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control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juvenile delinquents. The average heights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20 cm (male) and 160.89 cm (female), and the average weights were 66.73 kg (male) and 58.42 kg (female), and the BMIs (Body Mass Index; kg/m2) were 22.46 (male) and 22.54 (fem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41.4% of the subjects were over weight or obes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MI, satisfaction with body image and perception of body image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Furthermore, female subjects were more experienced at weight control than male students (p〈0.001). Additionally, overweight and obese individuals had more experience with weight control than subjects that were not overweight.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 that subjects took weight control measure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Specifically, female subjects practiced weight control due to their appearance (p〈0.001). The order of methods by which male subjects attempted to control their weight was exercise〉diet control〉starvation and for girl student were diet control〉starvation〉excercise.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were higher for female subjects than for mele subjects. In addition,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increased as the BMI value increased and the father˚Øs educational level increased.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data to plan and develop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juvenile delinquents.
본 연구는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유로부터 glycomacropeptide(GMP)를 분리하였으며, 각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 억제 효과를 in vitro 상에서 알아보았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의 GMP는 분자량이 모두 약 20 KDa이었으며, sialic acid 함량은 각각 36.86±2.36, 37.98±1.27 및 31.19±1.87㎍/mg이었다. 또한 모든 개체의 GMP에서 tyrosine이 검출되었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반응 30초에 4.02, 5.51 및 12.77%로 각각 나타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소판의 현미경 관찰 결과 가수분해물 첨가 후 혈소판 수가 증가하였으나, 첨가 후 30초가 경과한 시점부터 혈소판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120초 후에는 관찰 할 수 없었다. 본 실험 결과 bovine 및 caprine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small peptide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연구는 심근경색증 및 뇌혈전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from the burning of fossil fuels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contributor to green house emissions and subsequent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recover CO2 gas. A new process based on gas hydrate crystallization is proposed for the CO2 separation/recovery of the gas mixture. In this study, gas hydrate from CO2/H2 gas mixtures was formed in a semi-batch stirred vessel at a constant pressure and temperature. This mixture is of interest to CO2 separation and recovery in Integrated Coal Gasification (IGCC) plants. The impact of tetrahydrofuran (THF) on hydrate formation from the CO2/H2 was observed. The addition of THF not only reduced the equilibrium formation conditions significantly but also helped ease the formation of hydrates. This study illustrates the concept and provides the basic operations of the separation/recovery of CO2 (pre-combustion capture) from a fuel gas (CO2/H2) mixture.
Purposes : The effect on corneal swelling and curvature changes in the region of center and peripheral under wearing of therapeutic lenses on a daily and extended wear basis is analyzed. Methods : Thirty three college students(22.4±1.92 years old. 12 males and 21 femaJes) who consent to this clinical triaJ and have no ocuJar surgicaJ history and contact Jens complications were participated in clinical trial. Six therapeutic Jenses which are being prescribed most commonly in the clinic were fitted on the r ight eye(wear group) and no Jens fitted on the Jeft eye(control group). Each eye was examined after 8hours and 24 hours to compare cornea thickness and curvature changes. ln order to fit another Jens in turn. 48 hours interval at the !east was required and no other lenses were not allowed during trial Jens wear. Results : Comeal swelling induced by therapeutic soft contact Jens wea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8 hours(F=33.00. p=O.OO) and in 24 hours(F=38.83. p=O.OO). The degree of swelling in 8 hours of Jens wear was : A Jens(HENIA+ NV. WC : 38%. Dk/t : 7.86) 3.57±2.22%. D Jens(HEMA, WC : 55%. Dkft: 15.68) 3.18±2.05%. F Jens(HEMA+NVP, WC: 55%, Dk/t: 15.92) 2.79±1.61%. C Jens(Vifilcon A. WC: 55%, Dk/t : 23.88) 1.54±1.66%. B Jens(Ocufilcon D. WC: 55%. Dk/t : 26.85) -0.59±2.13%, E Jens(Lotrafilcon A. WC : 24%, Dk/t : 160.92) -0.70±1.53% in that order. The degree of swelling in 24 hours was : A Jens 8.50±3.71. D Jens 8.16±3.58%. F Jens 6.68±3.66%, C Jens 4.31±2.11%. B Jens 2.86±2.84%. E lens -0.03±1.97% respectiveJy. The order in 8 hours was ass that in 24 hours. Conclusions : Therefore. B Jens, C lens, E Jens are found to be more suitabJe for therapeutic Jens in this study. In case of A Jens, D Jens, F Jens which caused significant swelling, in order to confirm if those lenses are suitable for therapeutic Jens, further study on deswelling during day time after extended Jens wear is need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erms of estimating the validity by setting evaluation items in view of integrating not only original beauty and visual areas but also natural ecological areas based on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literature study, 17 items such as variety, the character of sites in terms of landscape, the beauty of landscape, visibility, and ratio of green visibility are selected. Also, 21 items such as variety of animals and plants species, size of green area, and ecological naturalness are selected in the area of landscape ecological resources. 2)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of the group of landscape experts, animals and plants ecological areas show 5.6341, the highest in importance analysis according to assessment areas. Also, as a result of importance analysis on items in each area, for example, in the area of visual resources, the item of skyline analysis is 6.0488, the highest. 3) As a result of corelation of item meaning on landscape effect assesment, for example, meaningness of psychological assessment item and landscape site item indicate 0.710, the highest coefficient correlation. 4) As critical assessment items per unit project, items such as damage minimization of original land features for project in terms of point, ratio of green visibility, variety of animals and plants species marked above 8.0 as high important medium. The project in terms of line, minimization of original land features, preservation of worthy biotope showed high point and the character of sites in terms of landscape, minimization of original land features, the size of green area, and analysis of skyline marked above 8.5 as high importance points. On the contrary, items for climate and soil showed relatively low po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some common upland cropping system in Youngnam and Honam region and to analyze it's income by the syste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ommon cropping systems consisting of "sweet potato+barely", "corn+barely" and "bean+barely". Second, the highest earning system in Youngnam region is a "sweet potato+barely" (934,544won/10a) and that in Honam region is a "sweet potato+barely"(1,210,523won/10a) respectively. Third, in the differences of the cropping system's income level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in "corn+barely" and "bean+barely" respectively.
차선의 밝기를 나타내는 반사성능은 교통량, 도색 후 경과시간, 차선재료, 색상 등에 따라 지역별로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서 조사된 차선 성능의 자료를 바탕으로 교통량과 차선의 공용수명을 독립변수로 하고 차선의 성능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전국의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모바일 차선반사 성능 차량을 사용하여 2005~2006년의 2년동안 3개월 간격으로 차선의 성능을 추적 조사하였다. 축적된 DB에는 차선의 성능뿐 아니라 차선의 재료, 색상, 기하구조, 교통량, 도색시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추적 조사된 차선성능을 기초로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차선재료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여러 인자에 의한 차선성능 곡선을 도출하였다. 차선성능 곡선을 통해 지역별 교통량과 도색 이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차선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선형함수, 로그함수, 지수함수, 음지수함수 등을 이용하여 차선의 성능을 나타내는 회귀식과 변동을 추정한 후, 결정계수가 가장 높고, 현장측정치와 가장 유사한 모형을 차선의 성능 예측모형으로 결정하였다. 현장조사 결과와의 검증결과, 차선성능 예측 모델은 90% 신뢰도에서 유의함을 볼 수 있었고, 특히 누적 교통량의 증가에 따라 현장 데이터와 높은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방법론에 의한 차선수명 예측 모델을 통해 차선의 공용수명과 잔존수명을 예측하여 도색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포장 공용성 모델은 역학적-경험적 포장설계법에서 포장의 수명을 결정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한국 포장연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한국형 포장설계법이 역학적-경험적 방법에 근거하여 현재 개발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장 공용성모델중 아스팔트 혼합물의 영구변형 예측모델을 삼축압축 반복재하시험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시험은 다양한 아스팔트 혼합물에 대하여 온도와 공극률을 변화시켜 하중재하 횟수에 따른 혼합물의 영구변형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본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예측모델의 계수값을 결정하였다. 영구변형 예측모델의 계수값은 포장가속시험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혼합물에 대한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깊이에 따른 전단응력의 변화를 고려한 통합적인 소성변형 모델계수값을 정하는 것보다 혼합물의 종류에 따른 모델계수를 산정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예측할 것으로 판단된다.
Takju lees extract is expected to be a promising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glycemic index (GI) of Takju lees extract and its effects in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The GI for Takju lees extract was evaluated with 10 healthy young adults (Male 5, Female 5). OGTT was conducted in 20 male db/db mice, fed on a diet containing 2% Takju lees extract for 4 weeks. Those animals were subjected to OGTT after one oral administration of Takju lees extract at 2 g/kg BW. The GI of the Takju lees extract was measured at 97.97. The effects of the Takju lees extract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db/db mice evidenced no difference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akju lees extract is a high GI material, and it has no effect on blood glucose levels in a type II diabetic animal model.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confirm its anti-diabetic effects.
이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학교 활동으로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고등학교 천체관측반을 대상으로 한 천체 관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현행 지구과학교과서의 천문관련 탐구활동을 분석한 다음, 가장 기본적인 관측 장비의 표준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교 인근 여러 관측지에서 학생들이 직접 탐구활동을 수행하였다. 특히 관측 장비의 경우 일선학교에서도 쉽게 구비할 수 있는 102mm급 굴절망원경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였으며, 대부분 도심지에 위치한 학교의 관측지 환경을 고려한 탐구활동 및 그 수행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상의 천문관련 탐구활동은 대부분 제시된 자료를 분석하는 자료 해석이나 가상실험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대부분의 학교가 위치한 도심지의 경우 도시 외곽보다 관측 환경이 열악하다. 셋째, 학교 인근 도심지에서 보편화된 관측 장비를 이용한 효율적인 관측 기법과 도심지에서의 관측 기기의 표준화 계수를 결정하였다. 넷째,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프로그램화하여 측정한 결과, 도시와 도시외곽에서 실제 별의 등급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천체 관측에 관한 다양한 탐구 활동을 제공할 수 있었다 현재 천체 관련 교육은 실제 탐구 활동 영역이 결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학교가 도심지에 위치하고 있어서 관측환경 또한 좋지 못하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실질적인 천체관측 활동과 관측 결과에 대해 정형화된 보정활동을 거쳐 유의미한 관측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재해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장 체험 중심의 천체 탐구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과학적 흥미를 높일 수 있다.
PTMSP에 0~20 wt% PMMH dendrimer 나노입자를 가하여 PTMSP/PMMH dendrimer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복합막의 기체 투과특성에 미치는 PMMH denimer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H2, N2, CO2, CH4의 투과도는 PTMSP 내 PMMH endrimer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다. PTMSP/PMMH dendrimer 복합막에서 수소를 제외한 다른 기체들의 투과도 순서는 N2<CH4<CO2이며, 이것은 기체의 임계온도의 순서 N2<CH4<CO2와 일치하고 있다. N2에 대한 기체의 선택도는 PTMSP 내의 PMMH denimer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증가하였다. CO2/N2 선택도는 5.6에서 16.9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에 의해 polydimethylsiloxane (PDMS)와 methyl-methacrylate (MMA)로부터 polydimethylsiloxane-polymethylmethacrylate (PDMS-PMMA) block copolymer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DMS-b-PMMA copolymer막의 특성은 FT-IR, 1H NMR, GPC, DSC 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질소와 수소의 투과도는 각각 1.2~1.5 barrer와 6.2~10.5 barrer를 보였고, 질소에 대한 수소의 선택도는 5.3~6.9 범위였다. PDMS-b-PMMA copolymer 막의 투과도와 선택도는 PDMS 막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고, PMMA 막보다는 높은 결과를 보였다.
목 적 : 시각 구연 능력과 양안시 기능이 학업 성취도와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알아보 았다. 방 법 : 대전 지역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한글 읽기 속도(Korean Reading Rate) 검사와 DEM 검사를 통한 시각-구연 능력(Visual-verbal Skills)과 굴절이 상도, 사위도, 조절 용이성, 융합 능력(Fusional Vergence) 및 조절근점 등의 양안시 기능을 측정하였다. 연간 총 평가 성적을 석차 순으로 상 ․ 중 ․ 하(각 38명씩) 3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종 측정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학업 성취도 각 그룹별로 시각-구연 능력과 비교했을 때 한글 읽기 속도는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평균 10초 정도 짧았으며(p = 0.000)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359, p = 0.000). DEM 검사는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9초 정도 짧았고(p = 0.000)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427, p = 0.000). 양안시 기능과 비교한 결과 굴절이상도는 중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0.50D 정도 더 높았다(p = 0.016). 사위도 및 단안 조절기능(단 안 조절용이성 및 단안 조절 근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융합 능력 가운데 원 거리에서 NFV와 PFV 모두 중간 그룹이 가장 낮았다(p = 0.011 및 p = 0.007). 근거리에서 NFV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FV는 상위 그룹이 가장 높았다(p = 0.000). 특히 학업 성 취도와 근거리 PFV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571, p = 0.000). 조절과 폭주의 결합 요소(양안 조절 용이성 및 양안 조절 근점)를 비교했을 때 양안 조절 용이성은 중간 그룹이 가장 높았으며(p = 0.000) 양안 조절 근점은 상위 그룹이 가장 낮았고(p = 0.037), 한글 읽 기 속도와 DEM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618, p = 0.000). 결 론 : 학업 성취도와 시각-구연 능력(한글 읽기 속도와 DEM 검사)은 모두 상관성이 있 었으며, 양안시 기능은 근거리 PFV만 상관성이 있었고 근거리 PFV가 높을수록 학업 성취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형 파이프하우스 설계시 구조계산에 필요한 지점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물크기의 파이프 하우스에 환산된 적설하중 및 풍하중을 재하하여 온실의 붕괴양상과 변위 및 변형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값을 여러 가지 지점조건에 대해 구조해석한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온실에 작용하는 적설 및 풍하중의 등분포 하중을 집중하중으로 환산할 때 환산된 집중하중의 개수별로 하중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적설하중의 경우 최소 2개 이상의 집중하중으로 환산하는 것이, 풍 하중의 경우 각각의 등분포된 수압면의 하중을 1개씩의 집중하중으로 환산하는 것이 등분포하중과 유사한 하중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변형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적설하중 작용시에는 예측된 바와 같이 처마부위에서 붕괴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하중 작용시에는 풍상측의 처마와 지점부위의 변형이 가장 크게 발생하였고 다음으로 풍하측의 처마와 곡부의 변형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가장 큰 변형을 나타낸 처마가 위험부위로 판단되었다. 응력과 변위에 따른 지점조건을 분석한 결과 지점조건에 따른 변위의 크기는 변위방향과 모델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지면고정 〈지하고정〈지면힌지〈지하힌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별도의 기초 없이 서까래를 땅속에 바로 매입하여 설치하는 소형 파이프 하우스의 구조설계시 지점조건을 매입깊이에서의 지하고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 되었다.
본 연구는 vesicular stomatitis virus G glycoprotein (VSV-G)으로 피막이 형성되는 replication-defective MoMLV-based vector를 이용한 hTPO 헝질전환 닭의 생산에 관한 연구이다. 실험에 사용한 retrovirus vector의 구조는 hTPO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위해 internal promoter인 hCMV promoter를 이용하였으며 외래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해 woodchurk hepatitis virus posttranascriptional regulatory element (WPRE) 서열을 도입하였다. 재조합한 vector는 GP2 293 포장세포에 도입하여 virus를 생산하였으며 이 virus를 이용하여 감염시킨 여러 표적세포에서 hTPO의 발현과 생물학적 활성을 확인하였다. 재조합 hTPO의 생물학적 활성은 시판되고 있는 재조합 hTPO에 비해 우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hTPO 형질전환 닭의 생산을 위하여 1,000배 이상 고농도로 농축된 virus를 stage X 단계의 계란의 배반엽 층에 미세주입하여 대리난각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미세주입한 132개의 계란 중 21일 후에 11개의 계란에서 병아리가 부화하였으며 그중 4마리가 형질전환 개체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생산된 4마리 중 3마리가 부화 후 1개월 이내에 원인불명으로 사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있는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사람의 cytokine 단백질의 대량 생산을 위한 생체 반응기로서의 형질전환 닭 개발의 시례를 제공하는데 있다.
형질 전환 동물 생산에는 조직 및 시기 특이적 발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유즙 내로 외부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유전자 발현 즉, 단백질 생산은 프로모터의 강도뿐만 아니라 mRNA의 안정성에 의해서도 조절된다. 특히, polyadenylation에 의한 poly A의 길이는 in vivo와 올 in vitro에서 mRNA 안정성 및 목적 유전자의 번역효율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mRNA 안정성이 목적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UTR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다. 이 3'-untranslated region(UTR) 내의 poly A signal을 기준으로 putative cytoplasmic polyadenylation element(CPE) 부위와 downstream elements(DSE: U-rich, G-rich, GU-rich)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고, 각각의 element를 기준으로 15 종의 luciferase reporter vector를 제작하여, 생쥐 유선 세포주(HC11)와 돼지 유선 세포주(PMGC)에 각각 transfection시킨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luciferase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PMGC의 경우, luciferase의 발현은 exon 9의 CPE 2,3 및 DSE 1을 포함한 #6 construct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발현량을 보였으며, exon 9의 CPE 2, 3과 DSE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11 construct에서도 유의적으로 높은 발현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형질 전환 돼지 생산에 있어 #6 및 11 construct의 사용은 목적의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High-energy mechanical milling (HEMM) and sintering into Al-Mg alloy melt were employed tofabricate an Al alloy matrix composite reinforced with submicron and micron sized Al2O3 particles. Al-basedmetal matrix composite (MMC) reinforced with submicron and micron sized Al2O3 particles was successfullyfabricated by sintering at 1000oC for 2h into Al-Mg alloy melt, which used high energy mechanical milled Al-SiO2-CuO-ZnO composite powders. Submicron/micron-sized Al2O3 particles and eutectic Si were formed by in situdisplacement reaction between Al, SiO2, CuO, and ZnO during sintering for 2h into Al-Mg alloy melt and werehomogeneously distributed in the Al-Si-(Zn, Cu) matrix. The refined grains and homogeneously distributedsubmicron/micron-sized Al2O3 particles had good interfacial adhesive, which gives good wear resistance withhigher hardness.
본 연구에서는 높은 투과도를 갖는 고분자량의 PTMSP를 합성하고 PTMSP와 hydroxy-terminated PDMS로부터 PTMSP-PDMS graft copolymer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PTMSP-PDMS graft copolymer에 TEOS의 함량을 15, 30, 50 wt%로 달리하여 졸-겔 방법에 의해 PTMSP-PDMS-silica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PTMSP-PDMS-silica/PEI 복합막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1H-NMR, FT-IR, TGA, XPS, GPC, SEM 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H2, O2, N2, CO2, CH4, n-C4H10 기체에 대한 기체 투과도와 선택도 성질을 고찰하였다. 복합막의 투과도는 TEOS의 함량과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리고 기체들의 선택도는 TEOS 함량 30wt%에서 최대값을 나타내고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