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66

        1.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inach (Spinacia oleracea L.) is a widely consumed leafy green vegetable known for its rich content of vitamins, minerals, and bioactive compounds with nutraceutical potential. This study analyzed the flavonoid content in three regionally cultivated Korean spinach varieties—Seomcho, Pohangcho, and Bomulcho—in both raw and blanched samples using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UPLC-DAD-QTOF/MS). A total of 18 flavonoids wer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ncluding flavonol glycosides (spinacetin, patuletin, jaceidin, axillarin) and a flavone glycoside (6:7-methylenedioxyflavone). Notably, acylated compounds such as coumaric acid and ferulic acid were observed among the spinach flavonoid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ranged from 1,112.03 to 1,368.39 mg/100 g of dry weight in the raw spinach samples, with no significant changes noted after blanching. In Seomcho, the predominant flavonoids were patuletin 3-O-(2''-O-apiosyl)gentiobioside and spinacetin 3-O-(2''-O-apiosyl)gentiobioside, while Pohangcho featured spinacetin 3-O-gentiobioside and Bomulcho highlighted axillarin 4'O-glucuronide as the major compounds. These findings provide a comprehensive profile of flavonoids in Korean spinach, reveal regional differences, and suggest their potential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4,200원
        9.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화동 에칭 공정에서 발생한 철염 폐수를 전구체로 활용하여 마그네타이트(Fe3O4)를 합성하고, 이를 인산염 흡착 및 회수에 적용하였다. 합성 조건 최적화를 위하여 Box–Behnken Design를 적용한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활용하여 회귀모델을 구축하였다. 모델을 통해서 도출한 최적 합성 조건은 Fe3+/Fe2+ 비율 1.7, NaOH 농도 0.7 N, 숙성 시간 86.3분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조건에서 합성된 마그네타이트는 10.9 mg-P g-1 마그네타이트의 인산염 흡착 용량을 나타내었다. 기기 분석 결과, 최적화된 마그네타이트는 고순도 결정 구조와 초상자성 특성을 나타냈으며, 비표면적과 반응성이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속 회분식 반응조(Sequencing Batch Reactor, SBR)에 적용한 결과, 5회 반복 흡착–탈착 동안 평균 인산염 회수율은 46.6%로 나타났다. 유입 인산염 농도가 200 mg-P L-1의 고농도 조건에서도 회수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마그네타이트가 인산염 흡착제로서의 활용 가능성과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4,000원
        10.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in Ungseokbong County Park,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was surveyed 11 times from April 2023 to September 2024. The surveys revealed 461 taxa, comprising 101 families, 288 genera, 417 species, 11 subspecies, 30 varieties, and three forms. Of these, two taxa were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six taxa as rare plants, and 19 taxa as Korean endemic plants. The study also documented a total of 69 taxa as floristic regional plants, specifically two taxa of grade V, five taxa of grade IV, 11 taxa of grade III, 18 taxa of grade II, and 33 taxa of grade I. Furthermore, six taxa were identified as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comprising two northern species and four southern species. Forty-four taxa of alien plants and four taxa of ecosystem-disturbing plants were also found in this area. This study, based on reference specimens, provides fundamental data on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plants in Ungseokbong County Park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resourc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lant resources.
        4,900원
        11.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변혁적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과 자기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 및 고용 형태의 조 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5년 2월 1일부 터 2월 28일까지 국내 직장인 약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와 조사원을 통해 총 348건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첫째, 변혁적리더십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과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매개변수로 작용하였다. 둘째, 고용 형태에 따라 변혁적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로 조절 효과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이 구성원을 존중하고 성장하도록 지원할 때,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과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을 증진하는 핵심 매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내재적 동기를 촉진하는 조직문화 가 인적자원관리 전략 수립에 있어 실질적인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시사 한다. 또한 고용 형태 변수를 고려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와 조직 실무 모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8,100원
        12.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상남도 학교숲 53개교를 대상으로 학교 수목 현황을 파악하고, 유형별로 분류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수목 조사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하였으며, 학교 면적, 녹지 면적, 학생 수, 교목·교화 등 일반적인 현황을 함께 파악하였 다. 학교 종류별로 구분하였을 때, 중학교가 평균 종 수를 제외하고 초등학교, 고등학교보다 평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더 많았다. 소재지별로는 도시학교가 평균 종 수를 제외하고, 평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비도시학교보다 낮았다. 설립 유형별로는 사립학교가 공립학교에 비해 모든 녹지 관련 지표에서 높게 나타났다. 성상별 비교 결과, 낙엽활엽교목이 다른 성상에 비해 가장 많은 종 수를 보였으며, 향나무 '가이즈카', 동백나무, 영산홍, 은행나무, 배롱나무, 무궁화, 등이 성상별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53개교 전체에 대한 종다양도 평균은 2.33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도시학교, 사립학교가 타 유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상남도 학교숲 조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
        4,500원
        13.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벼메뚜기 탈지 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적인 은나노입자(AgNPs)의 생합성 가능성을 확인하고, 합 성된 AgNPs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 다. AgNPs의 형성은 용액 색상 변화와 함께, 448 nm 부 근에서 특유의 표면 플라스몬 공명 흡광 피크가 관찰된 UV-Vis 스펙트럼을 통해 확인되었다. DLS 및 zeta potential 분석 결과, 평균 입자 크기는 98.4±0.9 nm, zeta potential은 -22.8±0.5 mV로 안정적인 분산 특성을 나타냈다. TEM 및 HR-XRD 분석을 통해 구형의 결정성 입자가 관찰되었 고, FT-IR 결과에서는 단백질 유래 작용기가 AgNPs의 환 원 및 안정화에 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 활성은 disk diffusion assay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합성된 AgNPs는 S. Typhimurium, E. coli, S. aureus, B. cereus를 포함한 4종 식중독균에 대해 유의미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 과는 벼메뚜기 탈지 추출물이 AgNPs의 생합성 소재로 활 용 가능함을 시사하며, 향후 식품안전 응용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4,000원
        14.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24년까지 발생한 수도관 파손 사례 29건(DCIP 16건, SP 13건)을 직접 조사하여 파손의 원인을 규명하였다. DCIP의 파손 유형은 주로 종방향 균열 또는 파손(62.5%, 10건)이었고, 그외 파손 유형으로는 홀(Hole) 발생(18.8%), 원주방향 균열 (12.5%), 접합부 부식으로 인한 누수(6.3%)이었다. SP는 5건의 홀 발생(38.5%), 그외 종방향 균열과 원주방향 균열은 각각 30.8%로 나타났다. 이러한 파손의 원인으로 DCIP는 제조상(관두께 부족, 편차, 몸통 기공, 표면 결함 등)이나 재질 결함(화학적 성분, 금속 구조, 인장강도 등)이 DCIP의 파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부식과 관련된 매설 환경과 관 하부 기초 시공(자갈, 보 등)과 관련된 사항이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SP는 부식, 관의 처짐을 유발하는 매설 환경이나 시공 관련 요인이 SP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일부 롤벤딩으로 제작된 SP는 종방향 용접 결함(부분 용접 등)으로 인한 반복적인 파손 사고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DCIP와 SP의 파손 사고는 단일 원인이라기보다는 상기의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관의 파손에는 관 제조상, 재료 결함, 시공 요인들이 큰 영향을 주고 있어 상수도 관 진단 시 더욱 집중적으로 조사해야 할 영역으로 판단된다.
        5,500원
        15.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market demand and the effects of consuming senior-friendly foods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in South Korea, which has rapidly become a super-aged society. Utilizing data from a 2024 field study, a Difference-in-Differences (DID) analysis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impact of senior-friendly food intake on calorie and nutrient supplementation, as well as improvements in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reveal a substantial potential market, with 11.7 to 16.2% of individuals aged 75 and over expressing purchase intention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both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SF) and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scores after the consumption of senior-friendly foods. Further, the intake increased daily calories by an average of 322.9 kcal, protein intake by 14.2 g, and fat intake by 12.1 g. The utility weight, indicating quality of lif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0.037. Policy directions should prioritize promoting the senior-friendly food market to improve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rapidly growing older adult population, as evidenced by th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bserved in this study.
        4,000원
        16.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key axis of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 exclusive median bus lanes (EMBLs) are facing operational limits owing to urban expansion and increased traffic demand, with queues at bus stops during peak hours causing severe delay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phenomenon of queue-based delays at the stop level, that is difficult to explain using conventional capacity calculation methods, and to propose an operational strategy for its mitigation. By realistically assessing passenger inconvenience through a revised “additional passenger travel time” calculation based on bus travel, this study provides a balanced analysis of the tradeoff between system efficiency and passenger convenienc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urban transit systems. This study compared current all-stop operations with two skip-stop scenarios in Songpa-daero, a major arterial corridor in Seoul. Using an actual bus management system and transit card data, key performance indicators including queue length, travel time, dwell time, and additional passenger travel time were analyzed. Scenario I applied an A/B service-style alternating stop operation, whereas Scenario II implemented a hybrid approach, designating hub stops at key locations. Simulation modeling was used to evaluate the system-wide impacts during peak hour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kip-stop operations had significant potential to improve EMBL performance; however, the benefits were subject to a trade-off with passenger inconvenience. Scenario I with alternating stops was most effective in reducing the queue length and overall travel time. However, it also resulted in the largest increase in additional passenger travel time calculated with the revised methodology. In contrast, Scenario II with hub stops, while showing slightly less improvement in operational efficiency, presented a more balanced outcome by mitigating the burden of additional travel time for passengers through hub stops, thereby enhancing service equity. Both scenarios showed reduced dwell times at most stops, indicating the alleviation of boarding and alighting conges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kip-stop strategies could effectively improv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EMBLs by reducing queue lengths and travel times. However, the additional passenger travel time, including bus transfers, is a critical factor that must be considered. Scenario I was evaluated as superior for maximiz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whereas Scenario II was a better alternative for securing a balance with passenger conven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esent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quantifying queue-based delays and realistically assessing passenger impact. Although limitations remain, such as not fully capturing the complex decision-making processes of actual passengers, the methodology and findings offer practical guidance for urban transport planners seeking data-driven solutions to EMBL conges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passenger perspective in skip-stop strategy design.
        4,500원
        17.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치료제를 활용한 직업재활 중재가 발달장애인의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 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1월부터 2025년 5월까지 최근 10년 동안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문헌검색 하였다. 국내외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RISS, KCI, DBpia, Pubmed, EMBASE)를 사용하였으며,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문헌 선정 과정을 거쳐 총 8편의 문헌을 분석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결과 : 디지털치료제를 활용한 직업재활 중재 프로그램 유형에는 면접기술 훈련프로그램(VR-JIT), 직장 가상현실 훈련프 로그램(Workplace VR), 사회성기술 향상 가상현실 프로그램(VRESS), VR 바리스타 프로그램이 있었다. 중재 프로그램 에는 VR 바리스타 훈련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사회기술 효과에는 면접기술 및 자신감, 자기효능감, 높은 수용성과 사 용성, 작업기억 및 계획능력의 상관관계, 의사소통 기술과 수업태도, 직무 수행능력, 직무 지식·기술·태도의 습득에 효 과를 보였다. 결론 : 향후 연구에는 작업치료 관점에서 다양한 디지털치료제 기반 직업재활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이러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4,200원
        18.
        202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원 서리 피해 예방을 위해 이용되는 전기 열선 공기유동 팬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지붕형 방풍 시설이 설치된 896m2 (= 폭 28m × 길이 32m) 규모의 사과원에 수평으로 바람을 토 출하는 2단(상·하단) 공기유동팬 5개를 설치하고 사과나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팬의 작동 방식에 따른 과원 내 풍속과 기온 분포를 상용 ANSYS CFX 코드로 전산 해석하였다. 공 기유동팬의 풍속과 기온을 비닐온실과 서리가 내린 사과원에 서 실측하고 CFD 해석의 경계조건으로 적용하였다. 공기유 동팬의 높이(2.15m와 3.70m)와 풍향(주간 방향과 열 방향) 조합에 대하여 과원 내 풍속·기온 분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주 간 방향으로 2단 공기유동팬을 이용해 바람을 토출하는 경우 팬 출구로부터 두 번째 공기유동팬이 위치하는 18m 지점까지 0.5m·s-1 수준의 바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단 또는 하단 공기유동팬 적용만으로는 과원 전체 기류 형성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동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은 열 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경우 21m(= 3.5m × 6칸) 지점까지 0.9 m·s-1 수준의 바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면부 로 바람을 토출하는 공기유동팬의 특성상 공기유동 영향 범위 가 나무의 크기 수준에 불과하므로 과원 전체에 기류를 생성 하기 위해서는 공기유동팬을 360° 회전시켜야 할 것으로 판 단되었으며 공기유동팬 작동에 따른 미기상환경 조사와 함께 서리 예방을 위한 전기열원의 적정 용량 설정 및 수평 바람 토 출 공기유동팬의 상·하층부 공기 혼합 한계로 인한 추가 열원 에 대한 효용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9.
        202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기 엽채류 생산시 저온, 저광 등으로 인해 생육 저하 및 수량 감소가 발생한다. 저온기 근권부 가온을 통해 지상부 저 온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생육 및 수량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 루꼴라, 고수, 바질, 공심채 등 향신채소의 국내 수요가 증가하 면서, 연중 생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 액 가온을 통한 근권부 온도 제어 효과와 지상부 생육 및 수량 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저온기 경남 함안 에 위치한 유리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루꼴라, 고수, 바질, 공심채를 분무경베드에 정식하여 무처리 대조구와 양 액 가온 설정온도별 처리구(NSH20, NSH25, NSH30)를 설 정하였다. 양액 조성은 PBG 엽채류 조성을 따랐으며 재배기 간 동안 폐기 없이 표준 양액(EC 1.8, pH 5.5)으로 보충하여 사용하였다. 양액의 특성 및 이온 농도는 약 3일 간격으로 분 석하였으며, 작물의 생육 및 수확 조사는 각각 정식후 2주와 4 주차에 수행하였다. 재배 기간 동안 온실 내부의 일일 최저, 평균, 최고 온도는 각각 13.75℃, 18.66℃, 30.08℃였으며, 재 배 기간 중 온실 내 최저 온도는 9.97℃였다. 대조구의 근권부 온도는 최저 13.35℃, 평균 17.17℃로 근권부 저온으로 인한 뿌리 생육 저하, 지상부 생육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설정 온 도별 가온 양액을 공급한 경우 근권부 평균 온도는 NSH30는 24.61℃, NSH25는 21.41℃, NSH20는 18.62℃였다. 호냉 성 작목인 루꼴라와 고수는 근권부 온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호온성 작목인 바질과 공심채 는 양액 가온을 통한 근권부 온도 제어시 생육 및 수량 개선이 확인되었다. 바질은 NSH25와 NSH30 처리구에서 유사한 생 육 및 수량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 했을 때 양액 가온 온도를 25℃로 설정하는 것이 더 경제적인 근권부 온도 관리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공심채는 NSH30에서 수량이 대조구 대비 107%, NSH25 대비 60% 증 가한 것으로 보아 양액 가온 설정 온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20.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fish assemblages according to lake size (small, medium, large) based on fish survey data from 90 lakes designated under the National Aquatic Ecosystem Health Monitoring Program in Korea. From surveys conducted between 2022 and 2024, a total of 107 fish species belonging to 32 families were recorded. The dominant species was the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relative abundance [RA]: 21.2%), followed by Hemiculter eigenmanni as the subdominant species (RA: 13.6%).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lake siz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eight ecological indicators including species richness, abundance, diversity, evenness, richness, dominance, number of endemic species, and number of exotic species according to lake size. These indicators tended to increase with lake size. While this pattern may be initially attributed to positive factors associated with larger lakes, such as greater habitat heterogeneity and food resource diversity, it is considered that the primary factor influencing these results is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ampling sites per lake. Since sampling sites were designated based on the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ey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of each lake’s environmental conditions. Bray-Curtis similarity and SIMPER analyses identified patterns in assemblage similarity and the key contributing species for each size group.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lake size on fish assemblage composition and structure and highlights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lake size and typology into fish-based assessments of lentic ecosystem health.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