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가문화와 방한 관광객 소비패턴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방한 관광객의 관광소비행동은 국가별로 뚜렷한 차 이를 보였으며, 소비 항목별 지출 비중 등 소비패턴 또한 문화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Hofstede의 6개 문화차원과 방한 관광객의 소비패 턴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Hofstede의 6개 국가문화차원 중 불확실성 회피, 장기지향성, 개인주의, 쾌락추구의 4개 문화차원이 방한 외래관광객들 의 총소비와 세부 소비항목 등 소비패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 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문화와 방한 외래관광객 관광소비행동의 연관성에 대해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광 마케팅, 서비스 설계, 정 책 수립에 있어 문화적 접근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자전거 이용 증가는 도시 환경과 생활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시화, 인구 밀도 증가, 그리고 대기 오염과 같 은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도시들은 교통 패러다임을 자동차 중심에서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 중심으로 전환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가 개인의 활동적인 생활 방식을 촉진하고, 교통 혼잡 및 소음 문제를 완 화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주목한다. 특히 자전거는 단거리에서 중장거리 이동까지 모두 적용 가능한 이동 수단으로서, 필요한 주행 및 주차 공간이 적고, Door to Door 통행이 가능하여 매우 효율적인 교통수단이다. 또한 자전 거 이용자들은 승용차 운전자보다 더 자주 지역 내에서 소비하며, 한 번에 지출하는 금액은 적지만 더 자주 지출함으로 써 총 소비량은 승용차 운전자보다 더 크다. 이러한 이유로 자전거 이용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 구는 이 부분에 착안하여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여러 도시에서 운영 중인 공공 자전거 대여 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여 자전거 이용 증진을 위한 기 반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는 서울의 따릉이, 대전의 타슈, 광주의 타랑께 등 다양한 지자체가 자전거 활성화를 위해 노 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전거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기존의 자전거 기반 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자전거 이용 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저자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자전 거 이용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전거 이용자를 활성화시키고, 지역 상권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 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분석 방법론을 검토하고,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조 사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실질적인 자전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케이팝(K-pop) 시장의 성장과 확산에 따른 20대 청년층의 케이팝 소비 현상을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와 2차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기존 공중파 방송과 유튜브 같은 뉴미디어 플랫폼 간의 상호작용과 재매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케이팝 콘텐츠는 기존 미디어에서 뉴미디어로 재매개되면서 20대 청년층의 소비 패턴에 중 요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공연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플랫폼으로 이동하면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넘어 더 넓은 접근성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직캠과 같은 개인화된 콘텐츠의 대중화는 팬들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케이팝 콘텐츠 소비를 발전시켰다. 더불어 피지컬 음반에서 플랫폼 음반으로의 전환은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여 전통적 음반 형식을 재구성한 사례로, 20대 청년층의 구매 패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VR, AR/XR과 같은 기술을 활용한 케이팝 콘텐츠 는 팬들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며 새로운 소비 경험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뉴미디어 환경 에서 재매개가 케이팝 콘텐츠 소비를 다각화하고 글로벌 확산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케이팝 산업 관계자들에게 현대의 뉴미디어 환경에서 소비자의 콘텐 츠 접근성 및 활용성을 고려한 전략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기법의 하나인 연관규칙 분석법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구매하는 신선식품 간의 상호 연관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농촌진흥청의 「농식품 소비자 패널조사」에서 가공식품을 제외한 신선식품의 구매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전통시장,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에서 나타나는 연관규칙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소비자를 2011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30, 40, 50대로 구분한 후에, 연령대・구입장소별로 도출된 연관규칙 을 매년 등장한 규칙, 빈번하게 나타난 규칙, 새로 생성된 규칙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각 연도별로 나타난 공통된 연관규칙에서 향상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장바구니에서 나타나는 연관 구매의 동태적인 변화 패턴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소매점포가 묶음상품을 개발하거나 매대를 구성할 때 또는 소비자에게 발송할 상품 홍보용 전단지를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umer preferences,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fish product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consumer respon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parameter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404 Koreans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age; for the question of the reason why do you eat fish products, the younger generation (20〜30s)’s most answer was‘The Taste’while the older age groups(40〜50s and over 60s)’most respond was‘For Health’. Second, the differences of sex; women relatively considered‘The Quality’of fish products more important than men when selecting the products. Whereas, men thought‘The Taste’of fish products more important than women when they choose fish products. In addition, when the bad news or hygiene accidents about fish products are reported on media, women reacted more negatively for fish products purchase than men. Third, the differences of family members; the respondents who lived with 3 or more family members showed higher preference rates about purchasing trimmed fresh fish at the store than respondents who lived with 2 or less family members. On the other hand, single households relatively bought processed fish products and RTE(Ready To Eat) fish products more than other family member groups. In addition, single households preference rates about eating fish products as a main dish were very high compared to other groups.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o the consumption pattern of Kimchi and perception about the functional Kimchi of consumer. The survey was done between October 1 to October 15, 2011 among 294 male and female adults aged 19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gender distribution of subjects was 33.3% males and 66.7% females. 64.3% of subjects prepared Kimchi by themselves, 23.5% of subjects received Kimchi from relatives and 12.2% of subjects purchased Kimchi from the market. In addition, the rate of preparing Kimchi at home is highest in those aged fifty or over. Only 41.8% of subjects knew how to make Kimchi. 72.1% of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ate Kimchi one or more a day. 46.6% of subjects have purchased commercial Chinese cabbage Kimchi. The amount of one-time purchase of commercial Kimchi were investigated; 45.2% of subjects have been buying 500-1 kg, 34.4% of the subjects bought less than 500 g, and 11.2% of subjects bought 1-3 kg. 28.2% of subjects buy Kimchi at the supermarket and warehouse market. With regard to the evaluation of Kimchi taste, most consum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weetness of Kimchi. In this result, the perception about functional Kimchi was very low. Consumer's demands were as follows: nutrient enhancement, strengthening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lactic acid bacteria enhancement in order. Small sales units were preferred by the consumers, and complementation of sweetness of kimchi was required. Various Kimchi including functional Kimchi must be developed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his survey focused on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for buying factors of domestic live stock products after foot and mouth disease (FMD).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to reduce consumption when livestock diseases are occurred. Two methods were used for this survey. First method was to investigate internal data to understand consumption patterns when buying domestic livestock products. Second method included empirical analysis to understand how FMD affected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 Survey was conducted in Chuncheon city. As the result of this survey, factors that affected the buying patterns of domestic livestock products were brand and expiration dat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nsumers recognized brand livestock products were safer than general livestock products and they have more interest for food safety than quality attributes of food when buying domestic livestock produ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naming of beverages and its effect on people's perception by gender.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eoul area from March 10 to May 10, 2010. Approximately 59% of male and 41.8% of the female respon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aged 20 to 29-years. Most (79.8%) of the students responding to the survey showed a preference for beverages. "Long-named beverages with ingredients listed" were considered the most reliable and ranked highest at 3.74,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males and females. "Long-named beverage that were made from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were regarded as the most healthful and ranked highest at 4.01.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was also observed. Long-naming influences a customer's purchasing tendency. In particular, women were more influenced by a sense of wellbeing when they purchase, because they are more interested in losing weight and being health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ternational Monetary Fund(IMF) Age on the household behavior of food consumption and analysis the related factors(demographic variables, family life style) to find out the reasonable consumer's consciousness and food market condi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 life style and food life style, considered as family life style, were classified into 7 types and 9 types respectively as family life style by factor analysis. 2. The rationality of using and disposing stage on food life has increased, the rationality of the planning stage on food life has decreased since the IMF age began. But the rationality of overall food consumption has hardly changed. 3. The amount of purchasing was decreased, discount store was favorite place to buy food, and safety and freshness were major determinants in purchasing for most of food items. But this was different with food items. The various information sources were used impartially to buy food, cash was used mainly, and the degree of using the discount ticket/coupon was a little low. 4. Income level is an influential factor on the rationality of the planning and purchasing stage on food life, while environment-oriented food life style has influenced on the rationality of using and disposing stage. The purchasing amount of grain products, meats, milk products, bread and snacks, drinks, alcoholic drinks, water and convenience goods has influenced by demographic variables, eating out had been influenced by general life styles, and fruits, healthy foods, processed foodstuffs, favorite foods, vegetables seaweeds, import foods and seafood had been mainly influenced by food life style since IMF age beg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ortant changes and the trends in Korean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1) food habits and food consumption patterns 2) nutrition, health and diseases 3) food safety and policy.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content analysis of the articles pressed in Donga ilbo and Choseun ilbo from January 1960 to June 1996. Among the total 1814 articles, those o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were 922 (50.8%), food safety and policy were 490 (27%) and food habits and consumption patterns were 402 (22.2%). The articles related to food habits and consumption patterns dealt with four contents, food habits reformation, changes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nutritional status and food habits. The frequencies of food habits content were highest (51.1%) and especially increased in 1980's and 1990's as the concerns on health and pursuit of convenience were increased. Most of contents related to food habits were health and longevity diet (44%) and eating out (27.5%). The percentile of food habits reformation, the changes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nutritional status were 20.1%, 18.4% and 10.0%,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food habits reformation were most interested in 1960's when food shortage and poverty prevailed. Nowadays, the major subjects of food habits reformation were changed to the problem of wastage and the use of our agricultural foods. The frequencies of change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were gradually increased from 1960's (7 item) to June 1996 (34 items). And the most of contents related to nutritional status were focused on suffering from food shortage especially in 1960's.
여대생의 평일 및 일요일의 식생활에서의 식사구조의 기본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섭취된 식물을 16식품군으로 분류하여 식품 및 영양소섭취량과 16식품의 인자분석을 행하여 얻는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식품섭취량에서 16식품군 중 두류, 육류, 음료를 제외한 13식품군의 섭취량은 평일의 식사에서보다 일요일의 식사에서 더 높았다. 2. 식품군간의 상관행렬에서 밥은 평일 및 일요일식사에서 여러 식품군과 정(正)의 상관을 가졌고, 특히 일요일의 경우는 평일보다 정(正)의 상관을 가지는 식품군이 더 많아 섭취된 식품이 다양함을 나타내었다. 또 빵 면류는 평일의 경우 과자 사탕류와, 일요일의 경우는 우유, 난류와 정(正)의 상관을 가지므로 평일은 간식형으로, 일요일에는 식사대용으로 이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야채류, 김치류, 난류, 음료는 평일 및 일요일의 경우 거의 같은 종류의 식품군과 정(正)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평일은 어류, 육류, 유지류가, 일요일은 해조류, 과일류, 우유가 여러 식품군과 정(正)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3. 상관행렬을 인자분석하여 얻은 제1인자는 평일 및 일요일의 경우 한국형의 전통식사(밥식)인자로 해석되었고, 야채류, 감자류, 해조류, 김치, 난류 등의 식품군은 일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일의 경우 두류, 어류, 유지류가, 일요일에는 밥, 육류, 해조류가 식사패턴에 깊게 관련되는 인자로 나타났다. 제2인자는 평일에서는 조절소인자, 일요일에서는 한국형식사인자이었고, 제3인자는 평일에는 간식 대용식인자, 일요일에는 조절소인자로 나타났다. 제4인자에서 평일은 부식인자, 일요일은 열량원인자이었고, 제5인자에서 평일은 밥식인자, 일요일은 빵식인자로 나타났다. 4. 평일 및 일요일의 2차원공간도에서 제1주성분은 평일 및 일요일에서 한국전통식(밥식) : 서구식(영양이 고려되지 않은 대용빵식), 제2주성분은 평일에서는 조절소 : 주식(열량)공급원, 일요일은 식사형 : 간식형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되었다. 5. 영양소섭취량에서 아침식사의 경우 평일은 열량과 구성소영양소의 섭취량이, 일요일은 조절소영양소의 섭취량이 높았다. 점심식사에서는 일요일의 경우가 평일보다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높았다. 간식에서 일요일의 경우 당질, 섬유소, 비타민 C를 제외한 영양소의 섭취가 많았으며, 특히 비타민 C, 동물성에너지, 지질, 칼슘, 당질은 1일 평균영양소섭취비로 볼 때 간식에서 높은 섭취비율을 나타내었다. 저녁식사는 평일은 일요일보다 열량, 지질, 당질, 철분 이외의 타 영양소 섭취가 많았고, 일요일의 1일 평균영양소섭취량은 비타민 B1 C, 동물성단백질을 제외한 영양소가 평일의 그것보다 높았다. 또 RDA와 비교한 영양소섭취비는 평일 및 일요일에서 열량(각각 77.4%, 82.3%), 철분(82.8%, 90.6%)이 RDA에 미달되었고, 그 외 영양소는 RDA를 상회하였다.
일반적으로 어류는 번식시기에 생식소 발달로 인해 에너지 소비가 많고, 이로 인해 대사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번식시기에 어류의 산소소비 패턴이나, 산소요구량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해수어류의 담수순화시 사육수의 염분변화는 삼투압조절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온과 수분 평형에 혼란을 일으키며 어체의 생리조건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수순화 과정을 거쳐 이미 담수에 적응되어 섭식활성이 높은 담수순화 감성돔 (담수감성돔)의 번식기간과 비번식기간의 산소소비 패턴을 해수사육 감성돔 (해수감성돔)과 비교함으로써, 감성돔의 담수양식 및 번식기간에 에너지 요구 및 소비와 같은 기초대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번식기간(breeding period, Feb.~Jun.) 및 비번식기간 (non-breeding period, Jul.~Nov.) 동안 산소소비 실험에 사용한 담수감성돔의 크기는 전장 22.2±0.7cm, 체중 208.5±8.5g, 해수감성돔에서는 각각 23.0±0.5cm, 체중 224.4±14.4g이었다. 실험어는 실험개시전 24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밀폐순환유수식 산소 소비 측정장치 내의 호흡실로 옮겼다. 호흡실에서 실험어를 12시간 이상 안정시킨 다음, 수온 (15, 20, 25℃)과 광조건 (12L:12D)을 조절하면서 산소소비 패턴을 측정하였다. 실험어의 산소소비 패턴은 실험기간동안 용존산소 측정시스템인 Oxyguard 6 프로그램에 의해 10분 간격으로 자동측정된 유입수와 유출수의 용존산소량을 이용하여 단위체중당 산소소비량 (mg O2/kg/h)으로 계산하여 나타냈다. 번식기간에 담수 및 해수 감성돔의 산소소비량은 15℃에서 각각 165.4±11.0, 77.6±8.0mg O2/kg/h, 20℃에서 186.2±13.1, 133.4±6.7mg O2/kg/h, 25℃에서 267.9±19.1, 198.6±8.3mg O2/kg/h였다. 비번식기간에 담수 및 해수감성돔의 산소소비량은 15℃에서 각각 174.0±7.0, 85.6±5.5mg O2/kg/h, 20℃에서 200.6±11.1, 119.2±8.7mg O2/kg/h, 25℃에서 271.1±7.5, 194.7±16.7mg O2/kg/h로 번식 및 비번식기간 모두 담수감성돔이 해수감성돔보다 산소소비량이 많았다. 또한 수온상승과 비례하여 산소소비량은 증가하였으며, 각각의 수온조건에서 번식 및 비번식 기간의 담수 및 해수감성돔 산소소비량은 차이가 없었다. 번식 및 비번식기간의 담수 및 해수 감성돔은 광조건에 따른 뚜렷한 산소소비 패턴을 보였으며, 암기보다 명기에서 산소소비량이 많았다. 특히 담수감성돔은 번식기간의 명기에서 수온을 상승시키는 시간뿐만 아니라 암기에서 명기로 전환 후에 산소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담수감성돔이 해수감성돔보다 번식시기에 빛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