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5

        61.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뻗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팔과 체간의 움직임에 있어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책상 위에서의 팔뻗기 과제 수행시 거리에 따른 팔의 움직임에 대한 체간의 움직임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의 팔의 길이에 비례하여 다양한 거리에서의 팔뻗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상지에 선천적인 기형, 심각한 외과적 혹은 신경학적 질환이나 지난 1년 동안 상지의 외상이나 통증을 경험했던 사람은 제외한, 우세 손이 오른손인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상지움직임의 변화는 실시간 삼차원 동작분석 장치인 CMS-HS를 사용하였다. 팔길이에 대한 50%, 70%, 90%, 110%, 130% 거리의 작업수행시 체간의 움직임이 측정되었고, 단일 표식자에서 얻어진 속도와 움직인 거리 그리고 체간과 상지의 최대속도시간을 나누어 처리하였다. 결과 : 거리가 증가하는 동안 체간의 움직임은 팔의 길이의 90%의 거리에서부터 체간의 움직임이 유의하게 증가됨을 보였다(p.<05). 팔의 움직임에 대한 체간의 회전은 팔길이의 70% 거리에서부터 유의한 회전을 나타내기 시작했다(p.<05). 팔과 체간의 최대속도 도달시간은 팔길이의 70%, 90% 110%의 거리에서는 팔의 최대속도 도달시간이 먼저 나타났고, 팔길이의 130%의 거리에서는 체간의 최대속도 도달시간이 팔보다 먼저 나타남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거리에 따라 팔의 움직임에 대한 체간의 회전과 굴곡이 유의하게 일어나는 거리를 알 수 있었고, 거리에 따른 체간의 운동속도에 있어서의 움직임 패턴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지 손상이 있는 환자들의 책상 위에서의 작업 수행이나 작업치료시 작업이 일어나는 거리에 따라 체간의 올바른 움직임을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200원
        7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든 낙농경영에 있어서 우분의 관리계획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옥수수-연맥 작부조합에서 소 액상분뇨의 시용수준을 달리하였을 때 잔여효과로 인한 사료가치, 질소 회수율, 총사초수량 및 토양특성 변화를 구명하고자 1997년 4월부터 1997년 10일까지 축산기술연구소 사료포장에서 수행하였고, 8처리[무비구, 화학비료구(요소) 320 k g N h a − 1 , 계속시용구 320, 640, 960 k g N h a − 1 , 잔여효과구 200, 400, 600 k g N h a − 1 ]를 난괴법 3번복으로 설계배치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확 당시 추파 연맥의 평균 초고는 계속시용구가 70.2cm, 잔여효과구가 61.4cm였다. 평균 건물률은 잔여효과구가 계속시용구보다 0.9% 높았으나, 처리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계속시용구가 잔여효과구보다 조단백질 함량은 1.0%, ADF 함량은 1.6%, NDF 함량은 3.1% 높았으며 처리간 유의성도 인정되었다(P<0.05). 사초의 총건물수량은 11,365에서 25 , 668 k g h a − 1 범위로, 960 k g N h a − 1 > 600 k g N h a − 1 > 640 k g N h a − 1 > 400 k g N h a − 1 순이었다(P<0.05). 대조구와 비교하여 비효가는 960 k g N h a − 1 가 158%였고, 600 k g N h a − 1 는 139%였다. 질소회수율은 200 k g N h a − 1 가 50%로 제일 높았고, 그리고 400 k g N h a − 1 , 600 k g N h a − 1 , 320 k g N h a − 1 순으로 높았다. 토양중 치완성양이온함량은 잔여효과구가 계속시용구에 비해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옥수수-연맥 작부조합에서 총사초의 건물수량, 비효가, 질소 회수율 면에서 소액상분뇨 600 k g N h a − 1 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1.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creasing effects of Ga-As-Al laser Koryo-hand acupuncture on experimental pressure threshold. Forty healthy subjects (female=20. male=20) aged 21 to 30 yea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treatment groups with same ratio in sex.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n=20) received Ga-As-Al laser stimulation,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n=20) received sham stimulation on appropriate Koryo-hand acupuncture points M10 on the left hand which is reflex point of upper trapezius portion. Experimental pressure threshold at the contralateral upper trapezius was determined with a pressure algometer and Galvanic Skin Response (GSR)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change of pressure threshold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result indicates that Ga-As-Al laser Koryo-hand acupuncture increases experimental pressure threshold and suggests that it is an effective noninvasive pain management technique.
        4,600원
        73.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체외에서 생산된 도살장 유래의 한우 배반포를 젖소의 자궁에 이식하여 임신율을 상승시킴으로써 농가의 수정란 이식의 이해 및 그 산업화 촉진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배양기간을 단축시키면서도 한꺼번에 많은 양의 배반포를 생산할 수 있는 배양액의 개발이 시급하며, 수정란 이식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질 좋은 배반포 생산은 물론이거니와 수란우의 선정을 위한 신기술의 개발 및 숙련된 수정란 이식사의 양성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000원
        74.
        202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ingle and binary heavy metals toxicity on the growth and phosphorus removal ability of Bacillus sp.. known as be a phosphorus-removing microorganism,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Cd, Cu, Zn, Pb, Ni were used as heavy metals. As a result of analysis of variance of the half of inhibition concentration and half of effective concentration for each single heavy metal treatment group,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Bacillus sp. was Ni < P b < Z n < Cu < C d. A nd the inhibitory effect on phosphorus removal by Bacillus s p. w as N i < Pb < Z n < Cu < C d. Whe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growth inhibition and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of a single heavy metal treatment group,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R2 = 0.815),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IC50 and EC50 was analyzed (R2 = 0.959). In all binary heavy metal treatment groups, the interaction was an antagonistic effect when evaluated using the additive toxicity index method. This paper is considered to be basic data on the toxic effects of heavy metals when phosphorus is removed using phosphorus removal microorganisms in wastewater.
        75.
        202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solate the microorganisms removing phosphorus (P) from domestic sewag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and P removal of the isolated bacteria.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sewage were identified as Chryseobacterium sp.,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and Bacillus licheniformis. Among them, Bacillus licheniformis was selected as the P removal microorganism. The environmental factor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d initial phosphorus concentration, temperature, pH, and carbon source. At initial P concentrations of 10, 20, and 30 mg/L, the P removal efficiencies were 100.0%, 84.0%, and 16.5%, respectively. At 20°C, 30°C, and 40°C, the P removal efficiencies were 0%, 75.8%, and 60.6%,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phosphorus according to pH were 1.6%, 91.7%, and 51.1% at pH 5, pH 7, and pH 9, respectively. Using glucose, acetate, and glucose + acetate as carbon sources yielded P removal efficiencies of 80.9%, 33.6%, and 54.1%,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sults from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 removal efficiencies of Bacillus licheniformis were the highest when the initial P concentration, temperature, pH, and carbon source were 10 mg/L, 30°C, 7, and glucose, respectively.
        76.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hosphorus acid (H3PO3) addition to the horticultural bed soil on the initial growth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cv.), cucumber (Cucumis sativus L. cv.), and kimchi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Lour.) Rupr. cv.). The stem heights of red pepper and cucumber were 46.1% and 23.0% greater in the 50 mg/L of phosphorus acid treatment than the untreated (control). Further, the stem diameter of pepper and cucumber were 48.7% and 23.0% greater in the 50 mg/L of phosphorus acid treatment than the control. In addition, the number of kimchi cabbage leaves was 47.5% greater in the 50 mg/L of phosphorus acid treatment than the control. The dry weights of red pepper, cucumber and kimchi cabbage were 72.9%, 16.5%, and 30.4% heavier in the 50 mg/L than the control, respectively. Cations (K, Ca, and Mg) and total phosphorus (T - P)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for these three horticultural crops. The concentrations of K, Ca, and Mg, and T - P were higher in the 50 mg/L of phosphorus acid than the control,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appears that treatment of phosphorus acid in horticultural bed soil enhanced the growth of red pepper, cucumber and Kimchi cabbage.
        77.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종당화산물은 환원당과 단백질, 지질 또는 핵산 사이의 당화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물질로 이 물질은 피부 노화 과정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 콜라겐과 최종당화산물의 교차결합 저해 및 억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능 시험을 통해서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은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DPPH와 ABTS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할 수 있는 농도는 각각 16.4 μg (Dried materials, DM)/mL과 16.7 μg DM/mL 로 관찰되었다. 또한,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최종당화산물 생성과 엘라스타제 활성을 저해하였고, 콜라겐과 최종당화산물의 교차결합을 저해 및 억제하 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은 항노화 효능이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78.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 GA)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전통 적인 민간요법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현재 떡쑥 추출물(GA extract, GAE)의 항산화 활성과 항보체 활성 등은 알려져 있으나, 항염과 항알러지 효능 및 그 작용 기작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 매개인자 인 산화질소, 프로스타글란딘 E2, Toll-유사수용체 4, 에오탁신-1, 히스타민의 활성화에 대한 GAE의 저해효과 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GAE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와 COX-2의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화질소와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GAE는 LPS로부터 유도된 Toll-유 사수용체 4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23187로부터 유도되는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방출 의 억제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L-4로부터 유도된 에오탁신-1의 생성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AE는 항염증과 항알러지 효능을 가진다고 사료되며, 향후 항염증 및 항알러지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보였다.
        7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y amending of the special law on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facility, coastal structures(breakwater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kinds of facilities. In this paper, an inspection manual for the coastal structures(breakwaters) will be introduced.
        80.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생 중심의 음악과 수행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핵심역량을 토대 로 피드백 전략이 강화된 학생 성장을 위한 음악과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평가모델은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5개 주제에 대해 3차시씩 총 15차시로 개발하였다. 이 평가모델에서는 평가의 개념을 학습 결과인 동시에 학습 과정으로 접근한 수시평가의 형태 를 적용하였고,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현장 활용도를 고려한 수행과제와 평가방법을 개발하였으 며,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평가척도를 제시하였다. 평가 결과에 따라 피드백과 심화·보충학습 자료를 4개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평가모델은 시범학교의 현장 적용과 전문가들 의 검토를 통해 타당성과 적합성을 검증하고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