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7

        241.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G러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내재적/외재적 학습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한 학기동안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나누어 G러닝 학습방법으로 수학수업을 진행한 후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학습동기의 하위유형 중 학습 자체에 대한 자신의 흥미를 의미하는 내재적 동기의 향상도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비교집단은 타인의 영향에 의한 외재적 동기의 향상도가 실험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G러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자발적 학습동기를 증진시킨다는 점을 시사한다.
        24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상의 한계와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 및 정책적 지원에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집중적인 자료 수집은 2009년 7월 20일부터 2010월 2월 28일까지 이루어졌다. 다양한 연구 참여자들의 면담자료와 일지자료를 질적 연구 분석 프로그램인 Nvivo 2.0 프로그램을 통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다양한 학교생활적응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양상으로 친구관계 측면, 수업 측면, 교사관계 측면에서 각각의 한계와 함께 그 가능성도 찾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학생, 교사, 학부모와 같은 교육주체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24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식물키트를 활용한 식물 재배·관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흥미도와 식물의 한 살이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식물관찰키트는 과학 교과 4학년 1학기 ‘식물의 한 살이’ 단원을 실습할 수 있도록 서울 소재 2개 초등학교의 4학년 2개 반에 학생 1인당 1개씩 제공되었다. 식물관찰키트는 심지관수 용기와 상토, 심지, 씨앗, 관찰일지로 구성되었으며 용기는 발아과정과 뿌리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자재로 제작하였다. 식물관찰키트를 활용한 실험군 전체 평균과 식물관찰키트를 활용하지 않은 대조군 전체의 평균 및 실험군 d과 대조군 d, 실험군 y와 대조군 y의 과학흥미도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식물의 한살이 이해도의 변화를 실험군 전체와 대조군 전체 집단 간 비교를 해본 결과, 실험군의 평균 87.01점과 대조군의 평균 78.61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2). 실험군 1과 대조군 1의 경우, 실험군 1의 점수가 약간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실험군 2와 대조군 2에서는 실험군 2가 85.38점, 대조군 2가 69.62점으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0).
        24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환경행동을 측정 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 규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두 차례의 예비조사와 내용타당도 검증을 활용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였고 전국의 832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환경행동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문항분석(평균, 왜도, 첨도, 문항-전체 상관),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t검증을 활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개발된 우리나라 초등학생용 측정도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소비자 행동, 환경관리 행동, 학습 행동, 상호작용 행동의 네 영역 각 4문항씩 총 16문항으로 구성되며 신뢰도는 0.841이다. 둘째, 개발된 측정도구로 측정한 결과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5학년이 6학년보다 점수가 높았다. 셋째, 제시된 규준은 이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얻은 결과 값을 비교 할 수 있었다. 즉, 측정한 값이 우리나라 초등학생 전체에서 어느 정도에 위치하는지 규준을 토대로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246.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nse of crisis on seriousness of earth environment is gradually getting greater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education followed by this trend is being highlighted. As an environment friendly New Environmental Paradigm opposed to the human Dominant Social Paradigm on the existing environment is on the rise, the environment education considers not only the perceptive field, but the definitive field and behavioral pattern to follow as important values. Accordingly, the basic awareness of students on environment was found out in order to perform a proper environment education and tried to find out the behavior pattern that the students have on environment on this basis . For th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the one that has revised the Revised NEP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Geum, Ji Hun․Kim, Jin Mo have validated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while the test paper was prepared by dividing into recycling behavior, energy preservation behavior and source of information.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600 students in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iding in Kimhae, Gyeongsangnamdo while the mean,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5.0 statistics program for a total of 462 copies including 235 copies from male students and 227 copies from fe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ryone had high pro-NEP tendencies on the environmental problem with 4.14. On the other hand, the anti-NEP did not have high awareness standard with 2.98. Second, the awareness level on resource recycling was shown as being quite high with 4.05. Between NEP and resource recycling, a positive correlation of r=.155 was shown so that the awareness level on resource recycling was getting quite high as the awareness on environment problem was getting higher. Third, the awareness level on energy saving activity was shown as being very high with 3.0. Between NEP and resource recycling, a positive correlation of r=.210 so that the awareness level on energy saving was getting quite high as the awareness on environment problem was getting higher. Fourth, for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problems of region, our country and global village, the television and internet were shown as main sources of information while the ratio of positive answers on teachers and region as sources of information was shown as quite low.
        250.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제안된 2×2 목표 구조에 근거한 성취목표 동기유형이 지속적인 태권도 수련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내적동기와 신체활동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 동기유형, 내적동기와 신체활동 의도를 조사한 뒤,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성취목표 동기유형 가운데 숙달접근이 내적동기뿐 아니라, 신체활동 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숙달접근은 내적동기 하위요인 중 재미/노력과 신체활동 의도에 대한 변화를 예측하는 주된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는 체육활동 상황에서 참여자들의 숙달접근 동기유형이 내적동기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신체활동 의도를 지속할 수 있는 동기유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성취목표 동기유형에 따라 관련변인을 이해․연구하는데 의미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신체활동 참가자들의 성취목표 동기유형을 탐색하는 데에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251.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사회성 함양을 위해 학교 주변 숲을 이용하고 등하교 길에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풀이나 수목 등 자연적 요소들을 이용한 생태체험학습효과에 대한 연구이며 이러한 생태체험학습이 사회성 함양에 미칠 수 있는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기 조사인 동질성 검사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생태체험학습과 사회성에 대해 비슷한 의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향후 실시된 사전/사후 검사와 집단 간 실시된 검사 등에서는 동질성 검사에서와 서로 다른 조사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생태체험학습이 학생들의 사회성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성별 평가에서는 남자와 여자가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있었으며, 남학생의 경우 책임성, 우월성, 지배성 항목에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러한 항목에서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생태체험학습이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여학생의 경우 자율성과 성취성에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러한 항목의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생태체험 학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본 연구 결과 생태체험학습은 학생들의 사회성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항목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항목이 많았다. 따라서 생태체험학습이 단순한 현장 학습의 의미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사회성 함양 등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지 못하는 교육의 부족한 점을 생태체험학습과 같은 현장학습 에서 얻을 수 있도록 교육현장에서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학습 효과는 이론적 연구에서만 거칠 것이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직접 적용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학생들에게 보다 쉽고 즐거운 학습활동을 위한 생태체험학습 활동의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52.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학에서 실시하는 생명과학캠프가 참가학생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고려대학교의 생명환경과학캠프에 참여한 초·중생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20일부터 8월 11일의 기간 동안 총 385부의 설문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평소 과학을 좋아하는 정도 및 캠프를 통해 과학이 좋아진 학생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캠프 참가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나 캠프 수업의 흥미정도나 만족도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캠프의 수업이 학교 과학수업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캠프 재참여, 추천여부에 대한 의사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다. 학교수업 외에 과학공부를 더 해야한다는 과학교육의 필요성 인식 정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과학캠프를 통하여 장래희망에 영향을 받은 정도와 과학관련 직업선택에 영향을 받은 정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5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0년대 이후 국제결혼과 외국인 근로자의 급증으로 인해 한국 사회도 점점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진입해 가고 있으나 한국사회의 순혈주의와 단일 민족주의로 인해 이들을 같은 한국 국민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를 살아갈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을 알아보고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배경변인으로는 다문화 교육 경험, 비형식적인 다문화 경험, 어머니의 양육태도, 개인 배경이 다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4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F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 교육 경험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은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 요인 중 미디어 요인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일수록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남학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성적이 높을수록, 외국어 실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 성별, 다문화 교육 경험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다문화 교육은 비형식적인 경험과 개인적인 배경요인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일반 학생들이 다문화적인 인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256.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심이나 흥미도에 있어서는 긍정적이었고 대부분이 캠프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한 학생의 반 이상이 대학에서 진행되는 수업에 기대가 높았고 캠프의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 또한 전반적으로 높았다. 과학캠프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며 캠프에 참가하지 않은 친구들에게 추천 할 의사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과학 캠프의 모든 프로그램을 마친 후 과학에 대한 흥미도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캠프에서의 학습 내용 또한 학교에서 과학 수업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캠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과학실험을 접하게 함으로써 과학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57.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게임요소에 대한 선호도와 게임의 중독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현재 초등학생들에게 있어 게임 중독은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게임요소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호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와 게임요소와 게임중독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 중독과 관련된 게임 요소의 상관관계를 밝혀 게임 중독을 예방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감각적 욕구충족, 지적욕구충족, 현실이탈 욕구충족, 경쟁 욕구충족, 사회적 욕구충족 등 측정한 모든 게임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게임을 선호하는 학생이 게임을 선호하지 않는 학생에 비해 높았다. 사회적 욕구충족에 대한 선호도는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높았으며, 감각적 욕구충족과 지적 욕구충족에 대한 선호도는 RTS 게임을 선호하는 학생이 가장 높았고, 레이싱과 액션게임을 선호하는 학생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25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알고리즘적 사고와 프로그래밍 학습을 효과적으로 조력하기 위해 메타인지 전략을 가미한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Polya의 4단계 문제해결과정에 ‘예언’, ‘자기 평가’, ‘자기 강화’의 단계를 추가한 후 게임 프로그래밍 특성에 맞게 일부 수정하고 메타인지 전략을 가미하여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모형을 토대로 초중등 정보통신기술교육지침과 ACM의 K-12 컴퓨터교육과정 중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내용 요소를 참고하여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 내용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학습 내용을 초등학교 6학년 재량활동 시간에 적용한 결과,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은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의 개정으로 프로그래밍 교육과 알고리즘 교육이 초등학교에서도 필요하게 되었고 학교 현장의 여건 등을 고려해보면 본 연구를 통해 설계된 교수․학습 전략을 기반으로 한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은 의미 있는 선택이며 기존 프로그래밍 교육의 문제점 해소를 위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6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교 옥외환경이 학생들의 환경의식 및 환경교육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비교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학생들은 자신의 학교 옥외공간에 ‘나무, 꽃 등의 관찰공간’, ‘화단’,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 ‘연못 및 생태 숲’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조경공간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숲 조성으로 인한 식물 수량의 증가와 이로 인해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점이 만족의 이유로 조사되었다. 3. 학교숲 조성은 학생들의 식재수량 인식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학교숲 조성으로 인한 식재수량의 증가는 학생들의 식물 관찰빈도를 높여주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관찰빈도의 증가가 식물이름을 아는 정도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목․교화의 인지도, 교과서 식물 인지도의 분석 결과를 볼 때, 학교숲 조성 후 적극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생들의 환경의식고취 및 교육적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환경교육은 대부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과서 위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는 방식의 교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몸소 체험하며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방식의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