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2.
        201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the sewer induced ground subsidenc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the advanced visual inspection technique for the existing sewer pipe structures. This study aim to develop a new condition assessment method using visual inspection device with automatic crack extracting and real-time gas monitoring systems for large diameter glass-fiber reinforced plastic sewer pipes. In this paper, a high-precision image captur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extracts cracks in the large-diameter sewer pipes and sewage culverts with a diameter of 1,000 mm or more, and a real-time gas detection sensor for investigator safety were considered. By analyzing the module technology of the visual inspection device, the test device and their software for system integration were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technique inspecting conditions of the GFRP sewer pipes using the proposed visual inspection device in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for various types of underground structures in the future.
        3,000원
        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구기자 항산화 성분의 최적 추출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건조 구 기자의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X1, 0∼80%) 및 추출 시간(X2, 1∼5 hr)이며, 종속변수로는 수율, 안토시 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수율, 안토시 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각각 0.9066, 0.9859, 0.8645, 0.9464 로 1∼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조 구기자 가용성 고형분 수율이 가장 높은 추출 조 건은 에탄올 농도 8.25%에서 4.22 hr 추출한 것(23.12%)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이 가장 높은 추출 조 건은 에탄올 농도 79.98%에서 3.06 hr 추출한 것(흡광도 1.43)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7.02%에서 3.37 h 추출한 것(3,100 μg/100 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9.81%에서 1.67 h 추출한 것(96.93%)으로 나타났 다.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등고선도를 겹쳐 그려 얻은 최적 조건(에탄 올 농도 70% 및 추출 시간 2,5 hr)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은 1.0080(흡광도) 이었으며, 플라보 노이드 함량은 3,145 μg/100 g,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97%로써 증류수로 1시간 추출한 대조구 (안토시아닌 0.4652(흡광도), 플라보노이드 1,633 μg/100 g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87%)에 비해 높은 항산화 성분 추출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4.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een tea, white tea, yellow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with respect to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se teas were determined by assess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ea brewed at different temperature (50, 60, 70, 80℃) and extraction times (1, 3, 5, 10 minute). Catechins contents were the largest at 5 minutes and generally declined by 10 minutes. Green tea catechins contents were highest when brewed at 70℃ and besides other teas a change of the trend variation at 70 and 80℃. These temperatures did not extract theaflavins in green tea. Extract temperature and tim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aflavins content of white tea, yellow tea, and oolong tea. Black tea, however, was noticeably dependent on extract conditions, which were most effective at 70℃, brewed for 5 minutes. Caffeine content of green tea, yellow tea, and oolong tea was highest at 5 minutes, but temperature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content. White tea and black tea caffeine content was highest when brewed at 70℃ for 5 minutes. Theobromine content of green tea, yellow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did not show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study times or temperature, though the content in white tea increased with higher temperatures when brewed for 5 minutes. Th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increased until 5 minutes, and showed not further increase at 10 minutes. Antioxidant capacity of green tea, white tea, and yellow tea were maximized at 70℃ for 5 minutes or 80℃ for 3 minutes, while oolong and black tea were reached maximum antioxidants at 70℃ for 5 minutes. In general, to optimize the beneficial chemical content of brewed tea, a water temperature of 70℃ for 5 minutes is recommended.
        4,000원
        5.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약공용 오미자를 메탄올 추출해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함량을 확인한 후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함량이 높게 나온 시료 중 하나를 선정해 오미자를 차로 음용 시 물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과 상온 침출로 추출상태, 추출온도,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함량을 비교하여 적절한 음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미자를 원산지별 메탄올 추출물 시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총 합 평균 함량은 10.57mg/g이었다. 국산 오미자 11.42 mg/g, 수입산 오미자 10.12mg/g으로 국산 오미자의 메탄올 추출물의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총 합 함량이 더 높았다(p < 0.05). 메탄올 추출에서 높게 나온 오미자를 이용해 물 추출 방법에 따라 추출방법, 추출형태, 추출온도, 추출시간을 달리해 생리활성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오미자 물 추출방법에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조건은 추출형태였다. 원형보다 분말형태로 오미자를 물 추출 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나왔다(p < 0.05).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총 합 함량이 높게 나온 추출방법은 오미자를 분말형태로 26oC 에서 24시간 침출하거나 100oC 에서 5분 이상 열수 추출했을 때 유의적 차이가 없이 높게 나왔으나(p > 0.05) 오미자를 고온 열수 추출 시 떫은맛과 신맛이 강해지므로 따라서 오미자의 물 추출의 경우 분말상태로 24시간 이상 침출하는 것이 오미자의 생리활성 물질인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을 좀 더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기호적인 면도 고려할 수 있는 음용법 이었다. 차를 마시는 기능성을 고려하여 향후 오미자뿐 아니라 가정에서 차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약용식물의 생리활성 물질에 특성에 따른 물 추출물에 대한 효율적인 추출법등의 연구 가 이루어져 할 것이다.
        4,000원
        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extracted anthocyanins from Bokbunja for analyzing the optimal conditions of enzyme treatment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based on three factors: concentration of Pectinex Ultra SP-L,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The optimal enzyme treatment conditions of Pectinex Ultra SP-L concentration, reaction temperature, reaction time, and overall desirability by analysis of multipl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the same weighed value of each dependent variable were 0.5 mL/100 L, 20oC, 2 hr, and 0.63, respectively. Total anthocyanin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the conditions stated above were 5.2 mg/ 100 g, 61.3% and 30.5%, respectively. Meanwhile, those of the control were 1.1 mg/100 g, 11.8% and 1.1%, respectively.method.
        4,000원
        7.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똥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그 유효물질의 함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추출 조건을 확립코져 반응표면 분석법에 의한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15가지의 추출 조건(온도: 50∼90℃, 시간: 3∼15 hr, 에탄올 농도: 0∼100%)에서 실험하였다. 개똥쑥 추출물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은 J 조건(90℃, 9 hr, 50%의 에탄올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NO 라디칼 소거활성은 H 조건(80℃, 12 hr, 75%의 에탄올 농도)에서 가장 높았다. 총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J 조건에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H 조건의 추출물이었다. 반응표면분석 결과 개똥쑥의 최적 추출조건은 평균 89.37℃, 8.55 hr 및 56.77% 의 에탄올 농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측값은 예상값의 89.88∼115.54%에 해당되었다.
        4,200원
        8.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칼리를 이용하여 탈지미강에서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해 용출 pH(8, 9, 10, 11, 12) 5개 구간과 등전점 침전 pH(2, 4, 6) 3개 구간을 설정하고 각 pH 구간에서의 회수된 단백질 함량과 갈변, 전기영동 패턴 및 최종 수용성 단백질의 회수율을 비교 확인하였다. 용출 pH가 증가할수록 수용성 단백질의 회수율은 증가하였으나 동시에 갈변현상도 증가하였다. 등전점 침전 pH는 4에서 가장 많은 단백질을 회수할 수 있었다. SDS-PAGE 결과, 사용한 pH에 따라 추출된 단백질의 주요 패턴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높은 알칼리조건이 35 kDa 이하의 단백질 추출에 좀 더 용이하였다. 각 pH 구간별 용출 대비 수용성 단백질 회수율은 평균 31.5% 이었다. 용출 pH 11 및 침전 pH 4 구간에서 46.95%의 가장 높은 회수율을 나타냈으나 갈변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37.65%의 회수율을 나타낸 용출 pH 10 과 침전 pH 4 구간이 미강 단백질의 최적 추출조건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9.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렁이에서 유래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고자, 우렁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분석 및 고효율 추출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체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함량이 18.4%로 다른 패류(재첩7.1%, 홍합13.5%,다슬기1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추출 전처리 공정으로서 분쇄 및 원적외선 처리 결과, 추출 가공할 경우 원료를 분말화 했을 때 추출 효율이 증가되었으며, 원적외선 처리는 추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추출 보조공정인 극초단파처리와 초음파 추출 방식은 가용성 고형분의 추출은 증가시켰으나 콘드로이틴의 추출 수율은 매우 낮았다. 최적 추출공정 선별을 위해 모든 추출 공정의 가용성 고형분, 단백질 그리고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가압처리 방식을 이용해 121℃에서 120min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study about ginseng cultured roots have been reported mainly ginsenosides in saponins family. Other phytochemical such as non-saponins of fatty acid has been revealed its bioactive activity including anti-oxidation, whitening, anti-cancer. Supercritical extraction (SE) process mainly refer to the extraction with CO2, is usually from a solid matrix, is a sample preparation step for analytical purposes. SE produce no residual solvent and possess high stability of the extract component, which is advantageous for fatty acid analysis. Methods and Results : Fermented ginseng cultured root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used for fermentation using Pediococcus pentosaceus. SE performed at different temperature, pressure and extraction time using non-fermented and fermented ginseng roots. Further we fractionated from fermented ginseng using Methanol, Hexane, Ethanol, Ethyl acetate and Butanol. We compared fatty acids contents ginseng extractions by GC analysis. Methyl linoleate contents was 44% of fatty acids supercritical extraction contained. The contents of Methyl linoleate was the most dominant component among 37 types of fatty acids by SE and other extractions solvent. Total fatty acids contents obtained by SE process from fermented ginseng (1325.61ppm) was twice than from non-fermented ginseng (618.47ppm). Conclusion : Fatty acids contents by SE was increased at high pressure. The best condition for fatty acids contents extraction was 60℃, 350bar and 3h.
        12.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From 2000 years ago, Panax ginseng is identified as precious pharmaceutical plant. Depend on growing environment, the name would be vary. For instance, it is called "mountain cultured ginseng (jangnoesam)" which is artificially grown ginseng, "Cultured ginseng (jaebaesam)" which refer to the ginseng grown in the forest, and lastly "Wild ginseng (sansam)" which inhabits in deep mountain. The main active compounds in the Panax ginseng is called ginsenoside and many researches have been performing in biological field. However, most studies focus on functional ability of ginseng. In this study, to seek the suitable extraction cond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cell cultured Panax ginseng was extracted according to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 and extraction time. Methods and Results : To establish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the sample was pulverized into 500 μm and added 10% (v/v), 30% (v/v), 50% (v/v), 70% (v/v) and, 90% (v/v) EtOH. After that, the samples are extracted in different time by ultrasonic bath (Power sonic 520, Hwashin Co., Korea). The extracts was filtered by Whatman No. 2 filtering paper. Eventually, the saponin was separated by n-butanol as the ginsenoside, the combination of terpenoid and sugar. The extraction yield of 90% cell cultured panax ginseng EtOH extract was 7.36±0.33%, which was the lowest extraction yield and simultaneously, 10% EtOH extract showed 1.8 times more yield that of 90% EtOH extract. The saponin extraction yield revealed 10% and 70% EtOH extract showed 1.64±0.06% and 3.13±0.08%,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suitable extraction yield in cell cultured panax ginseng and saponin were evaluated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 such as ethanol concentration and extraction time. As a result, when 10% EtOH was applied as solvent, the yield was doubles of 90% EtOH extract. As ethanol became high concentrations, the extraction yield was gradually increased. Among them, crude saponin, the main active compounds in Panax ginseng was extracted the most by 70% EtOH and that value was 3.13±0.08%.
        13.
        201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블루베리 열수추출물들간의 항산화 활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Autoclave를 이용한 가압가열추출(AE), 오븐을 이용한 추출(OE), 끓인 증류수에 혼합 후 sonication한 추출(HWSE), 끓인 증류수에 산을 첨가한 후 sonication한 추출(HWASE) 및 15분간 끓여 추출(BE) 등의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 함량을 확인하고 ABTS, alkyl 및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과 Fe2+ ion chelating 활성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 AE에서 각각 3.47±0.16 mg GAE/g 및 1.59±0.19 mg RE/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AE가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HWSE(5.29 mg/g) 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ABTS와 alkyl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AE가 가장 우수한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는 AE와 더불어 안토시아닌 함량이 가장 높은 HWSE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Fe2+ ion chelating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유의적 차이 없이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SOD activity 측정 실험에서 AE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H2O2에 의해 유도된 세포독성 또한 AE가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추출 조건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를 수율 대비로 비교하였을 때,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냈던 HWASE에 대비하여 AE는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90배,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32배,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72배, SOD assay 1.65배, H2O2에 의해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능 1.84배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14.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 사용에 따른 갈변을 최소화하고 영양적으로 우수한 천마 단백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용출 및 침전 pH에 따른 단백질의 갈변도와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탈지 천마 단백질 알칼리 추출의 최적pH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천마의 수분은 약 15%로 측정되었으며, 대부분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었고, 단백질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단백질을 다양한 pH에서 용출시킨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용출된 단백질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갈변도 또한 증가함을 보였다. 침전 pH에 따른 단백질 함량은 pH 4에서 침전된 pellet이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상등액의 단백질 함량 또한 대부분 pH 4로 침전시킨 경우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단백질의 회수율도 침전 pH가 4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갈변도와 단백질 함량을 고려한 탈지 천마 단백질 추출을 위한 최적조건은 용출 pH 9와 침전 pH 4로 결정되었다.
        17.
        2013.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tabilize the basal extraction conditions of Leonuri herbal products, three kinds of Leonurus sibiricus water extract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boiling extraction (I), high thermal process & boiling extraction (II), and wet grinding & boiling extraction (III)), and their physi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extraction yields of the L. sibiricus water extracts were from 13.02 to 15.90%,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The polyphen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 in extracts (II) and (III) than in extract (I). The IC50 for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was the smallest in extracts (II), (III) and (I) in ascending order.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tracts (II) and (III) than in extract (I). Also, the ACE in hibition ability for 5 mg/mL of each extract was high in extracts (II) and (III),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extracts in terms of their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Extraction processes (II) and (III) were shown to be useful for preparing Leonurus sibiricus water extracts with healthful properties.
        18.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ysiological proper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90% ethanol extracts had shown 97.20% at 25 mL/g, which was highest in the all extracts. Total polyphenol content of 30% ethanol extracts had shown 140.01mg% at 25 mL/g, which was highest in the all extracts. The polyphenol contents increased as extract concentration rose (25 mL/g>50 mL/g>100 mL/g).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all samples were 23.96~88.71%, expecially, the highest at 60% ethanol extracts of 25 mL/g. Nitrite-scavenging abilities under acidic conditions (pH 1.2) were the most effective in all extracts. The results woul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19.
        2011.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나무 겨우살이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 작용, SOD 유사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Tyrosinase 저해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용매의 비율에 따라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고, 특히 60% EtOH을 추출용매로 하여 25 mL/g의 비율로 추출한 실험구가 68.88%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p50 mL/g>100 mL/g으로 농도가 높을수록 페놀함량도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20.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xidant capacity and determined the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using each of various solvent conditions from fermented Rhus verniciflua stem bark (F-RVS). Each extracts displayed markedly similar content of extraction yield. However, M80 extrac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comparison to other extract investigated. M80 exhibited stro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RC50 value of 10.5±1.4μg/ml, reducing power value 1.04 Abs (concentration of 1 mg/ml), and anti-lipid peroxidation activity value of 94.6% (concentration of 10 mg/ml). M80 extract showed the high content of total phenolic (319.7 mg GAE/ml extract) and total flavonoid (111.6 mg QE/ml extract).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in DPPH radical scavenging (R2=0.911 and 0.912, each extract) and reducing power (R2=0.903 and 0.837, each extract) from fermented R. verniciflua stem bark. However, antilipid peroxidation activity (R2=0.589 and 0.441, each extract) was not significant like DPPH radical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Therefo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and functional values were ovserved significantly at M80 solvent condition from the fermented R. verniciflua stem bark.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