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1

        26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 하이브리드 옥수수의 1/4이 각각 미국과 중국에 심겨지고 있다. 중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미국의 60% 수준이다. 주저자는 1984년부터 중국 정부의 요청으로 중국 적응 하이브리드 육종기술을 자문하면서 “옥수수 가 가난을 물리쳐 부자되게 만든다”(위이미 부핀치부)는 고사를 알게 되었다. 중국에서의 옥수수 주용도는 사료와 공업용(전분산업 등)이다. 2만개의 회사가 옥수수 종자를 연구, 생산 혹은 시판을 한다. 옥수수 종자시 장 규묘가 3조원이라고 한다. 경북대학교 벤처 (주)닥터콘은 길림성에 현지 법인 종자회사: “공주령 닥터콘 유한 회사“를 설립 3년째 하이브리드콘 육종을 동북3성 길림성(공주령), 요령성(북심양)과 흑룡강성(할빈)에 서 수행하고 있다. 동계 기간은 중국에서 가장 따뜻한 해남도 산야에서 육종을 한다. 완전 무농약 상태에서 양질의 종자로 한 구덩이에 한 알 심는 옥수수(전통적으로 농민들은 보통 3알씩 심는다)와 병충해와 가뭄, 습해에 견디는 공생저항성(tolerance) 하이브리드콘 육종이다. 회사의 목표는 15년 내로 5위권 안에 진입하는 것이다. 세계 식량위기와 기후변화 차단은 중국 옥수수 생산 수준을 미국의 90% 정도로 끌어올리면 가능 할 것이다.
        262.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ycii fruct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mixed extracts on immunomodulators and prevention in a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rat model. A total of 28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dietary groups and fed a commercial diet (A), commercial diet plus induced diabetes by a streptozotocin (STZ) injection (B), induced diabetes by STZ plus medicinal crop extracts(I&H®) diet (C), and medicinal crop extracts (I&H®) diet (D). Immunoblotting analyses revealed cytokine expression, and ELISA analyses revealed immunoglobulin E and nitric oxide production. As a results, the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s a inflammatory cytokine were decreased. Interleukin-6 (IL-6) and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ion of transcription 3 (STAT3) cytokine related in diabetes expression through JAK/STAT3 pathway were also decreased. Furthermore, immunoglobulin E and nitric oxide production were decreased in the serum and len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ycii fruct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mixed extracts provide positive effects on immunomodulators and prevention in diabetes and eye disease complications.
        263.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태 효소 가수분해물과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생산된 신선한 고등어를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이 부여된 고품질 간고등어를 제조할 목적으로 감태 효소 가수분해물의 적정 처리 조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감태 효소 가수분해물 처리유무 및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간고등어의 일반성분, 염도, 대장균, pH, 휘발성염기질소, histamine 및 과산화물값은 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DPPH free radical, hydroxyl radic
        264.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의 다양한 효능을 이용한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해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농도(50, 60, 70, 80, 90%)와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플라보노이드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다가 80%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시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265.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홍은 "단홍적축면"과 "뚝섬적축면"을 교배하여 육성한 추대가 늦고, 엽색이 매우진한 적축면 잎상추 품종이다. 기존 같은 type의 품종보다 추대가 늦은 중만생 품종이며, 적색발현이 좋아, 안토시안닌 함량이 28.9 mg/100 g으로 "뚝섬적축면"보다 10배이상 많았으며 수확 후 4℃ 수식 이미지에서 3주간 이상 저장이 가능하였다. 재배적기는 연중재배가 가능하나 시험재배 결과 평난지에서는 봄, 가을에 고랭지에서는 여름재배가 가능하
        266.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풍적축면은 "안동적축면"과 "뚝섬적축면"을 교배하여 육성한 적축면 잎상추 품종이다. 기존의 같은 type의 품종보다 추대가 늦은 중만생 품종이며, 적색발현이 좋아, 안토시안닌 함량이 29.4 mg/100 g으로 "뚝섬적축면"보다 10배이상 많았으며 수확후 4℃ 수식 이미지에서 3주간 이상 저장이 가능하였다. 재배 적기는 연중재배가 가능하나 시험재배결과 평난지에서는 봄, 가을에 고랭지에서는 봄, 여름, 가을에 노지 및 비가림하우스
        26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과 대목 M.26은 준왜성대목으로 뿌리의 토양 지지력이 약해 지주 재배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발근력이 향상된 M.26 왜성 대목 형질전환체를 육성하기 위하여 rolC 유전자 전환을 실시하였다. 항생제가 첨가된 재분화 선발 배지에서 재분화된 M.26 신초 1개체의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과 Southern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전자의 도입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전자 도입이 확인된 형질전환체의 기내 발근 상태에서의 식물체 특성을 조사
        268.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어를 이용한 신제품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 연어근육을 이용하여 연어 패티의 개발을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시판 참치 패티 및 돈육 패티에 비하여 연어 패티의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과 조회분 함량의 경우 낮았고, 조단백질 함량의 경우 높았으나, 조지방 함량의 경우 참치 패티에 비하여는 높았으나, 돈육 패티에 비하여는 낮았다. 시판 참치 패티 및 돈육패티에 비하여 연어 패티의 Hunter color value는
        271.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체사료용 청보리 신품종 "다미"는 가축의 기호성을 개선하고 잎 비율이 높은 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6년에 잎귀가 없는 돌연변이체 'BGS60'을 모본으로, 내재해성이고 총체적성이 우수한 '강보리'를 부본으로 여교잡하고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제반특성이 우수한 'SB962002-B-B-B-10-1'계통을 선발, 생산력검정시험과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07년에 육성되었다. 1. "다미"는 직립 초형으로 파성이 III 정도이고, 잎은 녹색이면서 넓
        272.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described the associated variation in site index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in responses to site variables of soil properties. Addition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site index in unstocked land b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derived from stocked forest soi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soil layers on site index of surveyed area, totally 77 sites in central Korea. At each site, there were surveyed 14 item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namely, content of sand, silt and clay, soil pH,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2O5, cation exchange capacity, exchangeable K+, Na+, Ca++, Mg++, and base saturation.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using stepwise regression method were applied to this study. In the degree of contribution of the variables to site index by soil horizons, the highly effective variables were Base Sat., Exch. Ca++, T.N., Exch. Mg++, and C.E.C. in A horizon and Base Sat., Exch. Mg++, C.E.C., Soil pH, and O.M. in B horizon of P. densiflora for. erecta stands.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regressive prediction induced by significant soil site factors by forest soil horizons had useful guidance for finding out the best suitable area especially in unstocked land and further more for establishing successful stands of this species.
        275.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경제적 최적화모형인 확률제약 계획모형법을 이용하여, 농업용수 부존량 감소에 따른 농업이윤의 감소분을 계측하고 이를 통해 농업용수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 전체 농업자원배분을 최적화 모형으로 구축하고, 농업용수를 포함하는 자원부존제약조건과, 각 상품의 가격이 형성되는 시장조건, 국제무역 및 관련정책변수의 영향들을 반영하고, 용수의 경우 그 이용량이 연도별로 불안정할 수 있다는 것까지 반영한다. 농업용수감소량이 농업부문 이윤
        276.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ull-length cDNA encoding Perilla frutescens limonene synthase (PFLS) (603 amino acids, GenBank accession no. D49368) was cloned. To elucidate the role of PFLS in gene regulation, we transiently transformed full-length PFLS into tobacco plants. PFLS mRNA was first detected in the intact leaves of the plants at 6 h, and the LS transcript level increased after 12 h in leaves treated with oxidative stress-related chemicals. The transient overexpression of PFLS resulted in increased transcription of NbPR1 and NbSIP in Nicotiana benthamiana leaves. Thus, our result confirmed that the infiltration of PFLS gene act as a transcriptional regulator of NbPR1 or NbSIP genes in the tobacco.
        27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줄기세포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체외에서 증식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배아줄기세포와는 달리 성체줄기세포는 체외에서 증식할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줄기세포의 특성을 잃기 때문에 임상사용에 있어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줄기세포의 특성을 잃지 않게 세포를 보존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탯줄 유래 줄기세포를 동결 보존한 후 해동시켜 줄기세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람의 탯줄 유래 세포를 분리하여 체외에서 배양한 후 2번째 또는 3번째 계대의 세포를 25% FBS와 10% DMSO가 첨가된 냉동배양액에 넣어 196℃에서 동결보존한 후, 6개월 뒤에 해동시켜 세포의 성장 속도와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살펴보았다. 냉동 보존한 후 세포를 해동시킨 결과74%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이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냉동보존하기 전의 세포와 유사하게 방추사 모양의 섬유아세포의 형태를 나타냈다. 또한, 성장 속도 역시 냉동보존하기 전의 세포와 똑같이 10번째 계대까지 배양되었으며, 42번분열 능력을 나타냈다. RT-PCR 결과, 냉동 전후 세포 모두에서 Oct-4, nanog, SCF, NCAM, nestin, GATA4, BMP4, HLA-1 유전자는 모두 발현하였으며, Brachyury와 HLA-DR은 발현하지 않았다. 면역세포 화학 염색 결과, 배아줄기세포 단백질로 알려진 SSEA-3, -4, Oct-4 그리고 중간엽줄기세포 단백질인 Thy-1은 모두 발현하였으며, vimentin, fibronectin, HLA-1, HCAM, ICAM 모두 발현하였다. 그러나 SSEA-4과 Thy-1, vimentin, fibronectin, HLA-1는 냉동보존한 후 배양된 탯줄유래 세포에서 발현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CD44와 CD54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조직적합성복합체 항원인 HLA-DR은 냉동보존 전후 탯줄 유래 세포에서 모두 발현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은 냉동보존하기 전후의 탯줄 유래 세포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냉동 보존된 탯줄 유래 세포는 세포의 분열능력과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이 냉동 보존 전 세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냉동보존법이 임상적으로 세포 치료 시 적절한 세포의 수나 시간을 맞추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7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겨 시용량에 따른 벼 생육 및 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0a 당 쌀겨 100, 250, 500 kg 3수준으로 모 이앙전 10일에 본답 처리하였으며, 화학비료는 기준시용 및 50% 감량으로 단독 및 쌀겨 혼용 처리를 하였다. 화학비료 단독처리구(100% RF)와 쌀겨 단독처리구(200% RB, 100% RB, 50% RB)를 비교하여 보면 쌀겨처리구가 이앙 후 30일째에는 초장 생육이 저조하였으나, 출수기에서의 조사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쌀겨 처리에 따른 초기 초장 생육 저조현상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쌀겨의 단독 처리보다는 50% 화학비료와의 혼용처리가 수량에 있어서, 화학비료 기준시용보다 비슷하거나 높게 나타나 쌀겨 혼용처리가 화학비료 시용량을 낮출 수 있었다. 쌀겨의 시용량이 많을수록 등숙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수와 초장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또한 미질 특성에 있어서는 쌀겨 시용량이 많아질수록 단백질 함량과 분상질립의 비율이 높게 조사되었으나 완전립의 비율은 낮게 조사되었다. 아밀로스 함량은 화학비료 단독 처리구 17.9~18.1% , 화학비료 50%+쌀겨 혼용처리구에서 17.3~17.8% 로 나타나 화학비료 단독처리구보다 혼용 처리구에서 아밀로스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쌀겨 처리량에 따라 벼 생육 및 미질에 영향을 주었으며, 화학비료 50% 시용시 쌀겨를 혼합처리하면 비료 기준시용과 비슷하거나 높은 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7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whole crop silage barley cultivar, “oungyang”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unong and Milyang55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YARI) in 2002. An elite line, YB3882-3B-17-1-3-1, was selected in 1999 and designated as “ilyang111” It showed good agronomic performance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from 2000 to 2002 and was released by the name of “oungyang”with higher yield and better animal feed quality than that of Olbori. The average heading and maturing dates of Youngyang were May 2 and June 6, which were late by 2 & 1 days than those of Olbori, respectively, in Suwon. Youngyang had longer culm length, 83cm but it had lesser spikes per m2 637 than that of Olbori, respectively, in RYT from 2000 to 2002. The rate of leaf sheath/whole length (culm+leaf) and the rate of the grains/ whole crop weight was similar to Olbori. It showed resistance to BaYMV at the regions of Naju, Jinju, Milyang andt Iksan. however, the response of Youngyang to other environmental stresses (tolerance of cold and wet) was similar to Olbori. The dried whole crop yield potential of Youngyang in the RYT was about 11.67 MT/ha in paddy fields which was about 18% higher than that of Olbori. The grain yield potential was 6.32 MT/ha in paddy fields which was about 5% higher than that of Olbori. Youngyang had lower rate of shattering, higher content of protein and NDF, lower ADF and TDN, and better quality of silage than those of Olbori.
        28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북대학교 벤처회사 닥터콘은 식량 및 사료 곡물 위기를 예방하고 중국의 8억 농민을 부자 되게 하기 위한 역사적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 옥수수의 획기적 증산이 이루어지면 중단된 수출 재개도 될 수 있을 것이다. 2008년부터 중국 동부 3성을 중심으로 완전무농약 재배가 가능한 친환경 슈퍼옥수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슈퍼옥수수란 종합보험에 던 것과 같은 자연재배와 공생하면서 각 생태지역에 적응하는 안전다수성 옥수수 신품종을 뜻함. 세계 제2의 옥수수 생산국 중국은 2600만 ha의 재배 면적과 (미국 3000만 ha) 생산량은 미국의 65% 수준이다 (FAO 통계). 옥수수의 주용도는 가축사료, 전분과 기름 생산과 친환경 에탄올 생산이다. 중국 연구원들은 실제 옥수수 재배 면적은 미국 보다 넓을 수 있다고 하고,재배면적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세계적 대 규모 전분공장6개가 중국에 있다(년 50만 톤 이상 생산). 중국옥수수 재배의 주 결점은 옥수수 대를 전량 땔감으로 이용하고 있다. 앞으로 에탄올 생산기술만 개발되면1억 2천만 톤 이상 부산물이 바이오 에너지 생산에 이용되어 기후변화를 줄 일수도 있다. 평균 수량이 미국의 90% 수준일 때 년 5000만 톤 이상의 옥수수 알곡 증산이 기대된다. 20,000개의 옥수수 종자 회사가 잡종종자를 생산 시판한다. 동북 3성(중국 옥수수의 60% 생산)에서의 금년 작황은 비가 많이 온 상태에서도 비교적 좋은 편이나 조명나방,깜부기병,진딧물의 발생이 심하고 전체 재배 면적 500만 ha 정도 심겨진 정단 958 품종의 유전적 취약성이 발견되었다. 닥터콘은 동북3성을 시작으로 육종하여 점차 대륙 전체로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동계기간 중국에서 가장 따뜻한 해남도를 이용해서 연중육종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