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s game addiction has an effect on children’s physical activity, physical self-conception was used by medium. Participants were 230 mothers with children between 5 and 7 years old. One-hundred eighty surveys, excluding those with omitted or odd answers,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using WEB-R 3.0(LAVAAN). The first, as the result indicated, parent’s game addiction affected the children’s physical activity directly. The second, parent’s game addiction affected the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ion. The third,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ion. affected the children’s physical activity. Therefore the effort to increase the children’s physical self-conception may contribute to developing children’s physical activity.
This study aims to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depression in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athletic participation.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school and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2012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lluminate that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ve the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 aspects by analyzing how the participation attitude has influence on physical self-concept. The objects of th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guiding information in order to invigorate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make middle school students aware of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ies
in adolescence and induce the participation in after-scho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learners of participating in physical-education instruction are perceiving the motivational climate on physical-education instruction and to examine which relationship there is with physical self-concept accord
목적: 본 연구에서는 통증전문 운동치료인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참여 후, 통증과 우울감소에 미치 는 직접영향력과 신체상 자기차이와 신체적 자기개념의 상호작용이 우울정서 경험에 미치는 간접영향력을 함께 검증하였다. 방법: 반복측정실험설계를 통해 만성통증을 겪고 있는 참여자 104명(여자=93명)을 대상으로 12주간 SNPE 프로그램 참여 전/후 통증, 우울, 신체상과 신체적 자기개념을 측정하였다. 결과: SNPE 참여 전과 비교했 을 때, 통증과 우울은 감소하였고, 더 마른 체형을 원하는 갈망 또한 줄어들었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은 좋아졌다. SNPE 참여 전 통증과 우울의 부적관련성이 SNPE 참여 후 낮아졌으므로 SNPE 참여 후 감소된 통증이 우울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참여자의 체지방이 감소할 때, 신체상 자기차이가 우울 정서 감소로 이어지는 간접효과도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SNPE와 같은 운동치료법은 통증감소는 물론, 신체상 자기차이로 인하여 유발되는 우울감 개선에도 도움이 되므로 운동치료법이 지닌 여러 장점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실용적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이 지각하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타당성 있는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개방형 설문을 통해 노인의 신체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구성요인을 수집하고, 예비척도 제작을 통해 내재된 개념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나아가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성과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방법: 인천 소재에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 남⋅여 565명이 개방형 설문, 구조 검증을 위한 본조사에 참여 하였으며, 개방형 설문의 반응은 귀납적 내용분석방법을, 신체적 자기개념의 구조 탐색은 예비척도 반응치에 대한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및 고차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외모, 건강 및 질병, 숙면, 식이, 신체활력의 5요인(16문항)을 갖는 위계적 구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은 전반적으로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높았으며, 연령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특히 건강 및 질병요인, 숙면요인에서 고연령 노인들의 평가지각이 긍정적이었다. 결론: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 구조는 청소년이나 일반인과 다르다. 노인의 운동이나 신체활동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노인의 신체개념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eight training on physical self-concept among middle aged women by using a mixed research methods including a single case study design and qualitative study. Methods: A total of 8 middle-aged women from new members of the K fitness center in Incheon participated in the 17 weeks study. The study was structured 2 weeks baseline session, 12 weeks of weight training with observed changes through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 Kim, 2001) and 3 weeks withdrawal session. Results: 12 weeks weight training intervention significantly improved 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among the participants. Weight training was effective not only in strength and flexibility, but also in sports confidence, physical activity, and endurance.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zing perceptual changes of the process of physical self-concept change after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of the weight training. Conclusion: Weight training effectively improved middle-aged women’s physical self-concept including perceptions of health and body, sport confidence, physical fitness and general physical statu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7-day exercise deprivation on physical self-concept of habitual exercisers. Methods: Seven habitual exercisers who regularly exercised 6 to 7 days per week and 7 non-habitual exercisers completed a) Stage of Change Scale for Exercise, b) DSM-V Questionnaire, c) Korean Exercise Addiction Scale, and d) Korean version of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articipants refrained from their regular physical activity for the next 7 days. The Korean version of the PSDQ were completed at the same time of each deprivation da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last day.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bitual exercis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measures of physical self-concept compared to non-habitual participants. For habitual exercisers, perceptions of sports confidence, body fat,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physical self-worth decreased sharply and steadily as exercise deprivation continued. The results from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habitual exercisers had negative reactions to the exercise deprivation and mentioned considerable displeasures about their decreased physical self-concept. Conclusion: The pattern of physical self-concept disturbance followed by unpleasant feelings with exercise deprivation might contribute to understanding why and how individuals became dependent on exercise.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포츠참여수준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신체적 자기개념, 운동정서 및 학교 생활 만족도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소재 605명의 고등학생들(남:274, 여:331)이며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조절, 신체적 자기개념, 운동정서, 학교생활만족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의 과정을 거쳤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참여수준은 신체적 자기개념을 제외하고 그 어떤 변수와도 관계를 맺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 능력은 신체적 자기개념이나 운동정서와 밀접한 영향력을 주고 받으면서 학교생활 만족도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했으며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했다. 본 연구결과에서 검증된 구조모형은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실태를 조망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54명을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12주간의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를 사용하여 남녀학생 각각의 집단을 측정하였다. 측정 자료는 기술 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신체적 자기개념에 있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은 남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어떠한 하위 요인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은 여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많은 하위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천정 효과와 바닥 효과 그리고 운동 효과에 대한 정보적 피드백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지닌 교사와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교사가 학생들을 지도했을 때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밝혀 초등체육교육이 바람직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을 담당하는 교사를 체육전공학급담임, 체육비전공학급담임, 체육전공교과전담, 체육비전공교과전담으로 분류하였다. 교사 71명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 987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수업 만족도 간의 관계는 체육전공학급담임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연구모형의 타당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체육전공교과전담교사를 제외한 모든 교사유형에서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긍정적 정서와 정적인 관계가 있고, 부정적 정서와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모든 교사유형에서 부정적 정서는 긍정적 정서와 수업 만족도와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초등교육에서 학급담임의 역할은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수업 만족도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여성의 요가참여가 신체상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 C도 및 J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20세 이상의 여성요가참여자 274명과 비 참여여성 212명 총486명을 대상으로 SMT와 PSDQ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여성요가참여자의 연령에 따른 신체상과 신체적 자기개념을 비교한 결과 신체상의 경우 60대에 비만형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개념의 경우 체지방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신체활동은 50대에 가장 왕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연성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의 요가참여 변인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요가참여 빈도는 외모와 지구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 시간은 체지방에, 참여기간은 건강을 제외한 전체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가참여시간은 현재의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상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중 건강과 자기존중감을 제외한 8개 하위영역에서 신체상에 유의하게(p <.05)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체조성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정상집단과 비만집단을 대상으로 신체조성(체중,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최고혈압, 최저혈압)및 신체적 자아개념(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외모, 신체활동, 건강, 자기 존중감,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을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 간과 시행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신체조성 변인 중 체중, 체질량 지수와 허리둘레에서 정상집단과 비만집단 간의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둘째, 신체적 자아개념 변인 중에서는 외모, 지구력, 근력 그리고 신체전반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스포츠 유능감, 신체활동 그리고 자기존중감에서 실험전과 후 긍정적인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 신체적 자아개념의 긍정적 변화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동아리 활동에 참가하는 청소년들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의 차이와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 312명(남:206, 여:106)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질문지(PSDQ)와 한국어판 기분상태프로파일(K-POMS)을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하였고,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과 정서의 활력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동아리 활동 집단이 비활동 집단보다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외모, 건강, 규칙운동, 체지방, 스포츠자신감, 지구력)과 정서의 활력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스포츠동아리 활동 청소년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근력과 외모요인이 정서를 주로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비활동 청소년은 건강과 외모요인이 정서를 주로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외 스포츠활동이 여자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년별, 1회 참여시간, 주당 참여빈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Y시에 소재하는 J여자중학교 1, 2, 3학년 학생들 중 방과 후 과외 스포츠활동에 참가하는 학생들 267명이었으며,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은 10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한국어판 PSDQ(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년에 따라 체지방, 외모, 자기존중감 요인에서 그룹별 차이가 있었으며 3학년이 1, 2학년보다 높은 수준으로 자신을 인식하고 있었다. 1회 참여시간에 따라 스포츠유능감, 건강, 신체활동, 지구력, 신체전반에서 그룹간 차이가 있었으며, 1시간 이상 참여하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자신의 신체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주당 참여빈도에 따라 스포츠유능감, 건강, 신체활동, 자기존중감, 유연성, 지구력에서 그룹간 차이가 있었으며, 주당 참여빈도가 많은 집단이 자신의 신체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신체활동과 집단상담을 통합적으로 수행한 보호관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의 심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신체활동과 집단상담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명령을 받고 있는 1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2주간의 집중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자아개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를 통한 양적연구 방법과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의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는 질문지는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 질적 자료가 첨부되었으며, 또한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하여 새롭게 나온 결과도 함께 제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결과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자아개념에 대한 심리검사 결과 신체적도덕적성격적가정적사회적 자아개념이 향상되었으며(p<.05),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참 모습을 뒤돌아보며 멋진 자신을 그려보기도 하였다. 특히, 신체활동을 통하여 땀을 흘리면서 자신의 신체의 소중함을 느끼고 건강에 대한 생각을 다시금 하였다.집단상담을 진행한 상담심리 전문가와의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집단 응집력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집단상담 초기에 집단 응집력 형성이 매우 중요한다. 이는 상담자 그리고 또 다른 내담자들과의 신뢰관계가 형성되어 자기 노출하는데 거리낌 없어져서 상담진행이 더 빠르고 더 심도 깊게 되었다.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들의 범죄예방 및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청소년이 자신의 신체 상태와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구에서 개발된 도구에 의존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우리나라의 청소년의 관점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문항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의 일반 청소년과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질적인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와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대표하는 10개의 하위 요인을 선정하였다. 80문항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여 1차 검토를 한 후에 수정, 삭제의 과정을 거쳐 50문항으로 구성된 예비판을 제작하였다. 440명의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분석, 요인분석 등을 통해 8요인 35문항으로 구성된 최적의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내적일관성과 재검사법에 의해 신뢰도를 추정한 결과 일관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선수와 일반학생 사이,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예상했던 방향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타당도를 입증하는 결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완성한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는 앞으로 청소년의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유도할 수 있는 각종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동의 효과를 진단하는 지표로 널리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성별, 주당 운동빈도(고/중/저), 1회 운동시간(장/중/단)의 그룹에 따른 자신의 신체평가 수준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하위 요인 중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481명(남학생 272명, 여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PSDQ(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건강,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의 요인에서 더욱 긍정적으로 자신을 평가하고 있었다. 주당 운동빈도에 따른 분석결과 스포츠 유능감, 외모, 건강,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의 요인에서 그룹별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고빈도 그룹이 중·저빈도 그룹보다 높은 수준으로 자신을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 1회 운동시간에 따른 분석결과, 스포츠유능감, 외모, 건강,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의 요인에서 장·중시간 그룹이 단시간 그룹보다 자신의 신체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스포츠 유능감, 외모, 유연성, 근력, 신체전반요인에서는 장시간과 중시간 그룹은 유사한 수준으로 자신을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운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