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683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vironmental DNA (eDNA) has emerged as a promising tool for aquatic biodiversity monitoring, yet its collection in lentic ecosystems remains technically constrained by filtration capacity and field logistics. In this study, we applied a novel eDNA concentration system, QuickConcTM, to evaluate freshwater mussel diversity in lakes, and compared its performance with the conventional GF/F filtration metho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reservoirs at surface, mid, bottom, and waterside layers, and processed using both filtration techniques. Metabarcoding of mitochondrial 16S rDNA revealed that QuickConcTM captured a higher average number of amplicon sequence variants (ASVs) and exhibited greater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indices (Shannon and Simpson),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QuickConcTM samples showed a greater capacity to detect rare taxa and to recover higher ASV richness in certain cases, suggesting its potential to enhance biodiversity resolution. Species composition remained consistent across methods, with Cristaria plicata and Sinanodonta lauta being dominant in both cases. However, slight spatial variations in species assemblages were observed between center and waterside sampling points, highlighting the influence of habitat heterogeneity on eDNA distribution. Overall,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QuickConcTM system offers a practical and efficient alternative to traditional filtration methods for eDNA-based freshwater mussel monitoring, particularly in environments with high suspended solids. The findings underline the need for adaptive sampling strategies that consider both method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when designing eDNA surveys in lentic ecosystems.
        4,000원
        2.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팔공산국립공원 칠곡 가산산성내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지속적인 관리와 보호 에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진행되었다. 칠곡 가산산성은 팔공산국립공원 내 위치한 문화유산이며, 국립공원 용도지 구 구분에 따라 공원자연보존지구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칠곡 가산산성 내 96개 조사구에 대한 식물군집구조 분석 결과, TWINSPAN과 DCA 분석을 통해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Ⅰ), 소나무군락(Ⅱ), 서어나 무-소나무군락(Ⅲ), 소나무-서어나무군락(Ⅳ), 물푸레나무-고로쇠나무군락(Ⅴ), 물푸레나무-물오리나무군락(Ⅵ), 아까 시나무-밤나무군락(Ⅶ), 느티나무-낙엽활엽수군락(Ⅷ)의 총 8개 군락으로 나뉘었다. 이는 조림수종인 아까시나무, 밤나 무, 물오리나무가 우점하는 인공림 군락(Ⅵ, Ⅶ)과 자생수종이 우점하는 자연림 군락(Ⅰ, Ⅱ, Ⅲ, Ⅳ, Ⅴ, Ⅷ)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공림은 관리를 통해 기후적 특성에 맞는 자연림으로의 천이 유도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통해 국립공원 자연자원 보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칠곡 가산산성을 중심으 로 수행하였기에 팔공산국립공원 전체 지역의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팔공산국립공원 전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500원
        3.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fish assemblages according to lake size (small, medium, large) based on fish survey data from 90 lakes designated under the National Aquatic Ecosystem Health Monitoring Program in Korea. From surveys conducted between 2022 and 2024, a total of 107 fish species belonging to 32 families were recorded. The dominant species was the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relative abundance [RA]: 21.2%), followed by Hemiculter eigenmanni as the subdominant species (RA: 13.6%).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lake siz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eight ecological indicators including species richness, abundance, diversity, evenness, richness, dominance, number of endemic species, and number of exotic species according to lake size. These indicators tended to increase with lake size. While this pattern may be initially attributed to positive factors associated with larger lakes, such as greater habitat heterogeneity and food resource diversity, it is considered that the primary factor influencing these results is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ampling sites per lake. Since sampling sites were designated based on the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ey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of each lake’s environmental conditions. Bray-Curtis similarity and SIMPER analyses identified patterns in assemblage similarity and the key contributing species for each size group.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lake size on fish assemblage composition and structure and highlights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lake size and typology into fish-based assessments of lentic ecosystem health.
        4,000원
        4.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부산대학교 천문대(Pusan National University Observatory; PNUO)의 0.5m 망원경을 이용해 외 계행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항성 TOI-3653의 식현상을 관측한 결과를 제시한다. 관측은 협정세계시(UT) 기준 2 02 4 년 8월 12일 15시 2 8분부터 2 .2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수집한 관측 데이터를 전처리한 뒤 TOI-3653의 주변 비교성 을 사용하여 비교 측광함으로써 광도 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얻은 광도 곡선을 EXOFAST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형 맞추기한 결과, 우리가 관측한 식현상에서 약 1.7%의 감광이 발생했으며 이를 통해 모형 의존성이 존재하나 TOI- 3653이 목성의 3.15배 크기의 외계행성인 TOI-3653 b을 지니고 있다고 통계적으로 유의미( 2 = 1.08)하게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본 결과는 PNUO 0.5 m 망원경이 외계행성 식현상에 따른 미세한 광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외계행성 연구에 유용한 관측 장비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5.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s in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across 90 lakes in South Korea surveyed 2022 to 2024, and examined their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Over the course of four seasons, a total of 952 phyt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with Bacillariophyta (diatoms) and Chlorophyta (green algae) accounting for 64.2% of the total species richness. Diatom species such as Aulacoseira granulata, Fragilaria crotonensis, and Cyclotella meneghiniana were frequently observed regardless of season. In terms of cell density, Cyanophyta were dominant, comprising 85.1% on average, with particularly high summer densities driven by blooms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Aphanizomenon sp. In contrast, diatoms accounted for the highest relative abundance in winter (54.1%).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revealed that Cyanophyta and Chlorophyta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TP, COD, and Chl-a, whereas Bacillariophyta and Cryptophyta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se variab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Korean lakes are highly responsive to variations in temperature and nutrient concentrations, and that summer rainfall-driven nutrient inflow plays a critical role in triggering cyanobacterial blooms. This study provides a scientific basis for understanding seasonal ecosystem dynamics in Korean lakes and offers foundational data for eutrophication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indices.
        4,300원
        6.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kes and reservoirs represent key freshwater ecosystems that host diverse aquatic organisms and perform essential functions such as water cycling, nutrient retention, and ecosystem service provision. Due to their semi-closed hydrological structure and limited inflow-outflow dynamics, lakes exhibit complex biological communities shaped by regional climate, topography, and land use. However, these ecosystems are increasingly exposed to multifactorial stressors-including climate change, urbanization, nutrient enrichment, and invasive species-that are causing significant structural and functional shifts in aquatic biodiversity. This review provides an integrative overview of (1) the structur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ke ecosystems and the primary drivers of biodiversity alteration, (2) the ecological functions and bioindicator potential of key organism groups including phytoplankton, zooplankton, aquatic macrophyte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and (3) the emerging role of environ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in lake biodiversity monitoring. We highlight both the technical principles and challenges of eDNA analysis and discuss its potential to complement traditional survey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Positioned at the forefront of the 2025 special issue of Ecology and Environment, this article establishes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 for a national-scale freshwater biodiversity monitoring framework in Korean lakes.
        4,000원
        8.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불화화합물(PFAS)은 높은 화학적⋅열적 안정성으로 인해 환경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축적되며, 생식 독성, 내분비계 장애 등 다양한 유해성을 나타내 글로벌 규제의 중심에 있다. 특히 반도체 제조 산업은 PFAS 계열 화학물질을 공정 중 직접 사용하거나 부산물 형태로 배출하고 있어, 이들 물질의 배출 현황과 특성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 가능한 PFAS의 배출 경로를 공정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도체 공정 중 PFAS의 사용 및 유출 가능성이 높은 포토 공정, 습식 화학 공정, 건식 화학 공정을 구분하여 각 단계에서 PFAS가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고 어떤 경로로 배출되는지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포토 공정에서는 포토레지스트에 포함된 광산발생제를 통해 PFAS가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식 공정에서는 식각 및 세정 단계에서 PFAS 계면활성제가 폐수로 유입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건식 공정에서는 불소계 가스 및 리간드(Ligand) 물질이 간접적인 PFAS 발생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공정 내 화학적 분해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PFAS 유사물질의 배출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PFAS 배출 특성을 공정 구조와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PFAS 저감 기술 개발 및 규제 대응을 위한 기술적⋅제도적 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9.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ermination rate,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sprouted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wheat (Triticum aestivum L.) sprouts depending on cultivar and growth duration. Four cultivars Keunalbori1ho, Saekeumkang, Arijinheuk, and Jokyoung were tested under hydroponic and nutrient solution conditions. The germin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under hydroponic conditions compared to nutrient solution treatment. Sprouts were harvested at 0, 4, 6, and 8 days for subsequent analysis. Chemical compositions, such as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ether extract (EE), and crude ash (CA), were analyzed following AOAC (2005) protocols, whil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Van Soest et al. (1991). In vitro digestibility was assessed by incubating ground samples with rumen buffer in DaisyII incubators for 48 h. At day 6 of growth, Keunalbori1ho showed the highest NDF and ADF concentrations (48.6% and 26.2%), reflecting its high structural fiber and the lowest digestibility (IVDMD 52.2%, IVNDFD 37.2%). However, it maintained consistent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cross all growth stages, suggesting potential as a stable forage source. In contrast, Saekeumkang exhibited the highest IVNDFD (59.1%) along with relatively low NDF (30.5%) and ADF (16.7%) values (p<0.05), indicating superior digestibility likely attributed to a simpler cell wall structure and higher NFC availability. Notably, digestibility sharply declined by day 8, implying that the optimal harvest window lies around day 6.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ultivars Keunalbori1ho and Saekeumkang possess complementary strengths in term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optimizing cultivar selection and harvest timing to enhance the potential of cereal sprouts as high quality forage.
        4,000원
        10.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안군 연안에 서식하는 닻무늬길앞잡이를 대상으로 4년간(2015~2018)의 정밀 모니터링과 2년의 추가 현장조사(2023~2024)를 수행하였 다. 조사 결과 관찰된 닻무늬길앞잡이는 2015년 27개체 2016년 49개체, 2017년 107개체, 2018년 169개체로 매년 꾸준히 증가되었으며, 7월 중순 에서 8월 초에 집중해서 관찰되었다. 또한,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를 제외한 11시부터 4시까지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 해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모니터링 결과와 2023년부터 2024년 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들을 종합하며 이들의 보전 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1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ellinus linteus, a medicinal mushroom with potent antioxidant properties, contains bioactive compounds, such as polyphenols and flavonoids. To optimize the extraction of skin-whitening compounds,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combined with statistically based optimization was used to simultaneously extract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and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TAI). Extraction variables, including extraction time (X1:4.8 ~ 55.2 min), extraction temperature (X2:26.4 ~ 93.6oC), and ethanol concentration (X3:13.0 ~ 97.0%), were varied in 17 experimental cycles based on a central composite design. Quadratic regression models for TPC, RSA, and TAI had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greater than 0.92, demonstrating well-fitted model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at all three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extraction efficiency (p < 0.0041), with ethanol concentration (X3) having the most pronounced effect.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were 80.0 min, 82.5oC, and 64.8% ethanol, yielding predicted values of 6.42 mg GAE/g DM for TPC, 73.71% for RSA, and 85.04% for TAI.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moderate ethanol concentration combined with adequate thermal input maximizes the extraction of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specifically associated with skin-whitening effects.
        4,000원
        12.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a novel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vulnerabilities of autonomous vehicles (AVs) across diverse operational design domains (ODDs) related to roa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ategorized by the level of service (LO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primarily focused on the technical performance of AVs, this study addressed the gap in understanding the impact of dynamic ODDs on driving safety under real-world traffic condition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conducted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experiment on the Sangam autonomous mobility testbed in Seoul. This study systematically evaluated the driving vulnerability of AVs under various traffic conditions (LOSs A–E) across multiple ODD types, including signalized intersections, unsignalized intersections, roundabouts, and pedestrian crossings.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employed to quantify the discriminatory power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s the traffic volume was changed by ODD. Furthermore, an autonomous driving vulnerability score (ADVS) was proposed to conduct sensitivity analyses of the vulnerability of each ODD to autonomous driv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different ODDs exhibit varying levels of sensitivity to autonomous driving vulnerabilities owing to changes in traffic volume. As the LOS deteriorates, driving vulnerability significantly increases for AV–bicycle interactions and AV right turns at both signalized and unsignalized intersection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for developing scenarios and evaluation systems to assess the driving capabilities of AVs.
        4,500원
        13.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pid increase in global meat consumption, driven by population growth and economic development, has intensified concern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protein supply. Moreover, conventional livestock produc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further underscoring the need for alternative protein sources. Alternative proteins, including those derived from plants, mycelium, and insects, as well as cultured meat, offer sustainable and nutritionally viable substitutes for traditional animal-based proteins. Among these, mushroom-based alternative proteins demonstrate exceptional environmental, nutritional, and functional advantages. In particular, mushroom-derived proteins can closely replicate meatlike tastes and textures, positioning them as promising candidates in the rapidly growing alternative protein market. In this review, we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recent advancements in the production of mushroom-based alternative protein, focusing specifically on mycelium cultivation techniques, edible mushroom applications, and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s. Furthermore, we evaluat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bioactive compounds, and associated health benefits, along with economic feasibility and consumer acceptance, all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We extensively discuss technological innovations aimed at optimizing texture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Finally, we propose concrete policy recommendations for fostering sustainable growth in the alternative protein industry, emphasizing regulatory frameworks, research investments, and consumer education strategies.
        4,800원
        14.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3.3 × 1016 Bq의 세슘(Cs)이 환경에 노출되면서, 수원으로부터 방사성 세슘 (Cs)을 제거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환경 안전 측면에서 오염된 환경을 복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유해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분리막 기반의 분리/정제 기술은 매우 각광받는 기술 중 하나 이다. 특히 막 흡착(membrane adsorber) 기술은 흡착과 막 분리를 결합할 수 있는 기술로 수용액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특히 전기방사 분리막은 높은 기공률, 다양한 고분자 활용가능 그리고 다양한 응용 분야 등의 특징 으로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본 리뷰 논문은 오염된 물에서 세슘을 제거하기 위한 프러시안 블루 (Prussian blue)가 포함된 전기방사 기반 막 흡착 소재 제조에 대한 다양한 기술을 리뷰하였다.
        4,300원
        15.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바이오차를 혼입한 콘크리트를 구조용 재료로 활용할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보강근의 종류에 따른 부착 성능 차이를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직접 인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변수로는 콘크리트의 종류(일반/바이오차), 보강근의 종류(철근/GFRP), 보강근 직경(D13/D16)을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 철근을 적용한 실험체에서는 바이오차 혼입이 부착강도 저 하를 유발하였으며, 특히 D13 보강근에서 약 30%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반면, GFRP 보강근을 적용한 실험체에서는 바이오차 콘크리 트를 적용한 경우 부착성능이 소폭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보강근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최대 인발하중 및 평균 부착강도가 증가하는 양상이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GFRP 보강근과 바이오차 콘크리트의 조합이 기계적 결합력 증대를 통해 긍정적인 구조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지속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7.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략으로 해상풍력발전이 주목받고 있 으며, 한국 정부도 이를 국가 에너지 정책의 핵심 축으로 삼아 대규모 확대를 추진 중이다. 그러나 해상풍력은 어업, 환경, 지역사회 등 다양한 해양 이용 주 체들과의 이해 충돌 속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갈등은 사업 지연 또는 무산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상풍력 발전과 관련된 법 적·사회적 갈등 중에서도 어업손실 보상제도에 초점을 맞추어 현행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제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의 어업손실 보상제도는 법적 근거가 미흡하고 보상 대상 범위 가 제한적이며, 손실 산정 기준 역시 현실과 괴리가 크다는 문제가 확인되었다. 특히 민간사업자의 경우 법적 보상 협의 의무가 명확하지 않아 사업자와 어민 간 갈등이 장기화되고 있다. 해외 주요국 사례(영국, 대만, 덴마크)를 분석한 결 과 이들 국가는 제도화된 협의 절차, 어민 참여형 평가 시스템, 정교한 피해 산정 기준을 통해 갈등을 최소화하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해상풍력 어업손실 보상제도의 법제화, 현실적 산정 기준 마련, 어업 증빙을 위한 정보화 기반 구축을 핵심 과제로 제안한다. 이는 단순한 보 상을 넘어 지역사회와의 상생과 지속가능한 해상풍력 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 반이 될 수 있다.
        6,700원
        18.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4년 3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충주호 상류에서 채집된 대농갱이(Leiocassis ussuriensis) 274개체의 척추골을 이용하여 연령과 성장을 분석하였다. 대농갱이의 연령은 척추골에 형성된 윤문을 통해 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척추골는 연령 측정에 적합한 자료로 판단되었다. 척추골에는 매년 4월에 1회 성장륜이 형성되었으며, 산란기는 5월부터 7월, 초륜은 약 10개월(0.83년)이 지난 시점에 형성되었다. 척추골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암컷과 수컷 간의 전장의 성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척추골을 기준으로 전장(TL)에 대해 추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