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마[Cannabis sativa L.]는 오랫동안 섬유작물로 재배되었지만 종실의 기름 함량이 많고 불포 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식용유 원료작물로 유망하다. 오랫동안 대마 종실유를 이용해온 유럽의 여러 나라에 서는 압출식으로 착유하는데, 이용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대마 종실유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소비자 기호도가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압착식과 압출식으로 착유한 대마 종실유의 성분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에 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압출식 착유기로 착유하면 착유량이 압착식에 비해 많았다. 착유 부산물인 유박은 압출식에서는 으깨어져 얇고 납작하게 배출되지만, 압착식은 종실이 다소 납작해졌 으나 종실의 형상을 유지하였다. 압출식 착유 종실유는 압착식에 비해 Chlorophyll A, B 및 Carotenoid 함 량이 높아 명도(L)는 낮고 녹색과 황색은 진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icid, γ-Linolenic acid 비율은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Linoleic acid와 α -Linolenic acid는 낮았다. 대마 종실유는 총 토코페롤 함량이 많고 그 중 γ-Tocopherol 함량이 많은 것 이 특징이었는데 압출식 착유 종실유가 압착식에 비해 다소 적었다.
        4,000원
        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여름부터 가을까지 전국적으로 말벌의 활동이 급증하면서 벌에 쏘이는 사고가 끊이지 않는 등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말벌 공격에 대한 잘못된 대응방식이 만연되어져 있어 그 피해를 더 가중시키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색깔에 따른 말벌의 방어행동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외래종 등검은말벌의 벌집 앞에 8가지 색상의 털뭉치를 설치하여 벌집에 충격을 주었을 때 검은색에 평균 7.6마리(66%)가 공격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갈색이 3.3마리(28%)로 다음을 이었다. 그 외 노랑, 초록, 주황, 회색, 빨강, 흰색 등에는 공격빈도가 거의 없거나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각 개별 색깔에 대한 실험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농도별(검정, 회색, 흰색) 실험에서도 짙은 농도일수록 더 많은 공격을 받았다. 이는 잠재적인 말벌 천적들의 색깔에 대한 자연선택적 방어 행동일 것으로 판단된다.
        7.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색, 적색(680±20nm), 황색(600 ± 20 nm), 녹색(525 ± 25 nm),청색(400 ± 10 nm), 흑색(365 ± 10 nm) 및 변환(다양한 파장)램프를 가지는 솔라트랩을 잡곡 및 두류포장에서 설치하여 나비목, 노린재목 및 딱정벌레목의 주요 해충에 대한 유인효과를 잡곡 및 두류포장에 설치하여 10일 간격으로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채집된 충수는 조사시기와 램프의 색깔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조사시기와 램프의 색깔의 상호작용 효과도 있었다. 암청색램프에서 매미충류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해충이 유인되었다. 따라서 암청색램프는 해충의 대량포획뿐만아니라 예찰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솔라트랩의 암청색램프와 페로몬의 조합은 잡곡 및 두류 해충의 포획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어 종합관리를 위한 유망한 수단으로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8.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2013년 경남 농촌현장포럼 마을들을 대상으로 색깔마을 유형과 농촌어메니티자원에 따 라 마을유형을 분류하고 농촌현장포럼 효과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을유형별 현장포 럼 효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색깔마을 1유형과 하위 30% 마을은 기초인프라와 주민역량강화형, 색깔마 을 2유형과 중위 40% 마을은 체험관광과 2차 산업화형, 색깔마을 3유형과 상위 30% 마을은 체험관광 과 6차 산업화형으로 재유형화 하였다. 또한, 설정된 유형에 따라 앞으로 농촌현장포럼과 마을발전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4,000원
        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년간 수원 밭작물 시험포장에서 단옥수수 품종인 고당옥과 구슬옥을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 및 이삭 특성을 검토한 결과이다. 1. 고당옥과 구슬옥 모두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파종에서 출사기까지의 일수가 짧아졌고, 출사에서 수확기간은 증가하였다. 2011년의 출사일수는 43 ~ 53일, 2012년은 44 ~ 54일이었고, 출사에서 수확까지는 2011년은 22 ~ 36일, 2012년에는 20 ~ 34일이었다. 2. 파종에서 출사기까지 생장온도일수(GDD)는 출사 후부터 수확기까지는 약 213 ~ 353oC 범위로 비슷하였으나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GDD는 2011년(약 916 ~ 1,067oC)과 2012년(약 911 ~ 1,055oC) 모두 큰 차이가 없었다. 특히 8월 5일 파종에서 등숙기 중의 생장온도일수가 다른 파종시기에 비하여 크게 낮았는데 이는 등숙기의 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3.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특성을 보면 간장과 착수고는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짧아졌으며 7월 말 파종 재배에서 유의하게 짧았으며, 경태는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유의하게 얇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삭직경은 고당옥은 4.37mm, 구슬옥은 4.43mm로 차이가 없으나 6월, 8월 파종보다 7월 파종구에서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삭무게는 두 품종 모두 6월, 8월 파종구 보다 7월 파종구에서 높고, 7월 25일 파종구를 보면 고당옥은 201g, 구슬옥은 140g으로 높았다. 2년간 단위면적당 이삭수량은 고당옥은 715kg/10a이고, 구슬옥은 677kg/10a이었다. 5. 파종시기에 따른 단옥수수 재배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생육이 지연되고 이삭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고, 단옥수수 만식재배에 따른 최적 파종시기는 7월 20일 ~ 25일로서, 두 품종 모두 7월 25일에 이삭 수량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월 20 ~ 25일 파종 시 생육이 지연되고 이삭수량이 감소되는 단점 이 있지만 6월 말에 재배한 단옥수수 보다 습해의 피해가 적고, 수확적기가 짧고 전분축적 시간의 지연으로 수확시기를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추후 단옥수수 만식재배 시 수량과 상품성 향상을 위한 최적 수확적기, 저장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1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ttractiveness of stink bugs to various colors, heights and locations of fish-net traps incorporated with aggregation pheromones was determined.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was most attracted to yellow color trap, followed by white, black, green, blue and brown. R. pedestris and one-banded stink bug, Piezodorus hybneri Gmelin, were most attracted to fish-net traps placed 80 ㎝ above the ground regardless of sexes of two species of stink bugs. Between the sexes, however, R. pedestris females were more attracted to 40 and 80 ㎝ above the ground than the males at those heights although the attra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120 and 160 ㎝ heights. P. hybneri females tended to be attracted to 40 and 80 ㎝ height traps but the attraction was the opposite at 120 and 160 ㎝ heights. The highest attraction of R. pedestris was observed in a perilla fiel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ybean field and border area in which no crop were cultivated between the perilla and soybean fields. R. pedestris was also more attracted to the sweet persimmon orchard than the soybean and medicinal crops fields, which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fields.
        4,000원
        1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재배사의 습도조건이 갓 색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적으로 확실한 자료가 있는 것이 아니며,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확인된 자료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습도조건을 10%간격으로 4수준으로 처리하여 수량, 발이, 생장기간, 갓색 등을 조사한 결과 습도 증가는 수량이 증가 하며, 발이기간이 짧아지고, 갓 색은 진해지나 온도보다는 급격한 변화는 없었다. 수량에 있어서는 자실체의 수분함량이 증가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판단되며, 발이는 발이소요 기간이 긴 품종은 영향을 많이 받으나 발이기간이 짧은 수한 등과 같은 품종은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피복을 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그보다 품종특성인 발이기간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 정된다. 그러나 습도가 생육을 저해 할 정도인 65%정도 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1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은 느타리버섯과의 백 색부후균이며 동 과내에서는 유일하게 산형과식물 (Umbellifers)의 뿌리에 약하게 기생하는 생태학적인 특 성을 가지고 있다. 원산지는 유럽대륙의 대서양쪽 서쪽지 역인 프랑스와 독일, 지중해연안의 비교적 좁은 지역으로 반건조한 스텝기후지역에서 잘 자라며, 동부지역으로 카 자흐스탄과 인도에까지 분포한다. 갓의 크기는 4∼5㎝ 정 도이고, 대는 3∼10㎝ 정도이며, 담자포자는 8∼11×4∼ 5㎛이다. 갓색깔은 연한 크림색에서 짙은 갈색까지 다양하 다. 큰느타리버섯의 갓색깔에 관하여는 연구된바가 없지 만 소비자들이 버섯을 선택할 때 가장 관능적으로 먼저 와 닿는 것도 갓의 색깔이다. 이러한 이유로 버섯의 갓색깔은 소비자의 기호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버섯의 갓 색깔에 미치는 유전전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교배와 분석을 통하여 관련된 유 전자를 찾고자 하였다. 갓색을 기준으로 선택한 하나의 어 버이 계통에서 단포자를 채취하여 자식을 실시하고, 갓색 을 색도계로 측정한 명도(Lightness)를 기준으로 모본보 다 명도가 더 낮고 더 높은 계통을 선발하고 자식을 3세대 에 거쳐서 진행하였다. 자식 3세대 계통의 단포자를 채취 하여 각각 gDNA를 추출하여 random primer로 각각의 색 에 특이한 band를 pGEM-T vector에 cloning하고 서열 분석하고 blast-x를 통하여 기능을 추정하였다. 흰색과 검은색과 양계통의 교배 F1의 갓색을 나타내는 L(명도)는 각각 56.3, 69.6, 50.2로 갓색깔의 유전자는 불 완전 우성의 유전양상을 나타내었다. 검은색 계통(자)과 흰색 계통(아)을 selfing을 하여본 결과 다음 세대에서도 거의 모든 계통이 동일하게 같은 갓색깔을 발현함으로 이 들 두개계통은 갓색깔 유전자 locus가 homozygote한 상 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 계통과 "자"계통을 crossing 시켰을 경우 갓색깔은 L 값이 60.2로 진한계통의 56.3과 연한계통의 69.6의 중간값에 가까워서 갓색깔 유전자는 불완전우성이라고 사료된다. 대부분의 primer가 특이적인 밴드양상을 보여주지 않았지만 일부 primer는 흰색과 검 은색에 특이적인 밴드를 동시에 보여주어 동시에 분석이 가능한 것도 있었다. 아, 자 계통은 동일한 어버이에서 유 래되어서 genome 상의 많은 부분이 유사하겠지만 갓색깔 과 gill의 분화정도가 확연히 차이가 나서 mating type보다 특이 밴드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갓의 흑, 백색에 특이하게 증폭되는 밴드를 cloning 하여 서열 분석을 하였다. 검은색 과 흰색계통에서 특이 밴드를 흰색에서 10개, 검은색에서 12개 분리하여 cloning 하고 서열분석을 한 결과, 대부분 의 서열이 기존에 밝혀졌던 서열과의 유사성이 높지 않았 다. 버섯의 갓색깔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서열은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receptor type K를 암호 화 하는 clone이다. 버섯의 색깔에 관련된 연구는 현재 양 송이의 갓색깔을 유전분석과 marker 탐색이 유일한 논문 이다. 색깔은 유전학적으로 복잡하고 다른 것과 비교하여 이용가치에 비해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어 연구가 진 행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양송이 갓색의 연구가 보여주듯 갓색이 세균병에 대한 저항성과 연관이 되어 있고, 갓색의 각종 색소가 항산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기능적인 측면의 강화와 저항성 버섯품종을 육성할 수 있는 측면에 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13.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재배사의 습도조건이 갓 색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적으로 확실한 자료가 있는 것이 아니며,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확인된 자료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습도조건을 10%간격으로 4수준으로 처리하여 수량, 발이, 생장기간, 갓색 등을 조사한 결과 습도 증가는 수량이 증가하며, 발이기간이 짧아지고, 갓 색은 진해지나 온도보다는 급격한 변화는 없었다. 수량에 있어서는 자실체의 수분함량이 증가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판단되며, 발이는 발이소요기간이 긴 품종은 영향을 많이 받으나 발이기간이 짧은 수한 등과 같은 품종은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피복을 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그보다 품종특성인 발이기간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습도가 생육을 저해 할 정도인 65%정도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15.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매패류 화석의 미구조를 박편상에서 관찰하면 시대가 오래된 것일수록 방해석의 재결정작용으로 인하여 성장선이 대부분 지워지는 반면 시대가 젊거나 현생의 이매패류는 매우 세밀한 성장선 및 구조가 그대로 보존된다. 패각이속성작용을 겪으면서 각피성분이 없어지고 외부에 노출되어 패각의 구성 물질인 Ca2+이 주위 퇴적물에 존재하던 Fe2+, Mg2+, Mn2+ 등과 치환되면서 색깔이 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화석에서는 Ca함량이 낮아지는 대신 다른 금속의 함량이 높아진다. 자외선 및 가시광선 분광 분석 결과 반사도는 백악기 화석에서 현저히 낮고 제3기 화석 및 현생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며, 이는 주요 금속이온의 치환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4,000원
        17.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imited use of barley for food is mostly due to undesirable color and unfamiliar flavor of barley based food products. So, preventing the browning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barley. ‘Yeongbaekchal’is a new naked waxy barley cultivar which is not get discolored. It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3.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Radiant’which is a proanthocyanidin free and ‘Saechalssal’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winter hardness, lodging tolerance, waxy endosperm and good cooking. The initial cross was done in 2006 and the selected line, ‘Iksan116’(HB16953-B-B-7), had no proanthocyanidin and showed good quality characteristics under yield trial test from 2012 to 2013. Heading and maturing date of ‘Yeongbaekchal’ were 3days late than those of ‘Saechalssal’. It had 90 cm of culm length and 5.0 cm of spike length. It showed 840 spikes per m2, 63 grains per spike, 25.1 g of 1,000-grain weight, and 831 g of test weight. ‘Yeongbaekchal' showed better resistance to BaYMV (Barley yellow mosaic virus) and similar water absorption rate and expansion rate with the check cultivar. Its average yield of the pearled grain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3.42 MT/ha in paddy field, which were 5% low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It showed a little discoloration during the storage after cooked.
        18.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working on the various project about rural experience tourism village in these days, many rural villages are planned and developed, and try to come up to visitor’s demand. Not only quantitative growth by village development but also importance of programs operated by the rural villages are emphasized, therefore it need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tivity programs about rural experience tourism village in rural community building business by season, characteristics of villages, and overall. Moreover, it has to try to suggest a basic direction of improvement about rural community building business. The site of researches are 15 villages that include 5 green rural tourism villages, 5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and 5 unique villages that are recent project. The result of research is that similar projects are operated and hard to find characteristic of seasonal programs in existing management business.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s of recent management business operates not only the former program but also big and activity program using the village’s resources and characteristic.
        19.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만 4세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창의적인 사고기법을 통한 인성교육 활동 교수․학습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N구에 소재한 공립단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48명이며, 10주 동안에 총 8차시로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 의 배려적 사고에 대한 사전과 사후검사를 위해 이춘희(2007)가 개발한 면접형식의 유아평가도구를 사용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배려적 사고의 5가지 하 위요인 중 규범적 사고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치부여적 사고, 정서적 사고, 행동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섯색깔사고모자 기법 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20.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밀 소비 증진을 위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국수 면대 선발에 적용이 가능한 SSR 마커를 선발하기 위하여 금강밀과 올그루밀을 이용하여 제작된 반수체 114 계통을 이용하였다. 2011년과 2012년에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재배 및 수확된 종자를 이용하여 제분을 하여 밀가루 색깔을 측정하였고, 가수량 34%로 국수면대를 제작하여 국수면대의 색깔을 측정하였다. 밀가루 및 면대의 색깔은 CIE-LAB를 이용하여 L(밝기), a(적색도), b(황색도)를 측정하였다. 교배본에서 다형성을 보인 140개 SSR 프라이머를 검정하여 밀가루 및 면대 색깔에 관련된 SSR 마커를 찾았다. 5D 염색체에 위치한 Xgwm190은 밀가루 색에 대한 표현형 변이를(2011년, 2012년 반복 재배한 밀의 평균값) 13.3~22.8% 설명할 수 있었고, 국수 면대의 L, a값의 표현형 변이를 각각 11.8%과 24.1%를 설명할 수 있었다. Xbarc81과 Xgwm133 마커는 밀가루(2012년 생산)의 b값에 대한 표현형 변이를 7.9%, 2011년 생산된 밀가루로 만든 국수면대의 표현형은 9.8% 설명하였다. 국내 24개 밀 품종들의 밀가루와 국수면대 색깔에 대한 Xgwm190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Xgwm190의 유전적 표현형이 금강밀과 같은 a 유전자형에 속한 14개의 국내 품종의 밀가루와 국수 면대의 L값은(91.6과 83.5) 올그루와 같은 b 유전자형 품종보다(93.6과 85.1) 더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보았을 때, Xgwm190는 국내 밀 품종의 색택 개선을 위한 표지인자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