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육 통합이라는 제도적 전환기 속에서 영유 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지속성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영유아교사는 영유아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 으로, 최근 제도 변화와 사회적 요구의 확대 속에서 직무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문헌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연구를 수집·분석하였다. 문헌은 영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지속성을 다룬 연구와 보육·교육 통합 관련 연구를 포함하였으며, 비학술적 자료는 제외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영유아교사”, “보육·교육 통합”, “전문성”, “직무 지속성”, “이직의도”, “professionalism”, “job retention”, “ECEC integ ration” 등이었으며, 수집된 문헌은 전문성, 직무 지속성, 제도 변화의 세 범주로 분류·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육 통합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과 직무 만족을 강화하는 긍정적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 무 지속성은 조직문화·동료 협력 등 조직적 자원과 부모와의 소통 등 관계적 자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셋째, 제도 변화는 영유아교사들에게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제공하는 양면적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외 선행연구의 결론 을 지지하면서도, 일부 연구에서 강조된 개인적 노력만으로는 직 무 지속성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상반된 논의도 함께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보육·교육 통합 맥락에서 영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지속성을 종합적으로 조명하였으며, 제도 변화 과정 에서 영유아교사의 정체성과 직무 환경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함 을 시사한다. 다만 문헌연구라는 한계를 지니므로, 향후 연구에서 는 실증적 자료를 활용한 양적·질적 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적 영향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어나면 서 맞벌이 가구 비중이 높아지는 만큼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이 절실 히 필요한 실정이다. 공급자 중심의 단편적인 보육 정책이 아닌 보육교 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애착형성을 증진하여 양질의 보육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며, 영유아의 애착형성에서 심리적안녕감과 교수효 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영유아의 성장 발달에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이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교수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가 영유아들에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애착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 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보육교사 전문성은 회복탄력성을 매개하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간 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고 자아존중 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는 맞벌이 가정이 계속 증가하여 자녀들이 보육시설에 머무 르는 시간이 늘어나 양육의 대부분이 보육교사들에게 이양되고 있으며, 보육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보육교사의 감 정노동을 낮추고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양질의 보육서 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을 제시하며,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교사와 영유 아의 상호작용에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서는 원장의 변혁 적 리더십 함양과 교사효능감의 형성으로 교사와 영유아와의 관계에서 상호 작용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질적인 능력과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영유 아에게 보다 안정감 있는 환경에서 전인적인 발달과 양질의 보육 서 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은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와 영유 아의 상호작용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공감능력에도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즉 보육교사의 심 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더욱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더 많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사이에 서 심리적 안녕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나, 공감능 력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고, 질적인 능력과 전문성을 향 상 시켜 공감능력의 인식 수준을 높이고, 더 나아가 영유아에게 보 다 안정감 있는 환경에서 전인적인 발달과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 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인하여 만혼과 저출산 현상은 사회 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또한 자녀양육 기능이 가정에서 사회로 이 관되면서 보육의 공공성이 확대되고 있다. 보육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과 검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연구에 목적 을 두고 있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 학 부모와의 관계 등에 의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 직무스 트레스가 높은 집단에서는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심 리적 안녕감에 대한 직무만족의 적응적인 영향을 위협하는 위험요 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이 영유아와의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보육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 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궁정심리자본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이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보육 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영유아와의 긍 정적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보육교사가 영유아에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관계를 알아보고 감정노동이 이 두 변수를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영유아교사 199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주요변인의 차이검증을 위해 t-검증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감정노동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순기울기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환경의 하위 변인들은 감정노동의 내면적 행동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이직의도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영 유아 교사들의 감정노동은 표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감정노 동의 표면적 행동은 이직의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물리적 환경과 대인관계에 기반 한 감정노동은 이직의도를 유도하지만 반면 감정노동은 근무환경과 이직의 도 간의 조절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근무환경의 개선방안으로 영유아교사의 업무에 대한 코칭 개입 방법은 궁극적으로 이들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효과적인 방안일 수 있다. 즉 정서적인 지 지를 통해 스트레스적인 근무 환경을 정서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환경으로 변경하고, 물리적으 로 교재․교구비 지원, 근로시간 보장, 처우 개선을 통해 영유아 교사들의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코칭기법을 중심으로 교사 심리 상담 과 같은 정서적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들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관계에서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 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수준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회복력, 낙관성, 희망, 자기효능감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 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영유아권리존중보육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조 직건강성과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긍정 심리자본과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의 관계에 대해 조직건강성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을 실행하기 위해 서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직이 건강해야 영 유아권리존중보육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그 의 의가 있다.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서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인과의 적절한 관계 형성이며, 그 관계유지를 통해 만족된 삶을 살아가고 자 노력하고 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부모, 형제와의 관계 친구, 동료, 교사 등 많은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욕구를 충족시키며 성장하게 된다. 성장 과정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람은 부모, 또는 사회경험을 시작하게 되는 어린이집, 유치원의 교사이다. 교사의 인성은 영유아들을 보육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성이 바른 교사는 모든 사람과의 관계유지를 잘 하고, 영유아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즐거운 어린이집 생활 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동료와의 적절한 관계유지 와 맡은 직무에 만족함을 느끼며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신감 있게 능력을 발휘할 수 있고 자신의 삶의 질 또한 높아 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업무 수행 능력이 자신의 삶에 질을 높여주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에 대하여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보육신념이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서지능과 권리존중보육의 매개 역할에 대해 확인하고 변인간의 유의한 관계를 분 석하여 바람직한 문제행동지도 및 보육과정 실행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보육시설에서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보육교사의 능력 개발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부의 보육 정책 결정 방향에 기여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유아 보육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저 출산 및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인한 주 양육자의 부재를 들 수 있으며, 양육 에 대한 패러다임도 가족에서 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이양되면서 어린이집 교사의 영향력도 점점 커지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 비스는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양육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보육 교사의 자질향상뿐만 아니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질 높은 보육활동을 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영유아 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언은 첫째, 보육교사의 직 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어린이집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보육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 인력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 을 미치는 긍정심리자본을 향상하기 위하여 교사교육을 통한 긍정 심리자본의 함양이 필요하다. 넷째, 보육교사들에게 재충전할 기회 를 보장하여 복지혜택을 확대하는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보 육교사의 과중한 업무를 줄여주어 보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서 류의 간소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보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합리 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자율형 민간어린이집 인가가 필요하다. 직무만족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보육교사와 영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고 긍정심리자본을 높일 수 있는 방안 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적 변화에 따라 양육에 대한 패러다임도 가족에서 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이양되면서 가정양육보다는 시설에서 의 대리 양육의 의존률이 높아졌다. 보육교사에 대한 기대감으로 학대 없는 안전보육과 함께 전인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건강하고 질 높은 다 양한 보육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보육교사가 근무중 여러 가지 요인으 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보육에 대한 자긍심과 책임감은 물 론 윤리의식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을 높여 줌으로 주요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고 분석하여 영유아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탐구하고 실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의 인성이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된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 다. 이에 따라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은 물론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학대 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 여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 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인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학대에 유의 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수효능감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학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보육교사의 인성과 영유아학대 사이에서 직무스트 레스와 교수효능감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 육교사 인성은 직무스트레스와 교수효능감을 매개하여 영유아학대에 간 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관계에서 인성과 직무스트레스, 교수효능감이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 하였다.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하는 인성을 함양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방안과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영유아 학대를 예방 근절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understand and describe teachers'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Methods: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until the data were saturated. Recorde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verbati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Braun and Clarke. Results: Although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for children,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imparting sex education in daycare centers. Teachers lacked confidence because they themselves had not received proper education related to teaching sex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sex education methods and materials were lacking and outdated, and the suppor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insufficient.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when sexual behavior problems occur in children. Conclusion: Systematic education for teachers and parents is required to raise awareness of sex education and to communicate smoothly among them.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적 영향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가 늘어나면서 맞벌이 가구 비중이 높아지는 만큼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단순히 정책 예 산 늘리기, 보육시간 보장 등 양적 정책이 아닌 양육공백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양질의 서비스 질제고 방안이 필요하다. 공급자 중심의 단편적인 보육 정책이 아닌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양육지원 요구와 교수효능감을 통한 질 높 은 보육활동을 요구하는 등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이 영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을 높이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양 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언은 첫째, 보육교 사의 심리적안녕감 회복을 위한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확보 와 보조인력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긍정적 상 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하여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보육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문상담인력의 배치가 필요하다. 그러므 로 영유아의 성장 발달에 미치는 심리적안녕감과 교수효능 감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보육교사와 영유 아와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고 심리적 안녕감과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영유 아와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전 문성을 높이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변인 간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 성, 상호작용, 인성, 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적재값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관측변인들은 해당 잠재변인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 전문성은 인성, 효능감,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보육교사의 인성과 효능감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사이에서 인성과 효능감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육 교사 전문성은 인성과 효능감을 매개하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인성과 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영유아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 보육교사의 역할이 전문성을 통해 영유아들에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 하고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 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며,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 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인성의 인과관계 구조를 연 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 의 전문성이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서 교사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 적이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인 보육교사의 직 무스트레스에 주목하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의 상호작용과의 관 계에서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이 어떤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절을 위해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을 높임으로써 보육교사의 질적인 능력과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영유아에게 보다 안정감 있는 환경에서 전인적인 발달과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 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직장어린 이집의 보육교사 426명으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공감능력 및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640명을 분 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는 자아탄력성의 평균 3.861점, 인성 의 평균 3.805점, 영유아 상호작용의 평균 4.199점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인성 중 사회관계, 긍정자아, 직무수행의 순으로 영유아의 상호작용 에 대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 효과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함의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육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 향상 및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사회제도 개선 및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사회적 지지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사회적 지지는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 때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