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09년도 한국응용곤충학회 춘계학술발표회 (2009년 5월) 209

14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면적 수출유망작물인 착색단고추를 가해하는 담배가루이에 대한 효과적 인 방제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델타린 유제, 피리다벤 수화제, 에마멕틴벤조 에이트 유제, 클로르페나피르․클로치아니딘 액상수화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액 상수화제, 치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등에 대하여 약효․약해를 평가하여 보 았다. 조사를 위한 착색단고추의 재배는 일반농가의 관행재배법에 준하였고 각각의 약제에 대한 처리는 난괴법 3반복으로 2회 실시하였다. 각각의 경우 조사는 3일차, 7일차 2회 조사하였으며, 약해조사 또한 3일차에 2회 실시하였 다. 먼저 1회 처리(2008년 8월 12일)의 담배가루이의 살충률을 조사한 결과 1 회(2008년 8월 14일) 2회(8월 18일) 조사 모두 델타린 유제의 경우는 방제가가 낮게 나타났으나, 그 이외의 약제의 경우는 대조구에 대비하여 90% 이상으로 약효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회 처리(9월 17일)의 경우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약해는 모든 약제에서 1회 2회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14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가로줄노린재 및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의 조 성 및 함량과 유인트랩의 종류에 따른 이들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를 검정하였 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3성분(EZ:EE:MI=1:5:1, 75mg/PE형 방출기)과 4성분(EZ:EE:MI:OI=1:5:1:1, 80mg/PE형 방출기)이 있으며, 콩포장, 약용포장 및 단감원에서 4성분 집합페로몬에 의한 동종 노린재의 유인효과는 3성분보다 각각 30, 100 및 120% 증가되었다.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 (Me-EZZ)의 함량에 따른 노린재과 노린재류(갈색날개노린재, 풀색노린재 및 썩덩나무노린재)의 유인효과는 7>5>10>3mg 순으로 높았다. 가로줄노린재의 집합페로몬(EE)의 함량에 따른 동종 노린재의 유인효과는 105>80>50mg 순으 로 높았다. 한편, 유인트랩의 종류에 따른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는 톱다리개미 허리노린재는 통발트랙과 펀넬통기트랩에서 가장 높았으며, 노린재과 노린재 류의 유인효과는 원반트랩>통기트랩>풍뎅이트랩>통발트랩>펀넬트랩 순으로 높았고, 가로줄노린재의 유인효과는 원반트랩>통기트랩>통발트랩>풍뎅이트랩> 펀넬트랩 순으로 높았다.
14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me responses of cryptic mealybug, Pseudococcus cryptus, for a sex pheromone, [(1R,3R)-3-isopropenyl-2,2-dimethylcyclobutyl]methyl 3-methyl-3-butenoate, were studied to develop the applying strategy of sex pheromone trap for efficient monitoring and control-time decision in citrus orchards grown in greenhouse for 2 years (2007-2008).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a sex pheromone was 1.0㎎ per hexane 100㎕ in a using pheromone lur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attraction of male adults among different colours (white, blue and yellow) of plate-type trap baited with sex pheromone. The more male adults were attracted, as the distance of a pheromone trap form a citrus tree infested with cryptic mealybug was closer. The male adults were caught to sex pheromone trap from middle April to late November, and its peak period was the middle of July. The thermal constant for the next attraction was about 640 degree-days (lower threshold temperature=12℃) after confirmed the first attraction of male adults. The optimum control time for cryptic mealybug after the first attraction of male adults were confirmed was estimated as 450 to 500 degree-days.
144.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온실에서 친환경적 해충방제를 위해여 쓰이는 황색 및 청색 끈끈이 트랩은 여러 종류가 생산, 판매 되고 있다. 이 트랩들은 가격과 성능은 물론 색상에 도 차이를 보이며, 농민들의 선호도 또한 다르다. 이 같은 문제점을 수정․보 완코자 유인력이 가장 좋은 끈끈이트랩의 색상을 선정하기 위해서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가루이류, 총채벌레류, 뿌리파리류를 대상으로 색상과 색 농도에 따른 유인 력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1차 실험은 황색과 청색 2종의 색상에서 각각 4 가지 다른 색 농도를 선정하여 (주)세실에 끈끈이트랩의 제작을 의뢰 하였다. 제작된 트랩을 경남지역 3곳의 온실에 설치하여 유인력을 검정한 결과 색상 별로 각각 가장 유인력이 좋았던 2가지 색 농도를 선발하였다. 2차 실험은 유 인 효과가 좋은 색상과 색 농도를 좀 더 세분하여 결정하기 위해 1차 실험에 서 선발된 색 농도의 범위 내에서 3가지 색상을 추가하여 각각 5가지 색 농 도를 (주)세실에서 판매되는 끈끈이 트랩을 대조로 하여 같은 지역에서 실험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황색끈끈이트랩은 1가지 색 농도에서, 청색끈끈이트 랩은 2가지 색 농도에서 기존트랩보다 높은 유인력을 보였다. 금후 본 연구에서 선발한 색상과 색 농도를 끈끈이 트랩의 제작에 사용한 다면 기존 판매되고 있는 끈끈이 트랩 보다 우수한 유인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45.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taxonomic review of a new record, Bolitophagiella pannosa (Lewis) in Korea is presented. Description of adult is presented and also we conducted laboratory and field observations of the life history and fungal hosts of the darkling beetle, Bolitophagiella pannosa (Lewis). A fungivorous tenebrionid beetle, Bolitophagiella pannosa (Lewis), was a rare inhabitant of fungi on deciduous trees (Quercus, Robinia pseudoacacia etc.) in Korea. This species is associated with host fungi, generally order Aphyllophorales throughout its whole life. Especially both adults and larvae was inhabit on widespread fungi, Perenniporia, on deciduous trees in Korea. Apparently this species used obligately the fruiting bodies of Perenniporia medulla-panis (Fr.) Donk and Perenniporia frazinea (Fr.) Ryv. for breeding and feeding site. Development from egg to adulthood took 3-10 months in nature and about 54 days in the laboratory at 25.5-26.1℃ and 63.5-64.5% relative humidity. Both larvae and adults overwintered in their host fungi or beneath the bark of the host tree near the host fungi. Sporophores of Perenniporia medulla-panis (Fr.) Donk and Perenniporia frazinea (Fr.) Ryv. were obligate feeding and breeding sites in Korea. Description, habitus photographs of adult and instar, and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s are provided.
14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the transgenic Chinese cabbage (SKCP19 line) with myrosinase gene and Chinese cabbage (SC19 line) without gene introduction on the insect community were evaluated. Sampling was conducted using yellow sticky traps and wing pheromone traps in Anseong and Deokso fields,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aught by sticky trap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nsgenic Chinese cabbage and non transgenic Chinese cabbage at Anseong and Deokso fields, respectively (t=0.72; df=46; P>0.05, t=0.38; df=38; P>0.05).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nsity of Plutella xylostella population caught by pheromone traps on transgenic and non transgenic cabbage at both fields (t=0.59; df=22; P>0.05, t=0.52; df=18; P>0.05). This study was funded by BioGreen21 project of Rural Department Administration (No. 20080401-034-039).
14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improve mass rearing methods of hornfaced bee, Osmia cornifrons, in different field condition, a series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apple orchard in Geochang province, eco-park in Suwon and botanical park in Yongin. 1,000 individuals and 2,000 individuals of Osmia cornifrons were released apple orchard and eco-park and botanical park respectively. Nesting rate of Osmia conifrons was most effective in case of releasing in botanical park in Yongin with 38.2% and lowest in eco-park in Suwon with 21.7%. And also number of cocoons nested in bamboo tube traps was highest in botanical park in Yongin with 3,494 individuals. Sex ratio in 3 different areas was also most effective with 58:42 in botanical park, 50:50 in apple orchard and lowest with 43:57 in eco-park. Nesting activity was shown starting point in 20th day, peak point in 38th day and ending point in 46th day after releasing of adults. This result shows nesting efficacy in botanical park designed with various species of plant sources pollinating insect, Osmia cornifrons, to increase the multiplication rate in field condition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areas. General type of nest shows same tendency in efficacy of nesting rate compared with specific type of nest designed with dark thick cover in apple orchard. But it's result needs some further examination in same condition.
148.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여치는 우리나라에서 4월 초·중순에 야산에 출현하여 5월 말경에 성충 이 된다. 야산에서 부화하여 5월 초순경에 인근 과수원으로 내려오기 시작하 여 산란 전까지 약 한 달 동안 과수원에 서식하며 어린잎과 과실에 피해를 준다. 2008년 충북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야외 생태를 조사한 결과 갈색여치가 과수원으로 내려오는 시기인 5월 초순에는 주로 3-4령이었고, 과수원내에서는 주로 섭식을 하며, 산란을 위해 다시 인근 야산으로 이동한다. 산란기간은 약 2개월 동안 지속되었고 일생 동안 산란하는 량의 50% 이상을 산란초기인 7월 초순에 하였다. 한편 겨울동안의 지온은 야산이 과수원보다 높고, 토양습도 또한 40% 이상이 유지되어 갈색여치 알이 겨울을 나는데 유리한 조건이 되었 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4월에 약충이 된 갈색여치는 5월말과 6월초에 성충이 되고 7월부터 9월까지 산란을 하고 죽는다. 갈색여치는 알로 휴면하며 알이 부화하기 위해서는 저온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2007년 산란된 알은 2008년과 2009년에 걸쳐 부화하였고 일부는 초기 휴면단계에 들어가 있어 갈 색여치의 알은 1년 또는 2년 이상 휴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149.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ganophosphate pesticides have their inhibitory action on the chorinesterase. It is likely that application of organophosphate pesticides invoke retardation in activity as well as death of arthropods. This study is aimed to find changes in foraging activity of ants due to application of fenitrothion, one of most widely used organophosphate pesticides. Foraging activity (FA) of ants was observed by using bait cards at pesticide sprayed pine stand and unsprayed stand before and after aerial application of fenitrothion in 2003 and 2004. FA of Paratrechina flavipes which was too abundant to be statistically compared,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 hours to 10 days after application of the pesticide but recovered at 16 day in 2003 and partially recovered at 18 day and completely at 31 day in 2004. FA of other ant specie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retardation period of FA of P. flavipes. Ratio of ants feeding on bait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retardation period of FA. However, decrease of interspecific inhibition on feeding action, which was expected for negligence on other ants caused by the chorinesterase inhibition was not observed.
150.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바이러스 내병성 인자가 도입된 GM 고추 품종과 Non-GM 품종에서의 복숭아혹 진딧물의 생활사를 비교, 조사하였다. 온도 23℃, 광주기 16:8(L:D)로 조절된 실 험조건 하에서 한 배에서 출생한 1령 약충을 GM(15), Non-GM(2377)품종의 고 추 잎당 1마리씩 접종하여 우화 후 성충이 사망할 때까지 출산수를 24시간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수명은 Non-GM 품종과 GM 품종에서 각각 26.88±5.42일 과 25.92±8.18일로 Non-GM에서 길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t=0.55; df=61; P>0.05). 출산수 또한 Non-GM과 GM 고추 품종에서 각각 63.5±15.75일, 66.59±17.63일로 GM 품종에서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는 않았다(t=0.72; df=61; P>0.05). 두 고추 품종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의 전출산 기간은 각각 6.41±047일, 6.18±0.54일로 Non-GM에서 다소 길게 나타났으나 유 의한 차이는 아니었다(t=1.08; df=61; P>0.05). 또한, 각 고추 품종에서 복숭아 혹진딧물의 내적자연증가율, 세대기간, 순증가율, 계차증가율 등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내적자연증가율: t=0.83; df=61; P>0.05, 세대기 간: t=0.1; df=61; P>0.05, 순증가율: t=0.54; df=61; P>0.05, 계차증가율: t=0.45; df=61; P>0.05).
15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the genetically modified virus-resistant pepper (line: 15, 20) and the non-GM pepper (line: 2377, 915) on the insect community in the pepper cultivation area were evaluated. Sampling was conducted using yellow sticky traps and pheromone funnel traps in Anseong and Deokso fields. Total number of insects caught on sticky trap were 3273 individuals at GM pepper and 2949 individuals at non-GM pepper in Anseong and 4357 individuals at GM and 3712 individuals at non-GM in Deokso. Total number of aphids collected on leaves were 451 and 330 individuals at GM and non-GM pepper in Anseong, respectively and 79 individuals at GM and 41 individuals at non-GM pepper in Deokso. The total number of the insect individuals caught on sticky trap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M and non-GM pepper at Anseong and Deokso fields, respectively.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asonal occurrences of aphids caught on sticky traps in GM and non-GM pepper at both fields. This work was supported financially by Biogreen21 project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o. 20070301-034-010).
15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single and combination use of N. californicus and N. womersleyi for control of Tetranychus urtica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 replications in kidney bean leaf disc (2.5cm diameter) at 25℃, 60-70% RH, a photoperiod of 16:8 (L:D) h. The inoculation ratio was 5:1 for T. urticae:pytoseiidae mite and treatments are: a, N. californicus:T. urticae (4 adult female:20 adult female) b, N. womersleyi:T. urticae (4:20) c, (N. californicus+N. womersleyi):T. urticae ((2+2):20) d, Only T. ulticae (20). T. urticae population becam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eatment plots than in the control plot but the higher egg number of T. urticae was observed in the treatment "b" plot than in "a" and "c" plots. In the "c" plot, lower number of N. womersleyi was observed than N. californicus. The result indicates that single use of N. californicus and combination use of N. californicus and N. womersleyi were more effective than single use of N. womersleyi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single use of N. californicus and combination use of N. californicus and N. womersleyi for control of T. urticae. Also, N. californicus appears to interfere or outcompete N. womersleyi.
15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제 무역이 늘어남에 따라 해외에서 병해충이 새로 유입될 기회가 늘어나 며, 국내에서 월동을 할 수 없었던 해충들이 지구온난화로 인해 점차 월동을 할 수 있게 되고, 천적의 부존으로 인해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꽃매미(Lycorma delicatula)가 2004년 천안에서 발견된 이후 2006년부터 밀 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7년에는 서울, 고양, 인천, 천안, 청주, 정읍에 발 생하였고, 2008년에는 경기 파주, 가평, 광명, 성남, 군포, 안성, 충남 공주, 연 기, 아산, 충북 청원, 진천, 보은, 강원 춘천, 원주, 경북 영천에서 발생하였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서식처가 늘어나고 있다.(Chungbuk Grape Research Institute, 2008). 따라서 꽃매미가 국내에서 월동이 가능함에 따라 꽃매미의 환경조건에 따 른 부화생태를 조사하기 위해 온도 및 광 조건에 따른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15±1, 20±1, 25±1, 30±1℃조건에 치상 후 누적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25± 1℃에서 부화율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20±1, 15±1, 30±1℃ 순으로 부화율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첫 부화까지의 기간이 25±1, 30±1℃에서 10일로 가장 짧 았으며, 20±1℃에서 16일, 15±1℃에서는 26일이 소요된다. 주·야간 광조건을 16L8D, 12L12D, 8L16D로 하고 25±1℃에 치상한 후 꽃매 미의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광조건에 상관없이 부화율 및 부화속도가 비슷하 였다.
154.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easonal occurrence patterns of peach pyralid moth, Dichocroscis punctiferalis (Guenee), and persimmon fruit moth, Satthmopoda masinissa Meyrick, in persimmon orchards in four different regions, Ulsan and Jinyeong in Gyeongsangbuk-do, and Naju and Yeongam in Jeollanam-do. Three pheromone traps (Delta trap, GreeAgro Tech) for each moth species were installed at each site and checked with 1 week intervals. Peach pyralid moth and persimmon fruit moth occurred in all four study sites. Two moth species exhibited two distinctive peaks, but there were some time differences in the peak among sites. Peach pyralid moth first occurred in late May to early June in Ulsan, Jinyeong and Naju but occurred in late July in Yeongam. Overall, the first peak appeared in mid- to late June but the time of the second peak varied widely among sites. Persimmon fruit moth first occurred in early to mid-June in Ulsan, Jinyeong and Naju but occurred in mid-May in Yeongam. The first peak appeared in mid- to late June in Ulsan, Jinyeong and Naju but it appeared in late May in Yeongam. The time of the second peak was around late August in the study sites except Ulsan where the second peak time was in late September.
155.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1년 이전 갈색여치는 주로 산림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고, 농업 에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2006년과 2007년 영동군을 중심 으로 한 충청북도 일원에서 갈색여치가 대규모로 발생하여 농작물 피해를 입 혔다. 2006년과 2007년 갈색여치를 방제하기 위해 사용된 농약으로 인해 영동 군의 청정이미지가 실추되어 농산물 판매에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본 연구 는 친환경적으로 갈색여치를 방제하기 위해 농가에서 쉽게 사용하고 있는 비 닐막 및 끈끈이 트랩의 효과적인 이용 방법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갈색여치 가 야산에서 과수원으로 서식처를 옮기는 5월 초순 전에 비닐막을 설치하여 1차적으로 갈색여치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 또, 비닐막 지지대에 끈끈이 트 랩을 반드시 부착하여 지지대를 통해 넘어오는 갈색여치를 2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비닐막을 넘어 과수원으로 이동한 갈색여치는 기어서 나무위로 올 라가는 습성이 있으므로 나무 밑둥지에 끈끈이 트랩을 부착하면 연령에 관계 없이 갈색여치를 방제할 수 있다. 끈끈이 트랩 설치 시 과수나무 전체에 끈끈 이 트랩을 설치하는 것은 노동력, 경제적 측면 및 익충 밀도 유지를 고려하면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15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have a wide host range including cucumber, tomato, and pepper, resulting in loss of crop yield. In this study, we tested larvicidal efficacy of several on-the-marke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to select the effective products after the target pests were stabilized in indoor rearing condition.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two whiteflie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 vaporariorum, egg duration is 9.6 days, and nymph is 18.9 days, and in the case of B.tabaci, egg durationis 7.4 days, and nymph is 15.2 days under 25℃ with relative humidity (RH) of 60±5% and a photoperiod of 16L : 8D. The total period of T. vaporariorum as 5 days longer than B. tabaci. Among 22 EFAMs six products showed more than 60% of insecticide efficacy for against T. vaporariorum BTVB, BTVD, BTVG, BTVL, BTVM, and BTVS. On the other hand, seven EFAM products including showed over 60% of insecticide efficacy against B. tabaci BTVD, BTVG, BTVK, BTVL, BTVM, BTVN, and BTVU. In the case of Spodptera litura previously, xxEFAMs were tesed against 2nd instar S.litura, and EFAMs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90% efficacy. Test of these six EFAMs against entire larval stag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Although some of these products showed still more than 90% of insecticidal efficacy against up to 3rd instar larvae, the efficacy of these EFAMs sharply decreased as ages increase, result is less than 60% of efficacy of the products at most. This result indicates the difficulty to control S. litura with the on-the-market EFAMs alone under economic injury level. Collectively, it is required to find more EFAMs and find alternative method to control those insect pests tested in this study.
15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남 보성군 회천면 차나무 재래종 10년생 농가 포장에서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방제를 위하여 차응애 밀도가 100엽당 30마리 정도 발생한 5월상순, 6월상순 2회에 천적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와 사막이리응애 (Neoseiulus californicus)를 1,000㎡당 3,000 6,000 10,000마리를 방사하여 차응애 밀도와 천적인 긴털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 밀도를 4월부터 10월까지 10일 간 격으로 월 3회 조사한 결과 차응애 발생은 4월하순부터 발생되어 5월하순에 발생피크를 나타낸 후 7월상순까지 발생 되었으며 7월중순부터 8월상순까지 는 고온에 의한 원인으로 발생되지 않았고 8월중순부터 10월상순까지 발생되 었으나 발생량은 적었다. 천적 긴털이리응애 방사 효과는 3,000, 6,000, 10,000 마리 처리구에서 각각 55%, 60%, 64%로 평균 60%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피 해엽율은 무처리 24.8%에 비하여 11.9%, 9.9%, 8.7%로 평균 10.1%를 나타냈 다. 차응애에 대한 천적 사막이리응애 방제 효과는 3,000, 6,000, 10,000마리 처리구에서 각각 61%, 64%, 67%로 평균 64%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피해엽 율은 무처리 24.8%에 비하여 각각 9.9%, 9.0% 7.9%로 평균 8.9% 였다. 천적인 긴털이리응애, 사막이라응애를 2회 방사 처리한 결과 5월상순부터 8 월하순까지 각각 24마리, 29마리가 조사되었는데 응애가 감소함에 따라 천적 도 감소 하였다.
158.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충국 5계통의 추출 부위 및 방법에 따른 살충효과 검정을 위해 제충국의 잎, 꽃, 전초를 대상으로 에탄올, 에탄올+유화제, 증류수에 각각 넣어 상온에 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대상해충은 점박이응애, 벼멸구, 목화진딧물로서 살비율과 살충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충국 계통의 꽃을 에탄올로 추출한 0718계통이 점박이응애에 대해 5일째 에 63.8%의 높은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에탄올에 유화제를 혼합하면 에탄올 단독으로 살포한 것 보다는 5일째에 살비율이 더 높아져 69.4%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유화제 혼합의 경우 초기 1일째의 살비율은 에탄올 단독 추출액 보다 살비율이 낮았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살비율이 높아져 유화제에 의한 잔류효과가 큰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물로 추출하면 에탄올보다 효과가 떨 어져 1일째에 13.4-25.2%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제충국 줄기를 용매별로 추 출하였을때 에탄올에서는 0721계통이 5일째 42.7%, 0718이 40.8%를 나타내었 으며 유화제를 혼합하여도 효과가 꽃보다는 더 낮아 54.6%와 57.5%를 나타내 었다. 제충국 꽃에 대한 벼멸구의 살충율은 에탄올로 추출한 것은 초기 살충율이 15-23.7% 이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폭이 크지 않았다. 0718계통은 5일째 에 42.4%의 살충율을 나타내었으나 유화제를 첨가하면 5일째에 65.4%의 비교 적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줄기 추출액은 0718계통을 에탄올 추출하여 유 화제를 첨가한 경우 33.3%의 살충율을 나타내어 줄기 자체의 살충성분은 높 지 않았다. 제충국 꽃에 대한 목화진딧물의 방제효과는 초기에는 어느 정도 유지되었 으나 진딧물의 산자수가 증가하는 특성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할 수록 살충율 은 하락하였다. 그러나 0721계통의 유화제 혼합의 경우 1일째에 53.6%까지 살 충율이 증가하였으며 3일째에 39.1%를 유지하여 이 계통을 이용하여 보조제 를 추가하는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59.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충국, 멀구슬의 천적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고 배추의 주요해충인 배추좀 나방의 방제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큐레이퍼이리응애에 대해 1일째에 제충국은 25%, 멀구슬은 41.7%의 살비 율을 보였으며 3일째에 40%와 46.7%로 나타나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 었다. 오이이리응애 역시 3일째에 제충국과 멀구슬에서 각각 31.7%, 46.7%였 으며 긴털이리응애는 30.0%, 35%, 지중해이리응애는 33.3%와 40.0%를 나타내 어 이들 이리응애류는 제충국과 멀구슬에 대해 비슷한 감수성을 보여주었다. 애꽃노린재에 대한 멀구슬과 제충국의 살충율은 3일째에 68.2%와 54.2%로 아 주 높게 나타났다. 쌀좀알벌의 우화율은 제충국과 멀구슬에서 57.5%와 53.3% 로 비교적 높았으며 멀구슬과 창포 혼합제품에서는 71.1%의 높은 우화율을 나타내어 기생성 천적에 대해서 이들 추출물의 독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 단된다. 싸리진디벌에서 제충국은 54.4%, 멀구슬은 35.6%의 우화율을 나타내 어 멀구슬은 천적과 같이 사용시 주의를 요하였다. 온실가루이좀벌은 황온좀 벌보다 더 높아 61.8%와 53.3%의 우화율을 보여 이들 추출물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충국은 1회 살포시에는 21일째부터 밀도가 떨어져서 34일째에는 36.7%까 지 낮아졌다.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경우 초기의 밀도 억제는 낮았지만 21 일째에는 91.1%까지 올라가 효과를 보여 제충국은 7일 간격 3회 살포하는 것 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멀구슬을 1회만 살포한 경 우 14일째까지 96.7%의 높은 살충율을 보여 주지만 이후 약효가 떨어졌다. 7 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할 경우 14일째부터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어 28일째 까지 100%를 유지하였다.
160.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vement behaviors of specimens of mite (Tetranychus urticae) were computationally analyzed after the treatments of pesticide, abamectin, at a low concentration of 0.78ppb.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est specimens were placed individually on the bean leaves (diameter=7mm), and their position was recorded in 2-dimension at 0.25 second intervals (8 hours before treatment and 8 hours after treatment). The selected parameters such as speed, angular change, meander, etc, were checked for characterizing response behaviors after the treatments. The difference of mite behavior was accordingly observed after the treatments, and the time spent in the center area appeared to be longer after the treatments. Additional characterization of movement behaviors was computationally checked, and utilization of behavioral monitoring in pest management was further discussed regarding early detection of susceptible or resistant st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