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berry leaves have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for their anti-pyretic and anti-inflammatory benefits. However, their bitter taste and characteristic odor limit their use in food. Thus, mulberry leaves were fermented using three speci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valent in kimchi. MLp, MLm, and MLs were obtained by means of fermenting mulberry leaves,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lus sakei. Their palatability and biochem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using each as a food ingredient. Overall acceptability of yoghurt supplemented with fermented mulberry leaves (MLp, MLm, or MLs) was greater than that for yoghurt supplemented with dried mulberry leaves, while fermentation produced no negative effect on yoghurt palatability. In addition, the total polyphenol levels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mulberry leaf extracts increased with fermentation, but total flavonoid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One potentially detrimental effect of fermentation is that α- glucosidase inhibitory potency was slightly decreased, proportional to the decrease in the active component 1-deoxynojirimycin. Despite this minor loss, the improved flavor of fermented mulberry leaves, together with its other beneficial health effects, is expected to render them useful as a food ingredient without lowering the sensory appeal of their target foods.
        4,000원
        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뽕잎 (Morus alba L.)을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Hericium erinaceum)로 발효시켜 열수 추출한 발효물(MA-HE)이 항산화 효소인 Cu,Zn-superoxide dismutase (SOD)와 ceruloplasmin (CP)의 산화적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세포질에서 중요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Cu,Zn-SOD와 CP는 모두 구리이온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다. MA-HE은 peroxyl radical에 의해 변형되는 Cu,Zn-SOD와 CP를 모두 보호하였다. MA-HE은 peroxyl radical에 의한 Cu,Zn-SOD의 단백질 fragmentation과 효소의 inactivation을 모두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MA-HE는 CP의 fragmentation과 inactivation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MA-HE가 peroxyl radical을 소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thiobarbituric acid를 이용한 활성 측정법으로 관찰한 결과, MA-HE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peroxyl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MA-HE는 100 μg/mL에 서 44.03%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MA-HE는 peroxyl radical을 효과적으로 소거함으로서 세포 내의 항산화 효소를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MA-HE가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작용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s prepared with 0, 2, 4, 6, and 8% mulberry leaf powder. According to the amylograph data, the composite of mulberry leaf powder-wheat flour samples reduced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s, viscosities at 95oC, and maximum viscosity with increasing mulberry leaf powder content. The lightness (L) and redness (a)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mulberry leaf powder content, whereas the yellowness (b) value increased. In addition, the weight, volume, and turbidity increased after cooking. In term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addition of mulberry leaf powder increased the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adhesiveness.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dumpling shell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mulberry leaf powder. The taste, chewiness and texture of the dumpling shells prepared with added 4% mulberry leaf powder were preferred.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overall preference of the dumpling shell with the addition of 4% mulberry leaf powde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4,000원
        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란후기 사료에 뽕잎의 수준별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74주령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360수를 4개처리 5반복 반복당 18수씩 배치하여 12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ME 2750kcal/kg, CP 15%인 기초사료에 뽕 잎분말을 0, 0.2, 0.4 및 0.8%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였다. 산란율과 난중은 매일, 사료섭취량과 계란품 질은 4주 단위로 조사하였고, 혈액성상과 난황지방산은 사양실험종료 후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전체 사양실험기간에서 산란율과 1일 산란량은 뽕잎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처리구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고, 난중, 사료섭취량 및 1일산란량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실험 전기간 뽕 잎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82~85주령에서는 통계적 차이를 확인하였다(p<0.05). 난백높이, 호유닛, 난각강도 및 두께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불포화지방산은 뽕잎의 첨가수준에 따 라 현저하게 증가하였지만(p<0.05), 포화지방산은 감소되었다(p<0.05). 혈청 HDL 콜레스테롤은 0.4% 첨가수준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고(p<0.05), 중성지방은 뽕잎 급여수준에 따라 매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뽕잎의 첨가급여가 산란후기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강건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시사한다.
        4,000원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뽕잎(Morus alba)을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Hericium erinaceum)로 발효시킨 열수 추출물(MA-HE)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A-HE의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500 μg/mL 농도에서 61.73%,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250 μg/mL 농도에서 97.39%로 나타났다. MA-HE은 DNA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생체고분자물질인 사람의 혈청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다. 세포에 H2O2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에 비하여 발효물을 100 μg/mL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생존율은 8% 증가했으며, 발효물을 50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세포 내 활성산소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MA-HE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작용도 뛰어난 것으로 사료되었다.
        4,200원
        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mulberry leaf powder (0, 1, 3, 5, and 7%) substituted for flour. The pH of the cookie dough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the addition of all levels of mulberry leaf powder. The spread factor of the cookie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mulberry leaf powder content added to the cookies recipe. In addition, the Hunter’s color L and a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mulberry leaf powder content, whereas the b value increased. According to hardness measurements, the substitution of 1~7% mulberry leaf powder resulted in increased hardness compared to the control. Moreover,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okie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mulberry leaf powder. The sensory evaluation revealed cookies containing 3% to have the highest scores.
        4,000원
        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mixed tea prepared with roasted mulberry leaf and frui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Roasting of mulberry leaf was by 6 stages, as shown in Fig. 1; and mulberry fruit was roasted in 4 stages, as shown in Fig. 2. Subsequently, physicochemical measurements such as total polyphenol content, nitric oxide production conte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were obtained for each sample.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applied to prepare samples containing varying contents of roasted mulberry leaf (RoML) and roasted mulberry fruit (RoMF); subsequently,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roasted samples (RoML and RoMF)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aw samples (RaML and RaMF), respectively.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of roasted sampl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LPS induced RAW 264.7 cell).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roasted samp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aw samples, respectively. Based on the RSM estimation for determination of optimum ratio by sensory evaluation (taste, color, and flavor) among 13 mixed samples, the optimum mixing ratio of RoML and RoMF for taste, color, and flavor were 1.64 g (RoML) and 0.88 g (RoMF), 1.35 g (RoML) and 0.92 g (RoMF), 1.65 g (RoML) 1.03 g (RoMF), respectively. Based on results of three sensory evaluations, mixing ratio comprising 1.54 g of RoML and 0.92 g of RoMF is desirable for delicious tea with functionality.
        4,000원
        9.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1-4% (w/w) mulberry leaf powder (MLP). The pH and density of cookie dough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increasing levels of MLP (p>0.05), while the moisture content appeared to decrease significantly (p<0.05). The spread ratio of cookies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levels of MLP (p<0.05).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 higher amount of MLP (p<0.05). The use of ML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ardness of cookies whil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 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p<0.05).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1% MLP had a favorable effect on the consumer preferences in all the attributes. Based on the overall observations, cookies with 1% MLP can take advantage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MLP without sacrificing consumer acceptability.
        4,000원
        10.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and heart disease has increased with increased meat consumption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among ratios of 0, 1:0, 0:1, 1:1, 2:1, and 1:2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based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The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uce for meat prepared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0, 1:1, 1:2, 1:3, 1:4, and 1:5)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were asses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L2MF1 (2:1 ratio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on NO and TNF-α production were superior to those of other mixing ratios. With respect to color values of the sauce for meat prepared with different mixing ratio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as the mulberry fruit powder mixing ratios was increased, redness was increased but lightness and yellowness were decreased. The sensory evaluation of ML1MF5S (1:5 ratio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sauce for meat showed the highest score with respect to color, smell, taste, harmony with meat and the overall preference. In conclusion, as the mulberry leaf powder mixing ratio was increas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increased. But sensory evaluation scores were increased as the mulberry fruit powder mixing ratio was increased. Therefore, by performing further study, the method to increase mulberry leaf powder in the mixing ratio for improving the sensory evaluation should be provided.
        4,000원
        1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effect of the mulberry leaf powder on blood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of mice fed a high fat diet. The mulberry leaf showed a moisture content of 10.74±0.56%, ash 9.67±0.56%, crude protein 25.24±1.02%, and crude fat 2.66±0.08%. In the group with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mulberry leaf powder,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also, serum phospholipid and aspartate amino transferase (AST)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Serum insulin and leptin levels were high in mice fed a high fat diet; however, addition of mulberry leaf powder 10% in the die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lood insulin and leptin control.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various plant sterols in mulberry leaf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ICR-mice.
        4,000원
        1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뽕나무를 포함한 식물유전자원은 수집, 보존 및 이용 방법에 따라 그 자체로 이 용하거나 새로운 품종 및 물질 등을 개발하여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 다. 현재 뽕나무 유전자원에 대한 가치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형태적, 유전적 특 성을 분석․평가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중에 있으며, 기능성 성분이나 효능에 대 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초정보 외에 이들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추 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620 계통(품종)의 뽕나무 유전자원 중 재배환경 및 재배법이 동일한 219 계통(품종)의 춘기 5개엽기 뽕잎을 채취한 후 동 결건조 및 분말로 제조하여 뽕나무 유전자원의 계통별 rutin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뽕잎의 rutin 평균 함량은 0.52 ± 0.25 % 이었으며, 변이계수(CV)는 47.9 %로 계통간 변이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다. ‘부영상’의 rutin 함량이 1.37 %로 가장 높았 으며, ‘천근십문자’, ‘무전십문자’는 0.06 %로 가장 낮았다. 뽕나무 유전자원 중 전 체 평균 함량의 2배 이상 되는 rutin 고함유 계통을 9계통 선발하였다. ‘부영상’, ‘율 본’, ‘당상5호’, ‘A8’, ‘아자’, ‘성수5’, ‘사원뽕12호’, ‘환엽조생노상’, ‘환십조생’이 다. 또한 누에 사육용 뽕품종 (17품종)의 rutin 함량을 비교한 결과, 공시품종 중 ‘청 올뽕’의 함량은 0.69 %로 가장 높았으며, ‘청일뽕’은 0.14 %로 가장 낮았다.
        1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뽕잎차와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가 ICR mouse의 체중과 간 조직 항산화계 효소류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대조군(NC), 고지방식이 대조군(HC), 뽕잎차 분말을 2% 혼합한 고지방 식이군(UM), 발효 뽕잎차 분말을 2% 혼합한 고지방 식이군(FM)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증가량에 있어서는 HC군의 주당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비해 2.13배로 높았으나, UM군과 FM군은 NC군의 1.80 및 1.67배로 체중증가량이 크게 완화되었다. 장기 중량은 고지방 식이군에서 증가되었던 간의 중량은 UM과 FM군에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신장의 경우에도 NC군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고환 주변 지방의 함량은 UM과 FM군의 경우 모두 고지방식이로 현저하게 증가된 지방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FM군에서 현저하였다. ALT 활성은 HC군이 NC군에 비하여 2.56배나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UM군과 HC 간의 유의차는 보이지 않으나 FM군은 HC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TG, TC, LDL-cholesterol의 함량 및 동맥경화지수(AI)는 HC군은 NC군에 비하여 각각 18.42%, 39.59%, 212.56% 및 230.70%가 증가하였으며, HDLcholesterol 함량은 17.84%가 감소하였다. UM군의 TG, TC, HDL- 및 LDL-cholesterol 함량은 HC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FM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동맥경화지수도 HC군 2.63, UM군 2.09, FM군 1.70으로 FM군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 TG 함량은 UM 및 FM군이 HC군에 비하여 25.18∼25.72%가 감소되었으며,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에서도 TG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Glutathione(GSH)의 함량은 FM군이 UM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lipid peroxide(LPO)의 함량은 UM군과 FM군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49.82% 및 44.52% 감소하였다. Xanthine oxidase(XO) 활성은 UM군과 FM군에서는 HC군에 비하여 각각 38.41% 및 53.62%가 감소하였다. SOD 활성은 UM과 FM군 모두 NC군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활성은 UM군과 FM군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감소된 HC군의 활성을 14.81∼23.46% 증가시켰다. Glutathione peroxidase(GPX) 활성(NADPH nmole/min/mg protein)은 고지방 식이 대조군인 HC군에서의 활성은 NC군의 65.59%에 불과하였으나, UM군과 FM군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22.95% 및 38.52% 증가하였다. 간 조직을 검경한 결과, 고지방 식이 대조군인 HF군에서는 간 조직 세포가 지방 방울의 축적에 의해 확장되어 간굴모세혈관(hepatic sinusoids)이 폐쇄된 상태였다. 하지만, UM군과 FM군에서는 중심정맥 주위의 세포들이 정상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으며, 간 소엽의 간세포삭과 간 조직 세포 내에 지방방울의 축적이 보이긴 하나 구분이 가능하며, UM군에 비하여 FM군 쪽의 간 손상이 보다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M.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는 정상식 이군에서는 간 조직 손상과 관련된 LPO의 함량을 경감시키는 효과와 함께 경미한 체중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고지방 식이에 의한 비정상 생리 상태에서는 비만 해소와 ROS 생성계효소의 저해와 소거계 항산화 효소의 활성화를 통한 간 기능 증진과 조직 손상을 예방 또는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1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dentified the formula of the antioxidant substance separated from the ethyl acetate and the butanol extract and test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with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Each phase with the fractionated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leaf was screened in advance for the antioxidant substance with EDA. As the result, activity appeared in the ethyl acetate and butanol phase and the antioxidant component was separated. As the consequence, 2 components from the ethyl acetate phase and 1 from the butanol phase were separated, among which the structures of the components from ethyl acetate were determined by wogonin and linarin, whereas the structure of the component from the butanol phase was determined by pectolinarin. In the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by the scavenging effect of the DPPH radical, the wogonin and linarin components from ethyl acetate phase showed more powerful antioxidant property than the component from butano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hemical compound separated from the ethyl acetate extract has more powerful antioxidant property than the one separated from the butanol extract. The components separated from the ethyl acetate extract were wogonin and linarin, which are flavonoids, whereas the component from butanol was pectolinari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easibility of mulberry leaf as a functional food additive and its value as a natural antioxidant is very high.
        4,000원
        18.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뽕잎, 은행잎 및 혼합차의 침출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Folin-Ciocalteu법,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PLC로 분석하였다. 침출시간에 따라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FRAP 활성은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성분 함량은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높았으며 산뽕잎에 은행잎을 2:1로 혼합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침출시간 3분 정도에서 산뽕잎차 및 혼합차는 비교적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은행잎차는 6분 까지 활성이 증가하였다. HPLC로 분석한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은 quercetin이 모든 차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플라보노이드의 총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제조한 침출차 들의 항산화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계수는 0.87 이상으로 상관성이 상당히 높았다.
        4,000원
        1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