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obacterium vector를 이용한 세포사멸 억제유전자인 AtBI-1(Arabidopsis thaliana Bax Inhibitor-1)을 벼에 도입하기 위하여, 벼품종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과 AtBI-1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 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의 품종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을 조사한바 자포니카형 벼가 인디카형 및 통일형 벼에 비해 식물체 재분화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공시 품종 중에서 일품벼의 식물체 재분화율(7%)이 가장 높았다. 배양용기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을 조사한바, petri-dish에서 보다 시험관에서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았다. 4주동안 자란 ‘일품’ 유래의 callus를 Agrobacterium과 co-cultivation한 후 kanamycin과 carbenicillin이 첨가된 재분화 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12.0%의 가장 높은 형질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genomic DNA를 이용한 PCR 결과는 Bin-AtBI-1-GFP 유전자는 1 kb 부근에 삽입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Southern blot 분석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형질전환체의 CLSM(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분석에서 잎, 줄기, 뿌리에서 GFP가 발현되어 형광색을 띄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순환굵은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거동을 평가한다. 이를 위하여 골재의 종류와 흡수율이 서로 다른 3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4점 가력을 받도록 계획하였으며, 전단의 영향이 크도록 전단경간비를 2.5로 계획하였다. 실험체의 모멘트-곡률 관계를 예측하기 위하여 인장증강효과를 고려한 비선형 휨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체의 전체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단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흡수율 6%의 순환굵은골재를 사용한 실험체의 휨강도와 균열특성은 천연골재를 사용한 실험체와 서로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한 결과, 기존 해석방법을 이용하여 순환굵은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거동을 타당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Korea Crataegi fructrus (KCF) and Chinese Crataegi fructrus (CCF). Among the proximate compositions, the curde fat content of KCF was lower than that of CCF, whereas their crude protein,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were similar. CCF had a higher total free sugar content than KCF. The major free sugars of KCF and CCF were identified as fructose and glucose. The value of glutamic acid was greater in the amino acids of KCF and CCF, and KCF had higher total amino acids and essential amino acids contents than CCF. KCF also had a higher level unsaturated fatty acids than CCF. CCF had a higher organic acid content, but both KCF and CCF had high citric acid levels. and Chinese The vitamin C contents of KCF and CCF were 272.69 mg per 100 g and 262.38 mg per100 g,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 of KCF was higher than that of CCF, in the following order : K > Ca > Mg > Fe. The results showed that KCF had higher total amino acid, essential amino acid, unsaturated fatty acid and mineral contents and CCF had higher free sugar and organic acid cont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contents of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 Rh2 and Rg3 using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in wild cultured-Root in wild ginseng. For selective increase in contents of Rg3 and Rh2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 ultra high extraction was applied at 500MPa for 20 min which was followed by steaming process at 90℃ for 12 hr. It was revealed that contents of ginsenosides, Rb1, Rb2, Rc and Rd, were decreased with the complex process described above, whereas contents of ginsenoside Rh2 and Rg3 were increased up to 4.918 mg/g and 6.115 mg/g,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entration of benzo[α]pyrene in extracts of the cultured wild ginseng roots treated by the complex process was 0.64 ppm but it was 0.78 ppm when it was treated with the steaming process. From the results,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s, Rh2 and Rg3, are converted from Rb1, Rb2, Rc, and Rd which are easily broken down by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This results indicate that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can selectively increase in contents of Rg3 and Rh2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d this process might enhance the utilization and value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In general, stepwise hot steaming process is kn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its biological activities; however, not much employed in processing Codonopsis lanceolata due to its hardness. In this study, C. lanceolata was first pretreated with warm water at 50℃ and 60℃ for two hours, then steamed for 3 hours.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were compared with the extract from the water solvent: 41.58% vs 8.98%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dding 1.25mg/ml of steamed extract and water extract, respectively. Reducing power of steamed and fresh C. lanceolata were also measured as 1.39 and 0.71. Total poly phenolic of the steamed extract was estimated as 12.11mg/g, compared to 3.98mg/g fresh C. lanceolata.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also obtained as 11.48mg/g, compared to 7.11mg/g of fresh C. lanceolata. In comparing phenolic acids profiles in the extract, in general higher amounts of gallic acid, trans-ferulic acid, vanillic acid were obtained possibly by easy release of active components during thermal processing, which results in bett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at of water extract. This findings can also be supported by result that the ethanol extract showed better activities than the water extract.
이 연구는 완벽주의 성향의 고등학생이 채택할 수 있는 자아핸디캡전략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자아효능감에 주목하여,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자기지향적, 타인지향적, 사회부과적)와 학습지연전략으로서의 자아핸디캡전략간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고등학생 280명(남:166명, 여:11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분석, 다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만 자아핸디캡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집단 간 차이검증 결과, 자기지향완벽주의는 자기조절효능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아효능감과 자아핸디캡전략 모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타인지향적 완벽주의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아핸디캡전략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자아효능감(자신감)을 매개로 하였을 때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직접효과는 사라지고 매개변인인 자신감의 직접효과가 증대됨으로써 자신감은 자아핸디캡전략에 대한 완전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자아효능감(자기조절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였을 때 자아효능감을 매개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직접효과가 감소함으로써 자기조절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학업수행지연을 완화하기 위하여 자아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는 주로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모든 벼 재배국가에서 발생하며, 우리나라의 벼농사에도 큰 피해를 입히는 주요 해충이다.
벼멸구에 저항성이면서 품질이 우수한 신품종을 육성하고자 ‘삼강’과 ‘낙동’을 인공교배하여 F1 식물체를 양성하고, 약배양을 수행하여 doubled haploid 집단을 육성하였다. 육성 계통 중에서 포장특성이 양호하고 벼멸구에 저항성인 ‘SNDH-39’를 양질성 품종인 ‘주남’과 3회 여교배하여 동계온실에서 F1세대를 양성하였다. 하계포장에 F2세대 240개체를 전개하고 초형이 양호한 17개체를 선발하였다.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 Bph 1과 연관된 DNA marker(RM28493)를 이용한 marker assisted selection(MAS)과 생물검정을 병행하여 육성한 계통 중에서 벼멸구에 저항성이면서 주요작물학적 특성이 우수한 ‘SNJB8-16-3-B’를 선발하였다. ’08~’09년에는 생산력검정 및 지역적응성시험을 수행하여 ‘드리미 2호’로 명명하였고, 현재 국립종자원에 출원번호 2009-540으로 출원 중에 있다. ‘드리미 2호’의 출수기는 8월 22일이며, 아밀로즈 함량은 20.8% 이다. 주요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으로 벼멸구에는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며, 잎도열병과 흰잎마름병의 K1, 2, 3 균군에도 저항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작물의 유전적 개량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용 가능한 유전자원으로부터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창출하는 것이다. 야생벼나 잡초벼와 같은 유전자원은 각 지역의 환경조건에 오랜 기간 동안 적응하며 집단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저항성이나 불량한 환경에 대한 내성 등 유용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야생벼나 잡초벼를 이용하여 양적형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 유전자를 탐색하는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고수량성, 내재해성 등 우량한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 야생벼 유전자원을 교배모본으로 이용하여 이들의 우량 유전자를 선별적으로 재배벼에 이전시키는 육종방법을 개발하고 동시에 우량 품종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배벼의 유전적 배경에 야생벼의 염색체단편이 이입된 근동질계통을 이용하여 수량성 및 내재해성에 관여하는 QTL의 고밀도 지도를 작성하고 관여유전자를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야생벼과 재배벼 (화영벼/W1944) 교잡 유래 이입계통을 이용하여 종자중 관여 QTL (qTGW5)과 수당립수 관여 QTL (qSPP5)이 연관됨을 밝혔다. 야생벼의 수당립수 유전자 (qSPP5)는 재배벼에선 발견되지 않은 야생벼 특이적인 유전자로 판단된다. 직파재배에서 중요한 중배축 신장성에 관한 유전자 고밀도지도 작성을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탐색된 QTL (qMel-1, qMel-3)을 잡초벼/일품벼 조합계통에서 분석한 결과, qMel-1과 qMel-3은 각각 염색체 1번의 RM8260과 염색체 3번 RM426에서 탐지되었으며, 중배축 신장성 관여 유전자의 분리를 위해 microarray 분석 및 association mapping을 실시하고 있다. 유묘기 내냉성 지표로서 저온 조건에서의 엽록소 함량에 관한 QTL(spad-1, spad-4)이 밀양23/합천앵미3조합에서 탐지되었으며 , 이들 유전자의 근동질계통 (NIL) 육성, 후보유전자의 T-DNA 삽입변이체를 분석 중에 있다. 내건성 QTL의 고밀도 유전자지도 작성을 위해 밀양23/O. glaberrima 조합을 이용, NIL를 육성 중에 있다. 야생벼인 Oryza grandiglumis와 O. rufipogon에서 유래된 종자중 관여 유전자 qGW2와 qGW9를 집적한 계통을 육성하고 그 특성을 평가 중이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meat taste of the commercial broiler (CB) and the Korean native chicken (KNC) were compared. The breast meat from CB showed higher amounts of C16:1 and C18:2 but lower amounts of C16:0 and C22:6. The thigh meat from CB showed a higher amount of C18:1 but lower amounts of C16:0, C18:0, C20:4, and C22:6. The flavor- and taste-contributing amino acids, including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ycine, alanine, tyrosine, lysine, histidine, and arginin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NC breast meat, but the level of amino acids in the thigh meat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breeds. The measurement of the volatile compounds revealed that CB contains much higher volatile compounds compared to KNC in their fresh breast and thigh meat. Both in the breast and thigh meat, however, the amount of flavor compound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ooking; as such, KNC turned out to have more flavor compounds than C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ound cake cotaining ginger powder. Ginger powder was added to pound cake bases at 1, 3 and 5%. concentration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und cake with ginger powder were tested by rapid viscoanalyzer (RVA), a farinogram, and an alveogram. The falling number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ratio of ginger powder, but the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higher quantity of ginger powder with cake flour made MTI value the higher and these results showed typical cake flour. The farinogram quality numb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other samples. The highest initial gelatinization temperature was that of the control, and the increment of ginger powder on the cake flour made initial gelatinization temperature lower. The peak and final viscosities, however, were higher with the quantity increment of ginger powder. The holding strength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5% - ginger- powder pound cake showed the highest setback, it was predicted that the addition of ginger powder to the flour would not play the role of anti-retrogradation. The Pmax and L value of the alveogram decreased with the ginger powder increments.
섬초롱꽃은 경상북도 울릉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일반적인 초롱꽃이 백색 꽃을 피우는 반면 섬초롱꽃은 연한 자주색 꽃을 피운다. 우리나라 울릉도 특산식물로, 전초를 자반풍령초라고도 하며, 청열, 해독, 지통의 효능과 인후염과 두통 치료 효과가 있다. 부처꽃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의 습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으로 천굴채(千屈菜)라고도 한다. 냇가, 초원 등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m 정도로서 곧게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대가 거의 없고 원줄기와 더불어 털, 잎자루도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8월에 자홍색으로 정상부 잎겨드랑이에 3∼5개가 달리며 줄기를 따라 층층이 올라간 것처럼 보인다. 열매는 9월경에 긴 타원형으로 달린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한방에서는 전초를 방광염 ·이뇨 ·지사제(止瀉劑) 등으로 사용한다. 최근 여러 분야에서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발광 다이오드 LED (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부처꽃과 섬초롱꽃의 생육반응을 조사하였다. LED 광질 종류에 따른 생육차이를 구명하기위해 자연광 처리구를 대조구로 하여 형광등 처리구, red+blue LED조사구, red+blue+white LED조사구로 구분하였고, 저광도와 고광도로 광도처리도 병행하였다. 조광 15시간, 암조건 9시간, 온도는 주간 25℃, 야간 18℃로 조절하여 60일간 재배하였다. 부처꽃과 섬초롱꽃 모두 대조구보다 LED 처리구의 생육이 좋았으며, 엽록소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부처꽃의 경우 LED 처리에 의해 엽수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특히 red+blue 처리구의 엽수증가가 뚜렷하였다.
옥상공원 우수사례와 미흡사례간의 상태의 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미흡사례의 설계에서부터 조성 후 관리까지 다양한 원인을 판단하고 이를 개선하며, 하자문제에 대한 책임 구분을 통해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에서 하자를 예방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기준의 마련 및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식생유형과 식물종의 특성, 식재기반의 조성방식, 토양의 종류와 특성 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그에 따른 맞춤형 관리 매뉴얼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전문지식 부족으로 유지관리 부실 혹은 과실에 기인한 식생 하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내구성이 좋은 소재를 폭넓게 선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통한 품질기준의 개선으로(Pak, 2009), 안정되고 지속가능한 옥상공원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effect of Waste Glass Sludge on properties of concrete through compressive strength and Alkali-Silica reaction of concrete and to develop as construction material.
This study compared the contents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according to fermentation process in low grade fresh ginseng. Low grade fresh ginseng was directly inoculated with a 24 h seed culture of Bifidobacterium Longum B6., Lactobacillus casei., and incubated at 36℃ for 72 h. Bifidobacterium Longum B6 was specifically was found to show the best growth on 3,255×106 CFU/ml after 48 h of fermentation. The content of ginsenoside Rb1, Re and Rd were decreased with the fermentation but ginsenoside Rh2 and Rg2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process. In the case of low molecular ginsenoside conversion yields were 56.07% of Rh2, 12.03% of Rg3 and 77.11% of Rg2,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ound-K was irregular conversion yield as long as 72 h of fermentation. This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ation process could increase the low molecular ginsenoside in low grade fresh ginseng.
Air pollution inventories are aggregated around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including Busan, Ulsan, and Changwon cities. Because densely populated cities are concentrated in this region, air pollutants emitted from one of these cities tend to be impacted on the air quality of other cities. In order to clarify the seasonal movement pattern of emitted particles, several numerical simulations using WRF/FLEXPART were carried out. Four cases were selected for each season.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WRF) reproduced atmospheric flow fields with nested grids. The seasonal pattern of air mass of study area was determined by backward and forward trajectories. As a result, the air parcel moves from northwest to southeast due to northwesterly winds in spring and winter. Also air parcel transports from south to north in summer, and moves from west to east. Because the air mass moves differently in each season, thes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hen performing air quality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B16 악성흑색종 세포에서 디펩타이드(dipeptide)의 멜라닌생성 저해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WV (트립토판-발린), WM (트립토판-메치오닌), CQ (시스테인-글루타민)는 멜라닌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 시켰다. 그러나 디펩타이드는 멜라닌 생합성과정의 속도 조절 단계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활성을 직접 감소시키지는 않았다. 따라서 타이로시네이즈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고, 실험 결과 α-MSH가 유도한 타이로시네이즈 발현이 WV, WM, 그리고 CQ에 의해 억제되었다. 그러므로 WV, WM, 그리고 CQ가 타이로시네이즈의 억제성 조절 (down-regulation)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킨다고 제안될 수 있다.
최근 교량의 신설 및 교체 공사 중 요구되고 있는 교통 혼잡의 최소화, 환경 영향의 최소화, 공사기간의 단축, 품질과 시공성 향상 등을 위해 조립식 교량 시스템의 적용이 시대적 요구로 대두되고 있다. 조립식 교량 시공 중 거더 간의 연결 시 발생할 수 있는 전도 및 추락 사고는 교량 시스템에 적합한 가로보의 사용으로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보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하고 국내 외 적용현황을 분석하여 조립식 PSC T형 거더 교량에 접합한 가로보 대안을 설정하여 가로보 연결부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험체를 제작하여 정적 하중 재하실험을 실시하였다. 정적 하중 실험을 통하여 실험체의 접합부의 거동과 하중분배에 대해 살피고 실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실험을 통한 구조 성능의 결과 치, 시공성을 고려하여 조립식 PSC T형 거더 교량에 접합한 가로보 대안을 제안 하였다.
본 연구는 180° U형 실험수로와 1차원 개수로 부정·부등류 흐름 해석 모형인 HEC-RAS, 2차원 개수로 부정류 흐름 해석 모형인 RMA-2를 이용하여 만곡구간의 수위·유속 등의 수리특성을 비교하고, 실내 실험수로의 측정값과 1, 2차원 수치모형 결과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 만곡구간의 수위는 HEC-RAS와 RMA-2의 결과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반면 실험결과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2. 만곡구간의 유속은 HEC-RAS와 RMA-2의 결과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측점별 유속이 약 0.2m/s 편차가 발생한 반면, HEC-RAS와 실험결과는 대체적으로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건축문화재인 경복궁이 이상기후에 의한 홍수위험이 존재하여 홍수재해위험도 평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를 강우-유출모형, 도시유출모형, 홍수침수모형 등으로 구성된 위험도 평가모형에 적용, 대상지역의 홍수재해위험도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또한 유역내의 과거재해이력을 통해 침수시 강우사상과 침수지역을 확인하여 강우사상을 모델링의 강우시나리오로 사용토록 하였다.
경복궁 외부배수로 도시유출모형 결과, 서울시 하수도기본계획의 설계기준인 30년 빈도에서 Ⅱ-H2 강우시나리오의 경우 KB1-5~6, KB1-12~15, KB2-1~2지점에서 침수가 발생하였다. KB1-5~6지점은 우수배제관거의 제원이 갑자기 줄어들면서 관거지체 및 통수능 부족으로 월류가 발생하였으며, KB1-12~15, KB2-1~2 지점은 경복궁유역과 경복궁 오른쪽 외부유역이 합류되면서 관로의 용량 부족에 의한 월류로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이 우수들이 흘러 광화문의 침수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경복궁 주변 배수로에 대한 관로의 성능개선을 위한 하수도 정비사업을 실시 및 별도의 배수관로를 설치하여 침수를 방지하여야 한다.
과거 재해사례를 통한 시대별, 문화재별, 재해유형에 따라 GIS맵에서 확인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재해에 취약하였던 문화재 및 주변지역을 파악하고 피해액, 피해빈도와 재해상황, 당시의 사진 등을 통해 문화재별 재해에 적합한 대비 및 대응관리를 할 수 있다. 특히 기상이변과 기후변화 등 재난정보 연계를 통해 각종 위험요소를 확인, 평가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사전예방책을 마련함으로써 건축문화재를 보호하는 등 홍수로부터의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 재해발생시 신속한 조치와 긴급정보 공유를 위한 시설별 위험요소별 비상절차에 따라 대응하는 비상계획을 수립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사전예측을 통해서 신속한 응급조치와 복구지원을 위한 상세계획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