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residue and black soybean curd residue produced by hot air-drying and freeze-drying. Regardless of drying method, the crude protein, crude ash, crude fiber contents, pH, L, a, b color values and water soluble index were higher in soybean curd residue, wherea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higher in black soybean curd residu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ter absorption index, oil absorption capacity and emulsion activity were observed between soybean curd residue and black soybean curd residue in freeze-drying. On the other hand, the emulsion stability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hot-air drying and freezedrying. The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contents of soybean curd residu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ot-air drying and freeze-drying. Freeze-drying resulted in higher crude ash contents, pH, water absorption index, water soluble index, oil absorption capacity, emulsion activity and emulsion stability than hot-air drying. Hot-air drying have caused significantly higher water contents, water activity,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oybean curd residue than freeze-drying. In conclusion, soybean type and drying methods affect the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residue, which could be important factors in the manufacture of processed foods.
        4,000원
        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대교량은 낮은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가지는 초유연구조물로 진동사용성 문제에 취약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 설계지침에서는 풍속이나 진폭에 대한 임계값을 기반으로 유해진동 발생 여부를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대교량에서 발생하는 유해진동을 보다 정교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딥러닝 기반 신호분할 모델을 활용한 데이터 포인트 단위의 와류진동 식별 방법론을 제안한다. 특별 히 포락선을 가지는 사인파를 활용하여 와류진동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모델 구축에 필수적인 와류진동 데이터 획득 및 라벨링 과정을 대체하였다. 이후 푸리에 싱크로스퀴즈드 변환를 적용하여 시간-주파수 특징을 추출하여 신경망의 인풋 데이터로 사 용하였다. 합성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양방향 장단기 기억신경망(Bidirectional Long-Short-Term-Memory) 모델을 훈련하였고 이를 라 벨 정보를 포함한 실제 사장교의 계측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한 모델과 비교하여 모델의 실시간 와류진동 식별 성능을 검증하였다.
        4,000원
        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활용도가 낮은 식자원의 부가가치 부여라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0, 2, 4, 6 및 8%로 비지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국수의 수분 결합력, 색도, 국수의 표면 구조 및 물성실험을 진행하여 비지 첨가 국수의 제면특성을 확인하였다. 수분 결합력은 비지 분말의 첨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국수의 명도(L)는 비지 분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감소패턴을 보였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는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표면의 미세구조를 확인한 결과, 비지 분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공극의 특이적인 변화 확인할 수 없었다. 조리 전 생면의 물성을 확인한 결과, 경도, 부착성, 탄력성, 점착성 및 씹힘성은 비지 분말이 첨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응집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리면의 경우, 경도, 탄력성 및 부착성은 비지분말 첨가에 따른 상승경향을 나타낸 반면, 응집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점착성과 씹힘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제면특성을 종합 판단하여 국수의 제조시 비지분말의 첨가는 4%가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9.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chemical compositions (protein, lipid, and dietary fib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dried biji powders were investigated. The raw biji was freeze-dried (control) and hot-air dried (untreated). The untreated biji was further defatted and deproteinated. The prepared biji powders were analyzed for the proximate composition, total dietary fiber (TDF), water absorption index (WAI), water solubility index (WSI), swelling power, solubility (including the quantification of soluble carbohydrate and protein fractions), and final viscosity (using a rapid visco analyzer). Control and untreated biji powders exhibited the similar chemical compositions. The defatted biji possessed higher TDF, although its protein conten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or control and untreated ones. The deproteinated biji consisted mainly of TDF. WAI and swelling power increased in the order: deproteinated > defatted > control > untreated biji powders. WSI and solubility increased in the order: control > untreated > defatted > deproteinated biji powders. The similar patterns were observed for soluble carbohydrate and protein fractions. The deproteinated biji revealed the highest viscosity over applied temperatures, while the untreated one was lowest.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dried biji powder were reduced by protein and fat, but enhanced by dietary fiber.
        4,000원
        10.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biji addition on the quality of extruded isolated soy protein (ISP). ISP-based biji addition (0, 20, 40 and 60%) was extruded at die temperatures 140oC and 150oC and a screw speed of 250 rpm. The moisture contents were adjusted to 35% and 45%. As the content of biji increased from 0% to 60%,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utting strength of the extruded IS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 die temperature increased from 140oC to 150oC and the water content increased from 35% to 45%, the nitrogen solubility index, cutting strength and integrity index decreased. When the biji addition was increased at a barrel temperature of 140oC and a moisture content of 45%, the integrity index of the ISP textur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ddition of biji to ISP, rough surface and irregular fiber structure were observed, but regular microfiber structure was not observed.
        4,000원
        11.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Biji. As the extrusion process variables, the barrel temperature and the moisture content were adjusted at barrel temperatures of 120, 140, and 160°C and 35, 45% respectively. L-value (lightness) increased as the moisture content and barrel temperature increased from 35% to 45% and 120°C to 160°C. In contrast, decreasing a-value and b-value resulted in increasing moisture content and barrel temperature. Total sugar,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 were increased by the extrusion process. The water solubility index (WSI) and dietary fiber of the extruded biji decreased to 3.9% and 592.6 mg/g compared to the non-extruded biji of 12.3% and 592.6 mg/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xtruded biji could be used in various kinds of food processing, and future study is needed to find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extrusion.
        4,000원
        12.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즉석조리 죽 제품들은 선호화(pre-gelatinized) 쌀가루와 기타 부재료(곡류, 채소 및 약용식물 등) 가루들을 단순 혼합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지만, 물을 가하였을 때 선호화 쌀가루가 응집되어 조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쌀가루의 응집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쌀가루를 활용하고, 식이섬유를 강화할 수 있는 비지분말을 활용한 즉석조리 비지죽 프리믹스를 개발하기 위해 비지분말, 멥쌀가루 및 찹쌀가루의 최적혼합비율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멥쌀 및 찹쌀 가루들은 멥쌀과 찹쌀을 습식제분, 건조, 분쇄, 선별(100 mesh)을 통해 제조하였다. 비지분말은 두부제조공정에서 배출된 생비지를 120°C에서 3시간 동안 습열처리한 후 건조, 분쇄, 선별(100 mesh)을 통해 제조하였다. 즉석조리 비지죽 프리믹스의 혼합비율은 비지분말, 멥쌀가루 및 찹쌀가루의 제한범위를 각각 10-40%, 10-30% 및 50-70%로 하여 modified distance mixture design에 의해 16개의 혼합비율들을 설계하였다. 혼합물설계법의 반응표면분석을 위한 반응들은 비지분말-멥쌀가루-찹쌀가루 혼합물을 물과 혼합하여 5%(w/w) 고형분 함량의 분산물을 제조하여 페이스팅 점도 특성치들과 마이크로웨이브 가열(1,000 W, 80 s)을 통해 제조된 비지분말-멥쌀가루-찹쌀가루 혼합물 페이스트의 겉보기 점도 특성치들을 이용하였다. 가루소재 혼합물들의 페이스팅 점도 특성치들에 대해서 반응표면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최고점도, 최저점도, 붕괴점도, 최종점도 및 치반점도들은 1차항 요인들에 대해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최고 및 최저 점도들은 멥쌀가루의 함량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혼합물 내에서 비지분말 및 찹쌀가루 함량의 증가는 가루소재 혼합물의 페이스팅 점도 특성치들을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증가시켰다.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에 의한 가루소재 혼합물 페이스트들의 겉보기 점도 특성치들에 대해서 η-00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즉시 50°C에서 측정된 점도)와 η-A20 (혼합물 페이스트를 20분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 50°C에서 측정된 점도)의 선형(linear) 모델에 적합하였으며, Δη (20분간 방치 전후의 혼합물 페이스트의 50°C에서 측정된 점도 차이), η-00-RH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후 재가열하고 50°C로 냉각된 혼합물 페이스트의 점도)와 Δη-RH (재가열된 후 50°C로 냉각된 혼합물 페이스트의 점도 차이)는 3차항(cubic) 모델에 적합하였고, η-A20-RH (혼합물 페이스트를 20분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 재가열하고 50°C로 냉각된 혼합물 페이스의 점도)은 2차항(quadratic) 모델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응표면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수치해석법을 이용하여 최적혼합비율을 결정하였을 때, 즉석조리 비지죽 프리믹스는 36% 비지분말, 11% 멥쌀가루, 53% 찹쌀가루로 구성되었고, 비지분말을 30%로 고정할 경우 멥쌀가루는 16%, 찹쌀가루는 54% 이었다.
        1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서부인 당진 지역에서 새로이 발견된 제4기 진관단층의 운동 특성과 단층활동 이력에 대한 윤곽을 잡기 위해 몇 개의 단층비지대로 구성된 진관단층의 기하 분석과 단층비지 물질에 대한 ESR 연령측정을 하였다. 진관단층은 정단층으로, N55˚E 주향의 이 단층은 낮은 곳에서는 경사가 57˚NW, 상부로 갈수록 경사가 수직에 가깝게 변화를 보여 주며 리스트릭 단층임을 보여준다. 단층비지대의 두께는 노두 하부의 기반암과 기반암 사이에서 2~3 cm, 중상부의 기반암과 제4기층 사이 경계에서는 20~30 cm 폭으로 보다 두껍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3개 이상의 단층비지대가 분리되거나 합쳐지기도 하며, 부분적으로는 서로 중첩되기도 하는데 이는 서로 다른 단층운동 사건들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지질단면도로부터 산출된 단층의 누적 총변위는 약 10 m이며 누적 총변위와 단층의 길이 사이 경험식에 따르면 약 2.5 km의 단층 길이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층의 길이를 제대로 알기 위해 보다 연구가 요구된다. 단층대를 따라 채취한 세 단층암 샘플에 대한 ESR 연령측정 결과, 651±47, 649±96, 436±66ka 등으로 나타났으며 최소 두번의 단층운동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단층면에서 관찰되는 단층조선은 순전한 경사이동만을 지시하며(정단층 운동), 동북동-서남서 주향의 진관단층은 북북서-동남동 방향의 수평 최소 압축응력 환경에서 단층운동이 있었음을 제시한다.
        4,800원
        14.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pressure and number of passes upon Biji paste properties using a high-pressure homogenizer (HPH)were investigated. A hydrocolloid of Biji was processed with a HPH at 15,000 or 25,000 psi and with 1 or 2 passes.The hydrocolloid was assessed for dietary fiber, protein, sugar content, water absorption index (WAI), water solu-bility index (WSI), rheological character, and distribution stability. As pass number and pressure increased, solubledietary fiber, sugar content, WAI, and distribution stability also increased, whereas particle size decreased. As aresult, processing at 25,000 psi and 2 passes is considered as a proper treatment for processing quality. In breadmaking with HPH treated Biji, volume, hardness, and cohesiveness of bread increased, while density decreased. Theoptimum processing condition for bread with HPH treated Biji was determined by a design expert program. Nineexperimental points were selected, and wheat flour (91-95%) and HPH Biji (5-9%) were chosen as the independentvariables. The optimum formulation of bread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was set at 94.2% wheat flour and 5.8%HPH Biji with a 0.725 desirability value.
        4,000원
        1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hysical properties of jellified soybean curd residue (Biji) with the addition of various gums were investigated to optimize the direct availability of a by-product of the tofu production process. The lightness (L value) of the jellified Biji prepared with various gums was approximately 77~80,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gum used. Especially at the concentration of 0.1% and 0.3%, a pecti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compared with other gelling agents (carrageenan and agar). The strength of samples prepared on the basis of carrageenan showed the value of 335~569 g/㎠ and 234~335 g/㎠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locust bean gum and xanthan gum,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amples made with pectin and agar were 134~272 g/㎠ and 50~215 g/㎠, respectively. Where locust bean gum was used as a viscous agent, the adhesiveness of sample prepared by adding carrageenan was greater than those made with pectin or agar. The values were -6.0~-11.0 g, -2.7~-10.2 g and -3.7~-7.0 g, respectively. Overall, the strength and adhesiveness of samples according to increase of the added amount of Biji showed constantly increasing trend regardless of the type of gelling agent used. In the sample containing carrageenan this trend was most noticeable.
        4,000원
        1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soybean curd residue as an ingredient of TMR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olstein steers. Twenty four Holstein steers of 7 months age(average body weight 274.6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3 experimental groups, which contained 8animals per group during 15-months feeding trial. The treatments composed of the group fed concentrate and rice straw separately (Control), the group fed TMR containing low levels of soybean curd (T1), the group fed TMR containing high levels of soybean curd residue (T2).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 groups during the feeding trial periods. Feed intake was not differ among treatment groups, but feed conversion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2 group compared to T1 group during late fattening stage (p<0.05). However, it was not different in overall average. According to the yield traits, carcass weight of control, T1 and T2 were 466.4, 451.1 and 460.1 kg, respectively. Back fat thickness, rib eye area and yield index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marbling score, meat color, texture and maturity in quality trait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 groups, but fat col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2 group compared to T1 group (p<0.05). The quality grade (1+:1:2:3, NO.) tended to be higher for T1(0:2:1:5) and T2 (0:1:4:3) compared with the control (0:0:3:5).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MR with soybean curd residue may be appropriate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olstein steers.
        4,000원
        17.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가 반추위내 발효특성 및 건물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한우에 비지박 알코올 발효사료(AFS)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B)를 급여한 후 시간별(0, 2, 4, 6, 8 및 12시간) 반추위내에서 알코올 함량, pH 변화, ammonia 함량, 휘발성지방산 함량 및 건물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대조구와 비지박(DM 20%
        4,300원
        1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지가루의 제빵 적성을 알아보기 위해 밀가루에 5%, 10%, 15% 혼합한 빵을 만들고 비지빵의 제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0% 비지가루 혼합분에 글루텐을 3%, 6%, 9% 첨가한 빵을 만들어 제빵 적성을 조사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비지가루는 단백질 22.0%, 지방 13.2%, 탄수화물 54.3%, 그리고 식이섬유 27.2%를 함유하고 있었다. 영양성분이 풍부한 비지가루를 밀가루에 혼합하여 식빵을 만들었을 때 비지가루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흡수율, 반죽시간, 빵의 무게는 증가하였고 dough의 팽창력과 빵의 부피는 감소하였으며 10% 비지가루 혼합분에 글루텐을 첨가함으로서 제빵 적성이 향상되었다. 빵의 crumb의 색도는 비지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어두워졌으나 활성 글루텐의 첨가로 밝아졌다. 빵의 texture도 비지가루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씹힘성, 경도는 증가하였으나 응집성은 차이가 없었고, 황설 글루텐의 첨가로 탄력성, 씹힙성,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5% 비지가루를 혼합하여 만든 빵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밀가루빵과 차이가 없었으며 10% 비지가루 혼합분에 6% 글루텐을 첨가하여 만든 빵은 글루텐을 첨가하지 않은 10% 비지가루 혼합분 빵보다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표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4,000원
        20.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amylase 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ofu residue and identified as Bacillus sp.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which were named Bacillus sp. GM7330 and Bacillus sp. GM7312. The cultural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amylase was showed on 5% tofu residue added 3% glucose and 0.15% yeast extract. And incubated during 72 hrs at 30℃, Bacillus sp. GM7330 and Bacillus sp. GM7312 were producing amylase of 488 units and 341 units.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