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22

        78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나래고사리의 기내 포자체 유묘를 이용한 효율적인 대량생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유묘의 엽신, 엽병, 근경을 곱게 다져 활성탄 0.1%를 첨가한 1/2MS배지에 배양한 결과, 근경의 절편에서만 포자체 유묘가 생산되었다. 곱게 다진 근경 절편은 1/2MS 배지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sucrose 농도를 2%로 조절하고 NaH2PO4 50 mgL−1을 첨가할 경우 포자체 재생이 더욱 촉진되었다. Kinetin과 BA를 단용 또는 NAA, IBA와 각각 혼용하여 배양한 결과, kinetin 1 μM 단용 처리구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다. BA 첨가구에서는 분열조직의 증식이 왕성 하였으나. 분열조직이 포자체로 분화되지 못하는 특징을 보였다. 변형 1/2MS 배지(sucrose 2%, NaH2PO4 50mgL−1, kinetin 1 μM, pH 5.8, agar 0.8%)에 활성탄 0 또는 0.1%를 첨가하여 고체, 액체 정체, 액체 진탕배양한 결과, 포자체 재생은 액체 진탕배양시 가장 왕성하였으며, 활 성탄의 첨가는 포자체 재생을 촉진하였다.
        4,000원
        78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Mushroom)은 분류학상으로 고등균류 중 진균류(Eu m y c e t e s ) 에 속하며, 대부분 담자균류 (Basiodiomycetes)에 속한다. 이러한 버섯은 독특한 맛과 향이 뛰어나 기호성이 높은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고, 당질, 단백질,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질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약리 작용 도 나타내므로 예로부터 전통식품 및 민간약의 제제로서 널 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항암활성, 면역증강 등의 효능 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이 용되고 있다. 표고버섯은 다당류에 의한 항암효과 및 항바이러스, 혈장 콜레스테롤 함량저하, 동맥경화, 고혈압, 등과 같은 성인병 치료 및 예방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표고버섯 추출물은 항 산화성,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세계 적으로 식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표고버섯(Lentinus edodes ) 자실체 추출물을 분석하 여, 성인병 예방 및 면역증강에 관련된 물질을 분석하였다. 항산화 실험은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방 법을 통하여 진행되어 ‘가을 수확’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 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천연 식품에 존재하는 영양성분 중 의 하나인 페놀류(polyphenol)는 항산화 역할을 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이를 Folin ciocalteu 방법을 통한 실험결과 에서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한편, 면역기능부분에서 는 β-glucan 함량 측정을 하였다. 다당류의 일종인 베타글 루칸은 인간의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 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 발하게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 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그 결과 ‘가을수확 동고자루’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고혈압 실험부분에서는 ACE 저해활성 측정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고혈압의 치료제 로 사용되는 ACE 억제제는 관상동맥질환과 심근경색의 발 생을 감소시키며, neyrohomonal effect 에 의해 혈관벽에 가 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줌으로써 심혈관계 질환에 효과를 나타낸다. ACE 저해활성 측정은 Cushman 과 Cheung 의 spectrophotometric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봄수확 동고갓’에서 비교적 높은 ACE 저해활성능 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혈전 실험은 혈전용해활성 을 이용하였다. 혈전용해활성은 Astrup 과 Mullertz 의 fibrin plate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봄수확 동고갓, 자루’에 서 가장 높은 혈전용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 당뇨 실험에서는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한 실험을 진 행하였다.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대부분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치료약물에 대한 연구는 당의 소화 및 흡수를 제어할 목적으로 전분분해효소 저해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에 따라 α-1,4 및 α-1,6 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 하는 효소인 α-amyloglucosidase를 이용해 버섯시료가 이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단당류의 소화흡수를 저해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을수확 동고자루’에서 가장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표고버섯이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효과 및 면역력증강, 혈장콜레스테롤 함량저하,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 치료 및 예방의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근거로 의약품 개발 및 건강기능성 식품에 응용을 한다면 그 부가가치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785.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파 과육부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 성분인 quercetin과 그 배당체를 다양한 착즙 및 추출방법에 따른 수율을 측정,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파과육의 quercetin과 배당체의 최적 추출 조건으로는 50oC에서 60% methanol를 용매로 사용했을 때 15분의 추출시간인 것으로 나왔으며 용매와 시료의 비율이 0.8 mL/g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았다. 초음파를 60분 동안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하여 2.06배의 추출 증가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microwave는 60초 조사 시에 최대의 추출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microwave를 처리하지 않은 시료와 비교하여 quercetin과 배당체가 2.14배 많이 추출되었다. 효소 처리 시 cellulase 용액과 시료의 비율이 0.5 mL/g일 때 quercetin과 배당체의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1.65 배 더 많이 추출되었고 viscozyme과 시료의 비율이 0.5 mL/g일 때 quercetin과 배당체의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추출증가율은 2.29 배인 것으로 나왔다. 가장 많은 quercetin과 배당체의 추출 수율을 보인 방법은 viscozyme과 시료의 비율이 0.5 mL/g일 때의 0.070±0.002 mg/g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8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진단할 수 있는 검정 키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소나무류에서 휘발되는 18 종류 휘발물질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유인력을 실험하였다. 실험 물질 중에 서 α-pinene, β-pinene 및 camphor가 하루 동안 절식시킨 증식형 소나무재선충 에 대해 유인효과가 있었으나, 절식하지 않은 증식형 소나무재선충에 대해서 는 유인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분산형 유충에 대해서는 절식여부와 관계없이 세 물질의 유인력이 높았다. 이들 세 물질로써 소나무재선충 감염 검정 키트 를 만들어 인공 용실과 감염목에서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유인력을 실험하였 다. 인공 용실에서 실험한 결과 휘발성 물질 처리 24시간 후 보다는 48시간 후의 유인력이 더 좋았고, 담체로서는 filter paper보다 cotton ball이 유인 효과 가 더 좋았다.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고사한 소나무에 휘발성물질을 처리 하여 유인력을 실험한 결과 8시간 후부터 소나무재선충이 유인 되었으며, camphor의 유인력이 가장 좋았다.
        787.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uminum sulfate administration on the brain tissues of old rats, when give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experiment attempted to further ascertain whether aluminum exposure cause Alzheimer's disease. Seventy-five aged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 control group, 2 ppm aluminum sulfate group, 20 ppm aluminum sulfate group, 40 ppm aluminum sulfate group, and 200 ppm aluminum sulfate group, and were kept on the respective diets for 12 wee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aluminum on the brain, serum aluminum concentrations, phospholipid composition, and catecholamine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aluminum-treated groups and the norma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serum aluminum was higher in the aluminum sulfate-treated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Within the cortex, catecholamine concentration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cerebellum and brainstem tissu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luminum sulfate-treated group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For phospholipid composition, phosphatidyl inosit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rase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ethanolamine, and phosphatidyl serin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luminum sulfate-treated groups versus the normal group. Based on the data, increased aluminum consumption in experimental animals causes increased serum aluminum levels and catecholamine variation. These phenomena are very similar to conditions of Alzherimer's disease. Therfor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further suggest that aluminum cause Alzherimer's disease, coinciding with reports that aluminum is a cause of neurofibrilly tangles in the brain.
        4,000원
        788.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temisia scoparia (A. scoparia), perennial herb is indigenous to Korea and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liver damag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essential oil obtained from A. scoparia on apoptosis of KB cells. Cytotoxicity and cellular DNA content were analyzed by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Hoechst 33258 staining. The caspase-3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proteins were estimated by Western blotting method. We found that the essential oil induced the apoptosis of the KB cells by concentrations of 0.4 to 0.2 mg/ml which was verified by DNA fragmentation, apoptotic bodies, and the sub-G0/G1 ratio. The essential oil also transient caspase-9 and caspase-3 activity and cleavage of PARP in KB cells for 24 h. The essential oil-induced apoptotic cell death was accompanied by up-regulation of Bax and down-regulation of Bcl-2. I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the essential oil of A. scoparia induces apoptosis in KB cells
        4,000원
        789.
        200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earch a new pig pheromonal odorant, the N1-allyl-N2-(tetrahydrofuran-2-ylmethyl)oxalamide molecule predicted by ligand based approach and molecular docking method was synthesized by nucleophilic addition-elimination reaction (AdNU-E) between N-allyloxalamic acid ethylester and tetrahydrofurylmethylamin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for efficiency of pig estrus control, the synthesized pig pheromonal N1-allyl-N2-(tetrahydrofuran-2- ylmethyl)oxalamide molecule advanced the estrus by 11.3 days (p<0.05) compared with the non-pheromone group. And from these results, it is predicted that the synthesized pig pheromonal compound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reproduction efficiency of pig.
        4,000원
        79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청색 인광 발광 물질인 bis(3,5-Difluoro-2-(2-pyridyl)phenyl-(2-carboxypyridyl) iridium (III) (Flrpic)과 녹색 인광 발광 물질인 fac-tris(2-phenypyridine) irdium(III) (Ir(ppy)3)와 적색 인광 발광 물질인 his(5-benzoyl-2-phenylpyridinato-C,N)iridium(III) (acetylacetonate) ((Bzppy)2Ir(acac))를 각각 적층하여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작하였고, 각각의 발광층 사이에 혼합된 스페이서인 4,4'-N,N'-dicarbazole-biphenyl (CBP):4,7-diphenyl-1,10-phenanthroline (BPhen)을 적층하여 그 때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최적화된 구조에서의 전력 효율은 0.014 mA/cm2에서의 19.7 lm/w를 나타내었으며, 0.127 mA/cm2에서의 11.5%의 외부 양자 효율을 나타내었고, 8 V에서 Commission Internationale do I'Eclairage (CIEx,y) coordinates (x=0.36, y=0.44)의 색좌표를 나타내었다.
        4,000원
        79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잔디의 최적 조직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들잔디 성숙종자로부터 재분화능이 높은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성죽종자의 소독은 30% (v/v) NaOCl 농도로 60분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낮은 오염율과 가장 높은 캘러스 유도 효율을 보였다. 옥신류의 혼용처리에 따른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은 2,4-D와 diacamba를 각각 3 mg/L로 혼용처리 하였을 때 가장 높은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79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odorous pollutants emitted from foodwaste treatment facilities for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in field of prevention. Twelve odorous components were analyzed at unit processes in 3 plants on May, August and October. The major odorous components appeared to be Ammonia (559.42 ppb), Acetaldehyde (229.70 ppb), Methylmercaptan (50.39 ppb) and Hydrogen sulfide (48.90 ppb). In the view-point of COC (Calculated Odor Concentration) based on odor threshold, A plant showed the highest value. The major odor active facilities were prevention > input > afterripening > fermentation > boundary > pretreatment. The major odor active components were Hydrogen sulfide, Methylmercaptan, Acetaldehyde and i-valeraldehyde. It is important that the findings on major odor active facilities and components should be referred in the design of odor treatment process to the specific plants.
        4,200원
        79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mineralized Freeze Dried Bone(DFDB) graft material have been used for reconstruction of large bony defects or augmentation of thin alveolar ridge during implantation of titanium fixtures. But at present osteogenic effect of DFDB do not overcome the capacity of autogenic bone graft. Thus many investigators had applicated various bioactive substance to DFDB to enhance the ability of osteogenesis of DFDB. In this study, mixture of grafting material was made from fibrin glue(F) and DFDB(D)(group 1: F+D), fibrin glue, DFDB and rhBMP-2(B) (group 2: F+D+B), fibrin glue, DFDB, polylactic- co-glycolic acid(PLGA)(P) and rhBMP-2(goup 3: F+D+B+P), fibrin glue, DFDB, PLGA, rhBMP-2 and autogenic osteoblasts( O)(group 4: F+D+B+P+O), and fibrin glue, DFDB, autogenic osteoblasts (group 5: F+D+O). During first surgical procedure, extraction of molar teeth was performed at male Biggle dog's mandible, and collected bone marrow tissue from tibia at same Biggle dog. Collected bone marrow tissue was cultured and differentiated into osteoblasts in vitro, and stored in nitrogen bottle. After four months, titanium fixture was implanted with prepared graft material to Biggle dog's mandible. After four and eight weeks respectively, experimental dog was sacrificed. Obtained tissues were prepared for examination by using resin embedded ground section method. Prepared sections were evaluated with transmitted and polarized microscope, and areas of osteoid and cacified bone were calculated with IPTK 5.0( image processing tool kit version 5.0). Resultant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13.0 softwar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utogenic osteoblats had more enhancing capacity of bone formation than rhBMP-2, but PLGA inhibited bone forming potential of bony tissue.
        4,300원
        797.
        2008.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work, pellet type sorbents were prepared to control the low level indoor carbon dioxide with various physical compositions. In order to enhance the adsorption capacity, a few additives including alkali hydroxides were added to a commercial zeolitic sorbent by impregnation of alkali cation - Ca2+ through physical mixing and ion exchange. It was found that the binding materials such as dextrin or bentonite facilitating to form the granular sorbents would assist the adsorption capacity of sorbents. The ion exchange was more efficient for impregnation of alkalies, which showed better adsorption of gaseous CO2.
        4,000원
        79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레드 톱 밴트그래스의 성숙종자로부터 최적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auxin으로는 2,4-D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2 mg/L의 2,4-D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배발생 캘러스가 유도되었다. 배발생 켈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0.5mg/L의 2,4-D와 2 mg/L의 BA가 첨가된 N6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64.4%의
        4,000원
        800.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ovide the research strategy for protection of children’s health from hazardous chemical, we reviewed the hazardous chemicals can be exposed through maternity, children's life style and living environment. Recently, diseases related with children’s living condition were focused as asthma, atopy, childhood developmental disability,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obesity. Children can be exposed to hazardous chemicals through an ambient air, water, soil, food, toys and other factors such as floor dust. Also children’s health was deeply related with a wrong life style and neglectful caring by a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harmful ones at parents and child care center’s nurser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the chemical risk factor of children’s health were identified as inorganic arsenic, bisphenol A, 2,4-D, dichlorvos, methylmercury, PCBs, pesticide, phthalates, PFOA/PFOS, vinyl chloride, et al. Domestic studies for identification of causality between children exposure to chemicals and resulted hazardous effects were not implemented. The confirmation of chemical risk factors through simultaneously performing toxicological analysis, human effect study, environmental/human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is needed for good risk management. And also, inter-agency collabor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can support confirming scientific evidence and good decision making.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