었고, 숙과색은 적색이었다. 열매에서 AGI 활성이 높은 선발 계통들의 원예적 특성에 있어서 착과 방향은 모두 하향이었고 청과색은 연녹색 1계통을 제외하고는 모두 녹색이었으며 숙과색은 적색이었다. AGI 활성이 높은 것으로 선발된 고추 의 과중은 5.9~41.1g, 과장은 5.9~17.0cm이었다. 잎에서 AGI 활성이 높은 것으로 선발된 계통들의 엽장과 엽폭은 각각 5.8~29.7cm, 3.9~8.7cm이었다. 고추의 잎 및 열매에서 AGI의 활성 변이 폭은 매우 컸으며, 이 결과로부터 혈당 강하 기능성을 갖는 새로운 고추 품종 육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Medicinal wild vegetables refer to wild medicinal plants whose aerial parts are edible. Recent researches for developing a functional food product from medicinal wild vegetables have been actively repor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test anti-diabetic activity of 2 medicinal wild vegetables, Allium victorialis and Aster koraiensis. Methods and Results : The medicinal wild vegetables were extracted using water and ethanol. Several medicinal wild vegetables were screened for anti-diabetic activity using α-glucosidase inhibitor screening test (colorimetric). It utilizes the ability of an active α-glucosidase to cleave a synthetic substrate and releasing a chromophore (OD 410 ㎚). In the presence of an α-glucosidase specific inhibitor, the enzymatic activity is greatly reduced which is detected by a decrease of absorbance readings.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acarbose was compared with wild vegetables extracts at 1 ㎎/㎖. And A. victorialis and A. koraiensis extracts were selecte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A. victorialis and A. koraiensis extracts were confirmed in various concentra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victorialis and A. koraiensis could be good candidates for anti-diabetic material.
        9.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 continuing screening of selected medicinal plants native to Mongolia, the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of Iris bungei were investigated. After extraction with 80% of methanol, the methanol fraction was further extracted with n-hexane, EtOAc and n-BuOH in order to obtain four different solvent-soluble fractions, namely n-hexane-soluble, EtOAc-soluble, n-BuOH-soluble and H2O residue. The antioxidant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radical scavenging assay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s. The anti-diabetic efficacy of I. bungei extract was investigated by α-glucosidase assay. All tested samples showed dose-dependent radical scavenging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Among the tested extracts, the EtOAc-soluble fractions showed the great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properties among other solvent-soluble fraction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biological efficacy. Thus, I. bungei extract might be considered as a new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and as a α-glucosidase inhibitory source. A more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is biomass sill be perform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activity against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c effects.
        1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1-Deoxynojirimycin (DNJ) is a representative compound of the antidiabetic constituent in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The hot water extracts of mulberry leaves were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n order to analysis the changes of the DNJ contents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Methods and Results : The mulberry leave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121℃, 3 hr). The extracts were fermented with nin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acidophilus,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ents of DNJ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DNJ contents in the fermented extracts were determinated by HPLC analysis. The α-glucosidase inhibition was mesured by comparing dose-inhibition curves of α-glucosidase and IC50 value. The DNJ contents after fermentation have increased in the almost fermented extracts. Especially, DNJ of the extracts fermented with L. acidophilus was increased from 8.38 ㎍ ㎖ -1 to 21.77 ㎍ ㎖-1. IC50 values of the α-glucosidase inhibition were shown to be decreased in the fermented extracts. The extracts fermented with L. casei KCTC 3109 was determined at 290.04 ㎍ ㎖-1, resulting it is lower about 140 ㎍ ㎖-1 than 429.76 ㎍ ㎖-1 of the control.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of mulberry leaves extracts can more enhance the hypoglycemic activities such as DNJ contents.
        11.
        201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된 삼채뿌리의 뛰어난 영양성을 토 대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고 활용도 를 높이고자 국내산 및 미얀마산 삼채뿌리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삼채뿌리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 라보노이드 함량은 국내산 삼채뿌리가 각각 5.27 mgGAE/g, 0.35 mgQE/g, 미얀마산 삼채뿌리가 각각 4.80 mgGAE/g, 0.24 mgQE/g으로 국내산 삼채뿌리가 더 높은 함량을 나타 냈다. 삼채뿌리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미얀마산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ABTS 라디 칼 소거능과 Fe2+ 킬레이팅 활성, 환원력은 국내산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국내산의 저해활성이 미얀마산 삼채뿌리의 저해활성보다 더 높았으 며 대조구인 acarbose에 비해서도 우수한 저해활성을 보였 다.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50 mg/mL 농도에서 국내산 삼채뿌리가 51.44%로 44.33%의 저해활성을 보인 미얀마산 삼채뿌리보다 더 높은 저해활성 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삼채뿌리 특히 국내산 삼채뿌리 는 높은 항산화 활성, α-glucosidase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을 보여 혈당조절제, 치매예방 및 개선제로써의 활용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로써 기능성 식 품소재로의 활용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향후 국내산 삼채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여러 지역에서 재배된 삼채의 기능성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2.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프로바이오틱스를 선발하고자 protease를 생산하는 GRAS균주를 된장 및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균주를 분리 동정 한 결과 각각B. amyloliquefaciens CDD5, B. amyloliquefaciens CPD4 및B. amyloliquefaciens CGD3로 명명하였다. 분리균 주의 생육은 12시간 배양 시, 7.13~7.32 log CFU/mL로 최대 생육도를 보였으며 24시간까지 유지되다가 감소하는 경향 을 나타내었고, 그 중B. amyloliquefaciens CGD3의 protease 활성이9.21 U/mL로서가장높게나타났다. B. amyloliquefaciens 이 생산하는 protease 활성은 pH 7.0~10.0, 온도는 50℃에서 최적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asein에서 protease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pH, NaCl, glucose 농도를 달리한 배양 조건에 따른 B. amyloliquefaciens의 생육특성으로는 pH 5.0~10.0의 넓은 범위에서 생육하였고, NaCl은 12% 농도까 지 증식하였으며 glucose 5%까지는 생육하나 10% 농도부 터는 현저하게 생육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혈당저 하를 유도하는 α-glucosidase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B. amyloliquefaciens CPD4 및B. amyloliquefaciens CGD3에 서는 각각 96.65% 및 97.8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 한 결과는 특히 protease활성이 가장 우수하고 α-glucosidase 또한 높은 저해활성을 가진 B. amyloliquefaciens CGD3 균 주의 생육특성을 고려하여 단백질 분해 분야의 프로바이오 틱 적용 및 당뇨예방용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가능성이 기대 된다.
        13.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생물 유래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자생하는 감태 외 9종(곰피, 대황, 매생이, 모자반, 미역,지충이, 청각, 톳, 파래)의 해조류을 이용하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황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50.81, 77.02mg/g으로 가장 많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황, 감태,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86.26, 78.72, 68.32%를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소거능은 대황, 감태, 지충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모두 99%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과 환원력은 대황 에탄올 추출물이21.34%, 1.710(OD700)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방산패억제능도 대황 에탄올 추출물에서 83.95%로 가장 높았다. 또한,해조류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대황, 감태, 지충이 열수 추출물에서 97.75, 95.17, 87.13%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3종류 모두 약 98%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해조류 중 대황, 감태, 지충이의 항산화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우수하여 천연 기능성소재 개발을 위한 좋은 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기능성소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적용할 제품에 따라 추출물의 재료, 첨가농도, 제품의 생리활성 등과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14.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풍취를 70% 에탄올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층에서 IC50 값이 23.4±0.3 mg/mL으로 강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단풍취 추출물에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층의 IC50 값이 19.9±2.3mg/mL, n-BuOH층이 IC50 값이 23.4±0.3 mg/mL의 우수한라디칼 소거활성이 확인 되었고, 강한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강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 층의 IC50은 103.4±1.0 mg/mL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positive control인 acarbose에 비해 우수한 활성이었으며, 추출물 상태의 시료를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강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15.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노간주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을 조사하여 항산화소재로 이용하고자 실험하였다. 노간주나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은 71.3mg/g, 에탄올추출물은 116.0 mg/g 함량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추출물은 17.7 mg/g, 에탄올추출물은 76.4 mg/g 함량을 포함하고 있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500 μg/mL 농도에서 열수추출물은 76.4%, 에탄올 추출물은 79.3%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FRAP 값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에서 1.83 mM를 에탄올추출물에서 1.77 mM로 열수추출물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ACE 활성억제효과는 500 μg/mL 농도에서 열수추출물 75.39%, 에탄올 추출물 71.25%로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노간주나무 추출물의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를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의 경우는 1.5 PF, 에탄올추출물의 경우는 2.1 PF를 나타내었다. TBARS 저해율은 500 μg/mL 농도에서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각각 55.78%와 71.48%을 나타내었다. α-glucosidase와 α-amyl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500 μg/mL 농도에서 각각 70%와 9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항산화 및 항당뇨 예방물질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7.
        2014.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백합과에 속하는 덩굴성 관목인 청미래덩굴 70%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에 대한 활성을 연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전자공여능, ABTs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ACE 저해활성, TBARs측정, PF값 측정 및 α-glucosidase 와 α-amylase 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량이 더 많았으며, 전자공여능, ABTs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ACE 저해활성, TBARs 측정, PF값 측정 결과 모두 청미래 덩굴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α-glucosidase 와 α-amylase 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열수 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이상의 검증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청미래 덩굴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 당뇨 활성이 우수하였고, 차후 항산화 및 항 당뇨 예방물질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8.
        201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오디를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와인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4가지 베리류과실(오 디, 블루베리, 딸기, 복분자)와인의 항당뇨, 항노화 및 항산 화활성을 α-glucosidase, tyrosinase 및 DPPH radical를 사용 하여 측정한 후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가장 강한 오디와 인으로부터 저해제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또한, 3 가지 뽕나무 품종(익수뽕, 대성뽕, 청일뽕) 오디를 이용하여 오디 와인을 제조하여 품종과 발효에 따른 α-glucosidase 저해제 의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가지 베리류과실 와인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노화 활성 을 측정한 결과, 오디와인이 가장 높은 α-glucosidase 저해활 성을(69.37%) 나타내었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블루 베리(64.57%) 및 오디와인(62.48%)이 유사하게 높았으며, 딸기와인이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59.63%)을 나타 내었다. 이 중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가장 높은 오디와인 으로부터 효소저해제를 분리 및 동정하기 위해 오디와인을 먼저 감압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다음 Diaion HP-20, ODS-A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4가지 분획을 얻었으며, 이 중 α -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가장 강한 Fr. 4로부터 UV 및 NMR 분석을 통해 quercetin를 동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뽕나무 품종 및 발효에 따른 오디와인의 α-glucosidase 저해제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성뽕 오디와인의 quercetin 함량 (16.83 ppm)이 가장 높았으나, 익수뽕 및 청일뽕 오디와인 의 quercetin 함량은 각각 14.85 및 8.92 ppm으로 낮았다. 그리고 발효 및 숙성에 따라 오디와인의 quercetin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4가지 베리류 과실와인 중 오디와인이 가장 높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주된 저해물질은 quercetin임을 기기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기에 향후 오디와인은 당뇨예방용 기능성와인으로서 크게 각광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1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studi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of water extracts from 17 medicinal plants. Total polyphenol contents ranged from 10.0 (Coix lachryma-jobi L, CL) ~ 279.7 (Perilla sikokiana, PS)mg/g. The water extract from medicinal plants were evaluated for i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compared with a commercial antioxidant, ascorbic aci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yrus pyrifolia (PP), Chamaecyparis obtusa L. (COL), Chamaecyparis obtusa F. (COF), and PS were higher than positive control. Higher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hown in Acanthopanax senticosus (AS) and Cordyceps militaris (CM) than the other plants. The highest anti-α-glucosidase activity was observed in Cornus officinalis (CO) and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PSA) water extracts. PSA showed not only the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t also the anti-α-glucosidase activity. The results of our study that PP, COL, COF, PS, AS, CM, CO and PSA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atural antioxidants.
        20.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식품소재의 탐색과 그 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빵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소장흡수 저해효소인 -glucosidase를 target로 시중에 유통되는 다양한 생약재를 대상으로 탐색을 하였다. -Glucosidase 저해활성을 조사하고자 생약재 200여종을 대상으로 물층과 메탄올 층으로 구분하여 탐색한 결과 물층에서는 황기(70.9%)가, MeOH층에서는 구인(72.9%)이 70%이상의 강력한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