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9

        83.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oenjang is a major fermented soy-based food in Korea. Recent investigations have shown that fermented soybean foods have immunity-enhancing, anti-cancer,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effects. Several studies also have reported that genistein and daidzein, which are easily absorbed in the body are produced in larger quantities in aged doenj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tions in the anti-cancer effects of commercialized doenjang as it ages. Four groups were form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aging periods of doenjang, namely short (under 5 years, S group), mid (under 10 years, M group), long (under 15 years, L group) and very long (over 15 years, E group). The anti-cancer effects of doenjang were determined by cell cytotoxicity assays in A549, YAC-1, and HepG2 cancer cell lines. Also, NK cell activity and splenocyte proliferation were assayed for cancer immunotherapy. The quantities of phenolic compounds in doenjang at different ages were also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ti-cancer effects increased in the S and M groups for all three cancer cell lines. Interestingly, similar to this result,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NK activity were also the highest in the S and M groups. In contrast, the E grou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splenocyte proliferation. The quantity of phenolic compounds was similar to that of the anti-cancer result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ermentation period of doenjang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its anti-cancer effects.
        4,200원
        85.
        2020.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와 중국전통의학에서 바라보는 질병에 대한 병리적 이해를 비교하였다. 두 전통의학은 고대로부터 내려온 의학체계로 수많은 유형의 질병을 극복하여 온 역사적 기록들로 이루어져 있다. 아유르베다에서는 질병의 원인으로 심신의 잘못된 사용과 감각기관의 과잉 사용 혹은 부족한 사용과 자연을 거스르는 행동으로 꼽았다. 중국전통의 학에서는 질병의 원인을 외인으로 외부 사기의 침범, 내인으로 칠정의 손상, 불내인으로 외상과 음식 및 과로라고 보았다. 질병의 발현을 보는 관점도 차이가 있다. 아유르베다에서는 도샤의 불균형을 질병 발현의 핵심으로 본다. 반면에 중국전통의학에서는 음양의 평형이 파괴되는 것을 주요인으로 본다. 질병의 발전과 변화단계를 보면, 아유르베다에서는 6단계로 나눈다. 도샤의 불균형, 자극단계, 분산, 재배치, 출현단계이며 마지막으로 분화단계는 합병증이 발생하는 단계이다. 중국전통의학에서 질병의 발전과 변화단계를 살펴보면, 사기와 정기의 변화단계를 거쳐 음양 평형의 파괴 단계, 기혈의 병리 변화단계, 생리 장애단계 이며 마지막으로 장부의 병기 발생단계로 나눈다. 두 전통의학에서는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행동이나 환경으로부터 주의가 필요하며, 질병 발현의 초기 단계에서 불균형을 인식하고 더이상 진행이 되지 못하게 하는 것에 주력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4,500원
        86.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expression of hanbok in online fashion styling games, and examined the main themes of and user reactions to hanbok fashion styling game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KrKwic, Textom, and NodeXL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designer’s expressive method, hanbok fashion styling games provide typical traditional hanbok, modern hanbok, and dress-like fusion hanbok, demonstrating contents with various themes for different sexes, classes, and situatio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emes of hanbok-related styling game contents, it turned out that the main themes are tradition, color, historical drama, fusion hanbok, holiday, and love. Most of them produce modernized hanbok that reflect the situation and utility rather than strictly traditional on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user reviews of hanbok styling game contents, positive factors mostly turned out to be the satisfaction of the hanbok contents, with the users also showing positive intent to wear hanbok. Through this, it was found out that hanboks portrayed in game contents could potentially cause the user’s positive intent to wear hanbok. Negative factors turned out to be the discordance between the intrinsic image of hanbok and the game character’s image.
        4,000원
        87.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매의 우물에서』와 『이머의 유일한 질투』가 어떻게 예이츠 자신의 독특한 영성에 대한 생각을 문화적 민족주의와 결합시키는지를 보여준다. 두 극은 쿠훌린을 주제로 사용함으로써 강렬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이를 통해 민족의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 중 첫 번째 작품인 『매의 우물에서』는 쿠훌린이 영생의 샘물을 찾아나선 젊은이로 등장한다. 그러나 쿠훌린은 결국 샘물을 얻지 못하고 떠난다. 두 번째 작품인 『이머의 유일한 질투』는 그보다 훨씬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극에서 쿠훌린은 아들을 제 손으로 죽인 후 미쳐서 파도와 싸운 후 의식을 잃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 다음으로, 논문에서는 두 극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되는 노 극 『요로』 (養老)와 『아우이노우에』(葵上)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예이츠가 어떻게 노 극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동시에 변형시키는지에 대하여 알아본다.
        5,500원
        8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can be meaningful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use cases and forms based on the literature on the painting walls of the Joseon Dynasty, and attempted basic research to prevent disaster damage using traditional elements. This study summarizes the use of the Hwabangbyeok wall of J oseon Dynasty as follows. First, Hwabangbyeok wall was used from the early J oseon Dynasty and was adopted by palaces and other major state facilities to cope with fire and theft. Second, the Hwabangbyeok Wall was also referred to as the wall below the lower part of the wall, and was constructed with the purpose of preventing disasters from outside. Third, in an analysis of the Daeseongjeon shrine of Hyanggyo, many construction cases were identified mainly in the Gyeonggi area, which is assumed to be based on production and construction conditions along with local climatic factors. Fourth, it can be said that the Hwabangbyeok wall was basically adopted to prevent comprehensive disaster risk reduction in case of external intrusion and fire.
        4,000원
        90.
        202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93.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dentifies Kim Jihaye and Lee Jeanyoun as actor-networks with cultural values and meanings. It analyzes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ir works into Korean orientalism via an action of co-construction with formative techniques. First, the historical context of orientalism formed in the fashion world will be studied, followed by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orientalis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orientalism of these designers on the world stage influenced by the globalization discourse of Korean tradition since the 1980s. Next, works of Kim Jihaye and Lee Jeanyoun from 2000 to 2012 will be analyzed, revealing aspects of Korean image reprodu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finds that the Korean image is restructured socio-culturally through technological imagery as a reproduction of reality by the production subject. This study reminds us of the reflective and cultural meaning of fashion designers in the area of image reproduction, sociocultural practice, and materials and technology.
        5,500원
        94.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s Atlas fabrics, the Ikat weaving method used by the Uygur People in Xinjiang, China.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papers and other literature,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Ikat fabrics from various regions are compared. Following a theoretical investigation, characteristics of fabrics from the Indian Patola, Indonesian Ikat, Japanese Kasuri, and Uzbekistan Adras are summarized and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 color,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Atlas silk from Xinjiang China (also an Ikat fabr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weaving process used for Ikat fabrics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according to different national cultures, lifestyles, colors, patterns, and usage methods, they are all Ikat dyed fabrics. Therefore, they are all regarded as precious objects symbolizing a certain social status, and are used as a gift for special occasions, such as weddings. Second, the form of the pattern varies. Indian Patola has clear outlines and regular patterns, while the patterns of Japanese Kasuri are mainly inspired by folk life ideas. Indonesian Ikat contains influences from indigenous tribes, and Uzbekistan’s and China’s Atlas textiles are influenced by geography, religion, and national culture, including bright colors and pattern designs inspired by plants, musical instruments, and geometric figures. Finally, the patterns and colors of Xinjiang Atlas fabrics present strong ethnic characteristics. Unlike the Uzbekistan fabric which is mostly influenced by Islam, human and animal patterns would not feature in Xinjiang Atlas patterns, which mostly consist of long strips, repeated in a neat and orderly form.
        4,900원
        9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by collecting four times on six samples of Jeonbuk regional soybean pastes (Doenjang) traditionally prepared for this study. The water content of samples decreased according to progress of the aging period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fourth sample collected was 42.40~59.64% (p<0.05). The salinity of the fourth Doenjang samples was 11.80~18.60%. The amino-type nitrogen content was 122.67~540.33 mg% immediately after the preparation of Doenjang in the Jeonbuk region and the content of the fourth collection samples increased from 251.49 to 982.36 mg% (p<0.05). The isoflavone glycosides decreased but daidzein, genistein and glycitein, which are aglycones, increased during aging period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fourth collected samples was 11.99~19.27 mg GAE/g (p<0.05).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ARP of the fourth Doenjang samples were 51.88~81.21%, 84.14~90.32%, and 1.08~3.11 mg Trolox/g, respectively. As a result of quality analysis on Doenjang, the superiority of traditional Doenjang has been proven by the increase of amino nitroge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the aging period. However, factor analysis on quality differences of regional Doenjang should be conducted to ensure standardiz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4,500원
        97.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조선 후기 성리학적 유교 전통의 귀신관과 괴기담 소설과의 연관성을 통해, 한국 괴물 서사의 형성 기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영화 속 괴물 서사와 전통적 귀신관과의 영향 관계 분석을 통해, 2000년 이후 괴물 서사의 변모 양상을 살펴 보고 있다. 조선 후기 성리학자들의 귀신관은 귀신을 ‘초월적이고 신이한 존재’로 파악하기보다는, 조상신에 대한 제사 의례의 하나로 ‘귀’와의 교감 행위를 통해 현실에서의 도덕의식을 강화하려 했다. 현실에서의 도덕 윤리를 강조했던 성리학적 귀신관은 이후 귀신 설화나 괴기담 소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조선 후기 대표적 괴기담 소설이라 할 수 있는 <장화홍련전>과 아랑형 전설은 ‘여귀의 복수담과 해원’을 주된 서사 구조로 한다. 그들은 가부장제의 과잉 억압에 의해 원귀가 되었지만, 해원 과정에서 현세의 유교적인 봉건 질서를 추수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당시 귀신관에 내재된 성리학적 유교 윤리가 적용된 결과다.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한국 공포영화 속 괴물 서사는 조선 후기 <장화홍련전>이나 아랑형 전설과 같은 원귀 설화의 전통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유교적 가부장제에 기반한 여귀의 복수담과 해원이라는 한국 괴물 서사 구조는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변화하기 시작한다. 과거 영화 속 괴물이 가부장제의 억압에 의해 귀환한 타자였다면, IMF 이후 괴물 서사는 오히려 가부장제의 질서를 위반하거나, 교란 혹은 와해시키는 존재로 출몰한다. 2000년 이후 괴물 서사의 이러한 변화는 오랜 기간 전통적 가치관으로 자리 잡아온 가부장제의 질서가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영화 속 괴물 서사가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함께 변화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6,900원
        98.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인’들의 라이프 사이클에 적합한 법회 의례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살펴보았는데,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헌공(獻供)과 설법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법회는 공양 의식의 보궐진언 이전에 청법게로 법사를 청하고 법문이 끝난 다음 하당(下堂)할 때 정근(精勤)을 하는 형식으로 일원화되어야 한다. 둘째, 법회에 범음(梵音)을 활용하여 현대법회에 전통의 범음으로 아름답게 장엄돼야 하고, 또 전후(前後) 의식의 맥락이 일치돼야 한다. 셋째, 공양을 올리는 재자(齋者)들이 직접 공양의 간절함을 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대신 아뢰는 것을 듣기만 하는 종교가 아니라, 부처님께 자신의 정성을 직접 고백하는 경건하고 숭고한 순간을 향유해야 한다. 넷째, 시제(時制)가 없는 한문을 주로 사용하는 과정에 간략히 행할 때의 의식과 광대하게 행해야 하는 의식이 서로 중복되기도 하는데, 지문(地文)에서 아뢰는 대로 그 행위가 갖춰져야 한다. 이렇게 현대 법회 의례가 구성되면 법회 의례는 숭고미와 지성미, 우아미 등이 갖춰져 참여자 누구나 이를 느낄 수 있게 되며, 일원화된 법회, 전통이 이어지고 대중이 참여하는 법회, 지문(地文)과 행위가 일치 된 법회가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7,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