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4

        14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can be included a variety of uncertainties in all measurement results whether we can perceive or not on the causes. These uncertainties may end up in lowering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results and also deteriorate the level of quality. For the purpose, we tried to combine the strengths of measurement uncertainty and measurement system analysis together to present a practical flowchart so as to verify those potential variation factors in general measurement processes. As a case study, we did an experiment and gathered data on the length between two holes of an engine cylinder head which is a core part for vehicles with a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and estimated nine uncertainty factors of it. Consequent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four primary factors among the nine which were related to the measurement standard, random errors or spread of the repeat measurements, differences between the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and the environment especially had been the influence around the laboratory. Since it is impossible to analyze the equipment and appraisal variations respectively through the only measurement uncertainty, we have used the measurement system analysis following the flowchart. Showing the result of being just about 0.5 % lower for the appraisal variation, and the equipment variation occupied about 7% for the total Gage R&R.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come to a conclusion that much more detail analysis on variation factors can be possible to be identified in measurement processes by using the developed flowchart which is composed of measurement uncertainty and measurement system analysis. Therefore, we expect engineers who are involved in quality and measurements to utilize this developed method.
        4,000원
        14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supports the evidence that it is possible to rehabilitate a damaged pavement with a lane closure specifically based on the Gimcheon~Sunsan project. METHODS : The prediction results from the simulation programs were compared with field monitoring, which focused on traffic management planning, congestion (length, time, and passing speed), bypass, and user cost, among others. RESULTS :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lane closure application and pavement repair of the aged pavement in Korea were possible, even though the prediction results were minimally different from the field monitoring. The road agency contributes to service life extension of the rehabilitated pavement using this method. CONCLUSIONS: A marginal effect caused by the lane closure was observed on travelling users or vehicles, and the user cost of pavement repair decreased. Therefore, introducing the repair method or rehabilitation in Korea is possible. Information dissemination through various media was properly done to execute the project well. Moreover, the construction area traffic utilized nearby alternative roads. Therefore, improving the repaired pavemen’s service life while ensuring that the pavement management agency can provide a road with comfortable user riding quality was possible.
        4,000원
        14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의 초발생일, 최대발생시기, 발육 단계 등을 예측하는데 기상자료는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기상자료의 수집방법으 로는 조사지점에 기상관측센서를 설치하거나, 인근 기상관측지점의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국내에는 기상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에서 약 3700여개의 기상관측장비를 운영하고 있으며, 공간분해능은 약 5km정도이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의 기상관측자료의 접근성, 기상관측센서 및 기상관측값의 품질 등의 이유로 국내 기상관측자료의 활용사례는 제한이다. 따라서 본 자료에서는 국내외 기상관측자료의 수집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기상청에서는 600여개의 자동기상관측장비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가기후데이터센터(sts.kma.go.kr), 방재기상정보시스템(afso.kma.go.kr)을 통해서 기상관측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국가기후데이터센터에서는 국내 기상관측자료 뿐만 아니라 전세계 149지점의 기상관측자 료 또한 수집이 가능하다. 그리고 세계기상정보시스템(WIS)과 연계한 농업기상정보 자료센터(dcpc.wamis.kma.go.kr)에서는 50개 국가의 농업기상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농업기상을 관측하기 위해 현재 180지점에서 기상관측장비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7까지 200지점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농업기상관측자료는 농업기상정보서비스 (weather.rda.go.kr)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역시 2017년까지 산악기상관측지점을 200지점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산악기상관측자료는 산악기상정보시스템(mtweather.nifos.go.kr), 산악기상관측시스템(mw.nifos.go.kr)을 통해 제공 하고 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상관측자료는 기상관측센서와 관련된 관측상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며, 기상관측센서를 정기적으로 유지․점검하고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기상자료를 생산한다는 측면에서 곤충 생태 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4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딸기는 시설하우스에서 여름철에 육묘를 하고 가을에 본포에 이식한 후 이듬해 6월까지 수확하는 작형으로 재배되고 있다. 이러한 재배과정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생이 연중 지속되고 있다. 본 조사는 점박이응애의 연중 발생 패턴을 분석하여 방제계획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2013~2015년에 익산, 완주, 정읍 등 전북지역 딸기재배농가포장에서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봄철에는 전 생육기간에 걸쳐 점박이응애가 발생하였고, 전체적으로 W자형의 발생형태를 보였다.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증가하면 농가에서 방제를 하여 밀도를 낮추고, 이후 밀도가 다시 증가하면, 방제를 반복 하면서 전체적으로 W자형 발생 패턴을 보였다. 농가의 방제에 대한 관심여부에 따라 농가간 발생 차이가 큰 경향이었다. 여름철 육묘장에서는 6월에는 모주가 본포에서 이식된 직후라 점박이응애 밀도가 높았지만 이후로는 밀도가 낮아졌다. 이는 본포에서는 농가가 딸기를 수확하기 때문에 방제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육묘장에서는 수확에 대한 부담이 없는 관계로 충분한 방제가 이루어져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가을철 본포 이식 후에 점박이응애의 발생이 적었다. 이러한 경향은 외부 기온이 낮아지고, 과일 수확을 하지 않는 생육초기로 방제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발생이 적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체적으로 봄철에 점박이응애의 발생이 많고, 여름철 육묘기간과 가을철 생육초기에는 밀도가 낮았으며, 이듬해 봄철에 온도가 상승하고, 과일 수확으로 방제가 소홀해지면서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4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파프리카는 여름에 정식하여 이듬해 6월까지 재배하는 촉성작형에서는 천적을 이용하여 주요 해충을 방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파프리카의 주년 생산을 위하여 해발 500m 이상의 고랭지에서 3월에 정식하여 11월까지 재배하는 여름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여름재배는 주 재배 시기가 고온기로 해충의 발생이 많아 방제에 어려움이 많다. 본 조사는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지역(해발 500m)에서 천적방제, 농약방제, 천적과 농약 병행방제를 하는 농가포장에서 주요 해충의 발생을 2015년 4월부터 9월까지 15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총채벌레는 4월 상순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7월에 발생이 가장 많았고, 최고발생은 7월 11일 농약과 천적을 병행한 농가에서 트래당 25마리로 천적(70마리/트랩)과 농약(59마리/트랩)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농가보다 발생이 적었다. 진딧물은 5월 하순에서 7월 상순까지 발생이 많았고 이후 감소하다가 9월 중순에 발생이 증가하였다. 최고발생은 농약과 천적을 병행한 농가가 6월 13일 트랩당 0.8마리였고, 농약 단독 사용농가는 7월 11일 트랩당 2.8마리, 천적 단독 사용농가는 5월 23일 트랩당 2.4마리를 나타내었다. 담배가루이는 5월 상순부터 발생이 시작하여 생육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고, 농약단독 방제를 하는 포장에서 9월 하순에 트랩당 59마리로 농약과 천적을 병행한 농가(22마리/트랩)와 천적단독(14마리/트랩)으로 방제한 농가보다 발생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총채벌레는 6월에서 7월, 진딧물은 5월에서 7월, 담배가루이는 7월 이후에 발생이 많았고, 농약과 천적을 병행하여 방제한 농가가 발생이 적은 경향이었다.
        14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딸기잎선충(Aphelenchoides fragariae)에 감염된 딸기(Fragaria x ananassa Duch.) cv. 장희에서 부위별로 감염 증상을 조사하였다. 감염주 전체의 딸기잎선충 밀도는 최고 23,293마리였고 감염된 딸기주는 정상포기에 비하여 속잎이 위축되게 나타났다. 특히 감염주의 꽃대 길이는 정상주에 비해 26%로 현저히 짧았으며, 심하게 감염된 포기로부터 꽃대에는 기형과가 형성되었다. 크라운, 잎자루, 잎, 꽃대, 꽃받침, 열매 등 부위별 딸기잎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꽃받침에서 가장 높은 밀도(403마리/g)를 나타냈다.
        14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동부품종을 윤작작물로 도입하고자, 미국에서 선충저항성 윤작작물로 알려져 있는 동부(cowpea, Vigna unguiculata) 10품종 을 도입하여 국내 시설재배지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두 종의 뿌리혹선충, Meloidogyne arenaria 와 M. incognita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땅콩뿌리혹선충(M. arenaria)에 대해서는 Texas Cream 40 한 품종이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9품종은 모두 감수성이거나 중도 감수성이었다. 고구마뿌리혹선충(M. incognita)에 대해서는 Texas Cream 40, Purple Hull Pinkeye, Texas Pinkeye Purple Hull 등이 중간정도 이상의 저항성을 보였고 나머지 7품종은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도입 동부 품종들의 뿌리혹선충 저항성반응은 미국과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을 나타내는 품종은 없었다.
        14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국 15개 분재원으로부터 송백류 분재, 화백(Chamaecyparis pisifera),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육송(Pinus densiflora), 곰솔(Pinus thunbergii), 주목(Taxus cuspidata) 등 총 6종, 55점의 분재를 수집하고, 이를 잎, 줄기, 뿌리, 토양으로 나누어 부위별로 선충의 종류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분재에 서식하는 선충은 주로 토양과 뿌리에 분포하였으며 특히 뿌리에서 85.5%로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고 총 7목 21속의 선충이 발견 되었다. Tylenchida목에서는 Tylenchus 속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Ditylenchus 속, Aphelenchoides 속, Aphelenchus 속, Criconemoides 속, Pratylenchus 속, Helicotylenchus 속, Hemicycliophora 속, Mesocriconema rusticum, Tylenchorhynchus 속, Paratylenchus 속 순이었다. Rhabditida목에서는 Cervidellus 속, Diploscapter coronatus, Panagrolaimus 속 순이었으며, Dorylaimida목에서는 Dorylaimus속 그리고 Alaimus속 순이었다. Triplonchida목에서는 Tripyla 속 그리고 Diphtherophora 속이 발견되었으며, Monhysterida목에서는 Monhystera 속이, Mononchida목에서는 Mononchus 속, Plectida목은 Plectus parietinus가 발견되었다.
        14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에 저항성인 녹비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콩과 녹비식물 9종, 비콩과 녹비식물 9종을 시험하였다. 콩과식물 녹비작물 중에서 네마장황과 알파파는 땅콩뿌리혹선충에 저항성을 보였으나, 검정콩3호, 등갈퀴, 레드클로버, 새완두, 세스바니아, 크림슨클로버, 헤어리비치 등은 모두 매우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비콩과 녹비식물 중에서 메리골드, 들묵새, 수단그라스, 숙근천인국, 하우스솔고, 호밀은 땅콩뿌리혹선충에 저항성이었고, 보리와 유채는 감수성이었다. 따라서 뿌리혹선충의 피해가 우려되는 포장에 사용 가능한 녹비식물은 콩과 식물로는 네마장황과 알팔파, 비콩과 식물로는 메리골드, 들묵새, 수단그라스, 숙근천인국, 하우스솔고, 호밀이다.
        150.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ew-silver women’s fiber and material property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s. The survey subjects were 115 new-silver women ranging in age from 50 to 60 years old. This study utilized a questionnaire as a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ome ownership rate of the participants in this was 81.4%, and 54.9% of them had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Therefore, they turned out to be a new silver generation with higher education and stable income and assets. Second, regarding their purchasing behaviors, it was shown that they purchased the largest amount of clothing for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children, and grandchildren at the change of seasons. Third, with regard to their average spending on clothing, when they purchased clothing for themselves, it was shown that they purchased clothing at the price of KRW 500,000 or above for themselves but not for their family members. Fourth, their favorite type of fiber was synthetic fiber, and their favorite material property was heaviness, followed by roughness, stiffness, bulkiness, and glossiness. Moreover, with regard to their favorite functional textile, it was shown that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m preferred vitamin textiles, followed by ocher and scented textiles.
        4,000원
        15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enty four covered barley cultivars of Korea and subsequently produced malts were evaluate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diastatic power (DP), and enzymatic actvity. Protein, amylase, starch and β-glucan content of covered barley cultivars were 8.2-12.8%, 4.2-19.1%, 47.9-59.7%, and 4.1-7.4%, respectively. The DP of malt during malting showed a maximum value in Day 4, when the bud length was 2.0-2.5 time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grain itself. α-Amylase activity was very low but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Day 4, showing greatest activity on Day 6 (185.5-206.1 unit/g). β-Amylase activity increased as the malting progressed and a considerable amount was detected in barley grain on Day 6 (898.6-1591.6 unit/g). The potential diastatic power (PDP) of various cultivar grains ranged from 89.7 °L to 169.3 °L. The PDP of raw barley had strong correlation with β-amylase of raw barley (r=0.977, p<0.001) while the DP of malted barley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β-amylase activity of raw barley (r=0.654, p<0.001). Since the PDP of raw barley and the DP of malted barley are correlated (r=0.644, p<0.001), the PDP and β-amylase activity of raw barley are useful factors in predicting the DP of malted barley.
        4,000원
        15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에서 비닐하우스 작물 재배 가능성 검토를 위해 녹색꽃양배추를 대상으로 일일 관수량을 달리하여 관수량에 따른 토양 염농도 및 생육특성 등을 조사하여 관수량에 의한 재염화 억제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수확기의 표토의 평균 토양 EC 는 1.5 및 3.0mm·day-1 처리구에서 각각 10.9 및 11.5dS·m-1 였으며 6.0mm·day-1 처리구에서 5.1dS·m-1로 1.5 및 3.0mm·day-1 처리구보다 52~56% 낮게 나타나 점적관수 량에 따른 제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화뢰의 무게는 6.0mm·day-1 처리구에서 주당 371.3g으로 1.5 및 3.0mm·day-1 처리구의 60.9g 및 129.1g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50%의 수량감소를 보이는 토양 EC는 7.6dS·m-1였으며 점적관수에 의한 토양 제염효과는 6.0mm·day-1 처리에서 30~40cm 깊이까지 나타났다. 따라서 새만금간척지에서 녹색꽃양배추 재배시 점적관수에 의한 토양 재염화 억제를 위해서는 6.0mm·day-1 수준의 관수량으로 총 422mm의 물량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염류의 이동은 토양 이화학적 특성 및 계절적 요인 등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으므로 간척지 비닐하우스에서 점적관수에 따른 염류의 이동특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5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우리나라 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쌀 가 공식품의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농식품 소비자 패널조사 자 료(703가구)를 이용하여 최근 5년간 쌀 가공식품 구매패턴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쌀 가공식품을 밥류, 죽류, 면류, 떡류, 방류, 과자류, 주류, 음료류, 조미류, 가루류 10종류로 분류하고, 쌀 가공식품의 종류별, 월별, 구매장소별 구매가구 수, 구매금액, 구매빈도 등 전반적인 구매패턴의 변 화를 살펴보았다. 3. 향후 소비 증가가 예상되는 쌀 가공식품의 종류와 향후 요구되는 관련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4,000원
        154.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sunami hazard analysis is performed for testing the application of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is to nuclear power plant sites in the Korean Peninsula. Tsunami hazard analysis is based on the seismic hazard analysis. Probabilistic method is adopted for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caused by insufficient information of tsunamigenic fault sources. Logic tree approach is used. Uljin nuclear power plant (NPP) site i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tsunamigenic fault sources in the western part of Japan (East Sea) are used for this study because those are well known fault sources in the East Sea and had several records of tsunami hazards. We have performed numerical simulations of tsunami propagation for those fault sources in the previous study. Therefore we use the wave parameters obtained from the previous study. We follow the method of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is (PTHA) suggested by the atomic energy society of Japan (AESJ). Annual exceedance probabilities for wave height level are calculated for the site by us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urrence interval, the magnitude range, the wave parameters, the truncation of lognormal distribution of wave height, and the deviation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simulation and record. Effects of each parameters on tsunami hazard are tested by the sensitivity analysis, which shows that the recurrence interval and the deviation dominantly affects the annual exceedance probability and the wave heigh level, respectively.
        4,000원
        155.
        2015.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can be included a variety of uncertainties in all measurement results whether we can perceive or not on the causes. These uncertainties may end up in lowering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results and also deteriorate the level of quality. For the purpose of finding and improving these causes , we tried to combine the strengths of measurement uncertainty and measurement system analysis together to present a practical flowchart so as to verify those potential variation factors in general measurement processes. Through the case study we have come to a conclusion that we can expect engineers who are involved in quality and measurements to utilize this developed method.
        4,000원
        156.
        2015.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lf-efficacy (one's perceptions of their capability to perform a task)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rk-related performance and motivation. For example, self-efficacy is known to have much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motivation, etc. As such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factors collectively enhance the selfefficacy of employees, so that injured workers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they belong to after they come back to their workpl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uch industrial accident-related factors and extract rules among the factors in order to establish self-efficacy enhancement strategies for injured workers. In this study, a binary decision tree model for self-efficacy prediction was built using a panel data provided from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As a result, eight variables with the largest influence on self-efficacy were selected in the prediction model, and it correctly classified 70.1% of instances. The result suggests social support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nd offering paid time off such as vacation leave, sick leave and bereavement leave are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self-efficacy that will improve the work performance of injured workers.
        4,000원
        157.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산밀 품종에 대해 발아시간에 따른 항산 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발아시간에 따른 국산 밀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등 페놀성분의 함량은 발아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처리 금강밀, 조경밀, 백중밀 및 고소 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74, 15.05, 16.84 및 13.02 mg GAE/100 g이었으며,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 각 5.11, 6.72, 6.28 및 5.43 mg CE/100 g이었으며,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총 탄닌 함량은 각각 9.19, 8.86, 8.93 및 8.66 mg TAE/100 g이었으며,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 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 났다(p<0.05). 금강밀, 조경밀, 백중밀 및 고소밀의 DPPH 라 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30.77, 23.88, 25.35 및 18.73 mg TE/100 g이었으며, 25℃에서 72시간 발아 시료가 각각 47.47, 44.17, 38.22 및 42.85 mg TE/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 각 83.42, 88.53, 88.87 및 79.97 mg TE/100 g이었으며, 발아시 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 국산밀의 발아를 통하여 페놀성분 및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5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온난화에 따른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생 및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북지역의 농경지 경우 2014년 발생면적은 145.5ha에서 2015년 318.3ha로 2.18배 증가하였다. 산림 속 수목에서 증식하여 농경지내 유입으로 피해 차단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사과, 배, 블루베리 등 주요 작물의 도관부에 산란하여 작물이 고사하는 피해가 속출하고 있어 방제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북 전주의 감나무 과수원에서 난괴 부화 억제를 위한 기계유 유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약충으로 부화하자마자 끈끈이트랩에 포획되도록 클립케이지를 설치하여 포획된 약충 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0배 농도에서 22.3%의 부화율로 77.7%의 방제효과를 보여 우수하였으나 잎이 타는 약간의 약해가 확인되었다. 약해도 없고 부화율이 낮은 처리는 16배로 42.5%의 부화율과 57.5%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한편 약충의 방제효율 증진을 위하여 친환경자재와 첨가제 선발을 한 결과 계피오일 500배에서 78%의 방제가를 보였고, 레시틴을 혼합 첨가하였을 때에 84%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계피오일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첨가제를 혼합했을 때 6% 상승한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159.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llicle is defined as a thin transparent film stretched over an aluminum (Al) frame that is glued on one side of a photomask. As semiconductor devices are pursuing higher levels of integration and higher resolution patterns, the cleaning of the Al flame surface is becoming a critical step because the contaminants on the Al flame can cause lithography exposure defects on the wafers. In order to remove these contaminants from the Al frame, a highly concentrated nitric acid (HNO3) solution is u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fully remove them, which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Al surface roughness. In this paper, the pellicle frame cleaning is investigated using various cleaning solutions. When the mixture of sulfuric acid (H2SO4), hydrofluoric acid (HF), hydrogen peroxide (H2O2), and deionized water with ultrasonic is used, a high cleaning efficiency is achieved without HNO3. Thus, this cleaning process is suitable for Al frame cleaning and it can also reduce the use of chemicals.
        4,000원
        16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psizigus marmoreus is commercially the most important edible mushroom in Japan. This mushroom is usually cultivatedfor a longer period (about 85~120 days) than other mushroom. In order to develop a new cultivar that has a shortened cultivationperiod, the genome analysis of this strain has been considered. This study aims to obtain parental monokaryotic strains reproducing‘Haemi’ cultivar in Hypsizigus marmoreus for reference genome sequencing. The mycelia were cultured in MCM and MYG media forvarious incubation periods. Homogenized mycelia were treated with commercial cell wall degrading enzymes to maximize protoplastsproduction yield from Hypsizigus marmoreus. The greatest number of protoplasts was obtained from mycelia cultured in MCM mediafor 3 days using Novozyme enzyme. The isolated protoplasts were grown in regeneration agar media after two weeks. Regeneratedcolonies were picked and moved on separated dishes for microscopic observation. Neohaplonts regenerated from dikayotic strainswere identified by the absence of clamp connections. We confirmed that one of monokaryotic strains is a parental strain by crossingwith an original compatible strain of ‘Haemi’ cultivar. This parental strain will be used for reference genome sequence analysis.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