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floral scents and their relative contents in the floral organ of Nelumbo nucifera. N. nucifera flower,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 is rich in volatile compounds. In this study, the volatile components of N. nucifera flowers were investigated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each organ of the flower: petals, sepals, pistils, and stamens. In total, we identified 39 compounds, among which aliphatics were major constituents, representing more than 94% of petals and sepals volatiles, followed by sesquiterpenes representing more than 69% of pistils and stamens volatiles. Pentadecane, 1-pentadecene, 8-hexadecyne, 8-heptadecene, and β-caryophyllene characterize the scent of the N. nucifera flower. We identified 24 volatiles in petals and sepals, 25 volatiles in pistils, and 18 volatiles in stamens. Among the monoterpenes, 3-Isopropylidene-4-methylcyclohexene, isoterpinolene, p-Menth-2-en-7-ol, and methyl 2,6,6- trimethylcyclohex-1-enecarboxylate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N. nucifera flow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N. nucifera flowers differ greatly in volatile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floral organ of the plant.
        4,000원
        6.
        201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od quality indicator is a simple device to communicate information of food quality to consumers. Change of specific gas composition in the headspace of food packaging can be considered as a food quality indication. For examples, level of carbon dioxide (CO2) increases in the headspace of packaged kimchi which is fermented over time during storage. The elevated ammonia (NH3) level inside a food package is an indication of spoilage. In this study, CO2 indicators and NH3 indicators were developed to monitor food quality and their performance were evaluated.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od quality change and the indicator change were studied during storage. Two types (chitosan-based and whey protein isolate-based) of CO2 indicators was developed to monitor the CO2 concentration in the headspace of a food package. The CO2 indicators showed a visual change depending on CO2 level in the package headspace and were installed on the packaged kimchi and the packaged makgeolli in order to notify their ripening stage. NH3 indicators were developed to monitor the headspace NH3 concentration in the packaged fishery products such as fermented skate. The NH3 indicators showed a prominent color change depending on NH3 level as the skate was fermented over time. In addition, the polylactic acid (PLA)-based package box installing NH3 indicator was developed for the fermented skate and the color change of the indicator was evaluated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over time. In conclusion, the gas indicators incorporated into the package was able to simply inform food quality over time.
        5,700원
        7.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채의 잎과 뿌리로부터 휘발성 화합물과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Headspace GC-MS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잎 조직으로부터 18종의 휘발성화합물이 검출되었고, 21종의 화합물은 뿌리조직으로부터 분석되었다. 주요 향기성분은 diallyl disulphide였고, 잎(27.9%)과 뿌리(17.41)에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또 다른 주요 황화합물은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disulfide, methyl 1-propenyl disulfide과 methyl 2-propenyl trisulfide이 잎과 뿌리에 모두 함유하고 있었다. 전체 46종 화합물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물질군은 황화합물이었다. 황화합물은 엽조직에 6종, 뿌리조직에는 5종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유리아미노산과 polyphenol성 화합물은 잎과 뿌리 조직에서 분석하였다. 잎과 뿌리 조직에서 아미노산은 20종과 19종이 각각 검출되었다.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잎에서 0.134 mg/g, 뿌리조직에서 0.105 mg/g 함유하고 있었다. 총 polyphenol성 화합물 함량은 잎에서 0.28 mg/g, 뿌리에서 1.08 mg/g 함유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삼채의 이용과 효율적인 재배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4,000원
        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oma compounds in sun-dried salt according to saltern material and packaging box were extracted by the headspace and were isolated by using GC-MS.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cluding ketones, heterocyclic compounds and six other compounds. Major aroma compounds in salts were identified as 4-methyl-2 pentanone, 5-methyl-3-hexanone, 4-methyl-3-penten-2-one, 2-hexanol, benzothiazole, 2, 4-bis(1, 1-dimethylethyl)-phenol, and 1, 3, 5 tri-tert-butyl benzene.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altern materials in three salts. Salts stored in Chamaceyparis obtusa (Sieb. et Zucc.) had more diverse aroma profiling than those in Pinus densiflora and Paulownia coreana. We consider that it need to research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 added products for new aromatic salt.
        4,000원
        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웰빙 추세에 적합한 재료의 하나인 식용꽃의 향기성분들을 분석하여 유효 기능성분들을 검색하고 체 계적으로 확립하여 식용꽃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식용꽃 6종 금어초(노랑, 자주), 금잔화, 패랭이(빨강, 보라), 한련화(노랑, 주황), 비올라(노랑, 보라), 팬지(노랑, 보라) 등 11종류에 대하여 Headspace SPME 방법을 이용한 향기성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금잔화(α-Thujene, α-Pinene 등 18종), 팬지 노랑 계열(β-Sesquiphellandrene 등 5종), 비올라 노랑 계열(β-Sesquiphellandrene등 15종), 보라 계열 (Germacrene d10종), 금어초 빨강 계열(β-Myrcene 1 종), 한련화 빨강 계열(2종)의 향기성분이 나타났으며, 팬지 보라계열, 패랭이, 금어초 노랑 계열, 한련화 빨 강 계열은 유효성분이 없었다. 식용꽃에서는 세포생성 및 재생에 효과적인 α-Thujene, 피로경감에 도움이 되 는 α-Pinene, 음식의 향료로 사용되는 limonine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능성 물질 이 용의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0.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S-SPME법을 이용하여 한국 서남해 연안해역에서 Sea-nine 211, Irgarol 1051, Diuron과 같은 방오제의 분포 특성을 검토하였다. 반감기가 짧은 Sea-nine 211은 모든 시료채취지점 및 지역의 해수와 퇴적물에서 아주 낮은 농도 또는 검출한계 이하로 분포하였다. Irgarol 1051은 해수 및 퇴적물에서의 최고 농도가 각각 6.98μg/L, 28.50 ng/g-dry wt로 검출되었으며, 지역별 분포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반감기가 가장 길고 생물 농축성이 강한 Diuron은 모든 시료채취 지점에서 Sea-nine 211과 Irgarol 1051보다 높은 농도로 분포하였으며, Mo7(목포)의 퇴적물에서 최고농도(3882.22 ng/g-dry wt)로 분석되었다. Irgarol 1051과 Diuron은 조선산업단지 및 선박정박지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에서 높은 농도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에서의 방오제 분포는 내만에서 외만으로 그 농도가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방오제는 내만에 위치하고 있는 항구나 조선산업단지로부터 오염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2.
        2007.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ormation about the chemical components emitted from the household products employed in many other countries seems to be still relatively scant and insufficient. The emissions composition for 59 consumer products were evaluated using a headspace analysi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s of total voa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broadly varied along with products. No volatile pollutants were detected for only one product in the household product category of laundry detergents. Except for this product, 1 to 17 organic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headspace gas phase of each product. The category of oil paints exhibited an upper range for both the number of chemicals detected and the concentrations of total VOC.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ertain household products determined in the current study was different from that for other studies from other countries. Four to 37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headspace gas phase of each product class. Several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more than one product class. Although several results indicated the dependence of the headspace temperature or period on the proportions of constituents in headspace gas phase, the effect of the headspace conditions on headspace concentrations varied along with the type of household product or analyte. It is suggested that a proper headspace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volatility of components and matrix of each household product as well as the analytical sensitivity.
        4,200원
        14.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ge 와 trap headspace sampler를 사용하여 녹차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 확인한 후 성분조성을 동시증류추출장치로 추출된 성분과 비교하였다. Headspace법으로는 88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methyl butanal(3.1%), 1-penten-3-ol(5.48%), 2-penten-1-ol(2.89%), hexanal(5.77%), heptanal(2.24%) 등의 비교적 비점이 낮은 성분들과 2, 4-heptadienal(4.28%), linalool(2.27%), nonanal(2, 06%), 2, 6-dimethyl cyclohexanol(2.57%) 및 α-pinene(1.52%), caryophyllene(1.70%) 등의 hydro-carbon 화합물, β-cyclocitral(2.0%), α-ionone(2.62%), β-ionone(2.98%) 같은 carbonyl 화합물이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SDE법으로는 64개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저비점 성분들보다는 benzul alcohol(3.79%), linalool(9.52%), terpineol(2.16%), geraniol(2.75%), nerolidol(6.50%) 등의 alcohol 성분들과 α-ionone(1.77%), β-ionone(4.80%), geranyl acetone(1.82%)등의 ketone화합물, hexanoic acid(1.45%), nonanoic acid(1.11%)등의 acid 화합물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5.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 외에 우리 국민에게 친숙한 향기를 지닌 냉이를 대상으로 식용 부위에 따른 향기성분을 SDE 및 SPM 방법으로 동시 분석하여 우리나라 고유 방향성 식물자원의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SDE 방법으로 포집한 정유 성분과 SPME 방법으로 추출한 headspace 성분간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정유에는 headspace 성분보다 상대적으로 탄화수소의 함량이 적었고, 케톤류,
        17.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초나무는 잎에서 총 52개, 열매에서 48개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4개 지역에서 잎의 주요 공통 성분은 (E)-2-hexenal, α-pinene, (Z)-ocimene+limonene, estragole, germacrene-d 이였으며, 열매에서는 estragole이였다.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성분은 잎에서만 검출되었고, undecanone 성분은 열매에서만 나타났다. 지역간 큰 차이를 보인 잎의 정유성분은 hexanal, azulene이었고, 열매에서는 (Z)-ocimene+limonene이였다. 초피나무 잎에서 총 30개, 열매에서 27개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잎의 주요 공통 성분은 백양사와 내장사지역의 성분이 α-pinene, β-phellandrene, 1,8-cineole, citronellal이였고, 통도사 지역은 (Z)-3-hexenol, (E)-2-hexenal, α-pinene, myrcene이 주요성분 이였다. 백양사와 내장사에서 채취한 열매의 공통 성분은 myrcene, (Z)-ocimene+limonene, β-phellandrene이였고, 통도사에서는 β-phellandr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이 주성분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