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황 분말의 첨가가 마요네즈의 품질특성, 항산화활성 및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들기름으로 제조된 마요네즈에 강황 분말을 0.5%, 1%, 2%, 3% 농도로 첨가하여 4°C에서 12주 동안 저장하였으며, 강황 분말 무첨가구와 비교하였다. 강황 분말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들기름 마요네즈의 L* (명도)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 (적색도)는 모든 실험구에서 negative (-)값이었으며, b* (황색도)값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p<0.05). 강황 분말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마요네즈를 저장하는 동안 과산화물가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강황 분말 첨가 시료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마요네즈의 유화안정성은 저장 초기에 비해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0.5%의 강황 분말 첨가구는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유화안정성을 보였으며, 1%의 강황 분말 첨가구는 무첨가구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점도는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무첨가구에 비해 1% 이상의 강황 분말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들기름 마요네즈에 강황 분말 첨가 시 항산화 활성 증대 및 과산화물의 생성 억제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0.5~1% 첨가시 마요네즈의 유화안정성 및 점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perilla oil mayonnaise (PM) with different levels of onion powder (OP) from 0 to 3%. As the amount of OP increased, the L, a, and b values increased, but pH decreased (p<0.05). The addition of OP raised viscosity (p<0.05). The addition of OP to PM proportionally increased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as measur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ssay. When compared to PM without OP, PM that contained OP had a peroxide value that was almost 1.94 times lower. The emulsion stability was between 97.62 to 94.92% in the PM without OP and PM with OP groups was 99.60% for 12 weeks.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clusion of OP in PM has the potential to inprove its quality, antioxidant activities, and storage stabili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ie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mayonnaise prepared with perilla oil with the addition of mulberry powder ranging from 0 to 5%.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illa oil mayonnaise (PM), as determin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well as FRAP and total phenolics content wer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mulberry powder compared with the control sampl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pendent on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added. Lipid oxidation of PM decreased with a higher amount of mulberry powder, based on measurements of peroxide value. The emulsion stability of PM increased with decreases in the amount of mulberry powder level. The a-value in PM color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ulberry powder.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of PM was achieved with 4% mulberry.
본 연구에서는 rheometer를 이용하여 식용유 함량을 75, 80, 85%로 달리하여 제조한 3종류의 마요네즈의 정상유동특성과, 진폭을 작게 한 전단변형하에서의 동적유동특성을 광범위한 전단속도와 frequency 영역에서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정상유동특성의 전단속도 의존성 및 동적점탄성의 frequency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마요네즈는 항복응력과 shear-thinning 및 thixotropy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들 성질은 식용유 함량이 증가할수록 강화되었다. 점탄성의 측정결과 광범위한 frequency 영역에서 G'값은 G"값보다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G'과 G"의 frequency 의존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n'과 n"은 각각 0.10, 0.20이었으며 G"이 G'보다 frequency 의존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75, 80, 85% 마요네즈의 부피평균직경은 각각 3.89 μm, 3.04 μm, 3.15 μm로 식용유 함량이 75%인 경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orage stability of mayonnaise containing a different emulsifier and various levels of soybean paste powder. The mayonnaise with egg yolk as an emulsifier is E group according to the amount of soybean paste powder addition of 0%(E1), 3%(E2), 6%(E3) and mayonnaise with soy milk as an emulsifier is S group with soybean paste powder addition of 0%(S1), 3%(S2), 6%(S3). Storage stability of mayonnaise was determined during storage at 30 ± 5℃ for 8 weeks. The peroxide value, TBA value, acid value of mayonnaise with addition of 6% soybean paste powd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0% and 3% addition. The turbidity decreased according to storage period. The viscosity of mayonnais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soybean paste powder. Base on these results, addition of soybean paste powder in the mayonnaise improved oxidation stability during storage period.
본 연구는 마요네즈 제조 시 유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난황이 콜레스테롤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였고, 된장의 항산화 효과로 인해 마요네즈의 저장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유화제 종류와 된장분말 첨가가 마요네즈의 품질특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페놀함량은 E1이 97.92 mg%, E2는 131.15 mg%, E3는 172.81 mg%로 증가되었고, S1은 56.87 mg%, S2는 111.39 mg%, S3는 152.75 mg%로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01).
2) 전자공여능은 E1이 20.49%에서 E2는 34.32%, E3는 50.95%로 증가되었고, S1은 9.59%, S2는 16.02%, S3는 38.77%로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01). 총 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된장분말을 6% 함유한 E3, S3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색도 측정 결과 L값(명도)은 E군이 S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a값(적색도)는 S군이 높았고, b값(황색도)는 E군이 높게 나타났다. 된장분말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는 증가하였다(p<0.001).
4) 콜레스테롤 함량은 E군이 152.87-156.62 mg/100 g, S군은 2.87-8.29 mg/100 g으로 나타나 두유로 만든 마요네즈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매우 낮았다(p<0.001).
5) 관능검사 결과는 된장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의 점수는 낮았고 신맛, 짠맛, 발림성은 증가하였다. E군은 S군보다 기름 냄새와 느끼한 맛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전반적인 결과로 볼 때 향, 전체적인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된장분말 3%를 함유한 두유마요네즈 S2가 가장 적당한 마요네즈라고 사료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고 된장을 3% 첨가한 마요네즈에서 관능검사 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콜레스테롤은 150 mg/100 g에서 10 mg/100 g로 낮출 수 있었다. 비록 두유보다 난황을 사용한 마요네즈가 더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지만 저장성 실험을 한 결과 두유마요네즈가 더 높은 저장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마요네즈가 개발된다면 계란의 난황 대신 두유를 사용하여 콜레스테롤 함유량을 낮출 수 있으며 계란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된장 분말이 항산화작용을 하는 점을 이용하여 식품의 보존제로 첨가하여 식용유지의 산화를 방지하고 우리의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을 서양요리에 접목 시킬 수 있어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을 세계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examined closely physiological activation and intende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ood low-fat food. Developing carbohydrate fat replacer as materials for low-fat food made of Korean potato starch, it is expected that the new demand of fat replacer will be created. Potato starch was modified by chemical modification. The calorie of starch of GPS was measured to be 3.0 kcal/g, those of chemically modified starch, HPR showed 2.5 kcal/g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calorie is decreased by modified treatment. The appropriateness of processing food was experimented by substituting the existing oil and fat containing food with gel of starch and modified starch in constant rate through utilization of modified starch. When producing mayonnaise by substituting edible oil with gel of modified starch in 10-50%, calorie was reduced by 44~45% when substituted by 50%, suggesting the potential of low-fat food. Measuring viscosity of mayonnaise by Brookfield viscometer, the mayonnaise with HPR showed high viscosity and the chemical modified starch group of EZ also showed high viscosity. Generally, the material property of mayonnaise tended to reduce in all measured items when oil and fat are substituted by starch substituting materials and the substituting materials increase. When it comes to the emulsification stability of mayonnaise with starch substituting materials, emulsification stability of all mayonnaise with starch substituting materials is lower than that of compared group. While the group with NL as commercial fat replacer showed emulsification stability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group with modified starch and the substitution group of HPR showed higher emulsification stability. Sensory evaluation for low-fat mayonnaise by substituting oil the products substituted by modified starch was more preferred than general starch substituting products such as GPS. While NL as commercially fat replacer showed the hight preference, products with H40, EZ were also highly preferred.
표준 마요네즈 제조에 Bovine Plasma를 첨가하거나, 난황의 일부 혹은 전량을 Bovine Plasma으로 대체하여 마요네즈를 제조하고 점도, 색도, 유화 안정성, 관능검사를 통하여 Bovine Plasma의 마요네즈의 제조적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점도는 표준 마요네즈 (난황비율 12%) 제조 배합비에 0.01 ~ 0.1% Bovine Plasma를 첨가하였을 때 다소 증가하였고, 난황 첨가비를 50% 감소한 시료에서도 1 ~ 3% Bovine Plasma를 첨가함에 따라 표준 마요네즈와 근접한 점도를 나타냈다. 난황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Bovine Plasma만으로 제조한 경우도 5% 첨가수준에서 표준 마요네즈에 근접한 점도를 나타냈다. 2. 색도의 측정결과, 난황의 비율 (6, 12%)과 Bovine Plasma의 첨가비율에 따라 명도값을 나타내는 L값은 전체 시료간, 저장기간 (30℃ 21일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난황의 비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Bovine Plasma의 첨가비율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Bovine Plasma의 첨가가 유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30℃ 21일간)을 검토한 결과, 표준 마요네즈에 Bovine Plasma를 첨가함에 따라 안정성이 증가하였고, 난황비율을 표준 마요네즈의 50%로 감소시켜도 1 ~ 3% Bovine Plasma를 첨가함에 따라 표준 마요네즈와 근접한 유화 안정성을 보였다. 난황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Bovine Plasma만으로 제조한 경우도 5% 첨가수준에서 표준 마요네즈와 근접한 유화 안정성을 나타냈다. 4. 관능검사에서 표준 마요네즈에 0.01 ~ 0.1% Bovine Plasma를 첨가한 시료는 Bovine Plasma의 첨가비율에 따라 항목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낮은 기름냄새, 달걀냄새, 식초냄새, 기름맛, 달걀맛, 느끼한 맛, 식초맛을 나타내고 냄새와 맛의 조화도가 높아 표준 마요네즈보다 선호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난황의 첨가비율을 50%로 감소시키고 1 ~ 3% Bovine Plasma를 첨가하여 제조한 마요네즈는 색을 제외하고는 모든 항목에서 표준 마요네즈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난황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5%의 Bovine Plasma만으로 제조한 마요네즈는 표준 마요네즈와 비교했을 때 다소 강한 기름냄새와 기름맛, 난황이 첨가되지 않아 색에 대한 기호도의 저하 등 관능적인 면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유자즙의 첨가량을 달리한 마요네즈의 저장기간 중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변화를 비교하여 마요네즈의 저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점도는 유자즙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p<0.05). 색도에서 유자즙 첨가군의 L값은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으며,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a값은 b값의 경우, 유자 마요네즈는 유자즙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b값이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Y-100군 및 L-100군은 b값의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δE값은 유자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대조군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은 35.90%이었으며, 유자즙 첨가군은 41.74~55.16%로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측정되었고 유자즙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라디컬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모든 실험군의 라디컬 소거능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를 보였으나, 유자즙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DPPH 라디컬 소거능을 보였다(p<0.05). 유자즙 첨가군의 산가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자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산가를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산가가 증가하였으나 유자즙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낮은 산가를 나타내었다(p<0.05). 과산화물가도 산가와 같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첨가된 유자즙이 마요네즈 안에서 천연 항산화제 역할을 하여 유지의 산패를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로 마요네즈 제조 시 유자즙의 첨가는 마요네즈의 항산화성을 높이고 저장 중의 산화안정성을 향상시켜 저장성 및 품질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용유, 난황 및 각종 조미료를 주원료로 한 마요네즈는 높은 열량으로 인한 비만과 각종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전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전분풀을 적용하여 마요네즈 고유의 맛과 향을 유지하며 열량이 낮은 새로운 형태의 다이어트 마요네즈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다이어트 효과가 입증된 바 있는 O.R.capsicum과 붉은색을 나타내는 지용성 천연색소인 O.R.paprika를 접합시켜 매운맛 다이어트 마요네즈의 제조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