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04

        74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social intelligence and positive psychology capital in foodservice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and to analyze whether employees’ positive psychology capital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otal 316 samples obtained from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verified a total of 2 hypotheses and 1 proposition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awareness (β=0.546) and social skill (β=0.152) in foodservice employees, were indicated to have positive (+)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s’ positive psychology capital (β=0.307)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effect of the employees' social intelligence upon job satisfaction was not found to be moderated by positive psychology capital.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4,000원
        742.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behavior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satisfaction of purchases. Questionnaires completed consum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garding purchase frequencie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and animal products, consumers consumed them 1 time per mon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ption by age, living area, family type, or BMI were found. Exactly 38.2% of consumers preferred to purchase items in the packing amount of 0.2-0.5 kg, whereas 39.7% of consumers preferred amounts from 0.5-1.0 kg.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cking amount were found according to age (p<0.05) and family type (p<0.01).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living area or BMI group. Many consumers made decisions based on the outer packing label (69.6%).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and living area were not found, wherea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type (p<0.05). Consumers answered that they purchased products in a general supermarket (24.7%) and cooperative (24.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age and living area (p<0.01) but not by family type. Consumer satisfaction of purchases scored 3.39 out of 5 points. In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 satisfaction were not found according to age, living area, family type, or BMI.
        4,000원
        74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안경사의 직위(원장, 책임안경사, 일반안경사)별로 근무시간, 월 휴일의 수, 휴무 요일에 대해 만족도와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 자료가 안경사의 근무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고 안경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수도권(서울, 경기) 전북 지역 안경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25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직위별로 분석한 근무시간은 모든 직위에서 “10시간 이상 12시간 미만”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원장 60.0%, 책임안경사 82.8%, 일반안경사 57.1%), 근무시간의 요구는 모든 직위에서 “8시간 이상 10시간 미만”의 근무시간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원장 56.0%, 책임 안경사 75.0%, 일반안경사 58.8%). 연구대상자의 직위별로 분석한 월 휴일의 횟수는 모든 직위에서 3~4일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원장 50.0%, 책임안경사 51.7%, 일반안경사 58.9%), 요구는 책임안경사와 일반안경사는 5~6일의 비율이 58.6%, 55.4%로 가장 많았으며, 원장은 3~4일의 비율이 45.0%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직위별로 분석한 휴무 요일에서 원장은 주말의 비율이 40.0%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책임안경사와 일반안경사는 주중에 휴일인 비율이 51.7%와 44.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휴무 요일에 대한 요구에서 원장은 주말에 요구하는 비율이 57.5%로 가장 높았으며, 책임안경사와 일반안경사는 주중 또는 주말 휴일을 요구하는 비율이 72.4%, 64.3%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 안경사의 근무시간을 “8시간 이상 10시간 미만”으로 줄이고, 휴일을 월 5~6일로 늘이고, 휴무 요일을 주중 또는 주말로 하여 안경사의 요구가 수용된다면 안경사는 일과 휴식의 조화로 더욱 행복한 생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74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안경광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교과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지역 안경광학과 재학생 183명과 서울, 경인지역 산업체 재직 안경사 123명을 대상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안경광학과 교과과정을 5개 분야로 구분하여 5점 척도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두 집단의 교과과정 만족도는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는데(재학생: 16.44±2.66, 산업체: 16.47±3.38) 분야별로는 이론교육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재학생: 3.87±0.74, 산업체: 3.82±0.68) 외국어교육과 인성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재학생의 경우에 이론교육(p
        4,000원
        74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고령 자영업자의 직업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자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자료를 이용하여 중고령 자영업자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전체 중고령 자영업자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 운영형태, 업종, 사업소득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고령 남성 자영업자의 경우 연령(60대), 건강상태, 운영형태, 업종, 사업소득이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중고령 여성 자영업자의 경우 연령(70대), 건강상태, 업종, 사업소득이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고령 자영업자의 직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공통적인 지원전략과 성별에 따른 지원전략이 병행되어야 효과적임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4,900원
        74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서비스에 대한 외식․조리전공 학습자인식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선행연구에서 주로 연구한 서비스품질의 성과와 결과의 질에 초점 두고 있 고, 실질적인 대학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학생의 학습 만족을 이끌어 내기 위한 대학서비스 속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서비스 중요도와 만족도 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속성을 비교 분석하는 중요도-만족 도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활용하 여 중요도와 만족도 수준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파악하고, 대학서비스 속성의 우선순위 항목 등을 측정하고, 향후 학생 들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경쟁력 있는 외 식․조리전공 대학을 만드는데 전략적 근거를 수립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대 학서비스 속성에서 교수의 전공 지식 정도(3.95), 교수의 강 의에 대한 열정(3.91), 실습실의 최신 시설(3.81), 교수님들의 질 높은 교육을 위한 노력(3.80) 순으로 28개 문항에서 3.8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중요도-만족도 평균의 차 이를 살펴본 결과, 28개 항목 모두가 (+)의 값을 보임으로써 대학서비스 속성별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즉, 대학서비스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불일치 가 크게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 차이 값을 분석 한 결과, 대학서비스 중요속성에 대한 총 평균값은 3.50이었 고, 실행 후 만족도에 대한 평균값은 2.91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01).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첫째, 대학 서비스 중요속성에 비해 만족도속성이 미치지 못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불일치됨이 나타나, 대학서비스 속성에 대 한 중요성 제고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중요도가 낮은 서비스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투자의 방향을 전환시켜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속성을 집중관리가 필요하다. 동시에 현재 지속적인 유지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라도 지속 적인 피드백 과정을 통해 학생의 욕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서 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대학서비스 중요도 수준만큼 만족도 수준 역시 높아야 학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고 할 수 있으며, 만족도가 중요도에 미치지 못할 때는 학 생 불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본 결과는 시사해 준다. 따라서 대학서비스 관계자들은 IPA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서비스 속성 인식을 통한 효율적인 학 생 관리와 체계적인 시스템 개발을 통한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향후 연구의 방향 은 첫째, 심층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조사도구 개발, 설문지 의견조사와 병행하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서비 스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및 계량적 분석으로 다루기 어려운 부분을 심층적으로 다루기 위한 질적 분석의 보완 등 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셋째, 대학 재학생들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서비스 속성, 가치, 행동,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4,000원
        74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의 구매속성과 만족도, 재구매 의도 와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소셜커머스를 이용하여 음식 점과 식품 구매 경험이 있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수행하였다, 여대생들의 소셜커머스 구매속성 파악을 통 해 소셜커머스 산업에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긍정적 발전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총 370부를 배포하여 부실 응답 19부를 제외한 총 351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6개월 이내 음식점과 식품 구매 경험이 있는 183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일반사항, 소셜커머스 이용 실태, 소셜커머스 구 매 속성, 만족도, 그리고 재구매 의도를 조사하였다. 일주일 에 매일 또는 주 2~6회 방문하는 학생이 115명(62.9%)으로 나타났으며, 한 달에 2~3회 구매하는 학생이 91명(49.7%), 인 터넷 서핑 도중 배너 광고를 통해서 78명(42.6%)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45명(79.2%)이 스마트폰으로 소셜커 머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들이 소셜커머스를 이용하여 음식점과 식품 구매 시 영향을 미치는 8개 요인을 추출하였고, 각 요인은 “지각된 가치”, “제품의 다양성 및 정보”, “배송”, “구매의 간편성”, “사이트 속성”, “가격 경쟁력”, “시간압박”, “실시간 정보”로 나타났다. 만족도에는 지각된 가치 β=0.300(t=4.139, p<0.001), 가격 경쟁력 β=0.275(t=4.523, p<0.001), 제품의 다양성 및 정보 β=0.145(t=2.434, p<0.05), 배 송 β=0.165(t=0.319, p<0.05), 사이트 속성 β=0.138(t=2.144, p<0.05) 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커머스 구매 속성 중 지각된 가치 β=0.304(t=4.080, p<0.001), 가격 경쟁력 β=0.208(t=3.335, p<0.001), 시간압박 β=0.181(t=3.449, p<0.05), 사이트 속성 β=0.196(t=2.956, p<0.01) 순으로 재구매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커머스 이용 만족도는 β= 0.761(t=15.768, p<0.001)로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소셜커머스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 능력이 좋은 여대생들이 소셜커머스 시장에서의 큰 잠재 고객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에 소셜커머스 업체들은 이들의 만족과 재구매률을 높이기 위해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강화하고,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요인들을 분석하고 활용하여 만족과 재이용률을 향상시켜야 하겠다. 향후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들의 소셜커머스 구매 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절변수를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4,000원
        74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realms (entertainment, educational, escapist, and esthetic) of augmented fashion reality applications on consumers' pleasure, satisfaction, intention of reuse,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subjecting those who have an iPhone. A total of 207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in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tertainment and esthetic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consumers' pleasure. Second, entertainment, educational and esthetic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satisfaction. Third, pleasure positively affected satisfaction. Forth, both pleasure and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intention of reuse and purchase intention.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realms of augmented fashion reality applications on pleasure, satisfaction, intention of reuse, and purchase intention by gender. In conclusion, pleasure and satisfaction that influence reuse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were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realms. When consumers feel satisfaction and pleasure in experience realms of augmented fashion reality applications, they are more likely to reuse of an augmented reality fashion application, and to purchase the products consumers were implementing an augmented reality fashion application for.
        5,100원
        74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 모듈을 개발 적용하고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천문단원의 태양계 행성과 달의 위상을 주제로 3가지 유형의 모듈을 개발하였고, 중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태블릿PC를 제공하였고, 천문교육용 앱 Solar Walk, 미러링 기능, QR코드, 구글 프리젠테이션 등을 활용하여 학교와 가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식조사 도구는 스마트러닝 수업에 있어서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학습동기유발(Motivation), 학습자 맞춤형(Adaptiveness), 정보기술활용(Technology Embedded)의 4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커트 5척도의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만족도 검사도구는 Keller (1987)의 만족도 영역의 검사 항목을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 만족도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대상 학생들의 성별과 과학성취도 수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에 대하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자기주도학습 요인과 학습동기유발 요인에서 성취도가 낮은 집단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 만족도 측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일수록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과학 분야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방향 설정과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4,200원
        75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st-purchase behavior of customers who experienced cognitive dissonance after exposure to a franchise foodservice advertisement. The study adopted cognitive dissonance theory to explain the dissonance resulting from the combination of advertisements and actual product that consumers received. In detail, the research hypothesized that cognitive dissonance will affect consumers’ post-purchase behavior as well as their efforts to reduce dissonance. Exactly 274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80% of respondents were influenced by advertisements when purchasing menus, and 50% were unsatisfied when the provided menu “was not the same as the advertisement shown.” It was found that advertisement typ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ither group that experienced dissonance. In terms of satisfaction, however, the former group showed greater dissatisfaction when dissonance occurred (p<.001).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post-purchase behavior (p<.05). Customers with dissonance were likely to ‘express dissatisfaction directly to the store’, ‘leave negative reviews’, and ‘participate in negative word-of-mouth’. Thus, the results revealed that cognitive dissonance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sequently lead to negative post-purchasing behaviors.
        4,000원
        75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결과에 대한 원인을 추론하는 인지적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연구에는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원인의 무의식적 점화가 과제 결과의 만족도와 과제 재수행에 관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암묵적 귀인점화 절차를 사용하여 과제의 결과를 우연 또는 개인적인 노력에 귀인시키는 것이 과제에 대한 만족도와 과제 재수행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시문을 사용하여 우연과 노력 조건별로 실험참가자들을 점화한 후, O/X 퀴즈 과제 (실험 1) 또는 5지선다형 문제 (실험 2)를 풀게 하였다. 그리고 실제 과제수행 결과와 관계없이 ‘좋음’ 또는 ‘나쁨’의 피드백을 주고 과제 만족도와 과제의 재수행 의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과제 만족도는 주로 피드백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과제 재수행 의도는 피드백과 점화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즉, ‘좋음’ 의 피드백 을 받은 조건의 경우, 우연 점화 참가자들보다 노력 점화 참가자들에게서 재수행의도가 높게 나타났고, ‘나쁨’ 의 피드백을 받은 조건에서는 우연 점화 참가자들이 노력 점화 참가자들보다 재수행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귀인과 의사결정 관련 연구뿐만 아니라 중독 관련 상담심리연구에도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75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 창작뮤지컬을 선택할 때 관람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 성이 관람 후 만족도와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선택 속성은 창작뮤지컬의 내용구성 , 주연급배우 , 무대구성 , 연출 , 공연장 , 관람비 용, 직원서비스 , 다른 사람들의 평가로 총 8개의 측정항목이며 ,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 정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 8개의 선택 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공연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다중 회귀분석을 실 행하였다 . 분석결과 창작뮤지컬의 내용구성 , 뮤지컬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평가 , 창작 뮤지컬의 주연급배우 , 연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연급배우에서는 배우의 연기력과 평소이미지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 무대구성에서는 조명장치와 세트디자인이 , 연출에서는 전반적인 안무와 배우캐스팅 , 내용구성에서는 기억에 남는 대사와 스토리내용 , 공연장에 대한 인식에서는 청결성과 주차시설 , 관람비용에 대한 인식에서는 부대시설 이용요금 , 티켓가격 , 직원서비스에 대한 인식에서는 직원의 친절 성과 전문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작뮤지 컬의 열악한 제작환경에서 무엇에 더욱 집중해야하는지 시사점을 주며 , 관람객들에게 작품을 어떻게 인식시킬 것인가 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자료로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다 .
        6,300원
        75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3년 현재 대한민국의 교도소는 다인종. 다문화. 다양화된 교도소문화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다문화시대의 한국사회의 구성원 및 외국인 범죄의 증가는 질적인 측면에서 외국인범죄는 국내인 범죄 못지않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제 한국은 순수단일민족이 아니며 여러 민족과 인종이 때로는 용광로처럼 한국의 문화에 동화되고 샐러드그릇처럼 민족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어울리는 다문화주의 사회이다.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과 더불어 외국인범죄도 사회 환경 등의 이유로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며 다문화 시대에 부합한 외국인수용자에 대한 문화적 수용성, 수용생활만족도, 의사소통만족도와 학력변인의 조절효과 등을 측정하여 외국인수용자의 다문화수용성이 수용생활만족도와 사회복귀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외국인수용자에 대한 교정정책에 대한 문제제기와 연구가 필요하고, 내국인수용자와 마찬가지로 외국인수용자도 한국어의 능력수준에 따라 한국인수용자에게 실시하는 검정고시제도와 방송통신고등학교 및 방송통신대학프로그램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9,300원
        75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문화예술학습활동의 참여도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자기효능감과 개방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 지역축제 참가자와 문화원문화교실 수강생 240명에게 설문자료를 배포하여 이 중 유효한 설문지 227부(94.6%)를 활용하였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문화예술학습활동을 관람활동과 체험활동으로 분류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였으며, 둘째, 문화예술학습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개방성의 조절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학습활동 참여도는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학습활동의 참여도는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개방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문화예술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모두 조절효과가 발견되었으며, 개방성에 대한 조절효과는 문화예술학습활동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만 발견되었다.
        5,700원
        75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리만족권역은 2012년 농림축산식품부의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계획 수립의 시범지역이며 즐거운 교육을 품은 건강한 마을 만들기의 목표를 가지고 기능별 공간구상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권역은 대리와 호암리이며 쌀, 고구마, 고추, 율무 등이 산업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 기본적인 공간개발의 방향은 도농교류, 교육과 문화체험을 위한 시설을 배치하여 교육을 품은 건강한 마을만들기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 기초생활기반은 도농교류센터와 독거노인 공동홈조성, 지역소득증대는 농산물 저장고와 농촌유학센터, 지역경관개선은 진입로 개선, 안내판 설치, 쉼터조성, 둘레길 조성 등이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별 공간구상은 지역주민들에게 삶의 질을 높여줌과 동시에 지역자원을 활용할 경우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5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 리더십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이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지 살펴보고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 리더십이 교사의 자아효능과,직무만족도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세종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202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ANOVA와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경력, 자격의 개인배경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력에 따른 코칭 리더십의 인식의 차이와 초임교사의 교사 효능감의 차이가 있었다.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보수와 승진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고 4-6년차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칭 리더십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상관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800원
        75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learning using a web-based e-book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9 third-year nursing students (34 in the experimental and 35 in the control group) from a C-university in G-city, Korea, who were engaged in one-week clinical practicum in a gastroenterology ward. The data were analyzed by x²-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with the SPSS program 20.0. Results: After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t=-3.61, p<.001), knowledge achievement(t=-2.92, p<.001),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t=-8.78, p<.001) in the training course using Mosby's nursing skills. Conclusion: These results identified that clinical practice learning using Mosby’s Nursing Skills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 knowledg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an e-Learning needs to be continu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tool. Also, it is needed to research more for better ways to implement e-Learning on students’ practicum.
        4,600원
        75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야간 가로공간의 보행자 만족도에 미치는 물리적,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여 야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소재 가로수가 잘 조성된 주거지 주변의 대로를 중심으로 야간 보행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을 통하여 야간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물리적 요인으로 도로정비 요인과 조명환경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심리적 요인으로 범죄위협 요인과 야간 보행안전성 요인이 추출되었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요인이 야간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물리적 도로정비 요인은 야간 보행만족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요인인 범죄위협 요인과 물리적 요인인 조명환경 요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범죄예방환경설계의 방향과 일치하며 조명환경 요인을 개선함에 따라 범죄위협 요인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야간 보행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를 바탕으로 가로 공간의 설계 시 조명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배경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경관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다양한 설계 대안 제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