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4

        24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주름개선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돌외 잎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섬유아세포 HDFn에 대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돌외 추출물이 세포 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돌외 추출물로부터 용매 분획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리과정을 거쳐 2개의 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NMR 데이터 및 문헌치로 확인한 결과 이들은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Ombuine 3-O-rutinoside(1) 및 Quercetin 3-O-rutinoside(2)로 규명되었다. 섬유아세포의 type I procollagen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는 화합물 1과 2를 함유한 돌외 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245.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죽 잎의 메탄올 조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용매분획하고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활성,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활성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용매분획물 중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FRAP활성이 모두 가장 강하였으며,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도 가장 높았다.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이 모든 시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Ethyl acetate 분획물 중에서 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kaempferol 성분을 분리하여 정량하였으며 이 중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오죽 잎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천연 식품보존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4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is an excellent source of vitamin A and C as well as flavonoid compounds, which are important antioxidant components that may reduce the risk of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BTS, DPPH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s in eggplant leaves and fruits to identify genetic resources with high antioxidant capacity for use in food or as feed additives. A total of 102 eggplant access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latitude of their origins: 0°~15° N (8 accessions), 15°~30° N (19 accessions), 30°~45° N (34 accessions), and 45°~60° N (41 accessions). The accessions originated from 45°~60°N showe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s (AVG. = 15.4 μg mg-1) followed by accessions originated from 30°~45° N (AVG. = 13.0 μg mg-1), 15°~30°N (AVG. = 11.0 μg mg-1) and 0°~15°N (AVG. = 9.5 μg mg-1). Same pattern was also found in ABTS and DPPH antioxidant activities. High ABTS, DPPH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s were found in the early-flowering accessions. All flavonoids of the greenish violet lea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green leaves. The flavonoid concentration in eggplant leaves with an average of 15.6 μg mg-1 increased from 10- to 20-fold as compared with their fruit (AVG.=0.9 μg mg-1). In conclusion, eggplant leaves represent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due to their very high flavonoid contents.
        247.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임’ 은 잎수확을 목적으로 하는 품종육성을 위하여 1994년에 잎들깨 1호와 차조기 유전자원 YCPL173을 인공교배하여 F₁, F₂ 세대를 양성하고, F₃부터 계통 전개하여 선발한 YPL19-2B-7-3-3-1 계통이다. 주요특성은 잎모양은 둥근 심장형이며 잎색은 뒷면 자주색 발현이 양호하다. 경색은 녹색, 화색은 흰색이고 종자는 암갈색의 구형이다. 채엽재배시 일반특성은 잎들깨 1호와 비교하여 최대엽장은 16.9 cm로 비교적 작은 편이며 상품잎당 속잎비율이 높아 동계 수확작업이 용이하다. 소임은 ’02~’03년 2년간 동계시설하우스 재배에서 상품잎수가 7,172 kg/10a로 잎들깨 1호에 비해 8% 증수하였다. ’04~’05년 2년간 하계에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상품잎무게는 5,410 kg/10a로 표준품종에 비해 1% 증수하였고 상품잎수도 10a당 3,417천매로 잎들깨 1호보다 13% 증수하였다.
        253.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of Curcuma longa L. leaves treated by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Curcuma longa L. leaves was subjected to 5,000 bar for 5 and 15 min at 25℃ The highest phenolics andflavonoids content was observed in the treatment of high pressure extraction for 15 min (308.28㎍/㎎, 124.33㎍/㎎). TheDPPH scavenging activity was 82.34% at 1.0㎎/㎖ of Curcuma longa L. leaves treated by ultra high pressure process for 15min. The highest SOD-like acitivity of Curcuma longa L. leaves (1.0㎎/㎖) was observed at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for 15 min (67.54%). The high pressure extr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ntents of phenolics and flavonoids and alsoenhanced the antioxidant activity.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nhancing biological properties of Curcumalonga L. leaves.
        254.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오염원이면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유발제인 NiSO₄의 세포독성과 멜라닌합성에 대한 감잎 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B16/F10 흑색종세포를 재료로 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감잎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lactate dehydrogenase(LDH) 활성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NiSO₄는 배양 B16/F10 흑색종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P<0.001), 이 때 XTT50값은 106.7μM로 중간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인 비타민 E는 NiSO₄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NiSO₄의 세포독성을 방어하였다(P<0.001). 한편, NiSO₄의 세포독성에 대한 감잎 추출물의 영향에 있어서, 감잎 추출물은 NiSO4만의 처리에 비하여 유의한 세포생존율의 증가 및 LDH 활성 감소를 보임으로서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멜라닌화에 있어서, 감잎 추출물은 NiSO₄에 의하여 증가된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과 총멜라닌양을 모두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NiSO4의 세포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감잎 추출물은 항산화능에 의하여 NiSO₄의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또한 감잎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과 총멜라닌양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NiSO₄에 의한 멜라닌화를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감잎과 같은 천연추출성분은 NiSO₄처럼 산화적 손상과 관련이 있는 중금속의 독성으로부터의 미백 및 항독을 위한 천연소재로서의 개발적 가치가 크다고 생각된다.
        255.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미세 분쇄를 하였을 때 입자가 작아질수록 추출수율이 높아져 약 2.5배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일반 분쇄한 시료 추출물에서 69.8%의 전자공여능 억제효과가 관찰되었고, 미세분쇄와 초미세분쇄 추출물에서는 각각 70.7과 83.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분쇄 추출물과 미세 분쇄 및 초미세분쇄 후 추출물 모두 97% 이상의 높은 ABTS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분쇄 방법에 따른 항산화력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일반 분쇄한 시료 추출물 보다 미세분쇄와 초미세분쇄 추출물에서 더 높은 PF값을 확인하였으며, 50% ethanol 초미세분쇄 추출물에서 1.8 PF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미세분쇄와 초미세분쇄 추출물에서는 일반분쇄 추출물에 비해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TBARS 억제율이 높아지며, 물 추출물보다 ethanol 추출물의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Xanthin oxidase 저해의 경우 초미세분쇄 후 효소억제 증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활성은 일반 분쇄 추출의 경우 물 추출물에서는 억제활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50% ethanol 추출물에서 24%의 억제율이 확인되었다. 또한, ethanol 추출물의 억제효과가 물 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50% ethanol 초미세분쇄 추출물에서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 아주 약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을 뿐 나머지 추출물에서의 항균 효과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256.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reeextracts (hot water, 50% ethanol and mixed solvent;water, ethanol,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f dried chestnut,chestnut shell, chestnut leaves and dried chestnut leaves obtained from Castanea crenata tree. When conducted DPPH assay,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chestnut shell was the highest with IC50 10.8㎍/mL among four extractsfrom these parts (p<0.05). In additional results by the xanthine oxidase assay, antioxidant activity showed that waterextract of chestnut leaves showed the highest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in the tested extracts (p<0.05). Futher-more, extracts of chestnut shell and leaves exhibited no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s (p<0.05). Also, anti-inflammatoryactivity by NO assay showed LPS-induced NO was significantly inhibited following treatment with extracts of chestnut shelland leaves of 3㎎/mL (p<0.05). These data suggest that extract of chestnut shell have antioxidant and anti-inflamantoryactivity including chestnut leav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Castanea crenata research range and selection of functionalmaterial can broaden chestnut shell to other fractions such as chestnut and chestnut leaves.
        257.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blanching condition (immersion ratio 1:15 (w/v) for 3 min at 95oC, and solution containing 1% sodium chloride) and selected forming agents (dextrin DE=10, dextrin DE=20, β-cyclodextrin; each forming agents added 5%) on the phytochemical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fischeri leaves. The moisture was not affected by the forming agent. The color of a, b and chroma values were low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and were significantly lowest with β-cyclodextrin (CD).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on-blanching-treatment group. The ascorb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non-blanching-treatment group and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group treated with dextrin (DE=10) whereas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showed lower dehydroascorbic acid content than the non-blanching-treatment group. The water absorption was higher in the non-blanching-treatment group and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group treated with CD. The water solubility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treated with dextrin (DE=20) and CD was higher than that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 treated with DE=10. The total chlorophyll and chlorophyll a and b contents were high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 treated with CD, and for the total carotenoid contents, the same tendency as that seen with the chlorophyll content was observed. With regard to the particle diameter, those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were lower than that in the non-blanching-treatment group and was significantly lowest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treated with DE=20 and CD. The result of SEM observation showed that the spray-dried powders in blanching treatment groups treated with the DE=20 and CD forming agents had uniform particle distribution.
        258.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제 방법에 따른 감초경엽의 성분변화 및 항산화, 항돌연변이원성을 평가하였다. 성분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GC-Mass의 분석한 결과 각 추출물에서 공통으로 분석된 성분은 19.7분에서 cis-1,3-dimethyl-2-methylene-cyclohexane과 21.5에서 n-hexadecanoic acid이 모두 분석되었으며, 17.8분에서는 3-O-methyl-D-Fructose가 끓는 물에 데친 감초경엽에서 19.8분에서는 aminopyrazine이 4회 볶은 감초 잎과 줄기 추출물만 분석되지 않고 4가지 모두에서 분석되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3회 볶은 감초경엽에서 EC50이 2.66±0.09μ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4회 볶은 감초경엽에서 EC50이 0.57±0.22μg으로 가장 높았다. 환원력 측정에서는 3회 볶은 감초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폴리페놀 함량 3회 볶은 감초경엽에서 3.38±0.12g/100g으로 가장 높았다. 항돌연변이원성 평가에 있어서 직접변이원인 1-NP에 대해 높은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간접변이원인인 Trp-P-1, Trp-P-2, AFB1, 2-AA에 대해서는 3번 볶은 감초경엽(GU-1)에서 가장 높은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