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7

        401.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주국립공원은 1968년에 최초 지정된 이후 3차에 걸쳐 확대지정되었는데, 다른 국립공원과 다른 점은 지정사유가 동・식물을 포함하는 자연환경에 보호보다는 독특한 역사적, 문화적 유적 보호차원에서 지정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경주국립공원에 대한 생물상 조사는 매우 미미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지역에 대한 곤충상에 대한 조사는 안(1997)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 이외에 종합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지금까지 경주국립공원에서 조사・보고된 곤충은 12목 77과 274종이었으며, 이중 남산지구에서는 3목 13과 18종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조사에서는 경주국립공원 일대에서 비교적 조사가 미비해왔던 남산지구에서 서식하는 곤충류를 조사하기 위하여 주간채집과 야간채집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특히, 기존에 조사되지 않았던 야행성 곤충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들 조사결과는 기존의 조사자료와 종합하여 경주국립공원일대의 전반적인 곤충분포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조사에서 확인된 곤충 중 경주국립공원에서 새롭게 보고되는 종은 7목 28과 160종으로 확인되어, 남산지구를 포함하는 경주국립공원에서 분포가 확인된 곤충류는 총 12목 95과 434종이 된다. 문헌 조사 및 금번 조사에 의해 확인된 곤충을 분류군별로 보면 나비목이 25과 176종으로 전체 곤충류의 40.7%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딱정벌레목이 31과 143종으로 33%, 노린재목이 12과 39종으로 9%, 매미목이 7과 33종으로 7.6%등으로 나타났다.
        403.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ocal moth fauna and population change during a year on Island Oenarodo (N34˚27'50", E127˚28'06", 74 m a. s. l.), Goheung-gun, Jeonnam. Moth collecting was carried out using a light trap from Ma
        4,200원
        404.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무심천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총 9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서곤충의 EPT-group을 이용하여 EPT-비율, EPT 풍부도, EPT 종수와 개체수를 지점별로 비교분석하였고 수서곤충의 종 조성에 따른 UPGMA분석으로 조사지점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였으며 수서곤충의 섭식기능군은 하천차수에 의해 비교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무심천의 수서곤충은 총 8목 36과 71종으로 조사되었고 EPT 비율과 EPT 풍부도는 지점 3에서 각각 0.72, 3.89로 다른 지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지점 9에서는 0.03, 0.09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또한 EPT 종수 및 개체수는 지점 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UPGMA분석 결과 무심천의 각 지점은 A1(st. 1, 7, 8), A2(st. 2, 3, 4, 5, 6), B(st. 9)로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섭식기능군은 지점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중류역에서는 써는무리와 긁어먹는 무리가 다른 지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난 반면 하류에서는 걸러먹는무리와 줍는무리가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의하면 조사지점에 따라 수서곤충의 EPT-richness, EPT-ratio, EPT 수 뿐만 아니라 섭식기능군의 조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05.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약용 곤충에 주로 발생하는 진균병은 녹강병(Metarhizium anisopliae)과 백강병(Beauveria bassiana)이다. 본 실험에서는 두 병원균에 각각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녹강병 진단을 위해 M. anisopliae 유전자 염기서열 중 200여개의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그 중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선발하였다. 제작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진단 결과, 녹강병원균에서만 약 900base의 진단 band를 확인할 수 있었고, 검출 감도는 102 spores/ml 정도로서 육안으로 불가능한 농도에서도 진단이 가능하였다. 또한, 백강병 진단을 위해 B. bassiana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약 150여개의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특이 프라이머를 선발하였다. PCR 진단 결과, 백강병원균에서만 약 500base의 진단 band를 확인할 수 있었고, 검출 감도는 103 spores/ml 정도 이었다. 각각 제작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duplex-PCR를 해보았다. 검출감도는 낮았지만 동시진단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경제적 손실을 끼치는 주요 질병들은 조기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병 예방차원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며, 질병의 역학조사나 주변 환경 요인분석 등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대량사육장에서의 병 예방을 위한 주요 요령을 정리하였다. 장수풍뎅이 병 예방을 위한 주요 요령은 사육준비기, 입식기, 유충기 등 실제 사육농가에서 진행되는 시기에 맞추어 정리를 하였고, 꽃무지의 경우 1, 2령 때 사육상자 사육과, 3-4세대 이상 경과시 새로운 세대로 교체, 과습 방지 등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406.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추, 양배추 및 배추 시설재배지에서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한 방제효과는 선충 계통, 처리농도, 처리회수 및 엽채류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GSN1(Steinernema carpocapsae GSN1), GSNUS-14(Steinernema sp. GSNUS-14) 및 GSNUH-1(Heterorhabditis sp. GSNUH-1) 계통중에서는 GSN1 계통이 가장 방제효과가 높았고, 처리농도에서는 7, 200,000IJs의 처리가 가장 방제효과가 높았다. 그리고 처리회수간에는 3회 처리가 1회와 2회 처리보다 방제효과 높았고, 엽채류 종류에 따라서는 배추가 양배추나 케일보다 방제효과가 높았다. 배추에서의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던 것은 GSN1 계통을 7,200,000Ijs의 농도로 3회 처리하였을 때 95.9%였고, GSNUH-1 계통을 800,000Ijs의 농도로 1회 처리시 64.9%로 가장 낮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양배추에서 방제효과는 GSN1 계통을 7,200,000Ijs의 농도로 3회 처리하였을 때 92.2%로서 가장 높았고, GSNUS-14 계통을 2,400,000Ijs의 농도로 1회 처리시 57.3%로 가장 낮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케일에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던 것은 GSN1 계통을 7,200,000Ijs의 농도로 3회 처리했을 때로 88.6%였고, GSNUH-1 계통을 800,000Ijs의 농도로 1회 처리시 55.3%로 가장 낮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07.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담배거세미나방에서의 반수치사농도는 선충의 계통에 관계없이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령기가 발육할 수록 감수성이 낮아졌다. 반수치사농도가 가장 낮았던 것은 GSN1(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으로 2령충에서 4.0마리였고, 가장 높았던 것은 GSNUH-1(Heterorhabditis sp. GSNUH-1) 계통으로 5령충에서 11.5마리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의 곤충병원성 선충 5계통의 병원성은 pot 실험에서 선충 계통, 처리농도 및 처리회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GSN1 계통은 처리농도와 처리회수에 관계없이 다른 4계통의 선충보다 병원성이 높았다. 선충 처리농도에서는 처리농도가 많을수록 병원성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선충 처리회수에서는 3회 처리가 가장 병원성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2회 처리와 1회 처리 순으로 처리회수가 많을수록 병원성도 증가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해서 GSN1, GSNUS-14(Steinernema sp. GSNUS-14), GSNUS-10 계통을 30,000Ijs/30㎖의 농도로 1회 처리했을 때와 5계통의 선충을 90,000Ijs/30㎖의 농도로 1회 이상 처리했을 때 치사율이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 5계통의 병원성은 선충 계통, 처리농도 및 엽채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선충 계통과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엽채류의 종류에 따른 병원성에서는 배추가 양배추나 케일보다 유충 치사율이 높았으며 30,000Ijs/30㎖의 농도 이상으로 처리한 것에서는 Heterorhabdtidis sp. GSNUH-1을 제외하고는 80% 이상의 유충 치사율을 보였다. 처리농도에 따른 병원성에서는 처리농도가 많을수록 유충 치사율이 증가하였다.
        408.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벼에 발생하여 엽육을 전체적으로 식해해서 피해를 주는 혹명나방(Cnaphalocrosis medinalis)과 벼애나방(Naranga aenescens)의 곤충병원성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방제를 위해, 국내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 중에서 나비목 해충에 대해 살충활성 가능성을 가지며 이중피라미드형 내독소 단백질을 가진 균주들을 대상으로 생물검정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Bt 30균주 중, 약 14개 균주가 혹명나방에 50% 이상의 살충율을 나타내었고, 7개 균주가 벼애나방에 살충활성을 보였는데, 두 종 모두에 80% 이상의 살충율을 보이는 균주도 3균주나 확인되었다. 이들 균주는 두 종 해충 뿐만 아니라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에도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생물농약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반면, 이중피라미드형 내독소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나 두 종 모두에 살충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균주도 확인되었다. 또한 살충활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처리한 식물체에 섭식저해 현상을 보이는 유충을 계속적으로 사육하면서 용화율, 우화율 및 번데기 길이를 조사함으로, Bt가 대상 해충의 생물학적, 생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처리 후 조사기간 동안 생존한 개체라 할지라도 용화, 우화율이 정상개체에 비해 30~40%이상 낮게 나타났다. 특히나 혹명나방의 경우, 번데기 길이에서도 정상개체와 처리 후 생존개체가 차이를 보이며 섭식에 저해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9.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섬 크기와 육지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면서 해안사구가 잘 발달된 서해 중부의 3개 도서(옹진군 덕적도와 굴업도, 보령군 원산도)를 선정하여 사구성 곤충의 다양성을 측정하였고, 도서간의 종다양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는 2007년 봄과 여름에 걸쳐 1차와 2차 사구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3개 도서의 사구 서식곤충은 총 12목 43과 78종으로 조사되었고, 진정한 사구성 곤충은 4목 15과 26종으로 확인되었다. 채집종의 분류 결과, 진사구성으로 거저리과의 Phaleria atriceps (Lewis)가 한국 미기록종 임이 밝혀졌다. 지역적으로 보면, 사구 서식곤충(진사구성 곤충)은 덕적도에서는 9목 21과 34종(3목 10과 13종), 굴업도 7목 19과 28종(4목 12과 15종), 그리고 원산도 12목 37과 60종(3목 14과 23종)으로 나타났다. 3개 도서의 지리적 여건(면적, 해안선길이, 육지로부터 거리)과 사구 서식곤충의 출현 종수를 비교해 본 결과, 육지로부터의 거리(원산도 11km>덕적도 75km>굴업도 90km)가 사구서식 곤충 종의 출현종수(원산도 59종>덕적도 34종>굴업도 28종)와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410.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뿌리혹선충에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식물체 정유(anise oil, caffeine, clove oil, marigold, mustard oil, neem oil, quassia, quilaja, rosemary oil, rotenone, Thea sinensis oil, thyme oil, wintergreen oil, yucca)를 이용하여 토양해충 방제용 미생물 천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과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X-plate에서 1000 ppm 농도로 희석한 각각의 정유에 각 선충들을 처리한 결과 대부분의 처리에서는 10%이하의 치사율을 보였으나 mustard oil 처리에서는 처리 24시간 후에 두 선충 모두 100% 치사되었으며 quassia 처리에서 72시간후에 16%가 치사되었다. Mustard oil의 농도별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한 치사효과를 조사한 결과 20 ppm 농도에서도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은 3일후에 100% 치사되었으며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은 69% 치사되었고, 5 ppm 농도에서도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은 3일후에 36% 치사되었다. Sand column에서 mustard oil과 곤충병원성 선충 동시 처리 시,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에 대한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의 병원성은 100 ppm농도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은 무처리 대비 30%의 병원성을 보였다.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으로 기주 침입수도 mustard oil 처리구에서 적었으나 sand column내에서 생존수는 1000 ppm 농도를 제외하고 차이가 없었다.
        41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꿀벌을 비롯한 화분매개 곤충의 농업과 자연생태계에 기여하는 공익적 가치는 꿀벌이 생산하는 일차생산물의 약 140여 배에 이른다고 보고하고 있다. 최근 과수 생산 농민들의 고령화로 인한 적화 및 적과에 대한 노동력 부담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적화 및 적과의 생력화 방안으로 화학적 적화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석회유황합제는 이의 중요한 대안이다. 이에 사과원 화분매개 곤충 중 꿀벌에 대한 석회유황합제의 실내 독성 평가와, 야외 포장에서 석회유황합제 처리 전후 화분매개 곤충 밀도 및 곤충상 조사를 통해 석회유황합제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석회유황합제 처리에 의한 꿀벌 실내 독성은 3가지 조합의 lime sulfur를 이용하여 처리 후 3시간, 12시간, 24시간에 평가된 사망률은 추천 농도를 포함한 대부분 농도에서 미국환경청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 25%미만으로 꿀벌에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야외 포장에서 석회유황합제의 처리 전후 방화곤충의 밀도를 육안 조사한 결과 처리 전 꿀벌의 밀도는 0.18마리였으며, 처리 후 밀도는 0.34마리로 나타났다. 꿀벌과의 다른 종들은 처리 전 육안 조사가 되지 않았으나, 처리 후의 밀도가 0.05마리였다. 트랩을 이용한 방화곤충상 조사에서 주요 벌목 곤충은 처리 전후 밀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파리목의 꽃파리과는 처리 이후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또한 트랩에 포획된 방화곤충은 총 6목, 40과, 635개체이었다. 따라서 석회유황합제는 꿀벌 및 화분매개 곤충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41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지국온난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작물재배에 있어서 염려가 되는 것 중의 한 가지는 매개충에 의한 질병의 확산이다. 우리나라의 한 예를 들면, 2007년 전남의 일부지역의 벼재배지에서 애멸구에 의한 벼줄무늬잎마름병이 대발생하여 벼 작황에 치명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난대성 해충인 담배가루이의 피해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데 이 곤충은 다양한 식물바이러스의 매개충으로서 담배가루이의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식물바이러스의 전염에 의한 2차 피해를 일으킨다. 곤충의 체내 공생균은 이러한 매개충의 질병 전염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 세계적으로 매개충 및 이에 의한 질병을 방제하는 데 있어서 체내 공생균을 새로운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본 주제에 대한 발표는 2007년 8월 대구에서 개최된 International Congress of Insect Biotechnology and Industry에서 “Insect Symbionts: from Basic Research to Applications"라는 주제로 심포지움이 있었다. 또한, 유럽연합의 과학기술연구단체인 European Cooperation in the field of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 (COST)에서 ”Arthropod Symbiosis: from Fundamental Studies to Pest and Disease Management"라는 주제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본 주제와 관련된 분야(곤충생리, 미생물, 바이러스, 식물 등)의 우수한 연구자들이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팀을 기획하여 실행함으로서 해충 및 식물 질병 방제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국내에서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41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7년 9월에 일본에서 개최된 제 4회 아시아태평양화학생태학회의 학술대회에서는 21개국에서 약 300여명이 참석하여 10건의 특별강연과 8개 분야의 심포지엄을 비롯하여 총 256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심포지엄에서는 수생 생태계, 사회생물학과 인간, 식물 타감물질의 다양성, 화학감각과 행동, 곤충과 식물의 상호작용, 페로몬의 실용화, 페로몬 통신의 다양성, 화학생태학의 전망 등의 주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일반 학술발표 내용 중에서는 곤충과 식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 5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페로몬 통신과 이용에 관한 것이 41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일본 연구자들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182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함으로서 전체의 71%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중국은 19건, 한국은 5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는데 그쳤다. 일본에서 곤충의 화학생태에 관한 기초연구는 교토대학교, 동경농공대학교, 농업연구센터 등에서 활발히 수행되고 있었다.
        41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 기능의 분자생물학적 해석 및 이용 분야의 주요 연구 소재로 초파리와 누에를 들 수 있다. 초파리는 타 곤충에 비해 세대가 짧고 형질 변이체를 많이 보유하고 있어 과거 100여년 동안 유전학, 발생학 등의 연구소재로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1980년대에 P인자라고 하는 트랜스포존의 발견과 그 이용에 의한 형질전환 기술이 확립되어 유전자의 도입이 자유롭게 행하여졌다. 누에의 경우 누에알에 외래유전자를 도입하는 미세주사법이 개발되고, 곤충 베큘러바이러스를 이용한 누에 형질전환이 일본에서 시도된 바 있으며, 2000년대에 이르러 일본의 Tamura연구그룹에 의해 PiggyBac이라는 유전자로 만든 운반체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된 3세대 누에 제작에 성공하였으며, 2003년에는 누에 형질전환 기술의 첫 응용이라 할 수 있는 collagen 단백질이 함유된 재조합 누에고치를 생산하는 형질전환누에가 보고된 바 있다. 국내에서 본격적인 곤충형질전환관련 연구는 1998년 과학기술부 G7과제인 “신기능성을 지닌 견사곤충의 분자육종 기술 개발” 이래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원천기술개발을 위해 외래유전자를 고효율로 발현시킬 수 있는 프로모터와 형질전환 시킨 누에에 도입유전자의 안정적인 발현과 고정이 가능한 운반체 개발을 위한 연구를 추진 중에 있다. 곤충게놈에 대한 연구 현황을 보면 2000년 초파리, 2002년 학질모기, 2004년 누에 및 꿀벌의 게놈이 해독되어 포스트게놈 시대에 돌입하고 있다. 곤충이 번영할 수 있는 원인의 하나로서 자기를 지키는 생체방어능력이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생체방어관련 물질은 1980년대 보고된 이래 지금까지 200종 이상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일본의 Yamakawa연구그룹은 1996년 학술진흥조정비에 의해 “곤충 기능 이용연구”에서 누에, 투구벌레등으로부터 항균성 단백질을 분리하여 그 작용 기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연구는 2001년도부터 생물계 특정산업기술연구추진기구의 “곤충의 항미생물단백질의 특성해명과 개변” 프로젝트로 계속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의 연구현황을 보면 농업과학기술연구원에서 누에로부터 누에신 및 엔보신, 꿀벌부채명나방으로부터 갈리오마이신이 개발되어 특성이 구명된 바 있고, 최근에는 소똥구리유충으로부터 분리된 새로운 고기능성 항생펩타이드 “코프리신”이 개발되어 항생제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들 연구 외에 곤충의 발육제어와 호르몬 연구, 곤충의 공생미생물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41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kind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were used for the plant protection, furthermore they support the growth of crops in the greenhouses and the kindly environment friendly farming. Natural enemies might be used for control of insect pest with EFAMs at the same space and time. For testing the toxicity of EFAMs against to natural enemies, 10 EFAMs were selected and tested in small greenhouses and farm"s fields. In case of Harmonia axyridis larva, there was no predacious activity against cotton aphids in the block with EFAMMo L, EFAMPE D, EFAMME G and EFAMAE A, otherwise, aphid population was rapidly decreased in the control block without EFAMs. Both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Encarsia formosa population were slightly decreased in the block with EFAMs. The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lock with IEFAM C, FEFAM D, EFAMSM Band EFAMPE D compared with control area. Especially, there was significantly maintained a very low population, both T. vaporariorum and E. formosa in the block with EFAMMo C. The parasitized ratio of Aphidius colemani is also very low in the block with EFAMs compared with control area. In the block with IEFAM C, FEFAM D, EFAMPE D and EFAMMo L,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control area in the number of mummies. Otherwise, in case of Diglyphus isaea and Liriomyza trifolii,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locks with and without EFAMs. In the block with EFAMMo C, Tetranychus urticae and Phytoseiulus persimilis populations were significantly maintained a very low level. However, the population of T. urticae was increased, but P. persimilis was decreased in the block with EFAMMo L.
        4,300원
        416.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find out the affection of the sampling techniques to the result of a faunistic study, we surveyed the insect fauna of th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our different sites) for a year, from spring to fall. For each site, four different collecting methods: light trap, net sweeping, pitfall trap, and window trap, were applied and the collecting was done every other week for a total of 16 times. A total of 14 orders and 672 species were collected. 501 species were collected by the light trap, which covers about 75%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turn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while other methods could only cover 18% or less. On average, only about 30% of the species collected at a given time of collecting were re-collected at the next collecting, which means about 70% of the species collected from the first collecting remains not collected in the next collecting if you collect insects every other week. The result suggests that, in addition to applying diverse collecting methods, frequent sampling, or narrow sample window, is another very important factor for a good representation of species diversity in an insect faunistic study.
        4,000원
        41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valuate environment of farm lands using indicator insects and evaluation indices, the insect abundance of which is one of the major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of farm land in urban areas and industrial complex, three sites (Ansan, Daesan, Suncheon) were designated and monitored from 2004 to 2006. The flora of agricultural land was more than urban areas and industrial complex of that in three sites. Soil, water and air pollution of urban areas and industrial complex were more serious than those of agricultural land in three sites. Overall population of insects were high from June to August in the surveyed three sites. Collected insects in agricultural land were 12 order, 106 family and 166 species, those in urban areas were 11 order, 102 family and 148 species, and in industrial complex were 11 order, 100 family and 152 species. Species and population belonging to Coleoptera was dominant in the surveyed sites. The insect diversity indices of farm land were 2.36 in agricultural land, 1.92 urban areas and industrial complex.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of agricultural land was good, urban areas was common and industrial complex was poor. Based on the major criteria of evaluation items, the criteria were selected as diversity index over 2.1, insect indicator Pheropsophus javanus in agricultural land, diversity index 1.5-2.0, insect indicator Nephotettix cincticeps in urban areas, diversity index below 1.5, insect indicator Pagria signata in industrial complex.
        4,200원
        41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ssess the environmental risks of transgenic chili pepper with PepEST gene on non-target organisms before it exposes to the agro-ecosystem environments, we conducted the three sets of green peach aphids (Myzus persicae S.) life table experiment under laboratory conditions (Temp. 25℃, R.H. 50-70%, Photoperiod L16 : D8) in series during 2005-2006. We measured the net reproductive rate (R₀)*, the intrinsic rate of increase (r<SUB>m</SUB>), the mean generation time (T<SUB>c</SUB>), fecundity*, life span, and reproduction period between non-transgenic chili peppers and transgenic chili peppers, respectively. The life span of green peach aphids from three sets was 31, 27, 25 days, and the period of life span was similar to the general average length of green peach aphids, 25-29 days. Although the first reproduction of transgenic pepper was similar to the non transgenic pepper (P>0.05), the fecundity and the net reproductive rate (R<SUB>o</SUB>) by using Jackknife method of transgenic pepper were lower than those of non transgenic pepper (P<0.05). Conclusively, we observed the adverse effect from our results but we should execute further experiments to confirm the results at the fields with the similar way.
        4,000원
        41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habitats of diving beetles in agricultural ecosystems were identified as ponds, irrigation channels, and reservoirs, where the water system is maintained throughout the year. Four species, Cybister japonicus, Cybister brevis, Hyphydrus japonicus and Noterus angustulus, were selected as biological indicators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healthiness of the agricultural ecosystem. The species number of 4 indicator species, the species number of diving beetle species, and the diversity index were used as factors for environmental evaluation. The evaluation was classified into grades Ⅰ~Ⅳ. The non-fertilizer and non-pesticide agricultural practicing area and the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ing area were evaluated as grades Ⅰ~Ⅱ, and the general agricultural area to be relatively fine with a grade Ⅱ. However, the analysis indicated the agricultural areas near a residential area and an industrial complex to be poor with a grade of Ⅳ, suggesting that immediate improvement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s needed.
        4,000원
        42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fetal bovine serum (FBS) on the growth of insect cells and the multiplicity of viruses, the growth of cells (Sf21 and Bm5) and viruses were examined on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FBS. In view of the viability, growth speed, proliferation of cells and the amount of FBS, the most proper concentration for the cell culture were 7% and 5% for Sf21 and Bm5, respectively. The multiplicity of viruses at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FBS was similar in both cell lines at 5 days post-infection (p.i.). However, it differed significantly at 2 and 3 days p.i. The proper concentration of FBS were 10% and 3% for Sf21 at 2 and 3 days p.i., respectively, and 5% for Bm5 at both 2 and 3 days p. i.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FBS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d cell lines and viruses for their optimum production.
        4,000원