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로나19(COVID-19) 상황으로 감염예방과 관리지침에 따라, 정신간호학 실습을 대면으로 진행할 수가 없어, 긴급하게 온라인 실습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학 현장실습 대체 온라인 실습에서 성찰일지를 내용분석하여 온라인 실습 교육과정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21년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 3학년 학생 31명의 성찰일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참여자의 실습이 종료된 2022년 4월 4일부터 5월 31일까지 자료 수집하 였고, 크리펜도르프(Krippendorff, 2019)의 내용분석에 따라 분석하였다.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 성찰일지 를 내용분석한 결과, ‘자기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함’, ‘정신건강의 가치를 알게 됨’, ‘정신질환자의 회복에 대해 생각함’, ‘치료적 의사소통 향상에 노력함’,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이 감소됨’, ‘온라인 실습에 대한 양가감정이 듦’의 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에서의 간호대 학생의 성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러한 성찰일지를 대면 실습 혹은 정신건강전문가 양성과정에도 활용하여 연구하기를 제안한다.
        5,800원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60년대 이청준 소설을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아도르노 비판미학과의 관계 속에서 탐구하였다. 의학지식의 대중화를 통해 문학 분야에 적극 유입 됐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한국 지식담론장의 비판인식에 영향을 끼쳤던 아도르노 비판미학이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를 탐구한 것으로 이를 통해 구원의 서사로서 이청준 소설이 갖는 의미를 해명하고자 했다. 이청준 소설은 이윤의 목적성에 훼손된 근대의 부정성을 공격하며 자본의 논리에서 자유로운 무목적적 미의 세계를 유토피아로 투시한다. 현실에 대한 분노를 가학적 공격성을 통해 표현하는데 여기에 문화지식이 중층적으로 개입된다. 타나토스의 본능을 위험한 충동으로 부정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이 고통으로만 구원이 투시될 수 있다고 강조한 아도르노 미학을 경유하여 비판적으로 전유되고 있다. 소통과 화해 대신 분노와 불화를 통해 구원을 모색하는 것으로 격자소설 양식, 성찰적 서술자 운용, 거짓말과 말없음 등 전통 문법을 해체하는 형식적 고안들도 비판미학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문화지식담론을 전유하며 유토피아를 희구한 이청준의 구원의식과 사회의식이 온당하게 이해되며 70년대 이후로 비판미학의 수용 시기를 진단한 연구도 재론될 수 있다. 이론이나 잡지와 함께 소설은 문화지식 수용의 텍스트로 의미를 가지며 그러한 점에서 60년대 이청준 소설은 아도르노미학 수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6,400원
        3.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nderstanding of real experiences of the subjects taking anti-psychotics medic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 mentally ill patients hospitalized in C National Hospital.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with ethnography researchmethod. Results: 26 themes were drawn,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5 categories. The 1st category was the stage not to acknowledge themselves as mentally ill patients, as mentally ill patients were forced to be hospitalized in the mental hospital by their family, when their mental illness developed. The second category was the stage to endure difficulties while taking medication. The third category was the stage to experience recurrence of disease. The fourth category is the stage to experience improvement of mental illness with medication. The fifth category is the stage to reflect thembecause of the improvement of mental illness, and to express confidence and will about medication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Conclusion:Nurses actually have to provide total care bymaking thementally ill patients feel comfortable not to have resistance about medication, when they are hospitalized, closely observing medication actions and side effects, and sharing difficulties felt by the patients.
        4,200원
        4.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국내에 운영되고 있는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를 다니는 건강장애학생의 학업 참여와 주관적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을 높이고, 이들을 위해 작업치료사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 국내 6개의 병원학교 중 연구에 동의한 2개의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의 교사 2명과 입교중인 정신건강장애학생 29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28일부터 동년 7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병원학교 현황을 빈도 분석하였고,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 학생의 수업참여와 병원학교 이용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 결과 : 연구결과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 학생의 연령은 평균 15.41세(±2.16)이며 진단명은 지적장애(37.9%), 주요우울장애(24.1%), 품행장애(17.2%) 순이었다. 교사 평가에 의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병원학교 생활에서 선생님과의 관계가 3.79점(±0.82)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친구들과의 관계가 3.24점(±0.99)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학생이 평가한 병원학교의 전반적 만족도는 재량활동 4.24점(±0.83), 병원환경이 4.24점(±0.94)으로 높고 주요 교과목은 3.48점(±1.37)으로 가장 낮았다. 학생의 전반적인 병원학교 생활과 만족도는 시설물 배치편리에 대한 모든 하위항목과 선생님의 노력, 수업시간의 미래도움도, 선생님의 공평성, 수업시간 기대에 대한 대부분의 하위항목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병원학교 학생들은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수업참여를 더 잘하고, 재량활동시간과 병원환경에 대해 가장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받는 정신건강장애학생 수는 제한되어 있고 정신건강에 대한 폭넓은 이해에 기초한 커리큘럼이 정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향후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4,600원
        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sychiatric patients as subjects were categorized herein into disease- and accident-triggered groups to statistically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in terms of various comparative items. At a result, male patients were more dominant than females and physical workers were outnumbered by mental workers in the two groups. Also, patients were more apparent at workplaces with at least 100 employees than the ones with less than 100 employees, and patients whose employment period is at least one year were more vulnerable to stress-related mental disorders than the ones whose employment period falls short of one year. The foregoing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take preventive measures considering vulnerable aspects in terms of mental disorders.
        4,000원
        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정신보건 서비스 실태와 제도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우리나라의 정신보건법은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질환자의 의료 및 사회복귀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정신건강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1995년 제정되었다. 이후 3차례의 개정을 거쳐 최근 정신질환자의 인권보호강화 및 작업요법에 대한 근거 신설(제46조의 2) 등을 주요내용으로 일부 개정되어‘작업요법’이 재활서비스의 중요한 부분으로 명기 되었다. 그러나 국가인권위원회가 2008년 10월부터 12월까지 국∙공립병원 3개소와 민간병원 4개소를 대상으로 정신보건시설 방문조사 결과 작업치료부재 또는 종류 부족, 작업 치료 계획과 평가, 작업치료일지 작성 미흡, 작업치료의 명목의 화장실∙병동 간호사실 청소 및 중증환자 간병 등의 인권 침해사례가 보고 된 바 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은 부적합한 용어(작업요법)의 사용으로 상위법(정신보건법)과 하위법(시행규칙) 간의 모순을 초래하여 작업치료서비스가 작업치료사가 아닌 비전문가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정신보건법 개정 기본 취지인 정신질환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양질의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을 보장하여 정신보건시설 내의 작업치료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즉 정신보건법에 작업치료의 정의와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를 명시하고 작업치료사가 정신과 필수인력으로서 종사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선적으로 이러한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 질 때 그에 따른 정신과 작업치료사의 전문성 확립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하여 일본의 정신보건 역사와 작업치료의 현재, 작업치료사 양성 교육과 그 외에 사안들에 관하여 간략히 소개하였다. 한국도 산업화에 따른 직종 및 구조의 변화, 도시화 등 사회경제 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가족 제도의 변화와 더불어 정신질환자가 눈에 띄게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정신보건 체제의 구조전환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정신보건전문요원으로서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인식의 초기 단계에 있는 한국의 정신보건영역은 일본의 생활치료요법이 시행되었던 시대, 작업치료사가 정신보건영역에 처음 참여하게 되었을 때와 유사한 상황에 처해 있다. 우리가 일본에서 경험한 과정들을 기초 삼아 본 연구가 한국의 정신과 작업치료의 체계적 구축과 발전에 다소의 기여가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이다.
        4,000원
        8.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사회가 복잡해지고 도시화, 기계화됨에 따라 각종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사회병리현상도 증가했다. 또한 의학발달과 함께 질병에 대한 치유율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장애인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지역사회의 사회통합력이 약화되면서 정신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정신장애인들은 의료서비스를 받은 후 일차적인 증상이 없어졌다 하더라도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때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은 복합적인 사회적 기능장애를 가진 상태이기 때문에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에 적응하기가 더욱 취약하다. 정신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지역사회에서 최대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능력과 그들의 취미, 직업, 교육 등의 잠재적 능력을 발달시켜 최대한 정상에 가까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지역사회 정신보건 재활프로그램(Program of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과 선진국의 정신보건정책 등을 통해 정신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적응할 수 있는 정신보건서비스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5,700원
        11.
        1999.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VA(Cerebro-Vascular Accidant) and HLD(Herniated Lumbar Disc) induces psychiatric disorders as well as neural disorders. In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management of CVA patients(group A) and HLD patients(group B), these psychiatric disorders are as major and important as neural disorders. For investigating the rate and differ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between two groups, We examined them with SCL-90-R(Symptoms Check List-90-R),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among psychological test. th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group A, phobic Anxiety was most high, and somatization, psychoticism,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interpersonal sensitivity, obsessive-compulsive and paranoid ideation were located by score. 2. In group B, somatization was most high, and phobic anxiety, hostility, depression, psychoticism, anxiety,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paranoid ideation were located by score 3. According to SCR-90-R test, group 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group B in phobic anxiety 4. According to STAI test, group 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group B in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5. According to BDI test, group 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group B in depression we might be suggested that CVA patients had more serious psychiatric disorders than HLD patients. therefore, CVA patients must be treated and managed more actively than HLD patients
        4,000원
        12.
        199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roke induces neuro-psychiatric symptoms as well as neural disorders. In oriental medical treatment of stroke, these neuro-psychiatric symptoms and motor․sensory nerve disorders are major and important points of differentiation of syndromes and major therapeutic aim for stroke patients. For looking at changes of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stroke patients, we devided stroke patients into two groups by time after attack; group in 4 weeks (Group A) after attack, group more than 5 weeks (Group B). We examined them with SCL-90-R(Symptoms Check List-90-R), one of neuro-psy -chiatric examination tools, then the results as follows; In group A, phobic Anxiety was most high, and phobia anxiety, anxiety, psychoticism, hostility, depression, obsessive-compulsive, paranoid ideat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were located by score. In group B, phobic anxiety was most high, and depression, somatization, anxiety, psychoticism, interpersonal sensitivity, obsessive-compulsive, hostility, paranoid ideation were located by score. We recognized that all indexes of Group B including global severity index(GSI), positive symptom total(PST) and positive symptom distress index(PSDI) were higher than those of Group A. We suggest that the aim of treatment about stroke patients be made by considering changes of neuro-psychological symptom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