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6

        20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mperature dependent development of Tetranychus. urticae Koch was studied on the leaf of eggplant at 17, 22, 27, 32 and 37℃, T. urticae showed a minimum mortality at 27℃ and it increased at higher or lower temperatures than 27℃. The hatchability was low at 17 and 37℃. The duration of developm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i.e., 5.3d at 37℃ and 25.8d at 17℃.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emperature vs. rate of development yielded the higher r² ≥ 0.88 resulting in a good fit of the estimated line in the range of 17~37℃. Developmental zero temperature was 12.5℃ for the entire immature stage of female and 12.8℃ for that of male. Thermal constants were 80.5 and 74.7 degree days for those of female and male, respectively. Adult life span and oviposition period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The number of eggs laid per female peaked at 141.0 eggs at 27℃, while that was a minimum 78.0 eggs at 37℃. Rate of hatchability, ratio of female, and R₀ were increased up to 27℃, and than declined thereafter. Intrinsic rate of natural increase (Rm) increased with rising temperatures and showed a maximum 0.5652 at 37℃. Also, λ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Doubling time (Dt) and generation time (T)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4,000원
        20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뿌리혹선충에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식물체 정유(anise oil, caffeine, clove oil, marigold, mustard oil, neem oil, quassia, quilaja, rosemary oil, rotenone, Thea sinensis oil, thyme oil, wintergreen oil, yucca)의 방제제로서 활용에 대비하여 유용곤충인 누에(Bombyx mori)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누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1000 ppm 농도로 희석한 후, 가정용 소형 분무기를 이용하여 잎이 10-15개 정도 붙어있는 뽕나무에 살포하여 음건하였다. 음건한 뽕잎은 따서 지퍼팩에 넣어 보관하면서 4령 1일째 누에를 이용하여 관행적 누에 사육법에 따라 급상하면서 매일 누에의 치사유무와 유충무게, 번데기 무게, 고치무게 등을 조사하였다. 처리 한 식물체 정유의 종류와 급상일수에 따라 누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었는데 처리 3일후와 5일후 까지는 누에의 치사율에 차이가 없었으나 급상 7일째에는 neem oil 처리에서 53.3%의 치사율을 보였고 급상 10일후에는 100% 치사하였다. 5령 1일째 누에의 체중은 neem oil과 rotenone 처리에서 0.28 g으로 무처리구의 0.46 g과 차이가 있었다. Neem oil 처리구에서는 고치를 형성한 누에가 없었으며 고치무게와 번데기 무게는 rotenone 처리에서 0.27 g과 1.01 g으로 가장 적었다.
        205.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경기도와 강원도 일원의 잣나무림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을 일으키는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으로 알려진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에 대하여 외부기생성 천적인 개미침벌(Sclerodermus harmandi) 한배새끼(clutch) 간의 발육 및 산란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주인 북방수염하늘소 유충이 들어있는 시험관에 개미침벌을 접종하여 1차 한배새끼를 산란토록 한 후 번데기까지 발육하였을 때, 생존 개미침벌 성충을 다른 북방수염하늘소 유충에 재차 접종하여 2차 한배새끼를 산란토록 하였다. 이를 통해 1, 2차 한배새끼 간의 알 수, 발육일수, 우화율, 성비 등을 조사하였다. 개미침벌의 생육단계별 발육일수는 1차 한배새끼의 경우, 알 4.0일, 유충 6.9일, 번데기 암수 각각 15.1일, 14.0일로 총 발육일수는 26.0일과 24.9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2차 한배새끼의 총 발육일수는 암수 각각 27.1일, 25.8일로 1차 한배새끼와 비교할 때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1차 한배새끼의 산란전기간은 4.6일로 2차 한배새끼의 6.0일 보다 짧았고, 산란성공률은 1차 한배새끼에서 95.0%로 2차 한배새끼의 71.1%보다 높았다. 2차 한배새끼의 우화율은 94.8%로 1차 한배새끼에서보다 높게 나타났고, 마리당 산란수는 각각 47.4개, 44.1개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차와 2차 한배새끼의 성비는 각각 0.85, 0.73으로 1차 한배새끼의 암컷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개미침벌이 다수의 북방수염하늘소를 무력화시키고 산란 및 발육을 통한 개체수의 증가 가능성을 보여주어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206.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비 휴면 개체를 계대 선발하기 위하여 인공월동이나 CO2 처리 등과 같은 인위적인 휴면처리를 하지 않은 서양뒤영벌(Bombus terrestris) 여왕벌의 산란과 봉군발육 특성을 CO2 처리한 여왕벌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산란율은 비 휴면 처리구에서 90.9%로 CO2 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첫산란 소요일수는 20.6일로 CO2 처리구 보다 길게 나타나 효율측면에서 다소 다른 경향을 보였다. 성충의 우화율은 일벌과 여왕벌의 출현에 있어서 비 휴면 처리구가 CO2 처리구보다 각각 50마리, 34마리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계속해서 비 휴면처리 1세대 여왕벌에서 우화한 2세대 여왕벌과 CO2 처리구에서 우화한 2세대 여왕벌을 비 휴면 공시충으로 처리하여 산란율과 봉군특성을 조사하였다. 앞선 1세대 비 휴면 처리구에서 우화한 여왕벌의 산란율과 첫산란소요일수가 각각 66.0%와 23.7일로 1세대 처리구에서 우화한 여왕벌과 비교하여 효율이 낮게 나타났다. 성충 출현율과 출현수에 있어서도 1세대 비휴면 처리구에서 우화한 여왕벌이 산란한 봉군에서 각각 일벌과 여왕벌 28.0%, 8.0%, 14.8마리, 2.0마리로 처리구보다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1세대 뒤영벌의 경우 CO2처리구보다 오히려 비 휴면처리구가 산란특성 과 봉군발육에서 다소 우수한 경향을 보여 경제적 효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그 이후의 2세대에서는 모든 조사항목에서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왕벌 생존율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으로 1세대 비 휴면 처리구가 CO2 처리구보다 시기별로 생존율이 낮아 대량증식을 위한 여왕벌의 계대사육에 있어서 휴면처리 효율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207.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는 담배가루이와 총채벌레의 밀도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생물적 방제원으로서, 그 활용가치가 증가하고 있는 천적이다. 2007년 국내 도입된 후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생물적 특성은 명확히 구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온도별 발육 특성 연구를 통하여 대량생산 및 생물적 방제의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는 (주)나비스에서 분양받아, 설탕응애를 먹이로 하여 실내 사육 후 항온조건(15, 20, 25, 30, 35℃)에서 발육단계별 발육기간, 성비, 성충의 일평균산란수를 조사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를 추정하였다. 상대습도는 75% 내외, 광주기는 16L:8D로 고정하고, 조사는 12시간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육기간이 짧아지다가 35℃에서는 다시 증가하는 비선형 패턴을 보였다. 15℃에서 15.9±1.01일로 가장 길었고, 30℃에서 4.7±0.25일로 가장 짧았다. 15℃에서 30℃ 사이의 발육속도는 선형모델에 적합하였고(각각 r2>0.95), 발육영점온도는 유충이 8.6℃로 가장 낮고, 알이 12.8℃로 가장 높게 추정되었다. 성충까지의 유효적산온도는 7.7℃를 기준으로 123.9DD로 추정되었다. 성충의 성비는 암컷 비율이 0.65 (n=66)으로 나타나, 통상적인 포식성이리응애류의 암컷 비율과 비슷하였다. 조사한 일일 평균 산란수는 20℃에서 1.35±0.18, 25℃에서 1.64±0.99, 그리고 30℃에서 4.08±1.75, 35℃에서 0.70±0.47로 30℃에서 일일 산란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8.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캘러스, 반수체, picloram, 전처리양식을 규명할 목적으로 배양효율에 미치는 화분발육 단계와 온도전처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Dreamland’의 감수분열중인 약을 현 미경적방법으로 검경하여 본 결과 화뢰의 길이가 23.0-24.9mm는 tetrad 단계이었고 25.0-26.9mm는 uninucleate 단계, 27.0-28.9mm에서는 binucleate 단계 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온 및 고온 온도처리 결 과는 전체적으로 캘러스 및 배 발생율은 저조하였고 특 이한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Microgametogenesis 단 계별로 약배양 효율을 조사한 결과, late uninucleateearly binucleate 단계인 23.0-28.0mm에서 17.8% callus가 유도되었고, 식물체 재분화율도 6.7%로 나타 나 적정 배양 stag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된 캘 루스를 picloram과 zeatin을 혼용한 MS 배지에 이식 하여 25oC에서 배양하여 식물체를 얻었다.
        4,000원
        20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lepidopteran species, Matsumuraeses phaseoli (Matsumura) and Maruca vitrata (syn. M. testulalis) (Fabricius) were reared on artificial diets, and analyzed in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Photoperiod was supplied with 16L/8D for M. phaseoli and with 13L/11D for M. vitrata, respectively. Both species passed five larval instars with discrete sizes of head capsule width. In a constant environment (25℃ and 65%RH), the developmental period of M. phaseoli egg, larva and pupa was 3.9, ca. 16.0 and 8.9 days, respectively, and over 80% of M. phaseoli larvae could develop into pupae, most of which emerged into adults. Newly laid eggs could be stored at 5℃ for 15 days with over 50% hatchability. Similar developmental traits were shown in M. vitrata. However, a low temperature preservation was not applicable to M vitrata eggs.
        4,000원
        21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pris tripartitus Waterhouse is a coprophagus insect which enhances the soil fertility as conveying dung into the soil. We compared preimaginal development, mortality, and size of C. tripartitus at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 (15, 17.5, 20, 25, 27.5, 30). Total preimaginal periods ranged from 118.0d at 17.5℃ to 49.3d at 27.5℃. Development threshold temperature (DT) and total effective temperature for the development of egg, larva, pupa and for complete development (egg to emergence) were 12.1, 11.2, 12.1 and 9.2℃ and 82.7, 462.0, 225.7 and 947.2 degree days, respectively. The mortality of egg and larva was the lowest at 25℃. The optimum temperature for hatchability and on the development of C. tripartitus was estimated to the 25℃.
        4,000원
        21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Schizaphis graminum (Rondani) was studied at various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15 to 32.5℃, with 65±5% RH, and a photoperiod of 16L:8D. Mortality of the 1<SUB>st</SUB>-2<SUB>nd</SUB> and the 3<SUB>rd</SUB>-4<SUB>th</SUB> stage nymphs were similar at most temperature ranges while at high temperature of 32.5℃, more 3<SUB>rd</SUB>-4<SUB>th</SUB> stage individuals died. The total developmental time ranged from 13.8 days at 15℃ to 4.9 days at 30.0℃ suggesting that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faster the development. However, at higher end temperature of 32.5℃ the development took 6.4 days.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 and effective accumulative temperatures for the total immature stage were 6.8℃ and 105.9 day-degrees, respectively and the nonlinear shape of temperature related development was well described by the modified Sharpe and DeMichele model. The normalized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s of developmental period for each life stage were fitted to the three-parameter Weibull function. The attendance of shortened developmental times was apparent with 1<SUB>st</SUB>-2<SUB>nd</SUB> nymph, 3<SUB>rd</SUB>-4<SUB>th</SUB> nymph, and total nymph stages in descending ord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² ranged between 0.80 and 0.87.
        4,000원
        21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hundred isola tes of Staphylococcus aureus were obtained from feces samples of patients with food poisoning. The a ntibiotic susceptibility against vari ous antibiotics was examined by disc diffusion test . The S. aureus isolates had 92% resista nce to peni cillin. They also had 30% resistance to ampicillin and erythromycin. respect ively. The percentage of re sistance to oxacillin was 14%. Three vancomycin resistant isolates were also found. The minimal inhibitory co ncen tra ti on(MIC)s of antibiotics were examll1ed Antibiotics-intermediate S a ureus isolates were not det ected by disc dif fu sion t est
        4,000원
        21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 체외 수정란의 팽창 및 hatching시 prostaglandin 와 prostaglandin 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체외 수정란의 체외 배양시 다음과 같이 (1) 0, 1, 10 및 100ng/ml , (2) 0, 1, 10 및 100ng/ml , (3) low (1ng/ml : 1ng/ml), (4) low , (5) high (10ng/ml : 1ng/ml), (6) high : high (10ng/ml : 10ng/ml)로
        4,000원
        214.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체외 성숙된 난자와 동결 융해 정자를 이용한 돼지의 체외 수정 과정에서 난구 세포의 존재가 정자 침투율, 웅성전핵 형성률 그리고 후기배로의 체외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돼지 난소로부터 난자-난구세포 복합체를 채취하여 eCG/hCG, 10% 돼지 난포액, epidermal growth factor 등이 첨가된 TCM 199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여 체외 성숙을 유도하였다. 성숙 배양 후 난구 세포를 제거한 난자와
        4,000원
        215.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ggot therapy (MT) has been re-introduced for non-healing wounds such as pressure sore, diabetic and necrotic ulcers, as well as infected surgical wounds, burn, and trauma injuries since early 1990s. For the production of sterile maggot of proper developmental stage, Lucilia sericata were studied on developmental periods of immature stages on liver agar medium under six different temperatures such as 15.4, 20.6, 22.5, 26.2, 29.1, and 33.0℃, and adult longevity and egg production under 29℃. The periods of eggs and larvae of the I st and the 2nd instars were shortest at 33℃ by 9.0, 14.0 and 18.6 hours, respectively. The periods of the 3rd instar larvae and pupae were shortest at 29.1℃ by 285.0 and 171.0 hours, respectively. Developmental zero point and total effective temperature for the development of each stage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developmental periods. Adults of both female and male lived more than one month. Females laid an average of 338.5 eggs through 2.7 times of egg laying throughout her lifetime.
        4,000원
        216.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Harmonia axyridis) has been commonly used with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control of several kinds of aphids in agroecosystems. Also,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have been commonly applied in crop fields because the government held down pesticide application and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s are gradually increased with consumer"s desires. The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s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n crop fields. The insecticidal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EFAMs) might be safe against each developmental stage of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Fungicidal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EFAMs) had a miner effect to each developmental stage of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with the exception of FEFAM A.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useful soil microorganisms (EFAMSMs) C and H might be down the hatching rate of eggs, and EFAMSM A and F had a killing effect to 1st instar of lady beetles.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plant extracts (EFAMPEs) A and D might be suffered effect a deathblow of egg hatching with lady beetles. Otherwise, there was a miner effect to lady beetles with the rest of tested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4,200원
        217.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wo species of rice bugs causing pecky rice, Cletus punctiger and Cletus schmidti are often observed coexisting in the rice fields of nearby fallow land. Direct feeding damage to rice by C. punctiger and C. schmidti can lead to a reduction in grain quality and quantity.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 punctiger and C. schmidti at various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20 to 30℃, 65% RH, and a photoperiod of 16L:8D. Egg hatchability of C. punctiger/C. schmidti at the temperatures of 20, 25 and 30℃ were 80.6/88.0, 91.7/96.3, 96.4/96.2 %, respectively. The development periods of eggs of C. punctiger/C. schmidti at the temperatures of 20, 25, and 30℃ were 16.4/18.4, 9.4/10.2 and 6.4/7.3 days, respectively. Mean developmental periods of lst, 2nd, 3rd, 4th and 5th nymphs of C. punctiger/C. schmidti at 30℃ were 2.1/2.0, 3.5/4.0, 3.3/5.6, 3.2/4.8 and 5.8/6.9 days, respectively. Oviposition began 8.1 days after emergence at 25℃, and the longevity of female and male were 120.0 and 117.3 days, respectively. Total number of eggs through the life of female were 245.5 laying 2.2 eggs a day in average at 25℃. The development periods of egg and nymphs of C. punctiger were relatively shorter than those of C. schmidti. Availability of male had affected the egg hatchability greatly that laid at 30th day after 60 days period of oviposition in the presence of adult male of C. punctiger. The fertile eggs laid by the female together with male was 92.1% but those without male was only 9.6%.
        4,000원
        219.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studies of two aphid species, A. egomae and A. gossypii occurring in green perilla greenhouse were conducted at 15~35℃, and 16:8 (L:D h) of light period in the laboratory. The mortality of two aphid species was high in young stages (1st and 2nd). In A. egomae, the mortalitiy increased with increasing and decreasing temperature: the mortalitie at 15℃ and 35℃ were 22.3% and 15.6%, respectively. While the mortalities of A. gossypii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mortality at 35℃ was 50.0%.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A. egomae and A. gossypii ranged from 20.8days to 5.4days and from 22.6days to 9.1days at 15℃ to 30℃ of temperature resion, respectively, and were 7.2days and 10.7days at 35℃ for each species.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s for total nymphs of A. egoame and A. gossypii were 9.9℃ and 4.9℃, respectively and an effective degree-days (DD) for the developmental completion of total nymph were 108.0 DD for A. egomae and 221.2DD for A. gossypii. In green perilla greenhouse, the occurrence period of A. gossypii was earlier about 15 days than that of A. egomae. When the occurrence period of two aphid species was estimated by degree-days based on lower threshold temperatures, A. gossypii occurred earlier than A. egomae in the field. A. gossypii occurred from early April and showed dominant position to late May compared with A. egomae. Whereas, A egomae started to occur from mid April and then were abundant after late May followed by abrupt population crash around late July.
        4,000원
        220.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융합 전 수핵란의 활성화 처리 유무와 활성화 처리 시간이 소 체세포 유래 핵이식란의 체외 발육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소 체외성숙란의 탈핵 후 체세포 핵을 이식하고 일부는 전기 융합 후 활성화를 유기하였고(pre-AC), 일부는 먼저 활성화 처리 후 융합을 실시(post-AC)하였다. 난자의 활성화는 Ca2+-ionophore(A23187)로 처리 후 DMAP로 4시간 배양하는 방법으로 유기하였다. 핵이식란은 CR1aa액에서 9일간 배양하여 발육율을 검토하였으며, 활성화 후 30분~2.5시간에 고정하여 confocal microscope 하에서 핵형 변화를 검사하였다. 배반포기까지 발육율은 post-AC구(20.6%)가 pre-AC(15.3%)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활성화 처리를 하여 핵이식란의 배 발달을 비교한 결과 post-AC구가 더 늦은 배 발달 속도를 나타내었다. Post-AC구를 활성화 후 30분, 2시간, 4시간으로 나누어 융합하여 발육율을 검토한 결과 발육율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핵란의 활성화 시간에 따라 핵이식란의 발육 및 핵형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