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3

        161.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로젠탈 효과(Rosenthal & Jacobson, 1968)가 운동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 었다. 방법: 이를 위해 아동 30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에게는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해 어떠한 정보도 주지 않았으며 로젠탈, 골렘, 통제 집단에 각각 10명 씩 무선 배정되었다. 본 연구의 과제는 골프퍼팅이 사용되었으며, 종속변인은 전체오차점수였다. 습득단계의 자료 분석은 마지막 요인을 반복 측정하는 3(집단)×6(분단)요인 설계 하에 이루어졌고 파지단계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로젠탈 집단은 습득단계에서 가장 우수한 수행을 나타냈다. 둘째, 즉각적 파지검사에서 로젠탈 집단은 골렘 집단과 통제 집단보다 우수한 수행을 나타냈다. 셋째, 지연된 파지검사에서 로젠탈 집단은 골렘집단과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뷰 분석결과 로젠탈 집단에 대한 내용에서 상대적으로 긍정적 반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로젠탈 효과는 운동학습상황에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162.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예술의 이해> 교과목을 위한 PBL 수업을 개발하여 운영한 후 나타난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공공예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였으며 1개의 PBL 모듈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전공별, 학년별로 구성되었고 총 7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학습자들이 PBL 과정을 거친 후 작성한 성찰저널과 자기평가, 그리고 학습만족이었다. 성찰저널에서는 키워드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협동학습 이해, 관련지식 습득과 적용, 실제 경험과 체험, 자아성찰과 변화된 자신, 그리고 문제해결력 향상의 다섯 가지 학습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결과가 나타났고, 학습만족에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창의 융합 역량을 위한 PBL 예술교육에서 학습자들이 문제의 다각적 분석과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의견 제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고, 또한 학습만족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궁극적으로 예술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63.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반복학습과 반복인출연습이 학습 파지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 보기 위하여 중학교 3학년 52명을 피험자로 하여 산문자료 학습 후 단답형과 선택형 문제형식으로 2018년 3월 20일 1차 검사, 1주 지연 후에 2차로 장기 파지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단답형에서는 반복인출연습이 반복학습에 비해 더 높은 수행을 보였고, 선택형에서는 반복학습과 반복인출연습의 효과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조건과 문제유형은 단기 파지에서만 유의미하게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인출을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 재생(recall)에서는 단순히 학습 내용을 반복학습하는 것보다는 반복인출해 보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Bjork의 ‘바람직한 어려움(desirable difficulty)’과도 일치하며, 학습 파지에서 인출연습의 효과를 강력히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 교실 수업에서도 형성평가나 퀴즈 등의 형태로 인출연습을 해 보는 것이 학습 파지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164.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이후 국내에서 그 중요성에 대해 새롭게 논의하게 된 봉사 학습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선행 연구 중 실험연구 21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학습이 학생 발달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어느 수준인가? 둘째, 범주형 변인에 따른 봉사학습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셋째, 연속형 변인에 따른 봉사학습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0.688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매우 크다고 해석될 수 있다. 둘째,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지논문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봉사학습은 인지적 영역, 심동적 영역, 학업성취도, 정의적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 장애 여부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지적 장애, 일반 순으로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봉사학습의 네 단계(준비, 실행, 반성, 시연) 준수 여부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면, 준수한 경우, 준수하지 않은 경우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여섯째, 메타회귀분석 결과 봉사학습의 운영기간이 길수록, 프로그램 총 운영횟수가 많을수록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과 관련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165.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시간에 지각된 학습환경과 수업참여간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유능 감, 성취목표 및 정서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조모형의 타당 도를 검증한 후에 다차원적 유능감, 성취목표, 그리고 긍정적 부정적 정서의 다중 매개효과를 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은 남녀 중학생 419명(남학생 234명, 여학생 185명)이며, 본 조사는 예비조사에 참여한 중학생들을 제외한 3개교 중학생들 가운데 학년별로 두 학급씩을 선정하여 전체 18개 학급 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질문지는 Park, J. G., & Moon, I. S. (2013)가 중학교 체육상황에서 신뢰 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Shen 등(2012)의 체육 과제참여 질문지(Task Engagement Questionnaire in Physical Education)가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의 지각된 유능 감과 접근-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는 지각된 학습 분위기와 수업참여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도전적이고 위협적이며 경쟁적인 학습 분위 기는 지각된 유능감과 접근-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 중에서 긍정적 정서를 통해 수업참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육시간에 긍정적인 학습환경 조성이 중학생들의 다차원적인 유능감 지각, 접근목표, 그리고 긍정적인 정서를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전략임을 시사 한다.
        16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A critical features of Alzheimer’s disease (AD) is cognitive dysfunction, which partly arises from decreased in acetylcholine levels. AD afftected brains are characterized by extensive oxidative stress, which is thought to be primarily induced by the amyloid beta (Aβ) peptide. In a previous study, Cinnamomum loureiroi tincture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That study identified AChE inhibitor in the C. loureiroi extract. Furthermore, the C. loureiroi extract enhanced memory in a trimethyltin (TMT)-induced model of cognitive dysfunction, as assessed via two behavioral tests. Rosa laevigata extract protected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ytotoxicity. Administrating R. laevigata extracts to mice significantly reversed Aβ-induc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as shown in behavioral tests. Methods and Results: We conducted behavioral to examine the synergistic effects of C. loureiroi and R. laevigata extracts in inhibiting AChE and counteracting TMT-induced learning and memory losses. We also performed biochemical assays. The biochemical results showed a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cholinergic neurons damage in TMT-treated mice. Conclusions: A diet containing C. loureiroi and R. laevigata extracts ameliorat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 the Y-maze and passive avoidance tests, and exerted synergistic inhibitory effect against AChE and lipid peroxidation.
        167.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명시적 학습에서 암묵적 요소를 최소화시킨 명시적 학습과 암묵적 학습의 운동학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었다. 방법: 36명의 피험자들은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피험자들은 배드민턴 경험이 없는 여자 중학생으로 구성하였다. 과제는 배드민턴 서브라인에서 반대편 코트에 위치한 목표물을 향하여 쇼트 서브를 정확하게 넣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 운동학습 효과와 암묵적 운동학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습득단계 3(집단) × 4(분단), 파지단계 3(집단) ×2(분단), 그리고 지연파지검사단계에서 3(집단)×2(분단)에서 반복측정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습득단계에서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이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보다 수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파지단계와 지연파지단계에서도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이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보다 오차 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69.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한 학생과 적용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는지 알아보고 향 후 보건 계열 방사선과 전공과목에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 한 효과에 대해 논의 및 향 후 발전적인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한 학기동 안 스마트 학습법으로 강의를 받은 학생과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하지 않은 학생 두 분류로 나누었고 자료 수집방법은 자가 보고형 질문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스마트 학습법으로 강의를 받은 교육군이 비교육군 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능력를 검정한 결과, 5점 만점에 교육군이 3.46점, 비교육군이 2.63점으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t=9.721, p=.000), 성취목표지향성을 검정한 결과, 교육군이 3.12점, 비교육군이 2.9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4.544, p=.000). 위의 결과로 스 마트학습법이 자기주도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줬으며, 향 후 보건 계열 학과에서도 교수자는 학습자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강의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습 변화가 필요하다.
        170.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소프트웨어 교육, 코딩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현 시점에서 교육용 게임을 이용한 코딩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게임의 완성도, 게임성이 실제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학습 성취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토리강화, 캐릭터의 다양성, 향상된 그래픽 요소, 풍부한 보상 장치, 업적 시스템 추가 등의 게임성의 완성도 차이가 학습자의 교육태도, 학습몰입, 교육의 만족도, 선호도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교육용 게임의 질적 향상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 게임 설계 시 게임성과 완성도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제안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171.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화된 성공기대 확률에 대한 수행 및 학습효과를 시험하는 것이었다. 방법: 30명의 여대생들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이들에게는 실험의 목적에 관련된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았다. 이들은 10cm, 20cm, 30cm 골프 홀 조건에 배정되었고 집단분류 검사를 통해 각각 20%, 60%, 90% 성공 기대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실험과제는 클리베트의 퍼팅과제를 응용한 2m 과제였다. 첫째 날 참가자들은 사전검사와 집단분류검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세 집단 간에 골프 퍼팅 능력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종속변인은 전체오차였다. 습득단계의 경우, 마지막 요인을 반복 측정하는 3(집단)×6(분단)요인 설계 하에 이루어졌다. 파지, 전이검사는 일원변량 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 실험결과, 골프 홀의 크기가 커질수록 성공기대확률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습득, 파지, 전이검사를 통해 90% 성공기대 집단이 가장 우수한 수행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더 큰 홀의 조건은 성공에 대한 기대를 강화시키고 이것은 골프 퍼팅의 수행과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172.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전 준비활동이 EFL 학습자의 교실 공개 구두 발표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 였다. 이는 언어적 지식 (language knowledge)의 준비는 제 2 언어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여 정서 적 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근거한다. 연구를 위해 학습자들은 4 주 간 (1) 스피치 모델 읽기 (reading a model text), (2) 스피치 초안 쓰기 (writing a draft), 그리 고 (3) 구두 연습 리허설하기 (rehearsing for oral practice) 등 세 가지 사전 준비활동을 수행하였 다. 사전 준비활동 전 후의 교실 공개 발표 불안 정도의 차이는 PSCAS (Public Speaking Class 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네 가지의 불안 구성요소에 대해 비교하였다: ‘test anxiety’(TA: 시험 불안), ‘communicative apprehension’(CA: 전달 불안), ‘fear of negative evaluation’(FNE: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comfort of using English’(CUE: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 결과 분 석에 의하면 사전 준비활동은 네 가지 구성요소의 구두 불안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에 있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결 과를 가져왔다. 이는 ‘reading a model text’ 및 ‘writing a draft’ 등의 사전 준비활동 중에 이루 어지는 교사 및 동료와의 상호 피드백을 통한 언어적 지식 스캐폴딩으로 인한 학습자의 자신감 이 상승하고, ‘rehearsing for oral practice’활동으로 인한 발표연습 기회,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서 이루어지는 친밀함의 관계형성이 동료 및 교사에 의한 평가 불안을 완화하고 이전 보다 편안 하게 영어를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173.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탁구 백핸드 스트로크 과제를 적용하여 암묵적 학습의 하나인 유사학습과 명시적 학습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교 체육 시간과 스포츠 지도 현장에서 학습자가 운동기술을 수월하게 습득하고 오래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방법을 찾아 적용하고자 한다. 첫째 유사학습 집단은 습득단계에서 명시적 학습 집단과 통제집단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사학습 집단은 파지단계에서 명시적 학습 집단과 통제집단과 차이가 있는가? 방법: 2016년 B시의 G중학교 스포츠 클럽 탁구반을 지원한 1학년 30명이며 연구과제는 탁구 머신기에서 나오는 공을 탁구 백핸드 스트로크로 표적을 향해 리턴하는 것이다. 동질성 검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과 분단에 따른 학습효과 차이를 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습득단계 절대오차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나 가변오차, 반경오차, 방향오차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절대오차, 가변오차, 반경오차, 방향오차는 각 집단 분단에 따른 주효과와 집단과 분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둘째, 파지단계 절대오차, 가변오차, 반경오차, 방향오차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고 가변오차에서 분단에 따른 주효과가 있었으나 절대오차, 반경오차, 방향오차에서는 분단에 따른 주효과가 없었다. 가변오차, 반경오차, 방향오차에서 집단과 분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탁구 백핸드 스트로크에 암묵적 학습의 하나인 유사학습이 효과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학교 체육시간이나 스포츠 현장에서 학습자가 운동기술을 학습할 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유사학습이 기존의 명시적 학습 방법의 대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7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2형 당뇨 환자 식이교육 기능성 게임(Roly-Poly 160)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하고자 수행하였다. 당뇨환자의 식이교육 기능성 게임은 식사자가관리, 카드게임, 퀴즈게임으로 총 3가지 종류의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식사자가관리는 매일의 식사정보를 관리하여 12개월 동 안의 변화추이를 관찰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카드게임은 권장식사메뉴를 바탕으로 변화된 카 드를 제한시간동안 찾아내는 게임이며 퀴즈게임은 식이요법에 관한 퀴즈를 풀면서 지식을 습득 하는 게임이다. 이 게임은 2016년 9월 28일부터 10월 28일까지 G지역소재 C병원과 G병원에 내 원하여 당뇨식이교육을 신청한 제2형 당뇨병환자 30명에게 1인당 1시간씩 총 5회 실시하여 당뇨 식이지식과 식후 2시간 혈당을 실험전과 후에 반복 측정하였다. 실험 후 제2형 당뇨환자의 당뇨 지식은 실험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p=0.01), 공복시 혈당과 식후 2시간 혈당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p<.05) Roly-Poly 160의 임상효과를 검증하였다.
        175.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안적 수업 장학의 한 형태인 동료코칭 방식이 중학교 영어 교사의 수업 운영 및 구성에서의 변화와 이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탐색한다. 코치 를 받은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일 년 동안 총 3회에 걸쳐 비디오로 촬영하고 3명의 코치교사 로부터 수업 코치를 받았다. 코치교사들은 매 코칭 전 수업 동영상을 전사하여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학생과 학생 간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뒤 코칭 하였다. 또한 온라인 카페를 개설하여 각 수업의 계획과 수업 운영 전반에 관하여 코치교사들이 함께 코칭을 하였다. 매 수 업 마다 코치를 받은 교사로 하여금 자신의 수업에서 잘 된 점과 개선할 점을 중심으로 수업 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수업 동영상을 함께 관찰하며 코칭 함으로써 스스로 수업 실천의 전 과정을 성찰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자료들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코치를 받은 교 사의 수업 운영이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주도의 정보 전달식 수업 형태에서 조별 학 습 형태를 바탕으로 조별 과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변화되었고 이는 점차 학생들의 학습 참 여가 높아지는 변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회적이고 관행적인 성격을 띤 과거의 장학이 가진 한계를 넘어, 새로운 장학의 모형으로 동료코칭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 를 나타내고 있는바 앞으로의 현직 교사 교육과 통합 적용함으로써 교사의 수업 능력 함양과 최종적으로는 이를 통한 학생의 학업 성취 향상까지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확대 적용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176.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of self-controled feedback on Success and Failure Experience. Methods: The test subjects were 40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no information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 subjects constituted a success experience groups(10 self-controlled students and 10 yoked students) and a failure experience groups(10 self-controlled students and 10 yoked students). The task used in this research was 2m golf putting which is the applied clevett’s putting test. On the first day, subjects were given pilot test and group Classification t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utting skill between two groups(success experience and failure experience group) after analysing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two tests. Dependant variable was E(total error score). The data analysis of acquisition phase and retention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2(success and failure experience)×2(feedback group)×6(block) or 2(success and failure experience)×2(feedback group)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last factor.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ached by analysing the test data. (a) success experience groups were more effective than failure groups at acquisition phase and retention test. (b) according to transfer test' interaction of success/failure experience×feedback, self control feedback group were more effective than yoked group at success experience condition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at failure experience condition. Conclusion: conclusively, this study shows that, the success experience self-control feedback group performed the best on the golf putting skill task.
        177.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토익중심의 영어 읽기 수업에서 상호적 읽기 (reciprocal reading) 방법이 학습자의 읽기전략 상위인지 자각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MARS) 변화, 읽기이 해 및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해석 위주의 읽기 (translation-based reading) 방법과 비교하 였다. 연구 참여자는 공인 토익 읽기점수 중급 정도 수준의 (495점 만점에 220-280) 54명의 학습 자들로, 상호적 읽기 방법과 해석위주의 읽기 방법, 두 그룹으로 나뉘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읽기 전략 상위인지자각과 전략 사용 변화를 알기 위해 고안된 MARS 목록 질문지를 사용하여 사전 및 사후 반응을, 읽기이해 성과는 읽기 활동 바로 후, 내용의 의미와 관련된 사지 선다형 문제에 대한 이해점수를, 그리고 어휘 학습에 대한 효과는 사전 테스트를 통해 얻어진 14개의 목표어를 읽기 활동 후 즉각적인 사후테스트와 1주 후의 지연된 테스트를 통한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분석에 의하면 해석위주의 읽기 방법과는 달리, 상호적 읽기 방법이 읽기 전략 상위인지자각 및 전략사용, 읽기이해, 그리고 단기 및 장기 어휘기억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상호적 읽기 에 포함되는 네 가지 활동, 즉 내용 추리하기 (predicting), 명확히 하기 (clarifying), 질문하기 (questioning), 그리고 요약하기 (summarizing), 등을 통하여 그룹안의 보다 능숙한 동료들 및 선 생님과의 상호 작용과 피드백을 얻으며 효과적인 읽기전략, 내용이해 및 어휘 학습을 위한 스케 폴딩 (scaffolding)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178.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Ground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Deci & Ryan, 2000),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effect of the autonomy-supportive intervention program on student amotiva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PE) context. Methods: In the experimentally-based,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one-hundred twelve students from four classes of two PE teacher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n=50) or the control group(n=62).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t beginning (Time 1, T1) of and at middle (T2) of the semester. Repeated measure two-way ANOVA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ed-supportive motivating style on student classroom a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As results, students of the teac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less PE-specific amotivation-low ability, low effort, unappealing task characteristics, low value, and problematic relationship than did students of the teacher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autonomy-supportive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students from being amotivated in PE was effective for the teacher to reduce students’ PE-specific amotivation because the teacher could successfully identify, nurture, and develop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in an autonomy-supportive way.
        179.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verbal cues during observational learning of a soccer kick. Methods: The to-be-learned task was an inside-of-the-foot soccer accuracy pass. Thirty fema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verbals cues combined with an expert model video; 1) discovery learning, 2) attention-focusing cue, 3) error-correcting cue. All participants practiced 10 trials without any information during a practice phase and 40 trials with treatments during an acquisition phase. A retention test was administered 24 h after acquisition. Results: The effect of observational learning was evaluated by kicking form, absolute error(AE), variable error(VE). The results revealed that two verbal cue groups displayed better kicking form than the discovery learning group during the retention test. The error-correcting cue group revealed better learning effect than attention-focusing cue group. However, for AE and VE the two verbal cue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learning benefit relative to the discovery learning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error-correcting cue is more effective during observational learning than the attention-focusing cue. The error-correcting cue facilitates attentional and retentional subprocesses. In addition, it facilitates the search for a task-appropriate coordination solution.
        180.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컴퓨터교육계의 큰 동향은 컴퓨터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의 신장에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 컴퓨터교육의 궁극적인 교육목표를 컴퓨팅적 사고의 증진에 두고 알고리즘 등의 컴퓨터과학 분야의 학습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컴퓨터과학 교육의 교수 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하며 초등학생의 특성에 맞으면서 알고리즘적 사고를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 모형의 도입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 수학교육을 위한 RME (Realistic Mathematical Education) 교수 학습 모형을 컴퓨팅적 사고 증진을 위한 알고리즘 수업에 맞게 수정하고 관련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 모형을 교육 현장에 적용한 실험 결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효과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