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홍루몽』 텍스트에 소품으로 등장하는 역대 명화와 서예 작품들이 해 당 공간에서 어떠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곳에 사는 인물들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 는지 분석함으로써 『홍루몽』 속 전통 서화 예술의 의의와 가치를 고찰해 보고자 하 였다. 『홍루몽』에서 서화는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 보여주고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하 나의 중요한 서사적 장치로 운용되었다. 처음에는 서화의 자체적인 형상으로 독자에 게 다가가나 어느 순간 공간 속의 인물과 어우러지면서 모종의 의미체계로 독자에게 수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홍루몽』의 서화 예술은 단순히 그림이나 글씨라고 하는 개별적인 소품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인물 감상 및 주제의 차원으로 확장되어 소설의 경계를 더욱 높은 수준으로 고양시켜 주었다고 하겠다.
낙안읍성은 다양한 생활문화를 담은 600년 역사를 지닌 민속 마을로 2011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이 시 점에서 전통문화체험의 다양한 체험 마케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낙안읍성민속마을은 2005년부터 전통문화체험프로그램을 통 해 관광객들이 체험할수 있는 다양한 문화체험프로그램이 개발 되고, 지역 전통문화관광자원의 홍보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 해서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험마케팅 전략을 활용하여 낙안읍성 상설 전통문화체험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체험마케팅은 소비자들을 이성적일 뿐만 아니라 감정적인 존 재라 가정하고 고객의 체험에 중심을 두며, 방법과 도구는 다 양하고 다각적인 감각·감성·인지·행동·관계의 특징을 갖고 있 다. 체험마케팅은 쇠퇴하고 있는 브랜드를 향상시키기 위해, 경 쟁자로부터 제품을 차별화하고, 기업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수립시키기 위해 구매, 재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 다. 이러한 체험마케팅의 요소를 낙안읍성 민속마을의 상설체험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상설 체험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낙안읍성만의 고유 지역전통문화를 체험프로그램으로 연계하 는 것은 지역적 전통문화를 홍보하고, 대중화시키는데 필요하 다. 체험마케팅의 요소 중 감성·인지·관계의 마케팅 전략 차원 에서 놀이와 교육이 결합된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적인 체 험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핵심적인 체험제공수단들을 활용 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향토문화의 특성을 살린 체험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며, 낙안읍성 민속마을 체험프로 그램의 공동 브랜딩에 있어서 순천시와 지역의 기업·관공서·전통예술단체가 통합적 연계시스템을 구축하여 기획·주관·협찬·후 원이 통합적으로 운영·관리되는 시스템으로 재정적 자립도 및 양질의 체험프로그램 제공에 기여할 수 있다. 낙안읍성 민속마 을 체험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차원에 있어서 현재 행정적 관리·운영 시스템에서 벗어나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전문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낙안읍성 민속마을 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 다면, 낙안읍성을 찾는 관광객과 체험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재 방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체험프로그램의 브랜 드 가치 형성은 지역문화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상품이 될 것이 다. 마지막으로 상설체험프로그램 연구에서 벗어나 낙안읍성 민속마을의 관광자원들에 대한 좀 더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연 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어떻게 조지 화이트필드가 메토디스트의 전통을 형성하고 변혁시켰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2장에서 연구자는 화이트필드가 메토디스트 전통에 끼친 영향의 결정적인 단서들로 홀리클럽에서의 훈련과 신세계에서의 선교를 꼽는다. 3장에서는 어떻게 화이트필드가 메토디스트 전통을 변화 또는 개혁시켰는지를 논한다. 연구자는 신생 경험과 야외설교 라는 측면에서 화이트필드가 메토디스트 전통에 선교적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어떻게 화이트필드가 메토디 스트 운동의 미래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연구한다. 메토디스트 운동의 미래 를 위한 화이트필드의 중요성은 웨슬리와 관계를 통하여 드러난다. 먼저 그들의 차이점들을 다루고 그 다음에는 그들의 우정과 메토디스트 운동의 미래를 위한 그 우정의 중요성을 논한다. 결론에서 연구자는 화이트필드를 언급하지 않고는 메토디스트 부흥을 말할 수 없을 만큼 그는 참으로 메토디 스트 운동에 핵심적인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라는 주장을 이어간다. 이 논문은 화이트필드와 웨슬리로부터 물려받은 자산이요 유산인 다양성 속의 일치가 반드시 메토디스트 선교 전략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마무리된다.
중국 동북지방의 조선족 전통민가는 함경도와 평안도, 그리고 만주 지방형을 토대로 다양한 평면구성형태를 구성하고 있 다. 특히 길림성, 흑룡강성, 요녕성 내륙지역과 중-러 국경지역에 산재된 조선족 민가는 두만강, 압록강 등 집중거주지역에 분포된 조선족 전통 민가와는 달리 이문화의 갈등과 동화 속에서 지역특성에 알맞은 공간형태의 변형을 돋보이고 있다. 그 중 띠캉 공간의 출현이 가장 대표적이다. 바닥을 원형으로 조성된 한족, 만주족 전통민가의 단순공간변형과는 대조적으로 조선족 전통민가의 띠캉은 마루방을 원형으로 주생활 행위의 계절성 변용에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띠캉(地炕) 공간을 중심으로 조선족전통민가의 공간변형과 주생활 양식의 변천에 대한 고찰을 통해 주문화의 전통지속과 농촌주거의 진흥에 도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references of five traditional Korean drinks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of children aged 7-12 in Korea, Vietnam, and China. The samples used in a sensory test were omija-cha, yuza-cha, sujeonggwa, sikhye and misutgaru. The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overall, appearance (color), odor, taste and mouth-feeling and a sweetness intensity using 5 point hedonic scale (1=dislike extremely, 5=like extremely) and, check-all-that-apply (CATA) method was performed to determine preference and non-preferences factors. The preference of all samples except sujeonggw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of the preferences (p<0.001). Almost items of the preference was rated more than 4 points in Chinese and Korea children. The sweetness intensity showed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of the preferences except sujeonggwa (p<0.001), and evaluated as not sweetappropriate with the score between 2 and 3 points. Sweetness, color, mouth-feeling, familiar flavor and healthy feeling was selected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determine the preferences and the affecting factors for the traditional Korean drinks in children of Korea, Vietnam, and China.
장인1)은 뛰어난 중국전통건축의 구체적인 창건자이자 실천자이고 기예의 계승자이다. 전통건축공장의 영건기예(營 建技藝)는 중국건축전통의 중요한 부분이다. 중국전통건축공장기예연구중심(中國傳統建築工匠技藝硏究中心, 이하 기 예센터로 약칭함)은 중국전통건축장인의 기예특징과 전승계보, 인재육성의 모델을 심도 있게 발굴하고 과학적인 연구 를 하기 위한 취지를 갖고 설립되었으며, 전통건축장인의 기예를 보존, 전승하는 종합적인 연구를 하는 중국 최초의 플랫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설계감리협회 소속 전통건축분과위원회의 중요한 연구기구이기도 하다. 여기서는 기예센터의 설치배경과 목적 그리고 업무내용에 대한 소개를 통해 기예센터가 목표로 삼고 있는 전통건축장인기예의 보호와 전승 그리고 발전의 장애요인 등에 해 살펴보고, 전통의 관점에 출발한 하나의 장작기예(匠作技藝)를 전반적 으로 연구하는 플랫홈이 장인의 문화, 역사, 인재 배출, 정책, 기예를 연구하는 출발점으로서 고등건축교육체계 속에 서 전통건축설계언어에 숙달된 설계자의 육성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전통건축설계가 시공과 어떻게 접목되어 야 하고, 전통건축장인의 육성 모델 등을 연구하는 플랫폼으로서 향후 중국건축의 발전을 위한 원점과 거점을 찾아 보고자 한다.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deform over time and are vulnerable to fire or earthquakes. Therefor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require continuous management and repair, and securing architectural drawings is essential for repair and restoration. Unlike modernized CAD drawings, traditional wooden building drawings scan and store hand-drawn drawings, and in this process, many noise is included due to damage to the drawing itself. These drawings are digitized, but their utilization is poor due to noise. Difficulties in systematic management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are increasing. Noise removal by existing algorithms has limited drawing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noise characteristics and the performance is not uniform. This study presents deep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noised reduction for architectural drawings. Front/side elevation drawings, floor plans, detail drawings of Korean wooden treasure buildings were considered. First, the noise properties of the architectural drawings were learned with both a cycle generative model and heuristic image fusion methods. Consequently, a noise reduction network was trained through supervised learning using training sets prepared using the noise models. The proposed method provided effective removal of noise without deteriorating fine lines in the architectural drawings and it showed good performance for various noise types.
조선시대 읍치는 전국 군⋅현 지역의 행정중심지인 동시에 교통의 결절지로서 소위 전통도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근대 이전 공유되어 온 전통적 공간인식체계이자 지리로서 풍수가 투영되어 있는 대표적 장소이기도 하다. 본 고에서는 조선후기 부평도호부를 사례로 읍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지리지, 고지도 등 관련 문헌과 현장답사를 병행하여 읍치의 풍수적 공간구성을 확인 하고 현재적 입장에서 특징적인 풍수 관련 경관의 복원 의미 및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풍수 상 읍치 국면을 군⋅현 최고 명당으로 구성하는 근간이자 출발 로서 진산, 주산에 주목하였다. 읍치 복원과 관련해 진산, 주산이 지니는 의미는 단순히 읍치를 구성하는 주변 자연환경 중 하나가 아닌 읍치의 역사적 장소성 구성이나 경관배치를 위한 일종의 지표경관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진산, 주산과 읍치 내 중심 경관인 동헌, 객사 간 형성되는 공간 관계 즉 ‘공간구성을 위한 중심축’을 설정할 수 있다. 풍수적 공간구성에서 진산, 주산으로부터 동헌으로 이어지는 중심축은 읍치 경관 복원과 관련해 제반 요소 간의 중요도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또한 그것의 입지나 방위를 비정하 는데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마지막으로 지역 생태환경에 대한 통합적 인식과 장기적인 접근의 필요성 과 관련해 풍수 비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풍수 비보는 산과 물로 대변되는 생태환경을 하나의 생명체로 전제하고 인간과 교감, 공존하는 동기간(同氣間) 관계로 접근하는 생태중심적 환경관의 전통적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odern fashion brands practice cultural sustainability by investigating the ways they use and reinterpret traditional culture and clothing. The transmission an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connec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ese forces also lead to the development of new creativity in the fashion industry. Three brands have been selected for case studies: Danha (Korea), Mittan (Japan), and Jan Jan Van Essche (Belgium). These brands possess in-depth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including clothing, dyeing techniques, and patterns unique to various regions and minority groups. The brands all make use of traditional cultural identities whose clothing contains the historical and sentimental values of various regions and ethnic groups. The use and mixing of various cultures can be seen as the respectful preservation of global culture. Also, in contemporary fashion, the use of traditional cul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esentation and development of creative designs. The use of traditional handicraft techniques and the use of traditional clothing in the past convey cultural diversity to future generations; they will have a lasting influence on future fashion trend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ultural sustainability in contemporary fashion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safeguarding and respecting indigenous cultures and developing cultural elements into creative design.
서구 모더니즘 예술의 사상은 한국에 비교적 일찍 들어왔다. 그러나 1980년대 한국에 나타난 민중미술 운동은 서구 모더니 즘예술과 달랐다. 이 운동에서 한국은 현대와 완전히 다른 예술가들이 쏟아져 나왔다. 그들은 대중들이 필요하고 전통적인 동양 민족 예술 작품을 만들어 내려고 하였다. 목판화는 오래 된 동양화종으로 이번 미술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예술사조의 변화에 따라 혁명기의 흑백 목판화은 동시대 예 술 창작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했다. 김준권은 리얼 리즘적이고 동양적인 스타일의 판화가로, 목판화를 평생 연구 대상으로 삼으며 30년 넘게 창작해 왔다. 그의 30여 년 판화 연구는 동시대 판화자들에게 참고가 될 만한 가치가 있다.김준권의 판화 작품 및 작품 형성 배경을 분석해 현 사회에서 전통 목판화의 가능성을 연구해 본다.
본 연구는 기존 학자들의 문헌적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인도 전통의 차크라 개념을 정의하고 오늘 날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6, 내지는 6+1의 차크라 체계가 어떻게 성립되었는지를 고찰한다. 차크라는 아직 정확히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만달라, 얀트라와 같이 신들이나 신을 상징하는 만트라들의 원이나 기하학적인 문양을 말하는 것 이다. 그 중 만달라는 보다 큰 규모의 것을 말하고 얀트라나 차크라는 그 속의 일부분인 것이다. 특히 얀트라는 일종의 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구성 있는 것에 만들어진 것이고, 차크라는 특히 원 모양의 신들의 결합을 주로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만달라를 제사 의례에 사용되는 원 모양의 큰 대(臺)라고 하면 차크라는 그 일부의 요소를 구성하는 것이 다. 그런데 이런 외부적 의례 형태가 신체로 내면화 되었을 때 만달라는 신체이고, 하타요가적 신체의 중심으로서의 차크라는 신체 만달라의 중요 요소를 구성하는 급소라고 할 수 있다. 인도 전통의 하타요가적 신체의 차크라는 원래 초기 탄트라의 외적 의 례가 신체로 내면화 되면서 관상을 위한 하나의 장치로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내면화 과정은 탄트라에 속한 각 신앙의 교설들에 따른 관념 적이고 상징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탄트라에 속한 각 교설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차크라 체계가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6, 혹은 6+1 체계가 인도 에서 보편적으로 퍼졌고, 이 체계가 19세기 말에 서구에 전해졌다. 오늘 날 서구의 차크라 체계는 인도 전통의 6, 혹은 6+1 체계에 서구의 오컬 티즘이 결합되어 인도 전통의 차크라 체계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가지 게 되었고, 이 체계 외에도 다양한 차크라 체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6, 혹은 6+1 차크라 체계만이 유일한 것처럼 인식되고 있다.
참외는 유용한 농업생명자원이면서, 생약 및 한약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자원이다. 참외의 생약명(Medicinal name)은 Melonis Pedicellus이며, Cucurbitaceae에 속하는 Cucumis melo Linné의 초본 꽃받침으로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elonis Pedicellus의 한약 특성을 조사하고 Melonis Pedicellus를 함유 한 34개의 한약 포뮬러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꼭지 소재 기반 한약재에 대한 추가 연구를 바탕으로 미활용 한약재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먼저 각 국가의 공정서 및 고문헌 분석을 통해 과체 한약재의 기원을 비교하였다. 특히 중국, 일본, 대만이 아닌 남북한의 약전에서 특이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둘째, Melonis Pedicellus에서 발견된 성분을 조사하였다. 지방산 화합물이 가장 많았으며 셋째로는, Melonis Pedicellus 의 생약학적 관점으로 요약하였다. 그것은 구토 성질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구토 요법에 특별히 사용되어 온 사실을 검증하였다. 끝으로 3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31편의 고문을 분석하였고, Melonis Pedicellus를 포함하는 34개의 한약재 포뮬러가 문헌에서 발견되었다. Melonis Pedicellus는 주로 구토 요법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한약 제제가 구토 요법에 상관성 있게 한약재의 본질이 그 공식에 정확히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Cucumis melo Linné의 꽃받침이 한약재로 사용되어온 근거를 마련했다. Melonis Pedicellus의 기원은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에서 언급되지 않기 때문에 더 확대하여 조사 범위를 넓혀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연구원 제공 전통의학정보포털(KIOM Oasis Portal)과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에서 제공하는 고의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문헌 정보를 효율적으로 확보하였다. 앞으로 과체(瓜蔕)뿐만이 아니라 감꼭지, 연밥 꼭지, 가지 꼭지 등 다양한 식물들의 꼭지를 연구한다면, 무심코 버릴 수 있는 소재에서 현대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좋은 소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하르친 몽골족 전통 음악 종류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주로 내몽골 민족 대학교 음악 문화 센터에서 복제한 궁중 악기 18개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몽골족 궁중 악기 제작 및 연주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본문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몽골족 전통 음악 종류의 기원과 현황을 서술한다. 제2장에서는 하르친 전통 악기 제작 현황에 대해 논술한다. 하르친 지역의 민속 악기 제작 계승자인 포설봉(包雪峰)과 악기 연주 전승자와의 인터뷰를 결합하여 하르친 음악에 대한 악기의 영향을 탐색하고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악기를 만드는 과정을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하르친의 몽골족 궁정 음악 스타일과 기본 형태를 분석한다. 하르친 문화 센터와 결합하여 하르친 전통 음악 모음곡의 각색 및 재현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본다. 그리고 레퍼토리를 수집 하여 악기가 음악 형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나아가 몽골족 전통 악기와 전통 예술 통합의 형태 특징을 확인하여 하르친 궁중 음악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아본다. 제4장에서는 하르친 궁중 음악의 전승과 존재의 현실 의미를 서술한다. 대중들로 하여금 몽골족 궁중 음악에 대해 더 많이 알게 한다. 따라서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몽골족 전통 궁중 음악이 더 큰 맥락에서 몽골족 음악의 정화를 더욱 흡수하고 나아가 음악 형태와 음악 내용을 탐색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대중들로 하여금 몽골족 전통 음악의 전승과 혁신에 대해 직관적이고 체계적이며 전면적으로 이해하게 하길 바란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erception of the plague in the traditional era, the literary response metho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present day, and the utilizing method of Chinese literature curriculum. Today, while plagues are recognized in terms of overcoming, in the traditional era, plagues are recognized in terms of fear. In the traditional era, plagues were regarded as unclear objects, and literary works were created in a way to cope with plagues. These writings were also created to intimidate and drive out yeoggwi(疫鬼), and were also created to persuade and soothe them away. However, these writings themselves show a high level of literary character. Like today's so-called literary therapy, it goes to the point of healing at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level through the act of literary creation. The literary character of Lee, jeong-gwi(李廷龜)'s funeral oration is a transformation of Han, yu(韓愈)'s Songgungmun(送窮文) and expanding his worries about the country through self-examination. Yu, mong-in(柳夢寅)'s funeral oration describes the tragedy of suffering human beings realistically, is bitter and concrete in criticizing the wrongdoings of yeoggwi(疫鬼). Through such criticism and intimidation, the reversal that was perceived as the object of fear changes into a weak entity, which acts as a mechanism to find and overcome psychological comfort in the pain of reality. The educational meaning and the plan to utilizing Chinese literature curriculum of the two work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can read the wisdom and thoughts of the ancestors who tried to overcome pain through introspection. In addition, students can comprehensively understand byeonmun(騈文),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lassics and Korean classics. Th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s funeral ritual to cope with plagues, and can read the format of the funeral oration, the subject and the content in multiple la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