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5

        10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안경사 직업에 대한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안경사의 위상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일반인 172명과 안경사 70명을 대상으로 하여 안경사의 사회적 인식을 파악하였다. 사회적 인식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각 항목별로 질문지를 분류하여 세부항목을 만든 후 온라인 설문지(Goggle)를 통해 배포하였다. 결과 : 일반인 172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분포는 남자 73명(42.4%), 여자 99명(57.6%)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 22명(12.8%) 30대 42명(24.4%) 40대 37명(21.5%) 50대 이상 70명(40.7%)이었고, 그들의 학력은 고졸 37명(21.5%) 대졸 99명(57.6%) 대학원이상 36명(20.9%)의 분포를 이루고 있었다. 안경사 70명의 응답분포는 남자 43명(61.4%), 여자 27명(38.6%)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20대(12.8%) 30대(24.4%) 40대(21.5%) 50대 이상 (40.7%)이었고, 그들의 학력은 고졸 9명(21.5%) 대졸 56명(57.6%) 대학원이상 5명(20.9%)의 분포를 이루고 있었다. 안경사의 주요업무에 대한 질문에서 일반인과 안경사 두 그룹 모두 시력보건 전문 의료기사로서의 업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안경 및 콘택트렌즈 판매원으로서의 업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이었다. 일반인이 안경사의 주요업무를 시력보건 전문 의료기사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시력검사 필요성을 느낄 때는 안경원방문(36.0%)보다 안과방문(61.6%)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이 안경원을 방문 했을 때 방문자의 대부분은 처방에 만족(78.5%)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불만족(14.0%)을 느낀 고객들의 불만족 사항은 검안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48.2%), 고객응대(14.1%)의 순으로 나타났다. 안경사를 대상으로 전문 안경사가 되기 위한 요건으로 무엇이 필요한지 알아 본 결과 굴절검사에 관한 전문지식과 양안시검사에 관한 전문지식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일반인이 불만족을 느끼는 부분과 안경사가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안경사가 국가고시를 통과한 전문가임을 알고 있는지 조사 한 결과 일반인 172명 중 33.7%의 응답자가 안경사 국가고시 시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또한 응 답한 일반인들의 절반이상인 50.6%가 안과에서 근무하는 시력 검사자가 안경사임을 모르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안경사에 대한 일반인의 사회적 인식을 알아 본 결과 응답자의 45.9%가 안경사를 시력 보건 전문 의료 기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에 반해 안경 및 콘택트렌즈 판매사(41.3%)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높게 나타났다. 일반인과 안경사 모두 안경사가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굴절검사나 양안시검사에 있어서 지식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고시 시험을 통해 양성된 전문 안경사가 단순 판매사가 아닌 전문가로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경사 스스로의 노력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지원 또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10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에는 5G 시대가 전개되면서 온라인 콘텐츠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져 가는 이 때에 우리나라와 미국 저작권법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문구인 “침해가 명백하다는 사실 또는 정황을 알게 된 때 (red flag awaren ess)”의 소위 적색 깃발테스트에 관한 미국 법조문과 관련 판례를 검토 하고자 한다. 미국 DMCA1) 제 512 조 (c) 면책항 조항의 적용에서 미국 연방 법원은 “적색깃발 인식”의 명확한 기준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접근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침해 행위로부터 이익을 얻으면서도 침해 행위의 구체적 인식을 기망적인 회피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들에 대하여 미국 보통법 상의 개념인 ‘의도적인 외면’을 512조 면책항에서의 ‘실제적인 인식’이나 ‘적색깃발 인식’에 해당한다고 보거나, 또는 저작권 유인 침해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존재를 근거로 하여, 궁극적으로는 면책항 적용을 박탈하고자 하는 미국 판례들이 나오게 되었다. 반면, 우리나라 대법원의 법리에 따르면, “외관상 명백성”의 법리에 따라 온라인 상의 이용자들의 불법행위에 대하여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저작권 간접침해 책임을 규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과실 방조 책임의 법리는 온라인 상의 정보 유통이라는 기능을 수행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들에게 과도한 책임에 노출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우리나라 법원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들에게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법리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10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duct replacement (PPL) is used widely in marketing and plays crucial roles but the effects of the PPL attributes on a restaurant brand are not well know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PL attributes on brand awareness and brand credibilit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awareness, brand credibility, and brand loyalty was investigated. The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PL, such a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affected brand awareness. On the other hand, inconvenience did not have any impact on brand awareness. In addition,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inconvenience affected brand credibility. Furthermore, brand awareness and credibility influenced brand loyalty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PL can be a very effective way to advertise. Hence, PPL should be done with a sense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than simply with more frequent exposure to consumers, which that might cause inconvenience.
        4,000원
        10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도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도, 재배농가의 끊임없는 노력과 농촌진흥기관의 기술개발을 통해서 한국산 샤인머스캣이 현재 국내 소비자는 물론 해외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타 품종에 비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수요처 발굴과 수출증대를 통해서 포도 산업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소비자들에게 한국산 샤인머스캣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들(사전, 사후)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 향후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부분최소자승-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해서 2017년 10월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된 국제중소기업박랍회 행사장에서 시식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유의한 102명의 응답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전요인(외관, 착색, 신선도, 알 크기) 보다 사후 요인(당도, 식감)이 좋은 평가를 받고 향후 구매로 이어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큰 역할을 함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품질관리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다만, 자료의 보완을 통해서 관찰되지 않는 설문응답자 내의 집단을 보다 면밀히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집단의 특성과 수요에 보다 맞는 맞춤형 품질관리와 수출방안이 뒤따라야 함을 한계로 남긴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 특성과 중국 전체 모집단과 차이가 있으므로 분석결과를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포도수출 확대노력은 포도 생산농가의 소득향상과 경영안정성을 높이고, 국내 포도산업에 활력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또한 신품종에 대한 안정적 생산·수확후 관리기술 개발 및 농가 기술보급, 수출조직 육성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본이 개발한 샤인머스캣 재배에서 더 나아가 소비트렌드에 부합하는 국내품종을 중장기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출성공을 위해서는 국내 업체간 과당경쟁, 저가경쟁 등을 예방하고, 의견을 조율할 협의체 구성과 함께 한국산 포도라는 점을 내세워 프리미엄 제품을 생산해 중산층 이상의 중국시장 진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5.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시대에 접어들어 어느 때보다 은퇴 이후의 삶이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은퇴준비와 관련하여 연구되지 않았던 현 직장에서의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이들 관계에서 노후생활인식이 매개변수로 작용 하여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적 연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공무원을 대상으로 은퇴준비의 하위변인인 재정·주거준비, 경제활동준비, 건강관리 등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노후생활인식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독립변수를 은퇴준비, 종속변수를 직무만족도, 매개변수를 노후생활인식으로 각각 설정한 후, 그 하위변인을 구성하여 서로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은퇴준비, 노후생활인식, 직무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은퇴준비는 노후 생활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후생활인식은 은 퇴준비와 직무만족도와의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6,900원
        10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보건복지부에서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품목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식도와 활용도를 조사하고 인식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8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부산·경남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32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보조기기 인식도, 보조기기 활용도, 보조기기 인식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구성되었고, 총 68문항이다. 결과 : 설문에 참여한 작업치료사 중 96.2%가 보조기기는 장애인의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 도움이 되는 일상생활영역에 대해서는 운동성과 이동하기 영역이 가장 높았고 컴퓨터사용 영역이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품목별 인식도에서는 기울어진 숟가락과 두꺼운 손잡이와 식사 보조기기가 가장 높은 반면, 시각 신호표시기가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품목별 활용도에서는 욕창 예방용 방석 및 커버가 가장 높았고 시각 신호표시기와 음성유도장치가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활용빈도에 관한 질문에는 ‘가끔 한다’가 67.4%로 가장 높았으며, 향후 활용계획에 대해서는 ‘그렇다’라고 응답한 치료사가 77.3%로 가장 많았다. 보조기기 활용도 향상을 위해서는 43.2%가 기관의 재정적 지원, 32.6%가 보험수가 도입, 22.7%가 교육기회 제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보조기기 관련 교육에 대해서는 32.6%와 65.2%가 각각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고, 교육유형으로는 38.9%가 전문 영역별 종사자 교육, 27.1%가 재활보조공학 관련 세미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추후 재활보조공학에 관한 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107.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tent of purchase of processed foods and the awareness about food label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urvey was conducted by involving 350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city, Korea from June 17~19, 2015. Middle school students consumed confectioneries, bread, carbonated drinks, and juices and ice creams once or twice a week at the rate of 53.4, 53.0, 40.6, and 36.9%,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place, time, and reason to purchase the processed foods were ‘convenience store (36.2%)’, ‘after school (26.8%)’, and ‘hunger (77.9%)’. The subjects exhibited top priority (57.0%) on the taste at the time of purchasing the processed foods. Interestingly, the girl-students (44.7%) checked the labels of food more than the boy students (34.0%). The reasons for checking the food labels included acquiring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the shelf life (27.0%), price (18.1%), nutrient (19.1%), and food additives (14.1%). Among the food labeling information, the name of the product (55.7%), the date of manufacture (49.3%) and the content (32.6%) were checked mainly by the subjects. In addition, the major reason for not confirming the food labeling was ‘the food label was too small or crude (31.9%)’. It is necessary to inform about the processing methods and ingredients of the processed to middle school students so that they can make the correct choice of processed foods. Development of proper education methods on nutri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necessitated for healthy living.
        4,300원
        10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림과 관련한 생태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자산을 국가산림문화자산이라는 명칭으로 2014년부터 지정 하고 있다. 이는 산림문화자산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인 지정 및 관리를 위한 제도이며, 2018년 6월 말 현재 국가산림문화자산은 41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국가산림문화자산 지정의 법적인 근거는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제 29조에 의거하고 있으며, 주무관청은 산림청이다. 국가산림문화자산이 지정된 지 만 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향후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지정, 관리, 홍보, 활용 및 종합 정비체계의 작성을 위한 기초적인 의견 제시를 위해 본 연구가 수행 되었다. 설문 대상자는 각계의 전문가 집단으로 한정 하였고, 각종 학술대회 참가자, 산림관련 공무원, 연구자 등 121명에게 설문하였다. 설문결과 응답자의 전공분야는 농수해양분야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관광레저분야 종사자가 많았다. 응답자의 경력기간은 5-10년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 등을 대상으로 한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인식도 조사에서 산림청 주관으로 국가산림문화자산이 지정되는 것을 모르는 응답자가 48.8%를 차지하여 인지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지정목적에 대한 질문에서 천연기념물이나 보호수에 버금가는 독립적 지위가 갖추어 져야한다는 응답자가 35.5%, 생활주변에서 접근과 향유가 가능한 생태자원으로서 활용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30.6%를 차지하고 있었다. 국가산림문화자산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질문에서 온라인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37.2%, 안내간판, 상징디자인 등의 차별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26.4%를 차지하였다. 국가산림문화자산에 대한 법적인 제약은 소유자의 재산권 등을 고려하여 제약의 최소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정기적인 워크숍(workshop)이나 심포지엄(symposium)을 통한 홍보로 양적인 확대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국가산림문화자산의 홍보 방법은 산림청 홈페이지와 링크된 독립적인 홈페이지를 제작할 필요성이 있으며, 소책자나 단행본은 산림청에서 제작하여 각 기관에 배포하는 것이 통일성과 효과 측면에서 유리 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전문가 집단이 판단하고 있는 국가산림문화자산에 대한 기본적인 정책의 의견은 향후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지정과 모니터링, 사후관리, 종합정비계획 등의 지침 작성에 중요한 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가산림문화자산을 보유한 단체 등의 지원이나 체계적인 관리의 자료로 이용되어 국민들이 산림문화를 향유하고, 산림문화에 대한 인식확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09.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태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개발과 교수에 대한 학습방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생태학습에 관한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에 있어 파생되는 문제 및 개선점을 알아보고, 생태기술력의 영향으로 국가경 쟁력이 미래유아교육의 발전과 유아들의 생태적 사고 능력 및 창의성 기르기의 중요성과 질 높은 교육의 기회가 적절한 시기에 제공함으로써 유아교육 발전을 위한 생태교육에 있어 교사양성 및 현직교사연수를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500원
        11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생명윤리의식 정도와 특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Kwon(2003)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문항을 저자의 동의받아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대상자 일반적 특성과 생명윤리의식에 대한 9개 하위영역, 49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직접 또는 우편을 통해 배부하여 수거하였고 최종 배부된 293부 중 응답의 성실성이 떨어지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72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티-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증은 쉐페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들의 생명윤리의식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나, 윤리적 가치관이 확립되지 않아 의사 결정의 혼돈을 느끼고 있으며 생명윤리에 대한 문제로 갈등을 경험하였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올바른 생명윤리의식을 확립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11.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역할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며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로서 보육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전문성확보가 필요하다. 전문성이 확보되면 직무만족도가 높아지고 보육교사들의 이직률을 낮출 수 있다. 보육교사의 이직률이 낮아지면 영유아와 보육교사 사이의 애착관계형성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으로 영유아 발달에 있어 매우 바람직한 상호 관계를 형성한다.
        6,100원
        112.
        2018.07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습자 인식 조사에서 절반 이상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문 목적 발표로 인해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고 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은 한국어 교육을 받은 과정에서 학문 목적 발표 경험 부족과 학문 목적 발표에 대한 교육 부족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 목적 발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제점을 일으키는 원인을 찾아 보고 그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학문 목적 발표 능력 향상 방안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학문 목적 발표 교육을 받고 싶은 요구를 확인하고 학문 목적 발표 교육을 실시하는 시기, 학문 목적 발표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 내용 및 교수 방법에 대하여 학습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집 하였다. 이러한 학습자의 요구와 의견을 바탕으로 학문 목적 발표 능력 향상을 위해 학문 목적 발표 교육을 실시하는 시기, 교육내용, 교수원리에 대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해 보았다.
        6,700원
        113.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The traditional approache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are revealing to be unable of raising awareness and increasing stakeholders’ empowerment, often failing to impro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In this study, the digitally co-created CSR activities will be explored using a more general approach, which will also take into consideration these philanthropic activities, i.e. the activities where companies invite stakeholders to participate in the resolution of a social issue but without asking them to buy the brand’s products. Moreover, in the present study, interactivity and freedom of cause' choices are both believed to be two mechanisms that play a key role in generating more empowered stakeholders, with increased propensity for participating in co-created CSR initiativ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se digitally co-created CSR activities since it may represent a major opportunity for organizations to add value and meaning to stakeholders (and even for society at large), where the two parties work together to solve a social issue. Theoretical development The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 1999) defin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continuing commitment by business to behave ethically and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workforce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of the local community and society at large.” Although previous findings regarding the financial implications of CSR might have been ambiguous, there is an increasingly acceptance about the positive outcomes these activities have in building brand equity, brand image (Esmaeilpour & Barjoei, 2016), in improving reputation, trust and loyalty among consumers (Stanaland et al., 2011) and in the willingness consumers have to purchase and possibly even paying higher prices for products of firms with more CSR engagement (Servaes & Tamayo, 2013). Additionally, with consumers’ and other stakeholders’ (e.g., employees, channel partners, regulators) increasing expectations that organizations should behave in socially responsible ways (Mishra & Modi, 2016), CSR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business practice over the last years, with many firms dedicating a section of their annual reports and corporate websites to CSR activities (Servaes & Tamayo, 2013). Arrillaga-Andreessen (2016) notes that the new generations seem to have social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ir DNA. They are united in wanting to do more than acquire material riches and measure success by their ability to transform the lives of others. Their question is not “What do I want to be when I grow up?” but “How will the world be different because I lived in it?”. In Euromonitor’s Top 10 Global Consumer Trends for 2015, Consumer Trends Consultant Daphne Kasriel-Alexander states that consumption is increasingly being driven by the heart: consumers are making choices defined by their positive impact on the world and community. Despite the strong interest in CSR activities, particularly in its outcomes, in firms’ value and branding, there is yet little research and empirical studies regarding the effects of these activities in a social media context. This exploratory research aims to fill this gap, by focusing on the branding outcomes a CSR activity can generate while communicated in Social Networking Sites (SNS) and using participatory approaches. Some researchers already found it questionable how stakeholder dialogue and engagement through corporate websites and CSR reports are accomplished and if they necessarily lead to greater stakeholder participation (Chaudhri, 2016). Thus, one of the research objectives is to examine if using a participatory CSR activity in social media rather than (or, at least, combined with) the traditional approach of communicating CSR performance on firms´ annual reports can generate greater outcomes for brands, especially by testing if these activities can raise awareness, increase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levels. Some authors (Du et al., 2010) found two key challenges regarding CSR communication: the first one is the need for higher levels of awareness, as several researchers already found that a company can only benefit, enhance critical branding outcomes and even increase firm value through CSR activities if it has a high advertising intensity. These activities have low or negative impact on firm value for firms with low advertising intensity, sometimes with costs outweighing the benefits, as the lack of customer awareness about CSR activities represents a major limiting factor for their ability to respond to such activities (Servaes & Tamayo, 2013). Thus, Sen et al. (2006) argue that to reap the positive benefits of CSR, companies need to work harder at raising awareness levels. Although not every firm might experience high levels of awareness (since not every organization can support high advertisement intensity or already have strong branding), this research responds to the call for further research by “exploring channels available for dissemination of CSR activities” (Servaes & Tamayo, 2013:1059), in particular, the social media channels, and by providing new research on “the extent to which these new social and communicative arrangements are being realized by organizations and stakeholders and the attendant implications for CSR communication”, as it currently represents an “evolving area of investigation” (Chaudri, 2016, p.422). Therefore, once it is recommended that companies work on increasing CSR awareness levels, social media sites, such as Facebook, can be powerful channels not only due to its popularity and vast audience reach at a much lower cost, but also due to the opportunities consumers’ word-of-mouth can create (Du, Bhattacharya, & Sen., 2010). The second challenge is concerned with minimizing stakeholder scepticism. Stakeholders quickly become suspicious of the CSR motives when companies aggressively promote their CSR efforts (Du, Bhattacharya, & Sen, 2010). Communicating CSR is a very delicate matter. It requires a certain sensitivity and balance, where organizations face the paradox of demonstrating social responsibility without communicating it blatantly, and being simultaneously credible, informative, and engaging (Chaudri, 2016). There’s also no room for inconsistencies, as CSR is all about being selfless and charitable, the need for transparency and honesty is a must, since on one hand, these activities can have a backlash effect if stakeholders become suspicious and perceive predominantly extrinsic motives in companies’ social initiatives (i.e. when the company is seen as attempting to increase its profits) and, on the other hand, stronger attributions to genuine concern a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reactions towards the company, both internally and behaviourally (Sen et al., 2006). Kesavan et al. (2013) also found that social media is increasingly perceived by consumers as a more trustworthy source of CSR information than traditional media tools (e.g., TV and advertising). Based on above argumentation we formulate: H1: Online co-created CSR activities have greater potential for raising awareness than the traditional communication channels. H2: Online participatory CSR activities can increase consumers’ empowerment levels. Research design Globally,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8 questions, separat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is composed by 14 questions that measured social networking usage, current CSR awareness levels, general use of the traditional CSR communication channels, current level of control felt by respondents towards CSR activities, the empowerment felt after companies adding cause choice freedom and respondents’ attitudes towards the effectiveness and outcomes of participatory CSR initiatives. The second section of the questionnaire consists in 10 questions regarding a real CSR initiative, implemented in March 2016, by one of the biggest Portuguese retailers - Continente. After a brief contextualization, the questions measured activity recall rate, participation rate, reasons to (or not to) participate, WoM dissemination rate (or propensity), perception of brand image after the initiative and attitudes towards online co-created CSR initiatives (acceptance levels). The third and last section contained 4 questions regarding socio-demographic measures, namely: nationality, age, gender and educational level. The launch of the questionnaire comprises two stages: for the first stage, it is prepared a pre-test of the questionnaire, which was the pillar for the second and main stage: the online questionnaire. Pre-testing is a method to evaluate in advance if a questionnaire causes misunderstandings, ambiguities, or other difficulties with instrument items to respondents, helping researchers minimizing future errors. During the pre-test stage, a total of 10 people is selected to be monitored while responding to the first draft of the questionnaire. This stage provided important insights about each one of the questions previously elaborated, allowing for reviewing and refining them, as well as adding more questions that revealed to be relevant for the study. As for the second stage, the online questionnaire was launched in social networks - Facebook, Instagram and LinkedIn - and in an international forum - Reddit, from 18th of June of 2017 to 01th of August of 2017. Results and conclusions Findings from 322 valid responses provide clear evidence that co-creating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in social media can indeed increase not only the awareness for such actions, but also increase empowerment, participation levels, positive word-of-mouth dissemination, and reinforce consumer-brand ties in the process. Currently, individuals feel very low control regarding the process and the outcomes of CSR initiatives, and that by providing interactivity experiences and adding freedom of cause choice, organizations can increase stakeholders’ empowerment levels, consequently enhancing participation, one of the dimensions of consumer engagement. Online users are starting to connect with their preferred brands in social media and are demanding interactive experiences. Although SNS presents many opportunities for brands to guarantee that they remain relevant to its consumers and other stakeholders, the findings imply that social media remains unexplored as a CSR communication channel by organizations. Considering that the traditional communicating channels used to inform shareholders about these initiatives have a very low adherence by the general public and that they are failing to provide more awareness to CSR activities, brand managers need to devise different strategies for the optimal communication of these initiatives in new channels, which have higher potential to result not only in improved attitudes and brand image, but also in the increased intent of stakeholders to commit personal resources (e.g., money, time, etc.) to the benefit of the company, in a near future. Even for the users who do not follow brands in their SNS, for example, companies can still use SNS tools such as targeted posts (i.e. promoted posts that appear in target users’ feed), to ensure that their awareness and relevance levels remains significant, especially when companies are seeking for users with specific interests.
        4,000원
        11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eal service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Approximately 97.2% of student-subjects have agreed on the necessity of a free meal service for school lunch; 44.3% of student-subjects voiced the need to provide free meal services in order to eliminate discrimination of low-income students. Over one-third of student-subjects (36.7%) cited nutrition as the main benefit of providing a free meal service. The majority of parent-subjects (95.1%)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a free meal service in school; approximately 37.3% of parent-subjects responded to need the free meal service in order to eliminate the discrimination of impoverished students. Both student- and parent-subjects express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ingredients and the type of soup/nutrition provided. Student-subjects insisted on better food hygiene and a new menu, but cited the noisy cafeteria as a problem associated with school meal services. In addition, approximately 56.5% of student-subjects responded to the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in school. Parent-subjects were primarily concerned with hygiene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school meal services, noting the temperature of foods as the biggest problem in school meal services. The majority of parent-subjects (88.1%) responded to the need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school. Results of this survey indicate that school meal services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menu options and increasing food hygiene.
        4,300원
        11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of export items in Malaysia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products. A high potential product list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included reports about the food export status in Korea and Malaysian food trends. An onlin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600 consumers in Malaysia. With 435 valid responses, the average awareness of the Korean food products was 3.13, and the preference was 3.48 on a 5-point scale.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products were higher in the 20s-30s group than in the older groups. In particular, the Muslim group had a higher awareness for ‘ramyon’ than the other groups, and the Buddhist group had a higher preference for ‘ginseng beverage’ than the other groups. The most well-known and preferred products were ramyon, hot noodles, kimchi, biscuits, fruits & vegetable beverage, and sauce (with Korean traditional sau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marketing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4,000원
        11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보육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2, 3학년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 118명의 설문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에 비해 들어본 경험이 없는 학생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STEAM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학생은 전체응답자의 65.3%였다. 둘째, STEAM 교육을 위해 필요한 교사자질과 역할에 대한 인식정도에서는 4가지 교사자질(누리과정과 연계해서 교육 활동을 구성, 기존의 통합교육과 구별할 수 있는 이해력, STEAM 각 영역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관심과 의지)과 5가지 교사역할(도전적 과제 제시자, 학문적 지지자, 활동 참여 촉진자, 평가자, 자기 역할 설정자) 모두에서 보육실습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보육실습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TEAM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교육 내용의 중요도와 보유도, 요구도를 비교한 결과, 중요도에서는 8가지 모든 상위범주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유도에서는 2가지 상위범주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보육실습경험이 있는 집단의 경우 주로 실제적인 STEAM 수업 설계 및 실행 능력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반면, 보육실습경험이 없는 집단의 경우 STEAM 에 대한 지식적인 측면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교사로서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새로운 지식 및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교육환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6,000원
        11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result of reviewing various documents and existing researches, since the late Goryeo period, the most active period in the Ondol(溫突, Korean floor heating system) facilities is the 17th century. The phenomenological reason was recovering the buildings destroy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 the Manchu War of 1636(丙子胡亂), but the underlying cause was an abnormal climate in which a pair of summer and winter cold continued. In the 17th century, as the Ondol facilities grew rapidly without distinction between regions and classes, the supply and demand of fuel caused economic and natur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a negative and positive view on Ondol was suggested. Since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when the demand and supply of Ondol reached its peak, which could no longer increase, a new awareness of Ondol began to grow. The room was called the Panbang(板房)and the Ondol, depending on the material that made up the floor. It was considered natural to have the Ondol from this time on. The Incan(□火間) and Jo(竈) that were made to burn were started to be recorded as a kitchen, regardless of size and function. Changes in social awareness of Ondol have led to concerns about heating efficiency. A variety of architectural explorations were conducted. Such a search was later realized in concrete architectural form. There is a double Ondoll structure, and the column spacing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The heat buffer space is formed around the Ondol room, and the double window can control the light and the air going in and out.
        4,300원
        118.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ircraft landing is a complex and challenging flight phase in which pilots are required to allocate attention efficiently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ilot situation awareness (SA) is needed for successful landing. This study was to predict pilot SA during landing using eye tracking data.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5 repetitive simulated landings for four expert and four novice pilots using eye tracking equipment. Three eye tracking features (visit frequency, dwell time ratio, scan path entropy) were developed for reflecting three level of SA model (perception, comprehension, projection). Prediction of SA was performed by develop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Visit frequency of expert pilots was 138%, 47%, 85%, 67%, 117%, and 91% higher than novice pilots in RPM, VVI, altimeter, heading, airspeed, and attitude areas of interest (AOIs) respectively; while 50% and 33% lower in runway and outside AOIs respectively. Dwell time ratio of expert pilots was 38% and 42% higher than novice pilots in runway and outside AOIs respectively; while 62%, 62%, and 65% lower in altimeter, airspeed, and attitude AOIs respectively. Scan path entropy of expert pilots was 33% higher than novice pilots in outside AOI; while 29% lower in attitude AOI.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the prediction model for SA was 80.6%.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objective data of strategy establishment or training feedback for novice pilots.
        119.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변화하는 사회에 따라 디자인 과정에서도 사용자의 참여를 요구하는 참여디자인이 증가하지만, 실제 디자인개발에서 발생하는 문제 개선이나 참여디자인의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사용자 현장을 중심으로 한 참여디자인을 통해 참여자의 의식변화 측면에서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농특산물 직거래판매시설을 대상으로 이해관계자 모두가 참여한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 의식변화를 조사하여 현장중심의 참여디자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문헌고찰 통해 참여디자인의 이해와 연구동향을 살핀 다음 효과분석을 위한 효과 검증모델을 활용하여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의 디자인워크숍을 구성하여 이를 현장에 적용하였다.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참여자 의식변화 조사는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동기, 지식, 인식, 기능, 참여의 영역에서 디자인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개방형 질문에서 추가로 결과를 보완하여 참여디자인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은 직거래판매시설에 대한 지식과 기능의 영역에서 효과가 있었고, 참여디 자인의 결과에 높은 만족감과 공동 작업의 중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과정에서는 농촌의 현장특성에 맞게 프로그램의 충분한 일정계획 마련과 원활한 디자인 작업을 위한 환경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20.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작업치료 인지도 현실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의 인구 밀집지역에서 불특정 일반 대중을 무작위 선정하여 설문조사에 동의한 2,9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먼저 피설문자에게 작업치료에 대해 들어보았거나 알고 있다고 대답한 경우 다음 설문을 진행하고 모르겠다고 대답한 경우에는 설문자가 조사용지에 체크한 후 설문을 종료하였다. 설문내용은 작업치료에 대한 일반적인 인지도 4문항과 작업치료 필요성 4문항으로 구성하여 배포 및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13부를 제외한 최종 2,967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에 대해 들어보았거나 알고 있다는 응답은 252명(8.5%), 그렇지 않다는 2,715명(91.5%)이었다. 연령대와 직업에 따른 작업치료 인지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으며 인지한다고 응답한 252명 중 20대(28.6%)와 학생(41.7%)의 인지도가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작업치료가 우리생활에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215명(85.3%)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향후 작업치료의 전망에 대해서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73±.75점으로 상당히 높은 평가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최근 작업치료분야가 예전에 비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는 인지도가 낮음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작업치료 인지도 개선을 위한 방향설정과 인지도 제고를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을 희망한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