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매화나무의 새로운 품종인 대홍의 식품학적 가치평가를 분석하기 위해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무기질 및 비타민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대홍의 탄수화물은 46.8±0.92%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단백질(18.9±0.01%), 수분함량(11.8±0.13%), 조섬유·조지방·회분(5.7±0.94∼ 6.7±0.52%)순으로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5종 검출되었고 mannitol과 fructos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무기질은 6종이 검출되었으며, K와 P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함량은 615.99±0.52 mg/100g 이었고 7가지 유형의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대홍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121.42 mg/g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홍이 건강을 위한 혁신적인 식품으로서 혹은 천연식품 방부와 대체재로서 새로운 제품에 포함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4,200원
        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잎으로 70% 에탄올 추출물과 증류수 추출물을 얻은 후 항산화 효과, 항염증, 미백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산화 실험 결과, 폴리페놀, 플라보 노이드 효과에서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폴리페놀과 플라보노 이드 함량은 증류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B16F10, RAW264.7 세 포에서 농도별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NO 생성 억제능 측정 결과, LPS로 유도된 NO 생성 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 측정결과, 유의 한 감소효과를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수행하여 MITF, Tyrosinase 단백질 발현억제 실험결과, 농 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잣나무 잎추출물은 화장품 소재로서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흥, 부산 및 울산지역에 분포하는 거문도닥나무 자생지의 입지 환경,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을 조사하여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거문도닥나무 자생지는 해발 28~242m에 위치하고, 경사는 0~40°로 다양하며, 수관개방율은 57.56%로 나타났다. PC-ORD를 이용한 이단계 군집분석 결과 군집 Ⅰ(밤나무-소나무군집), 군집 Ⅱ(떡갈나무-곰솔군집), 군집 Ⅲ(곰솔군집) 등 세 개의 식물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종다양도는 평균 1.3650이며, 균등도와 우점도는 각각 0.8666과 0.1333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지의 토성은 미사질양토와 사양토이며, 토양산도는 pH5.5, 전기전도도는 0.15dS/m, 토양유기물함량은 2.60%, 유효인산함량은 4mg kg-1으로 확인되었다. 환경특성과 식생 및 토양분석 결과에 기초한 상관분석에서는 종다양도와 균등도, 유기물함량과 전질소함량은 정의상관관계를 보였고, 경사와 초본층의 피도, 종다양도와 우점도는 부의관계를 형성하였다.
        4,200원
        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매실의 첨가에 따른 돼지막창의 품질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가열하지 않은 막창(생막창)과 100℃에서 10분 동안 가열한 막창(가열막창)의 pH는 매실의 첨가에 따라 낮아졌다. L값과 a값은 생막창과 가열막창 모두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막창의 b값은 저장 초기에는 매실의 첨가에 따른 상승이 확연하였으나, 저장기간이 지속됨에 따라 그 차이가 점점 줄어들었다. 가열막창의 b값은 매실의 첨가에 따른 b값이 약간 낮아졌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ΔT 값은 생막창과 가열막창 모두 L값과 거의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생막창과 가열막창 모두에서 TBA가는 매실의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매실 5% 첨가구와 10% 첨가구는 거의 TBA가에서 차이가 없었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VBN가는 매실을 첨가할 경우 생막창과 가열막창 모두에서 VBN의 증가속도는 대조구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장 6일째부터 매실의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VBN가가 낮아졌으며, 매실을 5% 첨가할 경우 저장을 4일 이상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7.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estnut honey which were harvested at various areas in South Korea. First at all, we measured the total phenols content through a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with a modified Folin-Ciocalteu method and total flavonoids content determined with aluminium chloride.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highest in Sunchang of Chestnut honey(2.21mg/ml)and flavonoids contents was also the highest in Sunchang of Chestnut honey(1.02mg/ml) than other samples. For measur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estnut honey, we performed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test and FRAP(ferric reducing-antioxidant assay)test. DPPH scavenging activity highest in Sunchang of Chestnut honey more than 50% DPPH scavenging activitywhile other samples (Gong-ju, Yechen, Chung-ju, Imsil, Ha-dong) showed more than 25% DPPH scavenging activity. The ferric reducing-antioxidant assay (FRAP) is based on the reduction of ferric 2,4,6-tris(2-pyridyl)-1,3,5-triazine [Fe(III)-TPTZ] by spectrophotometric analysis. Sunchang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532μM FRAP activity while other samples (Gong-ju, Yechen, Chung-ju, Imsil, Ha-dong) showed more than 300μM FRAP activity. The results suggested that chestnut honey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it could be utilized as a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8.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maesil according to thawing methods. The quality of maesil thawed in microwave oven was superior to those thaw in refrigerating temperature(5 ˚) and in room temperature(25 ˚). Drip loss of maesil thawed in microwave oven was 3.2±0.2%. The total content of free sugars of maesil was 426.6 mg%, and 3% of them was decreased during thawing in microwave oven. The total content of organic acids was 5,297.2 mg%, and 2.5% of them was decreased during thawing in microwave oven.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s was 281.4 mg%, and 2.1% of them was decreased during thawing in microwave oven. The principle ingredients of frozen maesil was stand for the lost contents of free sugar and a content loss of free organic acid and free amino acid were the fewest by thawing. Antioxidant effect for soybean oil and linoleic acid of maesil extract were expressd POV and TBA values. Antioxidative activity of fresh maesil extract was highest followed by maesil thawed in microwave oven, thawed in refreezing temperature (5˚)and room temperature (25˚)
        4,000원
        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Japanese apricot(Prunus mume Sieb. et Zucc.) flesh on baking properties of white breads were investigated by evaluation of specific loaf volume, pH, acidity, rheological property, color and sensory quality. Bread was processed by adding 4.7%, 9.4%, 14.1% and 18.8% of Japanese apricot flesh to basic formulation. The compositions of Japanese apricot flesh were 88.19% moisture, 0.45% crude ash, 4.10% dietary fiber, 4.04% citric acid and 0.41% total sugars. The specific loaf volume of the breads was decreased from 3.274mL/g to 1.857mL/g as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s increased from 0% to 18.8%. The pH of the breads decreased but the acidity of those increased as the percentage of Japanese apricot flesh to wheat flour increased. Lightness(L value) of the bread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Japanese apricot flesh, while yellowness(b value) and redness(a value) increased. Texture measurement showed that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resilience decreased with increase of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s. Whil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the lowest in the bread with 9.4% Japanese apricot flesh, and increased in the bread with 4.7%, 14.1% and 18.8%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s. In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sensory scores for flavor, taste, after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tained when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 was 4.7%, and softness and chewiness was the best when 9.4% of Japanese apricot flesh was add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reads containing Japanese apricot fles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o add no flesh during storage at 25℃. Based on physical, rhe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 addition of 4.7~9.4% Japanese apricot flesh suggested to be acceptable for processing bread.
        4,000원
        10.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매실용액의 기능성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매실용액을 농도별(0, 0.5, 1.0, 1.5, 2.0brix)로 혼합 반죽하여 매실빵을 제조하였다. 반죽의 Amylogram 및 Farinogram특성과 dough의 pH 및 부피 그리고 식빵의 부피, 색도, 텍스쳐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mylogram의 최고점도는 매실용액의 농도가 진할수록 점도는 낮고 호화개시온도는 높았으며 Farinogram의 반죽형성시간은 control에 비해 매실용액으로 반죽한 생지가 길고 생지의 안정도는 낮았다. 1차 발효후 dough의 부피는 pH 4.0이하(1.5 brix 매실용액 첨가구)에서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빵의 부피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Crumb의 색도는 매실용액의 농도가 진할수록 L값(lightness), a값(redness)은 감소하였고 b값(Yellowness)은 증가했다. 빵의 텍스쳐에 있어서는 견고성과 부서짐성은 control보다 매실용액으로 만든 빵이 낮았으며 관능검사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0.5 brix의 매실용액으로 만든 빵이 우수하였으며 control과 별 차이가 없었다. 이상 실험결과를 통해 매실용액을 기능성소재로서 식빵에 이용가능 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2.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희귀 식물인 거문도닥나무를 대상으로 종자 및 삽목번식을 통하여 효율적인 번식방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종자번식은 실내, 실생 번식 모두 발아율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저장 종자는 저온 습윤의 경우 항온 20℃ 효과를 보였으며, 변온 처리에서는 발아율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나 종자 번식에서 거문도닥나무는 습윤 저장 후 항온 20℃에서 발아율 이 높았으며, 실생 번식은 노천매장에서 종자를 번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삽목번식의 관수 시설에 따라 캘러스 형성, 뿌리 수 등 발근율을 확인한 결과 미 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녹지의 중간, 아랫부분에서 10.0%가 발근 하였고, 숙지 삽목은 모두 발근 하지 않았다. 특히, 뿌리 수와 뿌리 길이가 각각 5개, 112.6 ㎜로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월등히 높은 결과를 보여 거문도닥나무 삽목은 습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처리에 따른 녹지 삽목은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거문도닥나무의 중간 부분, 아랫부분을 대상으로 삽목을 실험한 결과 캘러스 형성률, 발근율, 뿌리 수, 뿌리 길이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녹지 삽목은 평균 발근 율이 23.7%로 저조하였으며, IBA 500 ppm, IBA 1000 ppm, NAA 2000 ppm에서 발근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녹지 삽목의 아랫부분보다 중간 부분이 삽목번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 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숙지 삽목은 평균 발근율이 11.9%로 녹지 삽목에 비해 저조하였는데 이는 숙지 부분의 잎이 거의 없으며, 잎이 있는 때는 조기에 떨어져 삽목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13.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팥배나무 11개 집단으로부터 잎의 형태적 특성과 변이를 조사하여 조경수로서의 팥배나무 선발 및 육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잎의 형태적 특성 12개를 조사하고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11개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특히 잎의 길이와 너비, 엽면적 등 잎 크기와 관련된 인자들은 마니산 집단이 모두 상위그룹에 속하여 비교적 큰 경향을 나타냈으나, 백운산과 두륜산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어 비교적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1 주성분은 29.9%의 설명력이 있으며 엽면적, 잎의 너비, 잎의 길이 순으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어 잎의 형태적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고, 제5 주성분까지 72.9%의 누적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5 주성분까지의 득점치를 새로운 변량으로 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Ⅰ그룹인 광교산과 안면도 집단, Ⅱ그룹인 덕유산 등 3집단, Ⅲ그룹인 발왕산 등 3집단, Ⅳ그룹인 가지산과 축령산 집단, Ⅴ그룹인 마니산 집단 등 5개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지리적으로 인접 집단 간의 구분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14.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약콩(Glycine soja Siebold et Zucc.) 분획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관찰하기 위해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tyrosinase related protein-2), 티로 시나제 발현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콩 분획 추출물 0.125, 0.25, 0.5, 2.0 mg/mL 농도에서 82% 이상의 높 은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다.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을 처리한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약콩의 EtOAc 분획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티로시나제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TRP-1, TRP-2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약콩 분획 추출물이 멜라닌생합성과 관련되는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켜 피 부 미백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15.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iraea prunifolia Sieb. et Zucc. var. simpliciflora Nakai (SSN) has been used for the anti-inflammation in traditional folk medicine. To compar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SSN, we analyzed major components using LC IT TOF MS. The major components of hot water extract were identified as caffeic acid and p-coumaric acid, but methanol extract was not well established. However, methanol extract was detected with less polarity compounds compared to hot water extract. Next,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SSN water extract o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or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SSN strongly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without cytotoxcity. The SSN possess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uch as DPPH (IC50=320.2 ㎍/㎖), ABTS (IC50=124.0 ㎍/㎖),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IC50=122.6 ㎍/㎖).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SSN was 56.7 ㎎/g, and 15.1 ㎎/g, respectively. Furthermore, SSN decreased the H2O2-induced cytotoxicity by enhancing the cell viability, and SSN significantly reduced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Therefore, SSN may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prevent and/or treat various inflammation and ROS-induced diseases.
        17.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췌장베타세포인 HIT-T15 세포를 이용하여 매실주정추출물(PME)의 alloxan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로부터의 세포보호, 인슐린 분비능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평가하였다. PME는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켰다. PME는 세포막 손상지표인 LDH 방출을 억제하였고 NAD+/NADH ratio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세포사멸이 억제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alloxan 단독처리군에 비해 250 μg/ml PME 처리군에서 인슐린 분비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Alloxan과 PME를 동시에 처리하여 HIT-T15세포의 항산화효소 활성을 측정했을 때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감소되었던 항산화효소 활성이 PME에 의해 보호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PME는 세포괴사 및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고 세포내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를 보호하고 이에 따른 인슐린 분비능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18.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의 첨가 형태와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를 에서 25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발효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의 pH는 발효 기간이 경과 할수록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매실 첨가구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도의 변화도 pH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실 첨가구는 발효 초기에 미생물의 성장이 다소 지연되었으나, 발효 말기에는 CFU/mL의 균수를 나타내어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김치의 색도는 담금 직후 매실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L,
        1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중금속 정화방법인 식물복원법(phytoremediation)의 적합성 규명을 위해 경관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조경수인 개나리(Forsythia koreana Nakai), 명자나무(Chaenomeles speciosa Koidz) 와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olium )Sieb. et Zucc.의 Cd처리에 따른 생육량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식물체내의 중금속 축적량을 확인하여 중금속 오염지에 대한 식물복원 개량대책을 위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생장반응에 있어 Cd의 영향은 생장량의 감소현상은 뚜렷하였으며, 쥐똥나무 경우 6월 7일경에 무처리구는 신초장 60.10cm를 보였으나, Cd 처리구는 11.50cm로 생육이 감소하였다. 한편 명자나무에서는 Cd 처리구에서 가장 생육이 극히 부진하여 Cd에 내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d 처리에 따른 생리적 특성에 있어 엽록소 함량은 개나리에 있어 Cd 처리구에서 3.36 mg/g으로 4.85 mg/g인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쥐똥나무에서도 4.17mg/g에서 2.57mg/g으로 현저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TSC 함량의 변화는 엽록소의 변화에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d 처리에 따른 전 질소 함량의 변화는 쥐똥나무의 Cd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6.82를 보였다. 한편 soluble protein 함량에 있어서는 모두 Cd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한편 Cd에 대한 조사대상 식물들의 축적정도는 개나리에 있어 10.36ppm인 지하부의 Cd 중금속의 축적량은 2.37ppm인 지상부에 비해 4.3배 정도 많았고, 명자나무는 지상부 1.06ppm에 비해 지하부가 7.17ppm로 6.7배이며, 쥐똥나무는 지상부 함량이 3.23ppm인 반면에, 지하부가 5.12 ppm으로 1.5배로 높게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식물체의 지하부 축적량을 비교하면 개나리>명자나무> 쥐똥나무 순으로 볼 수 있으나, 지상부에서는 쥐똥나무>개나리>명자나무 순으로 중금속의 축적량이 가장 많았다.
        2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tting propagation of Illicium religiosum Sieb. et Zucc was effective such as hardwood cutting was done in May and softwood cutting was done on in July. The optimal soil composition for rooting was 1:1:1(vermiculite, peatmoss and perlite). The result was that the softwood cuttings done in July took roots in every bed; especially, cuttings in the bed processed with 1,000 mg/L IBA showed the best result: 90% of rooting rate, 13.5 in number of rooting, and about 8cm of root length. Hardwood cutting done in May showed that the bed processed with 1,000 mg/L IBA resulted in 90% of rooting rate; the bed processed with 1,000 mg/L IBA + 1,000 mg/L NAA showed 80% of rooting rate; the number of main roots and the length of roots were also satisfying. For the cuttings of I. religiosum "Variegata" Sieb. et Zucc, the result was less satisfying than that of I. religiosum Sieb. et Zucc, but it was proved that even the cuttings of “Variegata” took roots in the bed processed with 100 mg/L IBA and 1,000 mg/L/ IBA.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