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3

        16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과 갈색부후균(Tyromyces palustirs)은 목조 문화재 및 건축물 등의 목재 조직의 건조, 부패와 균열, 스펀지화, 변색 등 다양한 손상을 발생시켜 구조적 또는 미학적인 관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해충인 흰개미 (Reticulitermes speratus Morimoto) 는 목조 건축물의 옥의 기둥이나 대들보 등의 표면을 얇게 남겨 두고, 내부는 격렬 히 먹어 들어가 공동화시켜, 결국은 속이 빈 기둥이 되어 건축물이 무너져버리는 피해를 줄 수 있다. 대표적 피해 미생물과 곤충인 두 종 의 부후균이 흰개미의 서식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후균이 만연된 곳에 흰개미를 넣어 공존의 가능성을 실험해 보았다. 페트리디쉬에 한 달간 두 종의 부후균을 배양한 후 각각 병정개미 5마리, 일개 미 45마리씩 넣고, 흰개미의 섭식을 위한 목재 시편을 넣었다. 일주일 간격으로 관 찰하여 총 12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여 총질량 감소, 실험 전, 후 목재 질량 감소를 측정하였다. 전반적인 총질량은 두 종류의 부후균에서 다 감소하였다. 목재의 질량은 백색부 후균에서는 모두 감소하였으나 갈색부후균에서는 오히려 질량이 증가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섭식량을 측정하기 위한 목재의 건조 후 질량에서는 갈색부 후균에 넣었던 목재의 질량 감소가 더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갈색 부후균이 목재를 더 부후시켜 습하게 만들어 흰개미 섭식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갈색부후균과 흰개미가 목조 건축물에 함께 피해를 줄 때 더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사료된다.
        16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제자유도시 제주의 친환경 소재 휴양복을 고찰해 봄으로써 앞으로 제주 의료관광 산업에서의 부가가치 및 수익 창출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의료관광 상품에 고품격 맞춤형 휴양복을 포함시킴으로써 관광객들이 제주에서 휴양복 착용의 쾌적한 체험을 하고 기념품으로 가져감으로써, 제주에 대한 좋은 인상과 추억을 갖게 된다면, 또다시 제주를 관광 목적지로 선택할 것이다. 잘 개발된 갈옷 휴양복은 다른 갈옷 상품과도 잘 매치될 수 있으므로 제주 문화상품 갈옷의 추가 구매 효과도 전망할 수 있다. 아울러 개발 휴양복의 사이즈 체계와 패턴 그레이딩을 구축을 통해 상품생산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한 지역 업체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 갈옷업체를 조사하여 애로사항 및 개선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제주 의료관광을 위한 갈천 소재 휴양복을 정의하고 문헌 몇 시장조사, 디자인 논의 등의 결과를 반영하여 타당성 있는 대표 디자인을 선정하였다. 셋째, 생산표준화를 위한 상품제작 사이즈체계를 정립하고 패턴그레이딩을 구축하여 제안하였다.
        4,000원
        167.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for our society is providing powerful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devices.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and fuel cells are among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in terms of energy and power density. As the starting material, TiCl4·YCl3 solution and dispersing agent (HCP) were mixed and synthesized using ammonia as the precipitation agent, in order to prepare the nano size Y doped spherical TiO2 precursor. Then, the Li4Ti5O12 was synthesized using solid state reaction method through the stoichiometric mixture of Y doped spherical TiO2 precursor and LiOH. The Ti mole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he spherical particle size due to the addition of HPC with a similar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a well in which Li4Ti5O12 spherical particles could be obtained. The optimal synthesis conditions and the molar ratio of the Ti 0.05 mol reaction at 50˚C for 30 minutes and at 850˚C for 6 hours heat treatment time were optimized. Li4Ti5O12 was prepared by the above conditions as a working electrode after generating the Coin cell; then,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when the voltage range of 1.5V was flat, the initial capacity was 141 mAh/g, and cycle retention rate was 86%; also, redox reactions between 1.5 and 1.7V, which arose from the insertion and deintercalation of 0.005 mole of Y doping is not a case of doping because the C-rate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better.
        4,000원
        16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경재배시 산호수 생육과 개화를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질소농도 및 공급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질소농도가 120, 150, 180, 210mg·L-1로 조성된 양액을 1년생과 2년생 Ardisia pusilla에 휴면기(10월~3월) 제외한 기간 급액(ED; except dormancy), 생육 전기간 급액(TG; total growth)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묘령 및 급액기간에 따른 생육을 비교한 결과 1년생 묘는 급액기간에 관계없이 질소농도 150mg·L-1 이상 처리구에서 우수하였다. 2년생묘는 TG기간 동안 급액한 처리구가 ED기간을 제외하고 급액한 처리구들보다 대체적으로의 생육이 훨씬 우수하였으며, 특히 TG-150mg·L-1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개화 후 엽의 무기성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묘령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양액내 질소농도가 증가할수록 T-N의 함량은 높아지고 K, Ca, Mg, P의 함량은 약간 낮아지거나 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1년생 ED-210 처리구는 모든 처리구 중 Ca와 Mg 함량은 가장 높은 반면 K와 P의 함량은 가장 낮았으며 개화수도 적었다. 즉, 질소농도가 210mg·L-1 이상으로 조성되면 오히려 생육이나 개화수가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1년생 산호수는 생장 및 개화를 위해 TG-150으로 처리하고, 2년생 묘는 TG-180이 수경재배시 적정한 급액시기 및 질소농도로 판단된다.
        4,000원
        17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uillain-Barré syndrome (GBS) is the most common cause of acute flaccid paralysis and autoimmune polyradiculoneuropathy. Campylobacter jejuni is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infectious trigger for GBS. A sialic-acid containing lipopolysaccharide (LPS) of Campylobacter is thought to be involved in the triggering of GBS. The galE (UDPgalactoset- epimerase) gene of Campylobacter spp. i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LPS. In this study, we detected the galE gene in Campylobacter spp. responsible for triggering the onset of GBS. The PCR assay detected the presence of the gene in 14 of the 25 (56%) Campylobacter isolates from domestic chicken, 20 of the 28 (71.4%) Campylobacter isolates from imported chicken and 50 of the 51 (98%) Campylobacter isolates from human clinical samples. Also, the specific 497-bp region of galE sequence in Campylobacters responsible for triggering the onset of GBS was amplified from GBS patient. These results could provide evidence of the first GBS-related C. jejuni infection in Korea.
        4,000원
        172.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세신(Asarum sieboldii)은 쥐방울과(Aristoloch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민족두리풀(Asarum heterotropoides F. Maekawa var. mandshuricum F. Maekawa) 또는 족두리풀(Asarum sieboldii var. seoulensis)의 뿌리를 약용으로 한다. 세신의 성분으로는 methyleugenol, cineol, safrole, limonene, eucarvone (azulene), elemicin, kakuol, 1,8-cineol, γ-asarone, asarylketone 등을 함유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세신의 추출물은 해열, 진정, 진통, 항염증, 항균작용 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 목조문화재 가해 및 저장해충으로 알려진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 Fabicius)는 크기가 작고 방제가 매우 어려운 해충으로 알려져있다. 목조문화재는 특성상 직접 약제처리를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권연벌레를 방제하기 위하여 주로 훈증처리를 통한 방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권연벌레의 방제법의 일환으로서 활용하고자 세신의 메탄올추출물과 디클로로메탄추출물을 이용하여 훈증처리와 기피 실험을 통하여 권연벌레에 대한 세신의 살충활성과 기피효과를 알아보았다. 각각 원액을 포함한 추출물을 농도를 달리하기 위하여 70% 에탄올로 희석시킨 후 0.3g/ml부터 0.1g/ml씩 더 농도를 높게 하여 추출물 원액까지 8개 농도로 훈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0%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농도가 에탄올 추출물은 0.8g/ml로 나타났으며,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은 0.4g/ml로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세신의 주요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이 디클로로메탄 용매에 많이 용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세신의 기피효과 실험에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173.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질 문화재 보존 천연 살생물제 개발을 위한 후보물질 조사를 위해 국내에 자생하는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열매의 메탄올 조추출물 및 분획물을 대상으로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 성충에 대한 살충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조추출물은 극성 차이를 이용하여 n-hexane(Hex), dichloromethane(MC), ethylacetate(EA)로 순차적으로 분획되었으며, 농도별로 24시간동안 접촉 및 훈증 방법에 의해 쌀바구미의 치사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황벽나무 열매의 EA 분획물에서 쌀바구미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조추출물 및 Hex, MC 분획물에서는 낮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의 농도에서 조추출물, Hex, MC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이 각각 19.6%, 12.4%, 22.5%로 약하게 나타난 반면, EA 분획물은 62.8%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황벽나무 열매 EA 분획물은 쌀바구미에 대한 살충활성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물질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야기되는 생물학적 열화에 대한 유기질 문화재 보존 천연 살생물제 개발을 위한 후보물질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74.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lucidate the effects of an obesity control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id levels, 31 obese elementary students (male: 25, female: 6) residing in the Gyeonggi area were evaluated and their body composition,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G (triglyceride) were analyzed.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body mass index) were 11.52±1.00 yrs, 151.96±8.04 cm, 68.21±9.03 kg and 29.40±1.79 kg/m2 for the males, respectively, and 11.17±1.17 yrs, 147.83±5.15 cm, 65.05±10.86 kg and 29.62±3.24 kg/m2 for the females,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BMI for males (p〈0.001) and females (p〈0.05).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hanges in all of the biochemical level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Specifically, th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G level decreased after the obesity control program, while the HDL-cholesterol level increased after the progra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besity control programs do change the BMI,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G levels in obese elementary students. Thus, obesity control programs are urgently needed to prevent degenerative disease and decrease obesity among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4,000원
        17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며, 동아시아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섬개개비(Locustella pleskei)는 한국의 추자도, 마라도, 칠발도, 홍도 등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구체적인 번식 정보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마라도(N 33˚ 06', E 126˚ 16')에 번식하는 섬개개비의 번식 현황과 번식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섬개개비 총 11쌍이 번식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번식하는 둥지는 곰솔숲의 관목층에 주로 분포하였다. 둥지는 곰솔숲의 관목층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와 돈나무(Pittosporum tobira) 등 관목성 나무를 둥지목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지목의 수고는 2.77±1.10m, 지면으로부터 둥지의 높이는 1.75±0.56m였으며, 둥지목의 수고는 다른 주변의 나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마라도의 강한 해풍을 피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로 억새잎이나 사초과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밥그릇 형태의 둥지를 만들었으며, 둥지의 지름은 11.9±0.5cm, 높이는 11.1±1.1cm, 깊이는 5.8±0.4cm로 나타났으며, 산좌지름은 6.0cm였다. 마라도에서 섬개개비는 다른 섬지역보다 번식시기가 다소 늦었으며, 한배산란수는 3개로서 보통 다른 번식지의 4-5개보다 작았다. 이는 번식시기가 늦어질수록 한배산란수가 적어지는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마라도 곰솔숲의 솎아베기와 관목층 제거는 밀집된 관목층을 둥지로 선호하는 섬개개비의 번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섬개개비 번식 생태 및 서식지에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요구되며, 숲가꾸기 수행에 있어서도 섬개개비의 보전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4,000원
        17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onsumer recognition with regard to the safety management for imported food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rgram on consumer education, the program was practiced for 89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n instruction with materials on imported food safety, including the safety management of imported foods and their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achieved a greater understanding of imported foods. In particular, they had firmly grasped the importance of expiration date in selecting imported foods. Before the instruction, 50.6% of total participants blamed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problems arising from imported foods; only 18.0% placed the blame on individuals or businesses importing from foreign countries. After the instruction, 39.3% had blamed the individuals or businesses importing from foreign countries. Furthermore, 36.0% had disapproved of the foods that are imported from China before the instruction, while 32.6% found objectionable the views on the illegally distributed foods; 29.2% criticized the junk foods that target children (after the instruc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participant satisfaction via-a-vis imported foods safety supervision had improved from 2.76 ± 1.59(before the instruction) to 3.37 ± 1.58(after the instru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are concerned with the imported foods that contain adulterated or forbidden substances and the illegally distributed foods from foreign countries. Thus, consistent and informative educational programs on imported food safety could help consumers in choosing safer products, resulting in an improvement in the consumer confidence with respect to imported foods.
        4,000원
        17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crylamide in various food samples in Korea were monitored during the period beginning August 2006 through May 2007. A total of 471 food products that were purchased at local markets were categorized into 17 groups and analyzed for the acrylamide content by using an LC-MS/MS method. Food samples that were selected based on special consideration such as expert consultation, Korean food consumption data and food market shares wer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There are very large variations in acrylamide levels within tested foods. Acrylamide content ranged from ND(not detected) to 4,002 μg/kg with all tested samples. Acrylamide levels are relatively high in ‘cereal’, ‘coffee’, ‘potato snacks’, ‘biscuit’, ‘chocolate’, and ‘prune juice’. Acrylamide was also detected in fruits, vegetables, Korean traditional cookies which are considered as safe for acrylamide.
        17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cope with risk issues of overseas on 4,4'-diaminodiphenylmethane (4,4'-MDA) known to used in the production of polyamide resins, we investigated on 4,4'-MDA migration from plastic cooking utensils. 93 samples of plastic cooking utensils were collected from the retail markets in 7 major cities of Korea during March to June, 2007 and 4,4'-MDA levels migrated to food simulants, water, 4% acetic acid, 20% ethanol and n-heptane, on plastic cooking utensils was quantified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4,4'- MDA was detected in 14 samples, and the levels of 4,4'-MDA migrated to food simulants were in the range of 0.001 ~ 0.026 ppm. Among them, the 4,4'-MDA migration amounts of 2 samples were above 0.01 ppm defined by the EU.
        4,000원
        180.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영재아를 위한 어머니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외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영재부모 양육 방식을 정리해서 분류해 보았다. 또한 이를 가지고 한국과학영재학교에 재학 중인 9명 학생들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자녀 양육 사례에 적용하여 한국적 맥락 안에서의 영재교육과 관련된 부모 역할 동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의 데이터는 사전에 준비한 질문과 질적 데이터 수집에 사용되는 반구조화된 인터뷰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서 영재 부모의 다양한 역할을 크게 교육자, 후원자, 대화자, 훈육자로서의 부모로 분류하는 틀을 개발 하였다. 이를 가지고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인터뷰 대상자들의 역할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영재 부모 역할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다만 사례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에서는 특별히 어머니가 자녀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경우와 학령기 전에 문자 습득의 과정이 부모의 영향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형제자매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조절해 주는 부모 역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