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09

        94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study the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CF/Epoxy(Carbon Fiber/Epoxy Resin) laminated shell with the various curvatures subjected to transverse impact loadings under the low impact velocity in consideration of design of structural members for use of transportation machine, which are consis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tiffness, strength and lightweight. The curvature radius are associated with the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CF/Epoxy laminated shell which is brittleness material. In all tests, maximum load of CF/Epoxy laminated plate is higher than that of laminated shell with curvature, but maximum deflection is lower. And then absorbed energy of laminated shell with curvature is higher than laminated plate(curvature radius is unlimited). As curvature radius is increased, the absorbed energy is increased in laminated shell with curvature.
        4,000원
        945.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국쌀 제조에 사용되는 홍국균의 고체평판배지에서의 생장 및 색소생산과 monacolin K 생산에 관한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총 35개의 균주를 수집하여 PDYA, PDA, MEA 3개의 고체평판배지에서 25oC와 30oC에서 배양하였다. 대부분의 균주가 PDYA 배지에서 가장 빠른 성장을 보여주었으며, 25oC보다 30oC에서 훨씬 빠른 균사 생장을 보여주었다. 고체평판배지에서 적색계열의 색소생산량이 높은 균주는 황색계열의 색소생산량도 높았다. 그러나, 색소 생산량이 높은 균주에서는 monacolin K의 생산량이 높지 않았으며, 오히려 색소생산량이 낮은 균주에서 monacolin K의 생산량이 높았다. 또한 monacolin K를 생산하는 균주에서는 독소성분인 citrinin 역시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monacolin K 생산균주의 기초 스크리닝에 고체평판배지에서의 색소생산량이 낮은 균주를 선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48.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버섯 품목별 생산가액은 7,500억원 정도이며 안정적인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가장 생산가액이 많은 품목은 표고버섯으로 2,000억원에 달한다. 수출현황을 살펴보면 팽이, 새송이를 위시한 농산버섯이 376억원, 표고버섯, 송이버섯을 비롯한 임산 버섯이 110억원 가량 된다. 2000년대 들어 병버섯업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시작되어 농장들이 대규모화 대형화되었다. 국내의 버섯소비시장이 정체기를 보이자 이들 농가는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기 위하여 2000년대말부터 버섯수출이 시작되었는데, 팽이(수출액: 242억)와 새송이(수출액: 109억)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해외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해외 수출버섯의 소비저변이 확대되지 않고, 긴 수송기간에 의해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수출액의 증가세를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농가별로 각기 다른 버섯재배방법을 사용하여 생산된 버섯의 저장성이 동일하지 않아 장거리시장 수출에 장애요인이다. 저장성이 강화된 새송이버섯 배지를 개발하고자 먼저 우수한 농장의 버섯배지 조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분중심으로 버섯배지원료별로 혼합비를 설정하여 버섯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7개의 배지조합으로 버섯을 생산하여 생육특성을 조사하고 5℃저장시 저장일수를 기록하였다. 저장성조사결과 배지16과 17은 38, 35일로 기존의 23일에 비해 15일 18일 연장되었다.
        951.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왕피천은 경북 영양군 수하계곡에서 발원하여 울진군 왕피리를 굽이쳐 흐르다 동해로 빠져나가는 총연장 60km의 왕피천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접근하기 어려우며 그래서 더욱 은밀한 원시의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곳이며 ‘생태계 보존지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또한 왕피천 보존지역은 경북의 강원도라고 할 만큼 접근이 어렵고 조사의 어려움이 있는 곳이다. 왕피천 발원지인 경북 영양군 수비면 일대에서 2001년부터 우리나라에서 처음 기록된 영양사슴하늘소를 비롯하여 운문산반딧불이, 애반딧불이, 늦반딧불이 등 청정지역의 대표종이 많이 서식하고 있는 곳이다. 또한 이곳은 딱정벌레목 곤충이 풍부하게 서식하지만 환경지표종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딱정벌레과 곤충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왕피천 유역의 핵심지역에 들어가는 울진군 서면과 완충구역 및 전이구역에 해당되는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와 신암리 일대의 딱정벌레목 특히 뒷날개가 퇴화되어 환경지표종으로 많이 언급되는 딱정벌레과 곤충을 함정트랩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를 보고한다. 본 연구결과 영양사슴하늘소의 분포 뿐만 아니라 왕피천 보전지역에서 처음으로 조롱박딱정벌레 ssp.(Acoptolabrus mirabilissimus ssp.) 보고하며 아울러 딱정벌레과 곤충의 다양성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95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lenium was initially considered toxic to humans, but it was then discovered that selenium is essential for normal life processes. Selenium plays important roles in antioxidants. It is expected that chitosan microcapsules containing nano-selenium will be able to be used as a key material in bio-medical and cosmetic applications. The high concentration of chitosan derivatives guaranteesincreased antioxidative activity. Both inorganic and organic forms of selenium can be nutritional sources.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elenoproteins help prevent cellular damage from free radicals.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stud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hitosan nano-selenium. Our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in the presence of various concentrations(0.1%, 0.3%, 0.5%, 0.7%, and 0.9%) of chitosan. We performed an assessment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and cytotoxicity of respective concentrations of chitosan nano-selenium.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xamined by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1, 1-diphenyl-2-picrylhydrazyl(DPPH) assay. The cytotoxicity effect was measured by means of 3-(4, 5-dimethylthiazole-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assay. As a resul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0.1%, 0.3%, 0.5%, 0.7%, and 0.9% of chitosan nano-selenium exhibited effective andioxidant scavenging activity at 12.5 ㎍/㎖ against DPPH radicals. 0.3% chitosan nano-selenium did not show cytotoxicity on human keratinocytes. In general, the cytotoxicity of 0.1% and 0.9% chitosan nano-selenium showed the lowest effects. Though low cytotoxicity of 0.5% and 0.7% chitosan nano-selenium exhibited 29.67% and 38.4% against human keratinocytes on adding 100 ㎍/㎖ and 50 ㎍/㎖, respectively, cell vitality was recovered with 200 ㎍/㎖.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chitosan nano-selenium may be useful as a new active ingredient source for bioactive compounds.
        4,000원
        95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icrobiological hazards for plants, cultivation environments and personal hygiene of perilla leaf farms at the harvesting stag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perilla leaf farms(A, B, C) located in Gyeongnam, Korea and tested for sanitary indications, fungi and pathogenic bacteria(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As a result, total bacteria and coliform in perilla leaf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4.4~5.2 and 3.4~4.3 log CFU/g, respectively, but E.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Among the pathogenic bacteria, B. cereus(perilla leaf: 2.0~2.4 log CFU/g, stem: 1.4~2.1 log CFU/g, water: 0.7 log CFU/ml, soil: 4.2~5.0 log CFU/g, hands: 3.0 log CFU/ hand, gloves: 2.1~2.4 log CFU/100 cm2, glothes: 1.5~2.8 log CFU/100 cm2) and S. aureus(3.4 log CFU/hand)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and worker's hand from farm A, respectively. However, other pathogenic bacteria were not detecte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erilla leaf at the harvesting stage was significantly contaminated with microbial hazards.
        4,000원
        954.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가장 우점하는 BaYMV (Barley yellow mosaic virus)에 의한 국내 육성 청보리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피해를 조사하였다. 바이러스 감염 검정에서 선우는 BaYMV와 BaMMV (Barley mild mosaicvirus)에 감염되어 있었으나 영양보리와 유연보리는 BaYMV에만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병징 발생정도에 따라 선우와 유연보리가 각각7~9와 5의 이병 정도를 보였으며 저항성 품종인 영양은 3정도의 저항성이 조사 되었다. 월동 후 초장과 분얼 경수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품종별 저항성 정도에 따라 14.6~32.9%의 신장억제율을 보였으며, 생육 후기의 분얼 경수 단축률은 8.7~19.7%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수량구성 요소의 피해를 건전포장 결과와 비교했을 때 중도 저항성과 감수성 품종에서 저항성 품종에 비해 간장에서 특히 큰 차이가 났으며, 수량 구성요소인 간장, 수수 및 수장 등을발병포장과 건전포장에서 수확한 재료에 대해조사하였다. 간장 단축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영양보리는 14.5%가, 유연 및 선우보리는 각각24.8%와 42.7%의 신장 피해를 보였다. 수장과수수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도 간장의 피해정도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수장과 수수는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따라 각각 8.9~21.3%와 24.3~31.0%의 감소율을 보였다. 총체 건물 수량성을 조사한 결과 저항성 정도에 따라 건전 포장에 비해 21.6~58.0% 감소를 보여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특히, 감수성이 큰 선우보리에서는 건전포장의 8.0톤/ha에비해 58.0%의 감소 피해를 나타내었다. 종실수량은 약 30.0~61.2%의 감소율로 총체 수량의피해와 비슷한 결과였다. 감수성인 선우보리에서 감염포장에서 60% 이상의 종실 수량이 감소하여 가장 큰 피해정도를 나타내었다.
        4,200원
        95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esticide residue of commercial medicinal plants used for food materials in the Seoul area. Multi class pesticide multiresidue methods in Korea Food Code was used to analyze 100 pesticides. Analyzed samples were 261 cases(domestic 201, imported 60), detection rate was 19.2%(domestic 20.9%, imports 13.3%). 17 pesticides were detected in fruit(chinese matrimony vine, jujube, rubus coreanus, japanese cornlian cherry, schizandra, tangerine peel), and root(cnidium, licorice, astragalus). Pesticide over Maximum Residue Limits were detected in jujube, cnidium. Frequently detected pesticides were cypermethrin, chlorpyrifos, cyhalothrin, fenvalerate, bifenthrin. More than 50% of the sample were detected two or more pesticides at the same time. Because of the variety and increase of pesticide detection in medicinal roots and fruits, continued monitoring and safety management is required.
        4,000원
        95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ethod of how to perform risk assessment in the early stage of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acquisition of weapon systems. An advanced method for risk assessment and its associated objective functions are developed first based on the concept of systems engineering. The developed method is then applied to carry out the analysis of alternatives in the trade-off environments. As a case study, the multi-purpose training ship is considered, where it is performed using the notions of technology readiness levels, degrees of difficulty, and technology need values to facilitate design space visualization and decision maker interaction. It is noted that decision makers can benefit from our approach as an improved risk assessment method in the context of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