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71

        6321.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was developed to detect Salmonella Typhimurium. This assay was based on the lateral flow immunoassay. Two different anti-Salmonella polyclonal antibody (Pab) are used in this strip assay for the double antibody sandwich immunoassay method. The strip sensor was composed of sample pad, conjugation pad, membrane, and absorbent pad. For the optimal conjugation between nano-gold and anti-Salmonella Pab, the pH value of colloidal gold solution was determined to 8.4. To prevent non-specific binding between nano gold and anti-Salmonella Pab, sample pad and membrane was treated with PBS buffer, included 2% BSA and 10% sucrose. The control and detection zones were visually detected according to antigen-antibody binding. The detection limit of the developed strip assay was 105 CFU/mL within 10 min, and improved until 104 CFU/mL after 12 hr.
        4,000원
        6322.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탄소 공정을 이용한 추출 기술인 초음파, 마이크로파 및 초고압 추출 공정기술의 이산화탄소 배출량(TCO2)과 얻어진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총량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기존의 공정인 열수 추출 공정의 TCO2 배출량은 약 0.4 TCO2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파 추출 공정의 경우 0.1437 Ton 당 CO2를 배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초음파 추출 공정의 경우 0.0862 Ton 당 CO2를 배출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초고압 추출 공정의 경우 0.1014 Ton당 CO2를 배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저탄소 공정별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의 전환된 양을 측정한 결과 마이크로파 추출 공정의 경우 약 246.65% 정도 증진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초음파 공정의 약 275.71% 증진된 결과를 보였다. 초고압 추출 공정의 경우에는 약 295.21% 증진된 결과를 얻었다. 전체적으로 열수 추출 공정의 경우 얻어진 저분자 진세노사이드가 적은 반면 CO2 배출량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저탄소 추출 공정인 마이크로파, 초음파 및 초고압 공정의 경우 얻어진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의 양이 높으며, 방출되는 CO2의 양이 기존의 재래 방법보다 적은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저탄소 추출 공정인 마이크로파, 초음파, 초고압 추출 공정을 통해 인삼을 효과적으로 추출을 할 수 있으며, 친환경 저탄소 공법을 통해 CO2 발생량을 억제하여 경제적으로 천연물을 추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323.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is one of the traditional crops and there is a growing global attention as a healthy food because of its rich nutrition. Buckwheat allergy is an IgE mediated immediate-type reaction and it is considered to be a critical allergen because it causes severe allergic reactions by small amount of intake particularly in children. In this issue of Buckwheat allergy, research papers about various topics - major allergens of buckwheat, clinical reports, detection methods and methods to reduce allergenic reaction - were reviewed. Major buckwheat allergens reported and listed on IUIS are Fag e 1 with molecular weight 24 kDa, Fag e 2 with molecular weight 16 kDa and Fag e 3 with molecular weight 19 kDa. PCR and ELISA methods have been used to detect buckwheat allergens. Recently, the LC/MS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apply to detect buckwheat allergens. In addition to detection methods development, there have been efforts to reduce buckwheat allergens using chemical and/or physical methods, but not commercialized yet.
        4,200원
        6324.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나슈 제조 시 사용되는 크림의 지방 종류(동물성 유크림과 식물성 크림)에 따라 함유량을 달리하여 제조하고 이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특성을 분석하여 지방 종류와 함유량에 따른 품질특성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대조군으로 100% 동물성 유크림을 첨가한 가나슈에서 유크림 함량의 25, 50, 75, 100%를 식물성 유지로 대체하여 시료를 제조하여 일반 성분분석, 색도, 점도, texture profile analysis, 산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가나슈의 수분 함량은 5.71-6.22%의 범위로 크림의 유지방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수분의 함유량도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조단백질은 5.04-5.73%의 범위에서 유지방의 함유량이 증가하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오지 않았다. 조지방은 29.49-31.77%, 조회분은 0.38-0.40%로 나타났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명도와 황색도는 MC0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MC100 시료가 가장 낮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점도는 수분함량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던 MC100 시료가 가장 낮은 점도를 보였고, 식물성 유지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점도도 증가하였다. 이는 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품질특성은 경도(hardness)는 식물성 유지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고, 탄력성(springiness)과 씹힘성(chewiness), 부드러움(softness)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되었으나, 불포화지방의 함유량이 높은 유크림의 비율이 높은 경우 전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식물성 유지 첨가에 따라 저장성이 높아지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경도(hardness), 융해도(melting rate), 점착성(sticky), 건조성(dry), 탄력성(springiness)은 식물성 유지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부드러움(softness)은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가나슈 제조 시 사용하는 식물성 유지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경도(hardness), 점착성(sticky), 탄력성(springiness)과 같은 특성이 강화되어 시료의 견고성 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로 저장성 실험에서 산가의 증가도 낮은 수준을 보여 저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도와 점착성, 건조도, 거친정도의 증가로 인해 기호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지는 향후 기호도 조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6325.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단무지 가공초기인 탈염과정에서 온도변화(5oC, 25oC) 및 CaCl2 첨가(0.6%, w/w) 유무가 탈염 단무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단무지 품질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5oC에서 탈염한 경우 25oC 탈염과 비교하여 탈염기간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탈염기간 후반부에 상대적으로 탈염속도가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위생)적 측면에서 5oC 탈염이 바람직하였으며, 탈염시 CaCl2 첨가가 단무지의 총균수를 감소시키지는 않았다. pH 변화의 경우 5oC 탈염에서 감소폭이 적었고, 색깔의 경우 탈염기간동안 전반적으로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감(굳기)은 5oC에서 CaCl2 처리하지 않고 탈염한 단무지에서 변화(감소)가 가장 적었으며, 25oC, CaCl2 처리한 탈염단무지에서 가장 큰 변화(감소)가 나타났다.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탈염과정에서 CaCl2 처리 시 공극이 커져 구조가 상대적으로 엉성해 짐을 확인하였으며, 온도차에 의한 미세구조차이는 육안으로 구별할 수 없었다. 관능검사결과, 조직감 측면에서는 CaCl2 처리하여 탈염한 단무지를 다소 선호하였으나 비처리시료와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6326.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judae)은 국내 뿐만 아니라 일본을 비롯한 여러나라에서 소비량이 많은 버섯 중에 하나이며, 다양한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중국요리나 일본 우동, 라면 등에 이용되는 5대 토핑 중 하나로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암세포 억제, 동맥경화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목이버섯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건조방법을 구명하여 식품으로서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목이버섯은 전북 익산지역의 버섯 재배농가에서 생산된 자실체를 사용하여, 건조실험은 열풍건조기를 활용하여 40~80℃로 온도를 조절하였고, 기타 건조방법으로 동결건조와 하우스건조를 실시하였다. 건조온도에 따른 건조 후 품질 특성 비교 결과 50℃와 60℃에서 외관이 양호하였으며 40℃는 외관이 좋지 않았고 80℃는 심하게 축소되는 경향이었다. 동결건조 방법은 자실체의 색감이 좋지 않았고 포자가 날려 상품성이 없었으며, 하우스건조시에는 형태가 양호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건조온도가 올라갈수록 명도인 L값이 감소되고 적색도 a값은 증가되었다. 특히 동결건조는 높은 L값을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건조온도와 방법에 따라 시료를 증류수와 80% 에탄올 추출 후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폴리페놀 함량은 건조온도 가운데 60℃에서 1.51~1.57mg/g DW로 높았으며, 건조방법에 따라서는 동결건조시 증류수 추출에서 1.63 mg/gDW로 가장 높았으나 80% 에탄올 추출에서는 1.24 mg/g DW를 보여 그리 높지 않았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0% 에탄올보다 증류수 추출시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증류수추출 가운데에서도 동결건조시 4.29 mg/g DW로 가장 높았고, 열풍건조시에는 1.17~2.35 mg/g DW를 보였는데 60℃ 건조시 높았다. 하우스 건조시에는 1.74 mg/g DW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목이버섯은 건조방법에 따라 외관의 특징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후 기능성 검정을 통해 가공제품 생산에 적합한 건조방법을 구명하고자 한다.
        6328.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n the ado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ix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the Daegu-Kyungbuk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552 families and teacher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Identification of eating habits began with a factor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 five-factor solution. Among the five patterns, factors 1 and 2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behavior problems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Further, food preferences of th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adoptive behavior probl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early indicate that eating habits as well as food preferences are important factors in identifying adoptive behavior problems in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children are provided.
        4,000원
        6329.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poxygenase(LOX)와 kunitz trypsin inhibitor(KTI) 단백질이 결핍된 non-GM콩(개척#2, 진양콩 및 CJ#1)의 가공적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콩(태광콩)을 대조로 하여 간장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원료콩의 일반성분은 시료간에 비슷한 조성을 보였으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태광콩에 비해 LOX와 KTI 단백질 결핍콩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간장 중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태광콩 간장이 가장 높았으며,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진양콩 간장이 가장 높았다. 무기물은 진양콩 및 CJ#1 간장, 아미노산은 3종의 LOX 및 KTI 단백질 결핍콩 간장이 태광콩 간장에 비해 높은 함량이었다. 간장의 갈색도는 진양콩 간장이 가장 높았으며, 황색도는 진양콩 간장이 태광콩 간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간장의 종합적인 기호도는 단맛과 구수한 맛이 높았던 진양콩 간장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간장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OX와 KTI 단백질 결핍콩 간장이 태광콩 간장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총 페놀 함량에 의존적이었으며, FRAP법에 의한 환원력은 개척#2 및 CJ#1 간장이 태광콩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Fe2+ 킬레이트 활성은 태광콩 간장이 여타 간장의 활성에 비해 높았으나, 진양콩 간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LOX와 KTI 단백질 결핍콩으로 제조한 간장은 일반콩 간장에 비해 영양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높아 기능성 가공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800원
        6330.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랑곡나방은 경화된 입술과 강력한 턱으로 포장지를 직접적으로 천공하여 제품 내로 유입, 제품을 오염시켜 전 세계적으로 뿐만아니라 국내 식품제조, 가공회사 제품(스넥, 면, 제과 등)들의 곤충이물관련 클레임 중 60~70%를 차지하는 주요 저장해충 종이다. 천공력 시험을 위해 천공기기를 제작하여 식품공전 상에 등재된 한약재 배합물에서 추출한 기피물질 고형분을 각 농도(Repellent(5): 고형분 0.25%, Repellent(10): 고형분 0.5%, KP2(5): 고형분 1.0%, KP2(10): 고형분 2.0%, KP3(5): 고형분 1.5%, KP3(10): 고형분 3.0%)로 주입한 포장소재를 이용하여 만든 포장지에 대한 화랑곡나방 3령 유충의 천공률 조사 결과, 유충 투입 후 무처리의 경우 1.5일, 기피물질 처리 소재에서는 2일 정도 늦은 약 3.5일부터 천공이 확인되었으며, 소재가 접힌 부분에서 대부분의 천공이 발생하였다. 무처리 포장소재는 94%, 기피물질이 처리된 포장소재의 천공률은 59~87% 범위로 나타났으며 Repellent(10) 처리 포장소재에서 59%로 가장 낮은 천공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충 투입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기피물질 처리 여부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포장소재가 천공의 가능성이 있으며 기피물질이 해충에 의한 포장소재의 천공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6331.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저장곡물해충 방제를 위한 열처리기술은 일반적으로 제분회사 및 식품회사의 해충 방제 대상 건물 내부 온도를 50∼60℃로 24∼36hr 정도 유지함으로써 설비 내부 및 건물 균열부 등에 서식하는 저장곡물해충을 방제하는 것으로써 기존의 화학훈증제를 대체할 방제기술이다. 약 50℃의 온도가 일정시간 지속될 경우 해충의 체온 상승과 탈수, 그리고 단백질 변성 등에 의한 방제기작으로 해충의 모든 생태 단계에 대해서 방제 효과가 우수하며, 훈증제의 잔류성 문제와 살충제에 대한 해충 내성출현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최근 소비자의 먹거리에 대한 의식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서 무독성 및 비잔류성의 친환경적 저장곡물해충 방제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소는 지난 2010년부터 국내외 저장곡물해충 방제에 대한 열처리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현재 전기형 열풍기(18kw, 20kw) 106대, 오일형 열풍기(1,000,000kcal) 1대, 그리고 무선 온도 Monitoring시스템 1대를 개발하였다. 또한 지난 2011년부터 현재까지 2년간 국내 제분회사 5개 업체 및 식품회사 3개 업체에 대해서 약 20회 이상의 현장 열처리 방제를 수행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하여 방제효율의 개선 및 원가점감 등 관련 기술을 추가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6332.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약용작물 재배 증가로 병해충 관리비용이 급증하여 병해충 신속・정확한 진단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약용작물 가공식품 및 건강식품 수요가 증가에 따른 안전 농산물에 대한 요구로 화학농약 사용 절감 및 잔류를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약용작물 재배 종류 및 생산량 증가로 인하여 재배 현장에서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병해충의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하여지고 있어, 약용작물별 해충 발생 생태 및 작물별 피해 구명 및 신속・정확한 진단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가 절실하다. 2011~2012년 제천, 음성, 평창, 청양 등에서 당귀, 황기, 도라지, 더덕, 맥문동, 방풍, 삽주, 오미자 등 약용작물에 발생하는 총채벌레 발생 종 조사 및 피해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총채벌레의 경우 약용작물에 발생할 경우 작물 생육에 피해를 유발하는 문제 해충으로 대부분의 조사 대상 약용작물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특히 재배 초기에 어린 신초(5~30%/전체 신초)나 엽 등에 발생하였을 경우 작물의 생장을 위축시켜 많은 피해를 유발하고 있었다. 약용 작물별 발생하는 총채벌레의 정밀한 종 동정을 위하여 기주식물별 채집한 총채벌레들을 PCR 기법 이용 분류・동정 진행한 결과 볼록총채벌레, 파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등 기주식물별로 다양한 총채벌레들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633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ai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ing behaviors towards agricultural products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experience, technology ability, innovation, self-efficacy, perception of usefulness, perception of trust, attitude, purpose of purchas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m. We analyzed the survey data set, using the ‘logit model’, ‘simultaneous equation model’, and ‘LISREL-Type model’ In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for the comprehensive statement of “Trust” was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purchase agricultural products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agricultural e-commerce using SNS, trust should be to the fore of marketing and publicity campaigns, in order to promote and stabilize the market.
        4,000원
        6334.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effect of far infrared ray-vacuum drying having reflection and dispersion functions(RD-FRVD) and hot air drying(HAD) on the quality changes of dried vegetable flakes. HAD was regarded as a control. Browning degrees, color value, titratable acidity and pH value were measured as chemical evaluations. Rehydration and electron micrographs were investigated as physical evaluation. Microbial cells were counted. The color value and browning degrees were increased in both RD-FRVE and HAD. In case of degree of those changes, RD-FRVD made less changes than HAD. Especially, green bean sprout had no differences in color value and browning degrees between raw material and dried-rehydrated material. There were no significance differences in titratable acidity and pH value between raw material and dried-rehydrated material. The total microbial counts were gradually reduced in RD-FRVD. The rehydration rates of dried vegetable flakes were typically increased in RD-FRVD. Also, these results were investigated electron micrographs evalu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dried-rehydrated vegetable flakes was typically enhanced by using RD-FRVD.
        4,000원
        633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planned and executed to evaluate how the composition of Yack-sun tea can affect the health conditions of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diet-related such as being overweight, are obese and have hyperlipidemia, by taking Yack-sun tea in a form of a nutritional supplement with our daily meals. We produced Kangjieum with Lycium chinense Mill., Polygonum multflorum Thunb, Cassia tora L., Crataegus pinnatifida Bge and Salvia miltiorrhiza Bge. Thus, we approach of oriental diet therapy area research of Kangjieum and analysis proximate composition, water soluble antioxidant content. The content(%, dry basis) of total carbohydrate was 60.23%, crude protein was 18.18%, crude ash was 11.36% and crude fat was 10.23% in Kangjieum. Total water soluble antioxidant content was 1.027 ㎍/㎖ of Kangjieum. We think that scientific and objective evaluation was done on the components of the Kangjieum prescription. This basic data could help guide the application of oriental medicinal resources into other foods and serve as a stepping-stone for use of Kangjieum in the burgeoning field of nutraceutical foods. Last, the scientific effects of oriental medicinal foods developed according to oriental medicinal theory. This theory is believed to be essential for government policy development concerning validation of medicinal effects and assessment, with the aim of fostering systematic development and providing guidance to food development in the interest of national health.
        4,000원
        633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amo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Yeongsu, Ganwon-do. 196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our study. The ginseng intakes of male students(59.1%)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e intake of female students(40.9%). The primary reasons for consuming ginseng were to “Maintain my [one’s] health” and to, “Restore my [one’s] energy”. The reasons for not consuming ginseng were “Taste” and, “Physical constitution”. Consumers purchased the following ginseng products at the market: For males, ginseng wine(21.7%), ginseng beverage(17.4%), ginseng candy(17.4%) and ginseng kimchi(17.4%) for females, Korean ginseng snacks(23.3%), ginseng yogurt(20.9%), ginseng candy(14.0%), and ginseng jelly(11.6%).
        4,000원
        633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termine an authenticity of food ingredient, we used DNA barcode method by universal primers. For identification of animal food ingredients, LCO1490/HCO2198 and VF2/FISH R2 designed for amplifying cytochrome c oxidase subunit1 (CO1) region and L14724/H15915 for cytochrome b (cyt b) region on mitochondrial DNA were used. Livestock (cow, pig, goat, sheep, a horse and deer) was amplified by LCO1490/HCO 2198, VF2/FISH R2 and L14724/H15915 primers. Poultry (chicken, duck, turkey and ostrich) was amplified by LCO1490/HCO 2198 and VF2/FISH R2 primers. But, Fishes (walleye pollack, herring, codfish, blue codfish, trout, tuna and rockfish) were only amplified by VF2/FISH R2 primers. For plant food ingredients, 3 types of primers (trnH/ psbA, rpoB 1F/4R and rbcL 1F/724R) have been used an intergenic spacer, a RNA polymerase beta subunit and a ribulose bisphosphate carboxylase region on plastid, respectively. Garlic, onion, radish, green tea and spinach were amplified by trnH/psbA, rpoB 1F/4R and rbcL 1F/724R. The PCR product sizes were same by rpoB 1F/4R and rbcL 1F/724R but, the PCR product size using trnH/psbA primer was different with others for plants each. We established PCR condition and universal primer selection for 17 item's raw materials for foods and determine base sequences aim to PCR products in this study. This study can apply to determine an authenticity of foods through making an comparison between databases and base sequences in gene bank. Therefore, DNA barcode method using universal primers can be a useful for species identification techniques not only raw materials but also processed foods that are difficult to analyze by chemical analysis.
        4,000원
        633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proper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that based on the data for surveys of food cold storage temperatures as the input variables to the further MRA (Microbial risk assessment).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by directly visiting 7 food plants. The overall mean temperature for food cold storages in the survey was 2.55 ± 3.55oC, with 2.5% of above 10oC, −3.2oC and 14.9oC as a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 distributions by space-locations was 0.80 ± 1.69oC, 0.59 ± 1.68oC, and 0.65 ± 1.46oC as an upper (2.4~4 m), middle (1.5~2.4 m), and lower (0.7~1.5 m), respectively. Probability distributions were also created using @RISK program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data. Statistical ranking was determined by the goodness of fit (GOF) to determine the proper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 This result showed that the LogLogistic (−4.189, 5.9098, 3.2565) distribution models wa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r relative MRA conduction.
        4,000원
        633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안전성과 농산물 가공식품 안전성이식품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식품신뢰와 감정몰입 및 구매의향의 인과관계를 소비자의 경제력 규모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있는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고소득층에서는 농식품안전성이 식품신뢰에는 영향이 없는 반면, 중간소득층 및 저소득층에서는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식품신뢰와 감정적몰입, 감정몰입과 구매의향, 그리고 식품신뢰와 구매의향 관계에서는 모든소비자계층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연구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소득수준에 따라서 농식품에 대한 신뢰에 차이가 있다. 고소득층에서는 일반적인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해 신뢰하지 않고 단지 가공식품에 대해서만 신뢰하는 반면, 중간소득층 및 저소득층에서는 농산물과 농산물 가공식품을 모두 신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따라서 소비자를 소득수준에 따라서 고소득층과 중간소득층및 저소득층으로 구분하여 집단의 특성에 맞도록 시장을 세분화하고 적합한 마케팅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즉, 유기농식품을 포함한 친환경식품은 고가격전략을 추구하여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소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선 데이터베이스마케팅을 도입하여 고객명단을 분석한후 고소득층 소비자에게 Eco-partner 인증제도, 녹색시스템운영, 제품의 유해물질 관리, 친환경소재개발 등 친환경제품과그린마케팅, 그리고 친환경인증획득을 통한 친환경제품개발활동을 전개하고, 또한 생산자로서 책임을 다하는 기업임을 강조하여 고소득층과의 교감을 통해 친환경이미지제고활동을 전개하는 등 고소득층에 적합한 차별화된 마케팅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고소득층은 식품에 대해 신뢰를 한소비자는 직접적으로 구매의향을 나타내기 보다는 감정몰입이될 때 더 높은 구매의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중간소득층 및 저소득층 소비자는 감정몰입이 중요하지만 이 요소가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신뢰가 직접적으로 구매의향을일으키는 것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비자를분류하여 고소득층에게는 장기적 관점에서 평생고객 개념으로고객과의 관계관리를 지향해야 하는 반면에 중간소득층 및 저소득층은 일회성 고객으로 분류하여 즉각적인 구매로 연결될수 있도록 차별화된 고객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고소득층고객은 식품에 대한 신뢰를 통해 고객이 감정적으로 몰입할 수있도록 제품에 대해 건강과 여유 등 삶의 질을 강조할 필요가있고, 중간소득층 및 저소득층에게는 즉각적인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가전략 및 판촉전략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4,000원
        634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photostimulated luminescence(PSL), thermoluminescence( TL) and electron spin resonance(ESR) methods for various foods which are not allowed to be irradiated in Korea. All 15 foods including sesame, almond, peanut, cocoa powder etc. were analyzed. Samples were irradiated at 1~10 kGy using a 60Co gamma-ray irradiator. In PSL study, the photon counts of all the unirradiated samples showed negative(lower than 700). The photon counts irradiated(1 kGy) dried shrimp, roasted peanut and seasoned peanut showed positive(higher than 5,000) and the other samples were negative or intermediate(> 700 and < 5,000). In T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L method to all foods containing minerals. In ESR measurements, the ESR signal(single-line) intensity of irradiated foods was higher than non-irradiated foods. In particular, the specific ESR signals of irradiation-induced crystalline sugar, cellulose and bone radical were detected in dried plum, raisin, dried cherry, mango(dried, frozen), rambutan, cocoa(powder), cinnamon, parsley, carrot, broccoli, dried arrow squid, dried pollack and dried shrimp. According to the results, PSL, TL and ESR method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detect the irradiated foods because TL method is not able to detect the irradiated foods rarely composed of minerals. ESR is also a difficult method to detect the changes of ESR signal patterns of food. It is concluded that TL analysis or ESR assay is suitable for detection of irradiated samples and a combined method is recommendable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detection results.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