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2

        241.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원성 Pseudomonas에 유효한 항생물질을 생성하는 방선균 LAM 98-80을 분리하여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Streptomyces sp. LAM 98-80으로 동정·명명하였다. 이 균을 이용하여 병원선 Pseudomonas에 유효한 항생물질의 최적 생성 조건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 1.5%의 soluble starch, 질소원으로는 1.0%의 yeast extract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무기염으로 Mn^2+을 0.04%을 첨가로 항생물질의 생성량을 80%나 증가시켰다. 배지의 초기 pH는 7.0, 최적 온도는 30℃ 그리고 배양일수는 5일만에 최고의 생육 및 생성을 나타내었다. 시험균으로 사용한 cephalosporins 내성 병원성 Pseudomonas는 cepha계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을 띠었으며 β-lactam계인 ampicillin, amoxicillin에 대해서는 민감하였다. 그리고 조정제한 항생물질의 열과 pH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70℃에서 1시간동안 안정하였고 pH 3에서 9까지 넓은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각 종균에 대한 항생작용은 그람 양성 및 음성균에 모두 효과적이었으며 진균인 효모와 곰팡이에는 효과가 없었다.
        4,000원
        242.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 및 발효공업의 균체 제거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미생물 응집체를 개발할 목적으로 토양에서 분리한 Bacillus megaterium 의 응집제 생산 특성을 조사한 결과 sucrose 2.0%, NaNO_3 0.3%, tryptone 0.01%, beef extract 0.01%, MgSO_4 0.05%, CaCO_3 0.005%가 최적 배양배지로 조사되었으며 최적배지에서의 응집활성은 257.8 unit로 기초배지에 비해 응집활성이 약 161% 증가하였다. 한편 본 균주는 탄소원 및 무기염의 첨가에 의해 응집활성이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질소원의 경우 다른 성분에 비해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어 본 균주가 생산한 응집체는 균체외 다당류의 일종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조정제 응집제에 대한 정색반응 결과 생산 응집제를 조정제한 후 정색반응 실험 결과는 비환원성 당으로 fructose를 함유하지 않은 다당의 일종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4,000원
        243.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leaching of heavy metals from fly ash was performed by Thiobacillus thiooxidans MET isolated from the enrichment culture of an anaerobically digested sludge. The effect of solid concentrations on the efficiency of metal leaching was studied in shak
        4,000원
        24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herical alumina powders were prepared by the controlled hydrolysis of aluminum iso-propoxide in a solution consisting of n-octyl alcohol and acetonitrile. As aluminum alkoxide's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article size was increased and size distribution was more broad. As-prepared particle morphology was not spherical when acetonitrile volume fraction was increased over than 60%. As-prepared amorphous powders crystallized to γ-alumina at 1000℃ and converted to α-alumina at 1150℃. The particle morphology was retain after crystallization α-alumina. When aluminum iso-propoxide was used as aluminum source, the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 of spherical alumina was 0.1M AIP, 0.2M H2O, 0.1g/l HPC with a volume fraction (1/1) of the n-octyl alcohol/acetonitrile, 10min of reaction time and 30min of aging time.
        4,000원
        245.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ubstances isolated from marine resources against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Methanol-water extract (80:20, v/v) of Sargassum ringgoldianum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ctive substance was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by eluting chlorform : methanol mixture (80:20, v/v). The active fraction was separated to several spots on the TLC in chloroform : methanol (10:1, v/v) mixture. Antioxidative activity of band 4 of fraction 2 on TLC was highest than that of a-tocopherol against human LDL oxidation by the method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The band 4 of fraction 2 inhibited the copper mediated oxidation of human LDL with almost completely at 1 or 2 mg/ml.
        4,000원
        247.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백질성의 치아우식 예방제를 개발하기 위해 polylysine을 선정하고 Streptococcus mutan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anaerobic broth system에서 미생물학적인 방법에 준하여 조사하였으며, polylysine의 항균활성에 대한 pH와 열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Streptococcus mutna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은 polylysine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1.0㎎/ml 이상의 첨가농도에서는 두 시험균의 lag time이 약 1시간 정도 연장되는 효과가 있었다. 시험균의 산 생성량도 polylysine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특히 1.0㎎/ml의 첨가농도에서 그 효과가 뚜렷하였다. Polylysine은 pH 5.0∼8.0에서도 그 항균활성이 유지되었으며, 60℃에서 30분간, 120℃에서 15분간의 열 처리에도 그 항균활성이 소실되지 않았다.
        4,000원
        248.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ethylnitrosamine (DEN) is known as a potential hepatic carcinogen by single administr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effects of DEN-induced cell damage on the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liver, excluding dietary effects. Fertilized chicken eggs, 10 days before hatching,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n=20) and each egg was injected 10 ul of corn oil (vehicle control), 5 ug of DEN/10 ul and 10 ug of DEN/10 ul into yolk via air sac. After 48 hr and 96 hr incubation, the damage of the chick-embryo liver cell was investigated by electron microscopy an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lipid components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For eggs administered 10 ug of DEN and incuvated 96 hr, in hepatocyte, the nucleus membrane was roughed, the size of nucleolus was apparently increased and euchromatin was accumulated. Mitochondria were condensed and cristae, located mitochondrial inner membrane, were obscured. Additionally, the levels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lass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epend on the amount of DEN and incubation time. Especially, triglycerides were notably in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10 ug DEN at 96 hr, but phospholipids, component of cell membrane, were decreased with significance. As a conclusion, carcinogen induced hepatic lesion was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lipid component of liver.
        4,000원
        250.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pergillus niger CAD 1의 β-galactosidase를 알긴산나트륨에 고정화하여 갈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였다. 고정화 β-galactosidase의 열 안정성은 20∼45℃ 및 pH 안정성은 4.0∼5.5를 나타내었다. 고정화 효소의 활성화 에너지는 13, 400cal/mole이었다. 알긴산나트륨에 0.12unit/g의 β-galactosidase가 고정화 되었을 때 20%의 유당을 함유한 치즈 유청에 대한 갈락토올리고당의 수율은 45℃에서 반응 72시간 후 18%를 나타내었다. 10회 재사용하여도 고정화 β-galactosidase는 87%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4,000원
        251.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청강문화산업대의 여학생 중 체지방률이 30% 이상인 총 40명을 대상으로 다이어트 프로그램 S-28을 실시함에 있어서 1997년 4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5개월 동안의 장기적인 영양교육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처음 다이어트 2주 동안은 하루 800㎉, 다음 2주 동안은 1, 200㎉가 제공되었으며, 그후에도 제충유지 프로그램이 계속되었다. 운동과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다이어트 전 기간을 통해 진행되었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중은 초기 측정치 69.5±4.9㎏에서 3개월째 65.6±3.0㎏(P<0.01)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하였으며, 5개월째에도 63.2±3.5㎏(P<0.01)으로 초기 체중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하였다. 2) 비만도는 초기 23.9±12.1%에서 3개월째 21.3±9.2%(P<0.05), 5개월째 19.7±8.5%로 감소하였다. 3) BMI는 초기 27.3±1.5㎏/㎡에서 3개월째 26.1±1.2㎏/㎡(P<0.01)로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5개월째는 25.7±0.9㎏/㎡(P<0.01)로 감소하였다. 4) 체지방률은 다이어트 시작시 31.1±2.5%에서 3개월째는 29.0±1.3%(P<0.05), 5개월째는 28.2±1.8%(P<0.05)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체지방량은 다이어트 시작시 22.6±3.5㎏에서 3개월째 20.7±3.6㎏(P<0.05), 5개월째 20.1±2.9㎏(P<0.05)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5) 식습관 점수는 초기 33.4±4.5점에서 3개월째 35.2±3.7점, 5개월재 37.4±4.0점으로 다소 증가하였으며, 영양태도 점수도 초기 53.8±5.3점에서 3개월째 55.7±5.3점, 5개월째 58.0±6.2점으로 증가하였다.
        3,000원
        253.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 vitro effects of trisodium phosphate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on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investigated. The trisodium phosphate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was bactericidal toward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The killing effects of the 1 × 10^(-2) M trisodium phosphate on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30-40%, 40-50%, respectively. The killing effects of the 5 × 10^(-7) M cetylpyridinium chloride on E. coli 0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90-95%, 95-99%, respectively. The killing effects of the trisodium phosphate was 105 times that of the cetylpyridinium chloride. Factors effecting the bactericidal action of trisodium phosphate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were investigated and the action depended on temperature and pH.
        4,000원
        257.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세트산, lauric acid, monolaurine 그리고 이의 조합에 의한 침지법을 이용하여 15% 저장 동안 광어의 V. cholerae의 세균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증류수에 3분 침지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처리직후 V. cholerae의 세균수는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저장 2일 이후 lauric acid 및 monolaurine의 처리구는 V. cholerae의 수를 감소하는데 있어서 초산의 처리구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1.0%의 초산에 3분 침지후 0.5% lauric acid로 3분 침지한 처리구는 0.5%의 초산에 3분 침지후 0.5% aluric acid로 3분 침지한 처리구 보다 V. cholerae의 세균수를 유의적 (P<0.05)으로 감소하였다. 0.5%∼1.0%의 초산침지후 0.05% monolaurine으로 3분 침지한 처리구는 저장 3일 이후 V. cholerae에 대한 세균수 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25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치자에서 황색색소를 제조한 후 생기는 부산물을 Bacillus를 이용하여 청색색소로의 전환실험을 한 결과, 색소생성의 최적조건은 온도 30℃, pH 6.0, 최적 탄소원인 glucose의 농도는 3%, 최적질소원인 yeast extract의 농도는 0.4%였다. 발효조내에서 청색색소로의 전환을 위한 최적반응 조건은 교반속도 400rpm, 최적통기량은 2vvm, 최적 종균 접종량은 5%, 최적 종균 배양시간은 20시간으로 나타났다.
        4,000원
        260.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된 흰쥐 골격근에서 n-3 다불포화지방산이 당수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5주간의 식이에 의한 각군간의 유의한 체중 변화는 없었다. 5주간의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혈당은 정상식이군의 83mg/dl에 비하여 94mg/dl로 13% 더 증가하였다(p<0.05). n-3 다불포화지방산에 의하여서는 혈당의 유의적 감소는 없었으나 다소 감소하였다. 혈장 인슐린은 정상식이군의 11.6U/ml에 비하여 고지방식이군은 32.4U/ml로 높았으며(p<0.01), n-3 다불포화지방산에 의하여 28.7U/ml로 감소하였다(p<0.01). 가자미근의 당수송은 시험관 실험에서 고지방식이군이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기초상태 뿐만아니라 인슐린 1, 10, 100nM에서도 현저히 감소하여(p<0.01) 인슐린 감수성과 반응도 모두 감소한 인슐린 저항성을 보여 주었다. 고지방식이군에 n-3 다불포화지방산의 첨가시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기초상태, 인슐린 1, 10, 100nM에서 유의하게(p<0.01) 증가하였으나 정상군의 그것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5주간의 고지방식이시 당수송에 장애와 골격근의 인슐린 저항성이 발견되었으며, 고지방식이에 n-3 다불포화지방산의 첨가에 의해서 골격근 인슐린 저항성의 정도가 억제되므로 고지방식이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은 n-3 다불포화지방산이 효과적으로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