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2.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ringa oleifera leaves, seeds, pods, roots, and flower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ir medici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effectiveness of M. oleifera. In fact, almost every part of M. oleifera has been found to contain essential nutrients and medicinal value. Especially, the leaves of M. oleifera are known to have various nutrients and diverse efficacy. Several studies have assessed the potential toxicity of the leaves when prepared by various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 oleifera leaves when prepared differently were safe in locally used doses and amounts. Moreover, M. oleifera is known to contain various physiological efficac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nd anticancer effects and so on. In the latest research, many attempts are being made to utilize the diverse effects of M. oleifera. This research seems to be bringing a promising view of M. oleifera as a therapeutic functional food for various diseases.
        4,900원
        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utility of the Polygonum multiflorum. Also, we fermented P. multiflorum by mushroom mycelial, and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s and biological active of fermented P. multiflorum root. The crude protein cont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fermented P. multiflorum root, crude fat, ash and crude fiber content of fermented P. multiflorum root were lower than control. The content of soluble nitrogen free extract of P. multiflorum roo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rmented P. multiflorum root. The major amino acids of P. multiflorum root were determined the arginine. The content of arginine and glutamic acid were 586.67 mg%, and 283.78 mg%, respectively. Six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fermented P. multiflorum root,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determined the arginine and threonine.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control and fermented P. multiflorum root were 3,469.03 mg%, and 3,630 mg%, respectively. As the results of antioxidant activity test, the antioxidant capacity of fermented P. multiflorum had a higher than the control. As the mushroom fermentation progresses, it is confirmed that the amino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were increased, and it is expected to develop the product using the fermented P. multiflorum using mushroom mycelials.
        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anoderma lucidum is one of the most popular medicinal mushrooms of Asian region having promising immune enhancing properties. This single species of mushroom has over 400 bioactive compounds and possess properties relating to battling tumours, viruses, bacteria, inflammation, platelet-aggregation, immune system modulation among many others. There are documented reports of G. lucidum fighting the activity against HIV/AIDS and diabetes. Owing to such a wide range of medicinal applications, the global consumption of G. lucidum is high, which has resulted in a plethora of commercially available patented products. These products have G. lucidum as an active constituent and are usually marketed as food supplements but are also available in the form of creams, hair tonics and medicinal soaps. The growing demand and the high cost of G. lucidum in the local market have enforced to think about a range of novel methods for the cultivation of this mushroom. We explored different novel strategies in this direction. In the first approach, the widely available agricultural residues of oil palm biomass (empty fruit bunch fibres, EFB) from Malaysia were used to cultivate this mushroom with cheap cost. The required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this mushroom were studied by employing a pilot-scale cultivation in a mushroom farm. From the results it was scrutinized that oil palm waste fibres are the potential source of cultivating G. lucidum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of substrates. In the second strategy, the effect of UV-C radiation on the physical growth of G. lucidum mycelium has shown positive results. Results of 10 and 15 min of UV-C exposure treatments per 24 h showed a 30% increase in the diameter of mycelium over control i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petri-plates. Using EFB as substrates not only supports the G. lucidum cultivation but also offers a viable alternative for the management of solid waste in oil palm plantations of Malaysia. These results stipulate a better and stronger mushroom in terms of its bioactive compounds content and better growth parameters. Moreover, it also benefits the local mushroom farmers in Malaysia for the easy availability of the substrate materials and with better economy. The techniques involved can be propagated to the local Ganoderma industry for improvised cultivation for better output. A high output would also mean profitable business resulting in revolutionizing the economics of Ganoderma markets all over the world.
        5.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버섯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에탄올 추출 농도에 따라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인 ergothioneine,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 측정과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물 추출물(에탄올 0%)의 ergothioneine과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이 각각 2.98 ± 0.05 mg/g, 9.51 ± 0.45 mg/g, 2.83 ± 0.03 mg/g으로 가장 높았고, 에탄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에서 각각 80.41 ± 0.56%, 91.47 ± 0.1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FRAP 값도 물 추출물이 8.86 ± 0.33 FeSO4 eq. mM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ergo- thioneine은 total phenolic compounds (r = 0.818)와 flavonoid (r = 0.837)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DPPH (r = 0.614) 및 ABTS라디칼 소거능(r = 0.483)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대황은 지표성분의 규격이 한국, 일본과 중국이 다르고, 유통시장에서 대황과 종대황이 혼재되어 있으며 다 양한 기원식물이 혼재되어 수입되고 있다. 따라서 대황의 효능을 현대 약리학적으로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약재의 표준화, 과학화 및 위염에 대한 지표성분 검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Rheum tanguticum(당고특대황)과 그 비교생약으로 Rumex cripus(양제근), Rheum officinale(약용 대황), Rheum palmatum(장엽대황) 및 Rheum undulatum(종 대황)의 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흰 쥐를 이용한 위염 모델에서 양제근 70% 에탄올 추출물 (73.2%)와 종대황 물 추출물(71%)이 각각 70% 이상으로 우수한 위손상 억제활성을 보여주었지만, 당고특대황의 70% 에탄올 추출물 투여시 91.8%로 실험군 중 가장 우수한 위염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격인자로써의 산을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제산력 시험법으로는 당고특대황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이 각 각 약 14.2%, 약 15.8%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보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hydrotalcite(49.9%)보다는 제산작용이 약하였지만 과량 혹은 장기간 복용하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화성궤양, 위암 및 변연부 B 세포 림프종 발생에 있어 중요한 원인 인자로 밝혀졌고, 기능성 소화불량증, 위의 과형성 용종, 철결핍성 빈혈 등 기타 질환과의 연관성들이 제시되고 있는 H. pylori에 대 한 colonization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 당고특대황의 70% 에탄올 추출물 100 μg/mL에서 H. pylori에 대한 항균 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DPPH 용액을 이용하여 free radical의 소거능을 IC50으로 나타낸 결과, 당고특대황은 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IC50이 25.9 μg/mL, 5.8 μg/mL 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L-ascorbic acid (IC50= 6.5 μg/ mL)와 유사한 free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당고특대황의 70% 에탄올 추출물이 휜 쥐 위염모델의 위손상을 가장 우수하게 억제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또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고특대황의 성분인 chysophanol, chrysophanol-8-O-glc, desoxyrhaponticin desoxyrhapontigenin, emodin, isorhaponticin, 2-methoxy-4-hydroxyanthraquinone- 5-O-glc, physcion, piracetannol-3'-O-glc, resveratrol, rhaponticin 및 rhapontigenin을 이용하여 실험 한 결과로는 효성분들 중 physcion 100 μM과 rhaponticin 50 μM 및 100 μM에서는 실험에 사용한 성분들 중 비교적 우수한 colonization 억제작용(+)을 나타내었고,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isorhaponticin, piracetannol-3’-O-glc, resveratrol 및 rhaponticin에서 IC50이 각각 129.5 μM, 94.1 μM 80.1 μM 및 104.6 μM로 확인되었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항위염 효과가 있는 우수한 약용식물로써 천연물 의약품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한약재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한약재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8.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모과내의 여러 가지 기능성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모과나무의 익은 열매로 만든 약재인 모과를 사용 하였다. 모과의 기능성 유용성분 용매 추출 공정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모과를 에탄올에 추출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용매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시료에 대한 용매비(X1)와 추출온도(X2), 추출시간(X3)을 요인변수로 하고 추출수율(Y1), 총페놀 함량(Y2), 전자공여능(Y3), 갈색도(Y4), 환원당(Y5)을 종속변수로 하여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수율은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에 유의하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안장점에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26.38 mL/g, 추출온도는 72.82oC, 추출시간은 74.86 min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용매비와 시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고 추출시간에는 영향을 받았으며, 최대값은 20.70 mg/mL 로 나타났다. 이때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22.61 mL/g, 추출온도는 84.49oC, 추출시간은 77.25 min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온도에 따라 유의하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장점에서의 추출조건인 시료에 대한 용매비 10.65 mL/g, 추출온도 67.78oC, 추출시간 96.75 min에서 추출수율은 94.12%로 예측되었다. 갈색도에 대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3.77 mL/g, 추출온도 87.27oC, 추출시간 96.68 min 일 때 안장점이 나타났다. 환원당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6.83 mL/g, 추출온도 82.167oC, 추출시간 81.94 min에서 10.55 mg/mL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추출시간에 영향을 받았다.
        4,000원
        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산 저활용 소형복어인 복섬(Takifugu niphobles)을 원료로 하여 수프용 정미강화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풍미계 조미엑스분을 추출하였고, 추출방법에 따른 이들 복섬 엑스분의 품질 및 정미발현성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복섬의 조단백질 함량은 17.4%으로 Glu, Asp, Lys, Leu, Pro, Ala, Val 및 Lys 등 주요 아미노산을 고루 함유하고 있었다. 열수추출법 및 2단 효소분해법으로 엑스분을 추출하고 관능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98℃에서 3시간 추출한 열수추출물에서는 감칠맛과 맛의 강도가 약한 반면, 2단 효소분해물은 감칠맛과 맛의 조화가 월등히 우수하였고, 수율은 열수추출에 비해 약 1.7배 증가하였다. 열수추출 및 2단 효소분해물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433.1 및 4,502.2 mg/100 g으로 함량 차이가 컸으며, Pro, Leu, Lys, Hypro, Tau, Arg, Phe, Ala, Glu 및 Val 등이 복섬 2단 효소분해물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이었다. 반면, IMP 함량은 각각 336.2 및 372.2 mg/100 g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나 양자 간에 큰 차이가 없었고, 그외 total creatinine 등 기타 염기성분도 추출방법에 따른 함량 차이는 거의 없었다. 주요 정미발현성분 중의 하나인 무기이온은 Na, K, Cl 및 PO4 등이 주성분으로, 열수추출물에 비해 2단 효소분해물의 함량이 훨씬 많았다.
        4,000원
        1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major active components of ginseng are ginsenosides and their pharmacological effects include anticanser, anti-stress, anti-fatigue, antioxidant and aging inhibitory effects. These ginsenosides components is higher in leaves than roots. Therefore, consum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using ginseng sprouts. Methods and Results : Ginseng sprouts were cultivated during 60 days from June to late July in greenhouse. After 60 days of cultivation, the stem was hardened, and the cultivation was done until 60th because of the tendency that the value of ginseng sprouts was lowered. The content of the three indicator components were analys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otal ginsenoside content increased 1.07 times in leaves and decreased 0.67 times in roots according to cultivated period. The contents of ginsenoside Rg1, Re, Rb1, Rc F3 and F4 of leaves were increased and ginsenoside Rg1, Re, Rb1, Rb2 and Rf of roots were decreased on cultivated 60 days, especially. Total free sugar content increased 1.29 times in leaves and decreased 0.68 times in roots according to cultivated period.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of leaves decreased slightly until 40 days and then increased. The major components of ginsenoside, free sugar and phenolic acid in leaves were Re, sucrose and sinapic acid, respectively.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ginseng sprouts cultivated for 60 days is more effective ingredient than roots,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good for consumers to use.
        14.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가지 한약재의 추출물의 항알러지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장수상황버섯의 고체발효 중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여 보았다. 그 결과 마황이 좋은 활성을 나타내어 DNFB (dinitrochlorobenzene)에 의해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동물모델에서 피부상피조직의 비후정도를 약 50%정도의 수준으로 완화시키며, 이는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 마황 추출액의 장수상황버섯 고체발효의 최적 조건을 확립한다면 향장소재
        15.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as a functional food, the present study evaluates bio-active components of 70% ethanol extracts from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of each 7 varieties. Reducing power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 The contents of r-oryzanol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s and vitamin E was carried out by HPLC. The mineral contents was also determined by ICP (Inductive Coupled Plasma) analysis method. In an anticancer test using NCl-H460 and MCF7 cell lines, the 70% EtOH extracts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showed inhibitory effect of approximately 30% against MCF cell lines (Breast cancer) at 100 ㎍/mL concentration. The extraction yield of tested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were 2.05~3.80% and 1.36~3.32%, respectively. The r-oryzanol content from some germinated brown rice showed slightly higher than brown rice. The mean contents of most minerals were also higher in germinated brown rice than brown rice. However, vitamin E contents showed higher in brown rice than germinated brown rice except Keunnun, Hongjinju, Nokmi.
        16.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의 개체당 평균 수분 함량은 범위로서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수확시기별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조섬유는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polyphenol 함량은 매실이 성숙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methanol, water, hexane, ethylacetate 및 ether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 결과 methanol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수확시
        1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유효성분과 선도유지에 적합한 건조방법을 구명하고자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방법별 유효성분 함량과 선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방법별 건조시간은 양건에 비해 열풍건조와 동결건조시 88~93% 단축되었다. 건물수율은 동결건조 〉 양건 〉 열풍건조 순으로 높았고, 건조후 수분 함량은 양건 〉 열풍건조 〉 동결건조 순으로 높았다. 2. 총페놀성 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은 동결건조 〉 열풍건조 〉 양건 순으로 높았으며, 열풍건조후 볶음 또는 건조전 증자 처리를 함으로써 감소되었다. 항산화 활성은 동결건조에서 가장 높았고, 열풍건조와 양건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열풍건조후 볶음 또는 건조전 증자 처리를 함으로써 증가하여 총페놀성 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과는 다른 경향을 보였다. 3. 적색도 (a)는 동결건조 〈 열풍건조 〈 양건 순으로 낮았다. 4. 열풍건조시 부위별 총페놀성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은 꽃 〉 잎 〉 세절 〉 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항산화 활성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부위별 적색도는 잎 〈 세절 〈 꽃 〈 줄기 순으로 낮았다. 5. 삼백초의 유효성분과 선도유지에 적합한 건조방법은 세절하여 동결건조하거나 잎과 꽃만을 열풍건조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18.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수한 자생식물자원인 산국의 수량과 유효성분을 높이기 위해 식물생장조절제 ABA와 SA를 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꽃의 건물수량은 ABA, SA과 ABA+SA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증가되었으며, ABA 처리구보다는 SA 처리구가 증수되었다. 2. 무기성분의 함량변화는 S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질소, 인산, 마그네슘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칼륨의 흡수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3. 아미노산함량은 SA 처리구와 ABA+SA 처리구는 ABA 처리구보다 높았다. 4. 생장조절제처리는 정유함량을 증가시켰으며, 그 반응은 monoterpenoid계 화합물보다는 sesquiterpennoid계 화합물에서 더 민감하였다. 5. Cumambrin A의 함량은 ABA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SA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19.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돈분퇴비 시용시 산국 (Chrysanthemum boreale)의 수량과 유효성분들의 함량변화를 알아보고자 토양 16 kg이 충진된 와그너포트에서 돈분퇴비가 각각 0, 2000, 4000, 6000, 8000, 12000 kg 10a-1을 처리한 결과, 8000 kg 10a-1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전체 수량과 꽃의 수량은 각각 5.9배 (195.0 g plant-1)와 24배 (21.7 g plant-1)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소양분 이용율은 4000 kg 10a-1처리구가 66.6%로 가장 높았다. 꽃에서의 주요 아미노산은 proline (7.4~9.2 g kg-1)이였으며, 돈분퇴비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Cumambrin A함량을 측정한 결과, 돈분퇴비 시용량에 의한 질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R2=-0.723, p〈0.01), 전체 수량면에서는 오히려 돈분퇴비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cumambrin A의 수량이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로서 돈분퇴비의 시용이 산국의 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