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5

        1.
        202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iodont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condition primarily triggered by bacterial infections, with periodontopathogens such as Porphyromonas gingivalis playing a pivotal role.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Salvia plebeia R. Br. (SP-E) on human gingival fibroblasts (hTERT-hNOF) stimulated with P. gingivalis -derived lipopolysaccharide (LPS). Dried S. plebeia was extracted using 70% ethanol, yielding a 10.5% extract. Inflammation in hTERT-hNOF cells was induced using P. gingivalis LPS in conjunction with LPS-binding protein and CD14. SP-E was administered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25 to 100 μg/mL. Antioxidant capacity was measured using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assay.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and secretion were analyzed via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pectively. Results demonstrated a concentrationdependent antioxidant effect, with 62.98%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bserved at 200 μg/mL SP-E. In hTERT-hNOF cells, SOD activity increased from 4.88% (LPS-treated) to 45.78% with 100 μg/mL SP-E. RT-PCR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ownregulation of interleukin (IL)-1β, IL-6, and IL-8 mRNA expression following SP-E treatment. ELISA confirmed a reduction in tumor necrosis factor (TNF)-α (312.83 → 178.22 pg/mL), IL-6 (453.97 → 170.83 pg/mL), and IL-8 (480.14 → 276.86 pg/mL) levels with 100 μg/mL SP-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 may offer therapeutic potential for preventing and managing periodontal disease by mitigating oxidative stress and modulating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elucidate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and validate these effects in vivo .
        4,000원
        2.
        202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자발쑥에서 분리한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을 이용하 여 피부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염증 및 면역과민성에 대한 활성을 조사하였다. DPPH 라디 컬 소거능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DPPH 활성산소 소거 활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9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95%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인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을 분리하고, 항염증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NO, IL -6, TNF-α의 생성을 억제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파 틸린과 유파폴린은 각각 1, 5, 10m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N O, IL-6 및 TNF-α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유파폴린은 유파틸린 보다 더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HaCa T (피부 각질 세포) 세포주를 이용하여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에 대한 피부염증 감소 효능 을 확인한 결과, TNF-α/IFN-γ에 의해 증가한 RNTES 및 TARC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농도가 각각 농도에 따라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자발쑥으로부터 분리한 유파틸린과 유파폴린은 향후 피부질환 관련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사료된다.
        5,800원
        3.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which accounts for over 90% of malignancies in the oral cavity, is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with a 5-year mortality rate reaching of up to 44%. The incidence of OSCC continues to rise annually, and current treatment typically involves a combination of surgical rese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argeted therapies that exploit molecular markers involved in tumor growth and metastasis. Among these targets, immune checkpoint molecules such as programmed cell death 1 receptor (PD-1) and its ligand, programmed cell death-ligand 1 (PD-L1),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Therapies that inhibit these immune checkpoints have been approved for various malignancies, offering new avenues for treatment. Pembrolizumab (Keytruda), a PD-1 immune checkpoint inhibitor, has emerged as a promising therapuetic option for OSCC. However, its clinical response rate in OSCC patients remains below 20%, highlighting the need for combina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rapeutic efficacy. One such approach involves non-thermal plasma (NTP), a novel modality that selectively induces apoptosis in cancer cells. In this study, the authors evaluated the combined effect of Keytruda and NTP in an OSCC xenograft mouse model. The combination therapy demonstrated the tendency of suppressed tumor growth compared to Keytruda monotherapy. This effect was accompanied by increased apoptosis, as indicated by elevated cleaved caspase-3 expression, and reduced proliferation, as shown by decreased Ki-67 expression. Although preliminary, these findings may support the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 of Keytruda-NTP combined therapy as a novel treatment strategy for OSCC.
        4,200원
        4.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0·16 부마민주항쟁의 발생사에 해당하는 부산상대생 시위 의 발생 경과와 동인(動因)을 주로 검토한 것이다. 부마항쟁 발생일로부 터 거의 반세기가 경과했지만 아직까지 10.16의 발생사는 제대로 정리되 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운동권 중심설이 등장하여 심각한 역사 왜곡이 더해지고 있다. 본고는 1979년 10월 16일의 부산상대생의 시위를 온전 하게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의 객관성을 담 보하기 위해 부산시경 분석자료 등 공적 기록에 근거하여, 역사적 사실 에 부합하는 증언과 구술을 활용하여 부산대학생의 내적인 사회비판의식 의 성장을 해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말하자면 운동권 중심설에 대치 되는 내재적 접근법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내재적 접근법에 따르면 부산 대의 10·16 민주운동에서 상대생 시위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50명의 상대생 시위가 상상을 초월하는 대규모 학생대중투쟁으로 전화했 던 것도 이런 내재적 요인들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이었다.
        8,100원
        5.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중심으로, 난장이 가족이 노동자로 변모하는 과정을 탐구하며, 이들을 둘러싼 자본가 세력과의 대립을 고찰한다. 난장이 가족은 역사적으로 핍박 받아온 하층 민 출신으로, 근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가난과 불평등 속에서 살아간다. 본 연구는 작품 속에서의 노동자와 자본가 간의 갈등, 도덕적 가치의 상실, 그리고 사회적 연대의 중요성을 분석함으로써, 노동자 문제와 사회 구조의 모순을 심도 있게 조명한다. 특히, 난장이 가족의 큰아들 영수를 통해 노동자로서의 자각과 권리 찾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신애와 지섭과 같은 중산층 인물들의 연대가 어떻게 하층민과 중산층 간의 연결고리를 형성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작품이 제기하는 사회적 불화와 갈등이 노동자와 자본가 간의 대립, 도덕과 부도덕의 갈등, 안전과 위험의 대립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분석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통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들을 다루고 있음을 알려준다.
        6,600원
        8.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라수 씨앗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식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치를 검증하 고자 하였다. 다라수 씨앗 추출물의 성분, 항산화, 세포독성, 항염증 분석을 기반으로 효능을 평가하였 다. 그 결과, 다라수 씨앗 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16.50 mg/100g, 총 폴리페놀 699.66 mg/100g, 비 타민 C 4.44 mg/100g의 함량을 나타냈으며,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 가하였다. 대조군과의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은 200 ㎍/㎖ 농도까지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고 해당 농도에서 iNOS 유전자 발현량과 NO 생성량, TNF-α 발현량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 는 다라수 씨앗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진 안전한 식품 원료임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라수 씨앗을 기반으로 한 신규 식품 개발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 으로 기대된다.
        4,200원
        9.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발효 황련해독탕(FHHT)의 식후혈당 상승 억 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농도별로 Rat 유래 α-glucosidase 와 돼지 췌장 유래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과 sprague dawley rat 모델을 이용한 식후혈당 상승 억제 효능을 평가 하였다. 그 결과, FHHT는 농도 의존적으로 α-glucosidase와 α-amylase의 소화 효소 활성을 저해하였고 IC₅₀ 값은 α- amylase 9.321mg/mL, α-glucosidase 0.143mg/mL, maltase 1.159mg/mL, glucoamylase 0.263mg/mL, sucrase 0.112mg/ mL로 확인되었다. 동물 모델 실험에서는 FHHT가 다당류 starch 및 이당류 sucrose 섭취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효능을 보였다(P<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FHHT의 당 흡수 억제를 통한 항당뇨 효능을 확인 하였고 추가 연구의 필요성 및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가 항당뇨의 새로운 한방 건강 기능식품으로 활용되 기 위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국내산과 중국산 댕댕이나무 열매 는 평균 길이가 약 2.2 cm이고, 자흑색의 타원형으로 육안 상 국내산과 중국산 댕댕이나무 열매는 비슷한 외형을 보 인다. 국내산과 중국산 댕댕이나무 열매를 기능성 식품소 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polyphenol, amino acid 및 fatty acid 를 분석하고,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여 원산지에 따른 차 이를 비교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국내산 열수 추 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8.58±0.11 mg QE/g 과 11.83±0.25 mg QE/g의 결과를 보였고, 중국산 열수 추 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49±0.09 mg QE/g 과 4.46±0.10 mg QE/g의 결과를 보여 국내산이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보다 2배 이상 높았다.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및 rutin을 분석한 결과, chlorogenic acid 함량이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 올 추출물에서 각각 1.51±0.02 mg/g과 1.94±0.03 mg/g으 로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0.23±0.00 mg/g과 0.25±0.01 mg/g을 보인 결과보다 7배 이상 높았으며, caffeic acid와 rutin은 모든 추출물에서 미 량 또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아미노산 분석결과,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17종의 아미노산 이 확인되었고,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 물에서 cystine을 제외한 16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로 확인되었다. 총 아미노 산 함량은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 중 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02±0.03 g/100 g과 0.81±0.03 g/100 g, 0.15±0.01 g/100 g 과 0.05±0.00 g/100 g의 결과를 보였다. 지방산 분석결과, 국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 및 중국산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caprylic acid (C8:0)를 제외한 13종 지 방산이 확인되었고, 중국산 열수 추출물에서 caprylic acid (C8:0)와 lignoceric acid (C24:0)를 제외한 12종 지방산이 확인되었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C16:0)로 확인되었다.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국내산 및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52.02±2.00- 84.17±3.5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총 지방산 함량은 국 내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 중국산 열수 추출 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0.49±0.06 mg/g과 1.12±0.03 mg/g, 0.45±0.03 mg/g과 0.76±0.02 mg/g을 보였 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지방산 함유량이 대체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세포독성 측정결과, 국내산 및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은 500-2,000 μg/mL 농도에 서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독성이 나타내지 않았다. NO 생성억제 활성은 국내산 및 중국산 열수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NO의 생 성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cytokine 생성억제 활성 또한 TNF-α와 IL-6의 생성량이 유의적인 감소를 보 여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 구결과를 통하여 댕댕이나무 열매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연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11.
        2025.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the synthesis of bimetallic Cu-Au nanotubes (NTs) and Cu@Au core-shell nanowires (NWs) for use as anti-oxidative electrodes. The fabrication involved two key approaches: galvanic replacement to produce Cu-Au NTs and the physical deposition of Au to form Cu@Au core-shell NWs. The galvanic replacement process generated hollow NTs through the Kirkendall effect, driven by the unequal diffusion rates of Cu and Au during the redox reaction. In contrast, the physical deposition of Au, facilitated by fast reduction kinetics using L-ascorbic acid, enabled the formation of a Au shell encapsulating the Cu NWs, preserving their structural integrity.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analyses confirmed the successful formation of both nanostructures. While the Cu-Au NTs exhibited hollow interiors and increased dimensions, the Cu@Au NWs displayed a solid core-shell morphology with minimal diameter increas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mal stability tests revealed the superior performance of the Cu@Au NWs. The sheet resistance of Cu@Au NWs remained as low as 4 Ω sq-1 and showed exceptional thermal stability, with minimal resistance variation (R/Ro ~1.36) even after 36 h at 120 °C under ambient conditions. In contrast, the Cu-Au NTs suffered rapid oxidation and structural instability. The physical deposition approach holds significant promise for the development of robust, low-resistance electrodes for long-term applications in harsh environments.
        4,000원
        1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ove (Syzygium aromaticum) is a highly valued medicinal plant native to Aisa. Widely used as a spice, renowned for its medicinal properties, particularly in Ayurveda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his study, clove bud extract (CBE) was prepared at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of 50%, 80%, and 90%,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BE was evaluated through DPPH, polyphenol, and reducing power assays, revealing its strong antioxidant potential, with 90% ethanol being the most effective extract. HPLC analysis identified eugenol (8.7 mg/g) as the major active compound, known to posses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Given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atopic dermatitis (A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CBE was explored using a 1-chloro-2, 4-dinitrobenzene (DNCB)-induced AD mouse model. Five-week-old BALB/c mice were induced with AD by topical application of DNCB. CBE was administered topically to the affected skin (back and ear) areas for 4 weeks. The treatment of CBE significantly reduced the severity of clinical dermatitis, decreased epidermal thickness, and lowered mast cell and eosinophil infiltration in skin tissue, as observed through hematoxylin eosin staining and toluidine blue staining. The results demonstrated CBE as a promising therapeutic agent for managing AD through its regulation of skin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making it a potential candidate for future treatments of inflammatory skin disorders.
        4,000원
        1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centuries, humans have leveraged the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plants for our well-being. Whi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numerous medicinal plants, the specific benefits of many species remain underexplored. Eupatorium Japonicum (EJ), a member of the Asteraceae family, has historically been consumed in Japan, South Korea, China, and Vietnam for its traditional use in soothing digestive issu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adical scavenging and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EJ extract using RAW 264.7 cells. The radical-scavenging effects were assessed using the DPPH and ABTS assays, where an anti-oxidative molecule in the test sample will react with a stable free radical in DPPH and ABTS causing discoloration.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was assessed using the nitric oxide (NO) assay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where the amount of NO produced in response to infection was measured using Griess reagent. Reverse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real-time PCR were executed to confirm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measuring the RNA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he DPPH and ABTS assays revealed that EJ extract decreased oxid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7.8-1,000 μg/mL) compared to ascorbic acid and Trolox respectively. EJ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NO production concentration independently. Furthermore, EJ extract showed no cytotoxic effects as determined through the MTT assay. RT-PCR and real-time PCR analyses revealed inhibition of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OS, COX-2, TNF-α, and IL-6). Western blotting demonstrated EJ’s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reducing protein levels of iNOS, COX-2, TNF-α, and IL-6.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J extract exhibit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can be further evaluated in the future.
        4,200원
        1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smetics industry expects skin improvement and anti-aging effects by using natural products and natural extracts. In particular, herbal extracts are ingredients with traditionally proven pharmacological efficacy, and are in the spotlight as effective ingredients for maintaining skin health and improving skin troubles.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s were evaluated by using herbal ingredients such as Dioscorea opposita, Angelica dahurica, Rehmannia glutinosa, Panax ginseng and Ophiopogon japonicu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herbal complex was confirmed by measuri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fter a cytotoxicity test using the MTT assay, it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effect on NO production by LPS stimulation in RAW 264.7 cells.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MMP-1, MMP-2 and procollagen gene expression induced by H2O2 in HDF cells, the expression of MMP-1 was suppres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the herbal complexes. This is expected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wrinkle improvement and skin elasticity enhanc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rbal complexes can be used as promising cosmetic materials for skin improvement and anti-aging.
        4,200원
        1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우리 사회에 광범위하게 퍼진 백신 반대 움 직임의 논리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백신 반대자들은 두 가지 잘못된 논리적 오류에 빠져 있다. 첫째, 그들은 공중 보건의 문제를 개인의 선택 문제로 돌리는 원자론적 환원주의의 오류를 갖는다. 사회적 존재로서 우 리는 질병, 특히 전염병에 대해 공공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지만 백신 반대자들은 개인적 자유의 문제로만 생각한다. 둘째, 백신에 부작용이 전 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안전하다는 사실을 합리적 근거 없이 배 척하는 인식론적 오류를 갖는다. 백신에 대한 그들의 공포는 과학적 합 리성을 결여한다. 백신 반대자들은 질병에 대한 개인적 경험을 절대시하 면서 질병 치료의 인과적 힘을 찾는 대신 자신들의 생각을 강화할 근거 만을 찾아 나열한다. 그러한 태도는 음모론과 연결되기 쉽다. 본 연구에 서는 비판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백신 반대 운동을 검토하고, 백신에 대 한 올바른 접근을 위해서는 실재론이 필요함을 설명한다.
        5,800원
        1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염증을 동반한 알레르기성 질환 이며, 일반적으로 Type 2 염증 반응과 관련이 깊다고 알 려져 있다. Corchorus olitorius (C. olitorius)의 아토피 피 부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4-dinitrochlorbenzene 로 아토피 피부염 모델을 유도한 BALB/c 마우스를 대상 으로 피부 염증 개선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질환 관 련 IgE와 사이토카인(IL-4, IFN-γ and TNF-α)의 수준을 측정 하였다. 7일간의 투여기간동안 양성대조약물인 Dexamethasone 투여군의 체중은 감소하였던 반면에 모든 C. olitorius 투 여군의 체중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C. olitorius이 동물에 위해한 영향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 olitorius 200 mg/kg/day 투여군의 치료 효과가 가장 뛰 어났으며, 모든 C. olitorius 투여군의 염증 관련 면역글로 불린과 사이토카인의 수준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C. olitorius 는 아토피 치료제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1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eaves and stalks of sweet potato have attracted considerable interest as a health food due to numerous studies reporting the presence of functional compounds and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aerial parts of six domestically developed sweet potato cultivars and compare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total phenolic acid content ranged from 76.9 to 148.6 mg GAE/g, 3.98 to 11.90 mg CE/g, and 44.19 to 93.56 mg/100 g, respectively. Among the cultivars examined, 'Gogeonmi' and 'Tongchaeru' exhibited high levels of these compounds, and their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uperior to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The GABA content ranged from 0.59 to 2.55 mg/g, with 'Tongchaeru' and 'Jinhongmi' showing the highest levels. Lutein content ranged from 0.10 to 0.24 mg/g, with 'Tongchaeru' reaching its maximum concentration 90 days post-cultivation. Extracts from 'Tongchaeru' significantly inhibited the secretion of interleukin-6 (IL-6) inflammatory cytokines, with the water extract demonstrating a stronger effect than the pretanol extra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erial parts of sweet potato could serve as excellent functional vegetables and bioactive ingredients for health food applications.
        4,200원
        1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al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nti-obesity effects of burdock(Arctium lapp L.) extract and processed (Beopje) burdock extract in a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model. When burdock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at a concentration of 250 mg/kg BW and the Beopje burdock extract was administered at 250 and 500 mg/kg BW, they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s increased by a high-fat diet, improved food efficiency ratio, decreased adipose tissue weight by sit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blood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Blood ALT and AST contents as liver function-related indices increased by the high fat die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Beopje burdock extract. Results of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liver showed that the Beopje burdock extract alleviated fatty liver phenomenon induced by a high-fat diet. In addition, levels of blood TNF-α, IL-6, and IL1-β increased by a high-fat die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LB-L and ALB-H. Therefore, Beopje burdock extract can improve obesity in a high-fat diet-induced obese animal model by improving blood lipids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increasing body water, and decreasing body fat more than the burdock extract.
        4,600원
        1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noderma lucidum, a fungus of significant scientific interest that encompasses a diverse array of bioactive compounds, has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for its potential health-promoting and disease-preventing properties. Ganodermanontriol, a triterpenoid, is the principal active component contributing to its biological activiti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ganodermanontriol and to evaluate its potential as a functional ingredient.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ganodermanontriol (1.25–5 μg/mL)-treated compared to that of untreated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Additionally,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specifically p38 and c-Jun N-terminal kinase (JNK), was markedly inhibited in ganodermanontriol (3–5 μg/mL)-treated cel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anodermanontriol possesses significant potential as both a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agent for immune-related disorders, owing to its ability to modulate inflammatory responses.
        4,000원
        2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화적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의 과도한 생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만성퇴행성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용 덖음 꽃차 8종 추출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radical 소거 활성 측정을 통해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8종의 식용 꽃차 에탄올 추출물 중에서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LO), 산수유(Cornus officinalis, CO) 및 카모마일(Matrecaria chamomilla) 꽃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0.21, 13.39, 12.39 mg gallic acid equivalent/g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O, CO, 및 매화(Prunus mume) 꽃차 순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8종의 식용 꽃차 에탄올 추출물은 10, 25, 50, 100 μg/mL의 농도에서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및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특히, LO와 CO 꽃차 추출물은 다른 꽃차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또한 100 μg/mL 농도에서 CO, LO, 및 목련(Magnolia kobus) 꽃차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70%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우수한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식용 덖음 꽃차는 radical 소거 활성 및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다른 꽃차 추출물에 비해 LO와 CO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